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뮐러관 호르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항뮐러관 호르몬(AMH)은 140kDa의 당단백질로,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한다. 남성에서는 뮐러관의 발달을 억제하고, 여성에서는 난포의 성장과 발달을 조절하며, 난소 예비력을 평가하고 체외 수정(IVF)의 성공을 예측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또한,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 및 기타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자궁내막증, 자궁선근증, 암 등의 치료에도 활용될 가능성이 연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이오마커 - 맞춤의학
맞춤의학은 환자의 유전적, 분자 생물학적, 세포적 특징을 고려하여 개인에게 최적화된 치료법을 제공하는 의료 모델로, 더 나은 진단과 효율적인 약물 개발, 표적화된 치료법을 제공하지만 데이터 관련 문제와 규제 및 윤리적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바이오마커 - C-반응성 단백질
C-반응성 단백질(CRP)은 간에서 생성되는 단백질로, 염증 반응의 지표로 사용되며, 세균 감염, 조직 손상, 자가면역 질환 등에서 혈중 농도가 증가하여 면역 반응에 기여한다. - 동물발생생물학 - 탈피
탈피는 동물이 성장하며 외골격이나 피부를 벗는 과정으로, 곤충의 변태처럼 형태 변화를 수반하며 호르몬에 의해 조절되고 생존과 번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동물발생생물학 - 교배
교배는 생물이 유성 생식을 통해 자손을 생산하는 과정으로, 동물은 종에 따라 다양한 전략으로 외부 또는 내부 수정을 하며, 가축은 인공 수정을 통해 품종을 개량하고, 곤충은 렉 교배와 같은 짝짓기 전략을, 식물과 균류는 수분이나 균사 접합을 통해 유성생식을, 원생생물은 짝짓기나 유성생식을 하며 유전적 다양성 유지와 진화에 기여한다.
항뮐러관 호르몬 | |
---|---|
일반 정보 | |
유전자 기호 | AMH |
대체 이름 | 뮐러관 억제 인자 MIS |
염색체 위치 | 19p13.3 |
단백질 | 항뮐러관 호르몬 |
유전자 ID | |
관련 질병 | 지속성 뮐러관 증후군 다낭성 난소 증후군 |
기능 | |
역할 | 성 분화 |
작용 기전 | AMHR2 수용체 결합 |
발현 위치 | 고환의 세르톨리 세포 난소의 과립막 세포 |
조절 인자 | 스테로이드 생성 인자 1 (SF-1) 빌름스 종양 1 (WT1) GATA 결합 단백질 4 (GATA-4) |
임상적 중요성 | |
관련 질환 | 지속성 뮐러관 증후군 (PMDS) 다낭성 난소 증후군 (PCOS) |
진단 마커 | 난소 기능 평가 남성 성선 기능 저하증 평가 |
치료 표적 | 암 치료 연구 중 |
2. 구조
항뮐러관 호르몬(AMH)은 표적 조직 세포 표면의 특정 항뮐러관 호르몬 수용체와 상호 작용하여 작용한다. AMH II형 수용체를 통해 매개되는 가장 잘 알려진 특이적 효과는 태아 뮐러관의 프로그램된 세포 사멸(세포자멸사)을 포함한다.[4]
항뮐러관 호르몬(AMH)은 140kDa의 몰 질량을 가진 단백질 이합체 당단백질이다.[15] 황화물 다리로 연결된 두 개의 동일한 서브유닛으로 구성되며, N-말단 이합체(프로영역)와 C-말단 이합체로 특징지어진다.[16] AMH는 TGF 베타 신호 전달 경로에서 I형 수용체를 인산화하는 자체 II형 수용체인 AMHR2에 결합한다.[16]
3. 기능
남성의 경우 어린 시절 내내 정자 세포의 세르톨리 세포에서 AMH가 높게 생산되지만, 사춘기 및 성인기에는 낮은 수준으로 감소한다. AMH는 성 호르몬의 생산을 조절하며,[23] AMH 수치의 변화는 양성 모두에서 사춘기 시작에 관여할 수 있다. 기능적 AMH 수용체는 배아 쥐의 뇌의 뉴런에서도 발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성적으로 이형성된 뇌 발달 및 그에 따른 성별 특이적 행동 발달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24]
북서 태평양의 ''Sebastes'' 락피쉬 집단에서 ''AMH'' 유전자(''AMHY''라고 함)의 중복된 복사본은 성 결정 유전자이다.[25] ''시험관 내''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적어도 한 종인 ''S. schlegelii''에서 ''AMHY''의 과발현은 암컷에서 수컷으로의 성 전환을 일으킨다.[25]
3. 1. 남성
수컷 포유류에서 항뮐러관 호르몬(AMH)은 뮐러관이 자궁 및 기타 뮐러관 구조로 발달하는 것을 막는다.[4] 이 효과는 동측성으로, 각 고환은 자체 측면에서만 뮐러관 발달을 억제한다.[17] 생식선에서 호르몬이 생성되지 않으면 Wnt4의 존재로 인해 뮐러관이 발달하는 반면, 수컷 생식 기관을 담당하는 볼프관은 COUP-TFII의 존재로 인해 소멸된다.[18] 혈액에서 측정 가능한 AMH의 양은 연령과 성별에 따라 다르다. AMH는 표적 조직 세포 표면의 특정 수용체(항뮐러관 호르몬 수용체)와 상호 작용하여 작용한다. AMH II형 수용체를 통해 매개되는 가장 잘 알려진 특이적 효과는 표적 조직(태아 뮐러관)의 프로그램된 세포 사멸(세포자멸사)을 포함한다.
3. 2. 여성
AMH는 전(前)난포자 및 난포 내 과립 세포에서 생성되며, 뇌하수체 FSH의 작용에 의해 지배적으로 선택될 크기와 분화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성장하는 난포에 대한 발현을 제한한다. 난소 AMH 발현은 인간 태아에서 임신 36주부터 관찰되었다.[19] AMH 발현은 난포 발생의 모집 단계, 전난포 및 소형 난포 내 난포에서 가장 크다. 이 발현은 난포가 발달하고 선택 단계에 들어가면서 감소하며, 이때 FSH 발현이 증가한다.[20] 일부 학자들은 이것이 다낭성 난소 증후군 및 조기 난소 부전과 같은 상태를 평가하는 데 유용한 난소 기능의 특정 측면을 측정하는 것이라고 제안한다.[21][22]
3. 3. 기타 기능
남성의 경우 어린 시절 내내 정자 세포의 세르톨리 세포에서 AMH가 높게 생산되지만, 사춘기 및 성인기에는 낮은 수준으로 감소한다. AMH는 성 호르몬의 생산을 조절하며,[23] AMH 수치의 변화(여성의 경우 증가, 남성의 경우 감소)는 양성 모두에서 사춘기 시작에 관여할 수 있다. 기능적 AMH 수용체는 배아 쥐의 뇌의 뉴런에서도 발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성적으로 이형성된 뇌 발달 및 그에 따른 성별 특이적 행동 발달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24] 북서 태평양의 ''Sebastes'' 락피쉬 집단에서 ''AMH'' 유전자(''AMHY''라고 함)의 중복된 복사본이 성 결정 유전자이다.[25] ''시험관 내''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적어도 한 종인 ''S. schlegelii''에서 ''AMHY''의 과발현은 암컷에서 수컷으로의 성 전환을 일으킨다.[25]
4. 임상적 의의
항뮐러관 호르몬(AMH)은 여러 임상 분야에서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AMH는 난소 예비력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 AMH는 전동굴 난포 및 동굴 난포 내 과립 세포에서 생성되며, 난포가 성장하여 FSH에 의해 지배적으로 선택될 크기와 분화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발현이 제한된다.[19] AMH 발현은 난포 발생의 모집 단계, 전동굴 및 소형 동굴 난포에서 가장 크며, 난포가 발달하고 선택 단계에 들어가면서 FSH 발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20] 개인의 AMH 수치를 평균과 비교하면 난소 예비력을 파악할 수 있어 생식 능력 평가에 도움이 된다.[29] AMH 수치는 외부 요인에 의해 변경될 수 없으므로, 장기적인 생식 능력이 좋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 난자 동결을 고려하거나 임신 시도를 앞당겨야 하는지 판단하는 데 유용하다.[34] 30~44세 여성의 경우, 높은 AMH 수치는 자연 임신 가능성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다.[31]
체외 수정 시 AMH는 난소 반응을 예측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AMH 측정은 임상적 결정을 지원하지만, 단독으로는 체외 수정 성공을 강력하게 예측하지 못한다.[35] NICE 지침에 따르면, AMH 수치가 0.8ng/mL 이하이면 체외 수정에서 낮은 반응을, 3.6ng/mL 이상이면 높은 반응을 예측한다.[37] AMH 수치가 높을수록 체외 수정 후 생존 출산 가능성이 높아지므로,[31][38] 배란 유도 계획을 합리화하고 난소 과자극 증후군 위험을 최소화하는 데 활용된다.[39][40] AMH는 난소 과자극에 대한 과도한 반응을 예측하는 데에도 유용하다.[41]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 환자의 경우 AMH 수치가 정상 여성보다 2~3배 높다.[49] 이는 PCOS의 특징인 난포 수 증가와 난포당 AMH 생성량 증가에 기인한다.[50] PCOS의 높은 안드로겐 수치는 AMH 생산 증가를 자극한다.[20] 따라서 AMH는 PCOS 진단 지표로 고려될 수 있다.
이외에도 남성의 지속성 뮐러관 증후군(PMDS), 성 발달 이상, 성기 모호성, 잠복고환이 있는 영아의 고환 기능 평가,[26] 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 및 화학 요법 후 난소 예비력 평가,[31] 난소의 과립막 세포 종양 진단,[31] 터너 증후군 환자의 조기 난소 부전 평가[51][52] 등 다양한 임상 분야에서 AMH 검사가 활용된다.
4. 1. 난소 예비력 평가
AMH는 전동굴 난포 및 동굴 난포 내 과립 세포에서 생성되며, 뇌하수체 FSH의 작용에 의해 지배적으로 선택될 크기와 분화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성장하는 난포에 대한 발현을 제한한다. 난소 AMH 발현은 인간 태아에서 임신 36주부터 관찰되었다.[19] AMH 발현은 난포 발생의 모집 단계, 전동굴 및 소형 동굴 난포에서 가장 크다. 이 발현은 난포가 발달하고 선택 단계에 들어가면서 감소하며, 이때 FSH 발현이 증가한다.[20] 일부 학자들은 이것이 다낭성 난소 증후군 및 조기 난소 부전과 같은 상태를 평가하는 데 유용한 난소 기능의 특정 측면을 측정하는 것이라고 제안한다.[21][22]개인의 AMH 수치를 평균 수치와 비교하는 것은 난소 예비력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므로, 일반적인 생식 능력 평가에 유용하다.[29] AMH 수치는 외부 요인에 의해 변경될 수 없기 때문에, 장기적인 생식 능력이 좋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 여성들이 난자 동결을 고려하거나 임신 시도를 앞당겨야 하는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34] 일반 여성에서 측정한 높은 항뮐러관 호르몬 수치는, 나이를 보정하더라도, 30~44세의 여성에서 자연 임신을 시도하는 경우 자연 생식 능력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31] 그러나 이 상관관계는 20~30세의 젊은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유사한 연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31]
4. 2. 체외 수정 (IVF)
항뮐러관 호르몬(AMH)은 체외 수정 시 난소 반응을 예측하는 지표이다. AMH 측정은 임상적 결정을 지원하지만, 단독으로는 체외 수정 성공을 강력하게 예측하지는 못한다. AMH 수치가 낮은 여성도 임신이 가능하다.[35] AMH 수치는 여성의 남은 난자 수를 추정하는 데에도 사용된다.[36]NICE 지침에 따르면, AMH 수치가 0.8ng/mL 이하인 경우 체외 수정에서 생식샘 자극 호르몬 자극에 대한 낮은 반응을 예측하며, 3.6ng/mL 이상인 경우 높은 반응을 예측한다.[37] 문헌에서 발견되는 다른 임계값은 난소 과자극에 대한 낮은 반응의 경우 0.1ng/mL에서 2.97ng/mL 사이에서 다양하다.[30] 결과적으로, AMH 수치가 높을수록 나이를 조절한 후에도 체외 수정 후 생존 출산의 기회가 더 높다.[31][38] 따라서 AMH는 배란 유도 계획을 합리화하고, 임신 성공률을 최대화하면서 난소 과자극 증후군(OHSS)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보조 생식 기술에서 이식할 배아의 수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데 사용될 수 있다.[39][40] AMH는 난소 과자극에 대한 과도한 반응을 각각 82%와 76%의 민감도와 특이도로 예측할 수 있다.[41]
AMH만 측정하는 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는데, 다낭성 난소 증후군과 같은 질환에서 높은 수치가 나타나기 때문에 AMH 수치는 산부인과 초음파 검사를 통해 난포 수[42] 및 난소 부피를 평가하는 것과 함께 고려해야 한다.[43]
4. 3. 다낭성 난소 증후군 (PCOS)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은 가임기 여성에게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내분비 장애로, 무배란, 고안드로겐혈증, 다낭성 난소(PCO)가 특징이다.[48] 이 내분비 장애는 PCOS를 앓는 여성의 항뮐러관 호르몬(AMH) 수치를 정상 여성보다 거의 2~3배 높게 증가시킨다. 이는 PCOS의 특징인 난포 수 증가와 관련이 있는데, 각 개별 난자를 둘러싸고 있는 과립 세포의 증가를 나타낸다.[49] 그러나 AMH 수치 증가는 난포 수 증가뿐만 아니라 난포당 AMH 생성량 증가에도 기인한다.[50] PCOS의 특징인 높은 안드로겐 수치는 AMH의 생산 증가를 자극하고 피드백을 제공한다.[20] 이와 같이, AMH는 PCOS를 진단하거나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도구 또는 바이오마커로 점점 더 고려되고 있다.Nature Medicine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자궁 내 호르몬 불균형과 다낭성 난소 증후군 (PCOS) 사이에 연관성이 있으며, 특히 항뮐러관 호르몬에 대한 태아기 노출과 관련이 있다.[27] 연구를 위해 연구자들은 임신한 쥐에게 AMH를 주사하여 호르몬 농도를 정상보다 높게 만들었다. 실제로, 그들은 나중에 PCOS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딸을 낳았다. 여기에는 임신 문제, 사춘기 지연, 불규칙한 배란 등이 포함되었다. 이를 되돌리기 위해 연구자들은 다낭성 쥐에게 세트로렐릭스라는 체외 수정 (IVF) 약물을 투여하여 증상을 사라지게 했다. 이러한 실험은 사람에게서 확인되어야 하지만, 다낭성 난소와 항뮐러관 호르몬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첫 번째 단계가 될 수 있다.
일부 학자들은 이것이 다낭성 난소 증후군 및 조기 난소 부전과 같은 상태를 평가하는 데 유용한 난소 기능의 특정 측면을 측정하는 것이라고 제안한다.[21][22]
4. 4. 기타 질환
남성의 경우, 배아 시기에 AMH 활성이 부족하면 지속성 뮐러관 증후군(PMDS)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흔적 자궁이 존재하고 고환은 대개 잠복고환 상태가 된다. AMH 유전자(''AMH'') 또는 그 수용체(''AMH-RII'')에 이상이 있는 경우가 많다. AMH 측정은 성 발달 이상, 성기 모호성, 잠복고환이 있는 영아의 고환 존재 및 기능을 평가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26]Nature Medicine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자궁 내 호르몬 불균형과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 사이에 연관성이 있으며, 특히 항뮐러관 호르몬에 대한 태아기 노출과 관련이 있다.[27] 연구자들은 임신한 쥐에게 AMH를 주사하여 호르몬 농도를 정상보다 높게 만들었다. 그 결과, PCOS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딸을 낳았는데, 여기에는 임신 문제, 사춘기 지연, 불규칙한 배란 등이 포함되었다. 이를 되돌리기 위해 연구자들은 다낭성 쥐에게 세트로렐릭스라는 체외 수정(IVF) 약물을 투여하여 증상을 사라지게 했다. 이러한 실험은 사람에게서 확인되어야 하지만, 다낭성 난소와 항뮐러관 호르몬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첫 번째 단계가 될 수 있다.
암 환자의 경우, 방사선 치료와 화학 요법은 난소 예비력을 손상시킬 수 있다. 치료 전 AMH 수치는 난자 동결 보존과 같은 생식력 보존 전략을 나타낼 수 있는, 장기적인 화학 요법 후 난소 기능 상실을 예측하는 데 유용하다.[31] 치료 후 AMH 수치는 생식력 감소와 관련이 있다.[28][31]
난소의 과립막 세포 종양은 AMH를 분비하며, AMH 검사는 이러한 종양을 진단하는 데 있어 76%에서 93% 사이의 민감도를 보인다.[31] AMH는 또한 과립막 세포 종양의 재발을 진단하는 데 유용하다.[31]
터너 증후군은 전 세계적으로 여성에게 가장 흔한 성염색체 관련 유전 질환으로, 여성 신생아 2,000명 중 1명꼴로 발생한다.[51] 주요 병리학적 특징 중 하나는 조기 난소 부전으로, 무월경이나 불임으로 이어진다. 난소의 상태를 추정하기 위해 전문가들은 난포 자극 호르몬과 인히빈 B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할 것을 권장했다. 최근에는 항뮐러관 호르몬이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난포 발달의 더욱 정확한 생체 지표로 권고되고 있다. 난소에서 항뮐러관 호르몬의 생물학적 기능은 FSH에 의해 유발된 원시 난포의 모집에 대응하여, 추가적인 모집과 배란을 위해 난포 풀을 유지하는 것이다. 폐경이 발생하면, 정상 여성의 혈청 내 항뮐러관 호르몬 농도는 거의 감지할 수 없을 정도가 된다. 따라서, 어린 시절의 AMH 수치 변화는 개인 간의 지속적인 난포 손실 속도가 비슷하다고 가정할 때, 주어진 소녀의 생식 수명의 기간을 이론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52]
5. 연구 동향
항뮐러관 호르몬(AMH)은 합성되었다. 뮐러관에서 유래된 조직의 성장을 억제하는 능력은 자궁내막증, 자궁선근증, 자궁 암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 치료에 유용할 것이라는 기대를 높였다. 여러 연구실에서 연구가 진행 중이다.
AMH 분석법이 더 표준화된다면, 다낭성 난소 증후군의 생체 지표로 잠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53]
생쥐 실험에서 AMH 증가는 성장 중인 난포 수를 줄여 전체 난소 크기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AMH 생성 증가는 원시 난포 수를 줄이지 않으면서 1차, 2차 및 전정 난포를 감소시켜 원시 난포 활성화 차단을 시사한다. 이는 화학 요법 중 난소 예비 능력을 보호하여, 신체에서 난자를 추출하지 않고도 나중에 자연 임신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실행 가능한 피임법을 제공할 수 있다.[54]
6. 다른 이름
요하네스 페터 뮐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뮐러관은[55] 형용사는 지배적인 스타일 가이드에 따라 ''Müllerian'' 또는 ''müllerian''으로 표기되며, 접두사 ''anti-''가 붙은 파생어는 ''anti-Müllerian'', ''anti-müllerian'', 또는 ''antimüllerian''으로 표기된다.[55]
항뮐러관 호르몬에 사용된 이름은 다음과 같다.
단백질 이름 스타일 | 단백질 기호 |
---|---|
항뮐러관 호르몬 | AMH |
뮐러관 억제 인자 | MIF |
뮐러관 억제 호르몬 | MIH |
뮐러관 억제 물질 | MIS |
뮐러관 억제 인자 | MDIF |
뮐러관 퇴행 인자 | MRF |
항중신관 호르몬 | APH |
참조
[1]
논문
Isolation of the bovine and human genes for Müllerian inhibiting substance and expression of the human gene in animal cells
1986-06
[2]
논문
Insensitivity to anti-müllerian hormone due to a mutation in the human anti-müllerian hormone receptor
1995-12
[3]
논문
Timing and irreversibility of Müllerian duct inhibition in the embryonic reproductive tract of the human male
1984-12
[4]
서적
The in vivo roles of müllerian-inhibiting substance
[5]
논문
AMH/MIS: what we know already about the gene, the protein and its regulation
2003-12
[6]
논문
Nuclear receptor steroidogenic factor 1 regulates the müllerian inhibiting substance gene: a link to the sex determination cascade
1994-06
[7]
논문
Wilms' tumor 1 and Dax-1 modulate the orphan nuclear receptor SF-1 in sex-specific gene expression
1998-05
[8]
논문
Transcription factor GATA-4 is expressed in a sexually dimorphic pattern during mouse gonadal development and is a potent activator of the Müllerian inhibiting substance promoter
1998-07
[9]
논문
Persistence of Müllerian derivatives in males
1999-12
[10]
논문
Anti-Müllerian hormone and polycystic ovary syndrome: a mountain too high?
2010-05
[11]
논문
Anti-Müllerian hormone and progesterone levels produced by granulosa cells are higher when derived from natural cycle IVF than from conventional gonadotropin-stimulated IVF
2015-03
[12]
논문
Anti-Müllerian hormone expression pattern in the human ovary: potential implications for initial and cyclic follicle recruitment
2004-02
[13]
논문
Relationship of serum antimüllerian hormone concentration to age at menopause
2008-06
[14]
논문
Regulation of anti-Müllerian hormone production in the cow: a multiscale study at endocrine, ovarian, follicular, and granulosa cell levels
2011-03
[15]
논문
Antimüllerian hormone (AMH) not only a marker for prediction of ovarian reserve
http://www.biomed.ca[...]
[16]
논문
Anti-Müllerian hormone: structure, properties and appliance
2016
[17]
서적
Medical Physiology: A Cellular and Molecular Approaoch
Elsevier/Saunders
[18]
서적
An Introduction to Behavioral Endocrinology
Sinauer
[19]
논문
Anti-Mullerian hormone (AMH) as a predictive marker i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2009-09-30
[20]
논문
Role of Anti-Müllerian Hormone in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a review
2015-12
[21]
논문
Anti-mullerian hormone predicts menopause: a long-term follow-up study in normoovulatory women
2011-08
[22]
논문
Anti-Müllerian hormone: a new marker for ovarian function
2006-01
[23]
논문
Steroidogenic activities in MA-10 Leydig cells are differentially altered by cAMP and Müllerian inhibiting substance
2004-10
[24]
논문
Müllerian inhibiting substance contributes to sex-linked biases in the brain and behavior
2009-04
[25]
논문
A duplicated ''amh'' is the master sex-determining gene for ''Sebastes'' rockfish in the Northwest Pacific
2021-07
[26]
논문
Surgical and genetic aspects of persistent müllerian duct syndrome
1994-01
[27]
논문
Elevated prenatal anti-Müllerian hormone reprograms the fetus and induces polycystic ovary syndrome in adulthood
2018-06
[28]
논문
The physiology and clinical utility of anti-Mullerian hormone in women
[29]
논문
A validated model of serum anti-müllerian hormone from conception to menopause
[30]
논문
Individualization of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in IVF using ovarian reserve markers: from theory to practice
[31]
논문
Anti-Müllerian hormone: ovarian reserve testing and its potential clinical implications
[32]
논문
Antimüllerian hormone (AMH) not only a marker for prediction of ovarian reserve
http://www.biomed.ca[...]
[33]
논문
The level of serum anti-Müllerian hormone correlates with vitamin D status in men and women but not in boys
2012-07
[34]
논문
Correlations between anti-müllerian hormone, inhibin B, and activin A in follicular fluid in IVF/ICSI patients for assessing the maturation and developmental potential of oocytes
2007-12
[35]
논문
Relevance of anti-Mullerian hormone measurement in a routine IVF program
2008-06
[36]
웹사이트
Does a Low AMH Level (Anti-Mullerian Hormone) Indicate Infertility?
http://www.fertilehe[...]
2015-02-06
[37]
간행물
Fertility: assessment and treatment for people with fertility problems
http://guidance.nice[...]
NICE guidelines
2013-02
[38]
논문
The predictive accuracy of anti-Müllerian hormone for live birth after assisted concep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literature
[39]
논문
Serum anti-Müllerian hormone and FSH: prediction of live birth and extremes of response in stimulated cycles--implications for individualization of therapy
2007-09
[40]
논문
Anti-Müllerian hormone-based approach to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for assisted conception
2009-04
[41]
논문
AMH and AFC as predictors of excessive response in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a meta-analysis
[42]
논문
Mullerian Inhibiting Substance is an ovarian growth factor of emerging clinical significance
2007-09
[43]
논문
Ovarian reserve and reproductive age may be determined from measurement of ovarian volume by transvaginal sonography
2004-07
[44]
논문
Dehydroepiandrosterone (DHEA) supplementation in diminished ovarian reserve (DOR)
2011-05
[45]
논문
Improvement in diminished ovarian reserve after dehydroepiandrosterone supplementation
2010-09
[46]
논문
Coenzyme Q10 restores oocyte mitochondrial function and fertility during reproductive aging
2015-10
[47]
논문
Measurement of serum anti-Müllerian hormone concentration in female dogs and cats before and after ovariohysterectomy
2011-05
[48]
논문
Controversy in clinical endocrinology: diagnosis of polycystic ovarian syndrome: the Rotterdam criteria are premature
2006-03
[49]
논문
Diagnostic criteria for PCOS: Is there a need for a rethink?
2016-11
[50]
논문
Anti-Mullerian Hormone: A Marker of Ovarian Reserve and its Association with Polycystic Ovarian Syndrome
2016-12
[51]
웹사이트
Clinical manifestations and diagnosis of Turner syndrome
https://www.uptodate[...]
Wolters Kluwer
2019-11-01
[52]
논문
Serum levels of anti-Müllerian hormone as a marker of ovarian function in 926 healthy females from birth to adulthood and in 172 Turner syndrome patients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Metabolism
2010-11
[53]
논문
Definition and significance of polycystic ovarian morphology: a task force report from the Androgen Excess and Polycystic Ovary Syndrome Society
[54]
논문
AMH/MIS as a contraceptive that protects the ovarian reserve during chemotherapy
2017-02
[55]
서적
Biology Today: An Issues Approach
Garland Science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