함양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양군은 경상남도 서부에 위치하며, 지리산 북쪽에 자리 잡고 있다. 신라 시대에는 천령군으로 불렸으며, 고려 시대를 거쳐 조선 시대에 군으로 승격되었다. 현재 1읍 10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농업이 주된 산업으로 꿀, 산양삼, 사과 등이 특산물이다. 광주대구고속도로와 통영대전고속도로가 지나가며, 함양 8경을 비롯한 다양한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양군 - 함양도서관
함양도서관은 1990년 개관하여 시설 확충과 운영 변화를 거쳐 2011년부터 경상남도교육청에서 운영하는 함양군의 공공 도서관으로, 자료실과 열람실을 운영하며 매주 월요일, 공휴일, 명절에 휴관한다. - 1629년 폐지 - 고성군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안 북부에 위치하며, 농업과 어업이 주요 산업이고, 금강산 등 관광 자원을 보유한 군이다.
함양군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함양군 |
한글 표기 | 함양군 |
한자 표기 | 咸陽郡 |
로마자 표기 | Hamyang-gun |
맥큔-라이샤워 표기 | Hamyang-gun |
관할 지역 | 경상남도 |
방언 | 경상 방언 |
면적 | 725.03 km² |
인구 (2024년 9월) | 36,307 명 |
인구 밀도 | 56.1 명/km² |
행정 구역 | 1읍, 10면 |
상징 | |
![]() | |
![]() | |
군목 | 느티나무 |
군화 | 철쭉 |
군조 | 소쩍새 |
행정 및 정치 | |
군수 | 진병영 (국민의힘) |
국회의원 | 신성범 (국민의힘,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 |
군청 소재지 | 함양읍 고운로 470 (운림리 31-2) |
기타 | |
홈페이지 | 함양군청 홈페이지 |
문화재 | |
문화재 정보 | 함양군 문화재 |
2. 지리
경상남도의 서쪽, 지리산 북쪽에 위치한다. 화강편마암과 화강암으로 된 이 지역의 서쪽에는 소백산맥의 고산 준령이 많고 덕유산·기백산·지리산 등 높은 산이 솟아 있다. 서쪽에는 팔량치(520m)·육십령(640m)의 고개가 있어 전라도와 연결된다. 남강의 상류 위천·임천 등이 흐르며, 북부의 안의분지와 남부의 함양분지는 비교적 넓은 침식분지이다.
2. 1. 기후
함양군은 온화한 기온을 보이지만, 내륙 산지에 위치하여 한서의 차가 심하다. 연평균 기온은 12.6℃, 1월 평균 기온은 -1.2℃, 8월 평균 기온은 25.6℃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약 1,300mm이다.2011년부터 2020년까지 평균 최고 기온은 19.5°C 이며, 평균 기온은 12.8°C, 평균 최저 기온은 7.1°C, 연 강수량은 1325.1mm이다.[6][7] 최고 기온 기록은 37.8°C이고 최저 기온 기록은 -16.0°C이다.[6][7]
3. 역사
신라 때 속함군(速含郡) 또는 함군(含郡)/함성(含城)이라 하였다. 경덕왕 때 천령군(天嶺郡)으로 고치고 운봉현과 이안현의 두 영현을 두었다. 그 후 고려 성종때 허주군(許州郡)이라하고 허주도단련사(許州都團鍊使)를 두었다. 고려 현종 3년(1012년)에 강등하여 함양군으로 개칭되었다가, 후에 함(含)을 함(咸)으로 고쳤다. 한때 현이 되었다가 1395년 조선 태조 4년에 군으로 승격하였다.
1629년(인조 7년) 함양현으로 강등하였다.
1729년(영조 5년) 함양부로 승격하였다.
1788년(정조 12년) 함양군으로 환원되었다.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진주부 함양군으로 개편하였다.[13]
1896년 8월 4일 경상남도 함양군으로 개편하였다.[14]
1914년 4월 1일 안의군의 7개 면을 합하였다.[15]
: 13면 - 위성면, 석복면, 지곡면, 휴천면, 유림면, 수동면, 병곡면, 마천면, 백전면, 안의면, 대지면, 서하면, 서상면
1933년 1월 1일 대지면을 안의면으로 합면하고,[16] 위성면을 함양면으로 개칭하였다. (12면)
1957년 10월 21일 함양면과 석복면을 함양읍으로 승격하였다.[17] (1읍 10면)
1976년 휴천면 엄천(嚴川)출장소를 설치하였다.
1988년 함양읍 상동을 운림리로, 하동을 용평리로 개칭하였다.
1998년 엄천출장소를 폐지하였다.
1914년 4월 1일 - 군면병합으로 인해 안의군의 일부(북상면, 고현면, 북하면, 동리면, 남리면 제외)가 '''함양군'''에 편입되었다. 함양군에 다음과 같은 면이 설치되었다(13면).
1933년 1월 1일 - 대지면이 안의면에 편입되었다(12면).
1933년 - 위성면이 함양면으로 개칭되었다(12면).
1957년 10월 21일 - 함양면, 석복면이 함양읍으로 승격되었다(1읍 10면).
1972년 - 안의면의 일부(진목리, 춘달리)가 거창군 남상면에 편입되었다(1읍 10면).
3. 1. 삼국시대
신라 때 함양군은 속함군(速含郡) 또는 함군(含郡)/함성(含城)이라 불렸다.[3] 신라 경덕왕 때 천령군(天嶺郡)으로 이름을 바꾸고 운봉현과 이안현의 두 영현을 두었다.[3] 연화산 정상에는 사군산성이 축조되어 백제와 신라 간의 격전지로 활용되었으며, 왜구 방어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3] 역사 기록에 따르면 1380년 왜구가 이 지역을 침략했을 때 약 500명이 이곳에서 전사했다고 전해진다.[3] 성벽의 둘레는 약 1.2km, 높이는 약 5m이며, 장방형 돌로 쌓은 성벽은 7세기 전형적인 축성 기법을 보여준다.[3] 성 안에서는 건물지, 문지, 석조 연못 등 다양한 유적과 함께 백제와 신라의 유물이 발굴되었다.[3]3. 2. 통일신라 시대
신라 때 속함군(速含郡) 또는 함군(含郡)/함성(含城)이라 하였다.[2] 경덕왕 16년(757년)에 천령군(天嶺郡)으로 고치고 운봉현과 이안현의 두 영현을 두었다. 경덕왕 재위 시절에는 여순(Yeosun)이라 불리며 거창군에 속하였다.[2]3. 3. 조선시대
1552년(명종 7년) 정여창의 학문적 업적을 기리기 위해 남계서원이 건립되었다.[4] 1597년(선조 30년) 정유재란 당시 황석산성 전투가 벌어져 조선군이 궤멸되었으나, 김해부사 백사림은 살아남았다.[5] 이 전투는 함양과 거창 지역 주민들과 일본군 가토 기요마사(加藤清正)의 6만 명이 넘는 군대 사이에서 벌어졌으며, 안의현 수령 곽준을 대장으로, 김해부사 백사림을 최고 사령관으로, 함양 전임 수령 조종도가 성을 지켰다. 전투는 8월 16일에 시작되어 18일에 조선군이 완전히 궤멸되었으나 김해부사 백사림은 살아남았다. 성 안에서 353명의 한국인이 사망했다.[5]1914년 4월 1일 안의군의 7개 면(북상면, 고현면, 북하면, 동리면, 남리면 제외)을 합하였다.[15]
3. 4. 현대
1914년 4월 1일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안의군의 일부(북상면, 고현면, 북하면, 동리면, 남리면 제외)가 함양군에 편입되었다.[15] 이때 위성면, 석복면, 지곡면, 휴천면, 유림면, 수동면, 병곡면, 마천면, 백전면, 안의면, 대지면, 서하면, 서상면이 설치되었다. 1933년 1월 1일 대지면이 안의면에 통합되었고,[16] 위성면이 함양면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6] 1957년 10월 21일 함양면과 석복면이 합쳐져 함양읍으로 승격되었다.[17] 1972년 안의면의 진목리, 춘달리가 거창군 남상면에 편입되었다. 1976년 휴천면에 엄천출장소가 설치되었다가 1998년에 폐지되었다. 1988년 함양읍 상동이 운림리로, 하동이 용평리로 개칭되었다.4. 행정 구역
함양군의 행정구역은 1읍 10면, 103동 255마을로 구성되어 있다.[18] 면적은 724.88km2이다.[19] 2011년 6월 30일을 기준으로 인구는 18,850세대, 41,122명이며, 이 중 46.3%가 함양읍에 거주한다.[20] 인구 최고점은 124,178명이었으며, 남녀 성비는 여자 100명에 남자 94명 정도로 여초 지역이다.
읍면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 |
---|---|---|---|---|
함양읍 | 咸陽邑 | 8,090 | 18,901 | 69.35 |
마천면 | 馬川面 | 1,282 | 2,313 | 107.52 |
휴천면 | 休川面 | 926 | 1,640 | 61.91 |
유림면 | 柳林面 | 1,018 | 1,792 | 29.54 |
수동면 | 水東面 | 1,325 | 2,553 | 49.09 |
지곡면 | 池谷面 | 1,109 | 2,155 | 41.97 |
안의면 | 安義面 | 2,567 | 4,835 | 99.15 |
서하면 | 西下面 | 772 | 1,409 | 71.96 |
서상면 | 西上面 | 1,105 | 1,897 | 90.13 |
백전면 | 栢田面 | 874 | 1,613 | 55.91 |
병곡면 | 甁谷面 | 737 | 1,423 | 48.35 |
5. 정치
5. 1. 역대 함양군수
6. 산업
주업은 농업이며 꿀의 명산지이다. 지리적 조건을 살려 양잠과 한우를 육성하여 대성과를 올려 경남서부 종합개발 한우육성의 중심지가 되었다. 한편 임산자원은 도내 1위로 입목 축적량은 81만m3이다.
경지 면적은 함양군 총면적의 약 15%이며 논이 많고, 농민은 약 64%이다. 주요 농산물은 산양삼·여주·사과·작약·도라지·구기자 등이다. 지형적인 조건으로 임야 면적이 넓고, 임야에서는 인삼·잎담배·참깨 등 특용작물의 재배가 성하며, 한우·산양·닭 등 가축사육도 성하다. 또한 대규모 뽕밭과 잠실이 조성되어 양잠산업이 활발하다.
6. 1. 농림업
경지 면적은 함양군 총면적의 약 15%이며 논이 많고, 농민은 약 64%이다. 주요 농산물은 산양삼·여주·사과·작약·도라지·구기자 등이다. 지형적인 조건으로 임야 면적이 넓고, 임야에서는 인삼·잎담배·참깨 등 특용작물의 재배가 성하며, 한우·산양·닭 등 가축사육도 성하다. 또한 대규모 뽕밭과 잠실이 조성되어 양잠산업이 활발하다.6. 2. 광공업
고령토가 많이 생산된다. 가내 수공업으로 한지, 목기, 석재 가공업이 발달하였다. 함양읍을 중심으로 생사, 메리야스, 도자기 공업이 발달하였다.6. 3. 특산물
지리산 솔송주·한우고기·흑돼지 등이 유명하다.7. 관광
함양군에서는 함양 8경을 선정하여 알리고 있다.[21]
- 상림 사계: 상림의 아름다운 사계절 풍경[21]
- 금대 지리: 금대에서 보는 장엄한 지리산 조망
- 용추 비경: 용추폭포과 기백산의 빼어난 경치
- 화림 풍류: 거연정, 동호정을 잇는 화림계곡의 절경
- 칠선 시류: 지리산 칠선계곡의 경치와 화살과 같이 빠르게 굽이쳐 흐르는 물
- 서암 석불: 벽송사와 서암정사의 고즈넉한 풍경과 경이로운 석불
- 덕유 운해: 남덕유산 아래로 펼쳐진 구름바다의 신비로움
- 대봉 철쭉: 백운산, 대봉산으로 이어지는 고산 철쭉의 아름다움
그 외에 승안사지 삼층석탑, 함양 마천면 마애여래입상, 함양 허삼둘 가옥, 사근산성, 함양 석조여래좌상, 남계서원, 상림공원, 하림공원, 지리산조망공원, 대봉산, 지리산국립공원, 덕유산국립공원 등도 주요 관광 자원이다.
7. 1. 함양 8경
함양군에서는 함양 8경을 선정하여 알리고 있다.[21]- 상림 사계: 상림의 아름다운 사계절 풍경[21]
- 금대 지리: 금대에서 보는 장엄한 지리산 조망
- 용추 비경: 용추폭포과 기백산의 빼어난 경치
- 화림 풍류: 거연정, 동호정을 잇는 화림계곡의 절경
- 칠선 시류: 지리산 칠선계곡의 경치와 화살과 같이 빠르게 굽이쳐 흐르는 물
- 서암 석불: 벽송사와 서암정사의 고즈넉한 풍경과 경이로운 석불
- 덕유 운해: 남덕유산 아래로 펼쳐진 구름바다의 신비로움
- 대봉 철쭉: 백운산, 대봉산으로 이어지는 고산 철쭉의 아름다움
그 외에 승안사지 삼층석탑, 함양 마천면 마애여래입상, 함양 허삼둘 가옥, 사근산성, 함양 석조여래좌상, 남계서원, 상림공원, 하림공원, 지리산조망공원, 대봉산, 지리산국립공원, 덕유산국립공원 등도 주요 관광 자원이다.
7. 2. 기타 관광 자원
함양군에서는 함양 8경 외에도 다양한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21] 승안사지 삼층석탑, 함양 마천면 마애여래입상, 함양 허삼둘 가옥, 사근산성, 함양 석조여래좌상, 남계서원, 상림공원, 하림공원, 지리산조망공원, 대봉산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지리산국립공원과 덕유산국립공원 일부가 함양군에 속해 있다.
8. 교통
산지가 많아 교통이 불편했으나 1984년 광주대구고속도로 (구 88올림픽고속도로), 2005년 통영대전고속도로가 함양군을 경유하여 개통했으며, 거창, 산청, 합천, 장수, 남원 등지에 국도와 지방도가 연결되어 경상남도 서부의 교통 중심지를 이루게 되었다. 서울에서 함양까지는 3시간 소요된다.
함양군은 대구광역시 및 울산광역시에서 전주시로 가는 필수 경유지다. 대구/울산에서 전주로 가는 시외 및 고속버스는 함양 분기점을 통해 통영대전고속도로로 올라가며, 울산에서는 추후 함양울산고속도로 경유가 추가될 예정이다.
8. 1. 도로 교통
산지가 많아 교통이 불편했으나 1984년 광주대구고속도로 (구 88올림픽고속도로), 2005년 통영대전고속도로가 함양군을 경유하여 개통했으며, 거창, 산청, 합천, 장수, 남원 등지에 국도와 지방도가 연결되어 경상남도 서부의 교통 중심지를 이루게 되었다. 서울에서 함양까지는 3시간 소요된다.함양군은 대구광역시 및 울산광역시에서 전주시로 가는 필수 경유지다. 대구/울산에서 전주로 가는 시외 및 고속버스는 함양 분기점을 통해 통영대전고속도로로 올라가며, 울산에서는 추후 함양울산고속도로 경유가 추가될 예정이다.
남해고속도로 (통영-대전 고속도로)와 광주-대구 고속도로는 함양 분기점에서 교차한다. 통영대전고속도로에는 함양휴게소, 지곡 나들목, 서상 나들목이, 광주대구고속도로에는 함양 나들목, 죽산휴게소가 있다.
국도 제3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6호선이 함양군을 지난다.
8. 2. 버스 교통
함양군에서는 농어촌버스가 대표 교통편으로 운행하고 있으며, 운영업체는 함양지리산고속이다. 버스는 경상남도 도색과 함양지리산고속 자체도색으로 이루어진다. 함양읍 내 출발지는 함양시외버스터미널 근처 시내버스 정류장이다. 시외버스는 함양시외버스터미널에서 이용할 수 있다.8. 3. 철도 교통
일제 강점기 때 대삼선이 함양군을 통과하는 것으로 계획되었으나 완공되지 못했다. 현재 대구-광주 간 달빛내륙철도가 계획되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에 있는 남원역이 가장 가깝지만 함양군청에서 35.1km 정도 떨어져 있고, 경상남도 진주시에 진주역과는 50.3km 정도 떨어져 있으나, 모두 자가용으로 약 1시간 걸리는 거리이다.9. 교육
함양군에는 유치원 13개교, 초등학교 13개교, 중학교 6개교, 고등학교 4개교가 있으며, 이 중 사립학교는 유치원과 중학교에만 존재한다.
9. 1. 학교 목록
함양군에는 유치원 13개교, 초등학교 13개교, 중학교 6개교, 고등학교 4개교가 있으며, 이 중 사립학교는 유치원과 중학교에만 존재한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목록은 별도 문서를 참고한다.10. 자매 도시
함양군은 대한민국 내에서는 대전광역시 서구, 부산광역시 사상구, 광주광역시 광산구, 서울특별시 은평구, 전라남도 영광군, 경상남도 창원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국외에서는 미국 뉴욕주 뉴욕, 펜실베이니아주 몽고메리 타운십, 중국 장쑤성 양주시, 지린성 통화시 회남현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11. 출신 인물
함양군 출신 인물 목록은 분류:함양군 출신 문서를 참고하라.
12. 상징
함양군의 꽃은 진달래, 나무는 느티나무, 새는 뻐꾸기, 동물은 아시아흑곰이다.[2] 주요 인물로는 이철우가 있다.[2]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Hamyang Cultural Assets
https://www.hygn.go.[...]
hygn.go.kr
2022-01-16
[3]
웹사이트
Hamyang Sageunsanseong Fortress
http://dh.aks.ac.kr/[...]
dh.aks.ac.kr
2021-01-16
[4]
웹사이트
Namgyeseowon Confucian Academy, Hamyang
http://english.cha.g[...]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22-01-16
[5]
웹사이트
The Battle of Hwangseoksanseong Fortress and Baeksarim of Gimhae Busa
https://www.dbpia.co[...]
DBpia
2022-01-16
[6]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07
[7]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8]
웹사이트
Sister City Campaign – Hamyang, South Korea – Montgomery Township, Pennsylvania
https://koreandogs.o[...]
koreandogs.org
2022-01-17
[9]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0]
웹사이트
「慶尚南道」
https://kotobank.jp/[...]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2022-08-15
[11]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2]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3]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s:고종실록 32년 5월#음력 5월[...]
1895-05-26
[14]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15]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6]
법률
도령 제17호
1932-10-31
[17]
법률
법률 제450호 면폐합읍설치에관한법률
1957-10-21
[18]
웹사이트
함양군의 행정구역
http://www.hygn.go.k[...]
2011-07-12
[19]
웹인용
함양군 통계연보 - 면적
http://stat.hygn.go.[...]
2011-07-14
[20]
웹사이트
함양군 인구 및 세대
http://www.hygn.go.k[...]
2011-07-12
[21]
뉴스
(경남) 혼자서 조용히 사색하며 쉴 수 있는 곳은?
http://myfriday.join[...]
Friday
2006-11-2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경남에 호우·강풍주의보 지속…둔치주자창·도로 통제
‘고유지명 독점 불가’인데 원주 ‘치악산면’ 개칭 시도…횡성 ‘부글’
경남 함양서 용접 작업하다 산불…진화 완료
3월 말 이상저온 여파, 경남 배 재배면적 75% 상당 냉해
함양 주택서 난 불로 90대 숨져···50대 아들 자력 대피
경남 함양군 주택서 불…90대 여성 숨져
최상목 "경북 의성, 울산 울주도 특별재난지역 검토"
특별재난지역 추가 검토…재난교부세 긴급 지원
함양 유림면 산불 주불 진화…용접 중 튄 불씨가 원인
경남 함양서 산불···진화헬기 7대 등 긴급 투입
‘대설주의보’ 서부경남, 차량 전도···지리산 부분 통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