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양 산성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양 산성화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가 해수에 흡수되어 해수 pH가 낮아지는 현상이다. 이는 화석 연료 연소, 시멘트 생산 등 인류 활동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 증가가 주요 원인이며, 탄소 순환 과정에서 해양의 탄소 흡수원 역할과 관련이 깊다. 해양 산성화는 해양 생물의 석회화 과정을 방해하여 산호, 조개류 등 탄산칼슘 골격을 가진 생물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며, 해양 생태계와 수산업, 관광 산업 등 경제적 측면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과거 대멸종 시기에도 발생했으며, 현재 그 속도가 매우 빨라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해양 알칼리도 증강 등 다양한 완화 기술과 국제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해양 산성화 모니터링 및 관련 정책 마련 노력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구화학 - 기후변화 완화
    기후변화 완화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과 흡수원 증진을 통해 지구 온난화를 억제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 효율 향상, 농업 및 산업 정책, 탄소 흡수원 강화, 이산화탄소 제거 기술 개발 등 다양한 조치로 지구 온도 상승을 제한하는 노력이다.
  • 지구화학 - 미량 원소
    미량 원소는 지구과학에서 지각 내 극미량 원소를, 생물학에서 생명 활동에 필수적이나 함량이 적은 원소를 뜻하며, 두 분야의 정의는 다르나 극소량으로 존재하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공통점이 있고, 생물학적으로는 철보다 함량이 적은 원소를 지칭하며, 인체 필수 미량 원소 결핍 및 과다 섭취는 건강 문제를 야기하므로 적정량 섭취가 중요하다.
  • 인간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 환경 문제
    환경 문제는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생물물리학적 변화로, 지구 온난화, 환경 악화, 멸종, 생태 위기 등을 초래하며,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며, 오염자 부담 원칙, 사회적 책임, 톱다운 및 보텀업 방식의 환경 관리, 국제 협력 등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
  • 인간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 기후변화
    기후변화는 자연적 요인과 인간 활동으로 지구 기후 시스템이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현상으로, 산업 혁명 이후 온실 기체 농도 증가로 지구 평균 기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며 해수면 상승, 극한 기상 현상 증가 등 심각한 영향을 초래한다.
  • 바다 - 해외
    해외는 대한민국 이외의 지역을 의미하며, 각 국가 및 문화권에 따라 범위가 다르게 인식되고, 역사적으로 대륙 간 이동 수단 발달과 현대 비행기 발달로 해외여행이 보편화되었다.
  • 바다 - 수반구
    수반구는 남위 47도 13분, 동경 178도 28분을 중심으로 해양 면적이 넓고 태평양, 인도양, 남극해와 남극 대륙, 오세아니아, 아시아, 아메리카 일부를 포함하며 국제 해양 교통과 자원 개발의 중심지로서 국제 관계 및 대한민국의 경제와 안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해양 산성화
개요
정의해양의 pH 농도가 낮아지는 현상
원인이산화 탄소 증가
주요 영향해양 생태계 파괴, 탄산칼슘 껍데기 가진 생물 피해
pH 변화산업화 이전 대비 0.1 감소, 수소 이온 농도 30% 증가
이산화 탄소 농도산업화 이전 280 ppm에서 현재 420 ppm으로 증가
화학적 변화
반응식이산화 탄소 + 물 ⇌ 탄산 () ⇌ 탄산수소 이온 () + 수소 이온 ()
지역적 특징
북극북극해에서 산성화 진행 중, 해빙 감소와 관련
캐나다 북극 제도산성화 및 탄산염 시스템 변화 관측
영향
산호산호 백화 현상 및 생산성 감소
해양 생물해양 먹이 사슬에 영향
연구 결과
지구 온도배출량에 따른 온도 안정화 시나리오에서 산성화 연구
뷰포트 해20년간의 산성화 연구 (1997-2016)
관련 자료
IPCC 보고서IPCC 6차 보고서 12장 참조
지속가능발전목표지속가능발전목표 14번(해양 생태계 보전)과 관련
추가 정보
링크이산화 탄소 지구 웹페이지
참고Q28261134

2. 발생 원인 및 과정

이산화 탄소는 동식물의 호흡, 화석 연료 연소, 화산 분출, 산불 등으로 발생한다. 산업혁명 이후 인간 활동으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여 지구 평균 온도 상승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데,[197] 그 중 하나가 해양 산성화이다.



캡션 및 이미지 설명 참조
해양 산성화의 영향을 요약한 비디오. 출처: 미국 해양대기청(NOAA) 환경 시각화 연구소.


산업혁명 이후 화석연료 연소로 인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산업혁명 이전 약 280ppm으로 안정적이던 이산화탄소 농도는 2011년 390ppm을 넘어섰고,[187] 2016년에는 400ppm을 넘어서는 등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188]

해양 산성화는 칼데이라와 위켓(2003)이 처음 사용한 용어이다. 산업 혁명 이후 해양 표면의 pH는 0.1 이상 감소했다.[190]

2. 1. 탄소 순환과 해양의 역할



탄소 순환 개념도


탄소 순환은 해양, 지구의 육상 생물권, 지권,[17]대기 사이의 이산화탄소() 흐름을 설명한다. 탄소 순환에는 셀룰로스와 같은 유기 화합물과 이산화탄소, 탄산염 이온 및 중탄산염 이온과 같은 무기 탄소 화합물이 포함되며, 이들은 용존 무기 탄소(DIC)로 불린다. 이러한 무기 화합물은 지구 해양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용존 를 포함하기 때문에 해양 산성화에서 특히 중요하다.[18]

이산화 탄소는 동식물의 호흡, 화석 연료 연소, 화산 분출, 산불 등으로 발생한다. 산업혁명 이후 인간 활동으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여 지구 평균 온도 상승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데,[197] 그 중 하나가 해양 산성화이다. 우리 지역 탄소 순환 내 이산화탄소의 대기 농도는 대양과 지구 생물권 사이 흐름의 균형을 나타낸다. 토지 이용, 화석 연료 연소, 시멘트 생산과 같은 인간 활동은 대기로 CO2 방출을 유발한다. 이 중 일부는 대기에 남아 대기 농도 상승의 원인이 되고, 일부는 지구에 흡수되며, 나머지는 대양에 흡수된다.

가 물에 용해되면 용존 유리 이산화탄소(), 탄산(), 중탄산염(), 탄산염()의 이온 및 비이온 화학 종의 균형을 형성한다. 이 비율은 바닷물온도, 압력, 염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비에룸 도표 참조).[18] 용존 무기 탄소의 다양한 형태는 해양 용해도 펌프에 의해 해양 표면에서 내부로 이동된다. 대기 를 흡수하는 해양 지역의 저항성은 레벨 계수라고 한다.

현재(2021년)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약 415ppm으로, 산업화 이전 농도보다 약 50% 높다.[14] 이는 지난 5,500만 년 동안 지질 기록상 전례 없는 수준이다. 이 과잉 CO2는 인위적인 화석 연료, 산업, 토지 이용 변화 등 인간 활동이 원인으로 명확히 밝혀졌다. 에너지를 위한 화석 연료 연소 시 CO2가 부산물로 대기 중에 방출되며, 이는 지구 대기 중 CO2 증가의 주요 원인이다.[15] 해양은 인위적인 CO2의 탄소 흡수원 역할을 하여 총 인위적 CO2 배출량의 약 1/4을 흡수한다.[16] 그러나 해양에 추가된 CO2는 많은 해양 생물 껍질과 골격에 사용되는 탄산염 광물의 산성화, 낮은 pH 조건, 낮은 포화 상태를 유발하는 바닷물 산-염기 화학적 변화를 초래한다.[16]

1850년 이후 해양은 최대 175±35기가톤의 탄소를 흡수했으며, 이 중 2/3 이상(120기가톤)이 1960년 이후 흡수되었다. 해양 흡수원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인위적 배출량과 함께 증가해왔다. 1850년부터 2022년까지 해양은 총 인위적 배출량의 26%를 흡수했다.[14] 1850년부터 2021년까지 배출량은 670±65기가톤의 탄소에 달했으며, 대기(41%), 해양(26%), 육지(31%)로 분포되었다.[14]

2. 2. 해양 산성화의 화학적 과정



(이산화탄소)가 해수에 용해되면, 물과 반응하여 이온 및 비이온 화학 종, 즉 용존 유리 이산화탄소(), 탄산(H2CO3), 중탄산염(HCO3-), 탄산염(CO32-)의 평형을 이룬다.[18] 이러한 종의 비율은 해수의 온도, 압력, 염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비에룸 도표 참조).[18]

해수에

가 용해되면 해양의 수소 이온(H+) 농도가 증가하여 해양의 pH가 감소한다.[26]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26]

: + H2O ↔ H2CO3 ↔ HCO3- + H+ ↔ CO32- + 2H+

산업 혁명이 시작된 이후 해양 표면의 pH는 0.1 이상 감소했다.[190] 1751년부터 2004년 사이에 해양 표면 해수의 pH는 약 8.25에서 약 8.14로 낮아졌다.[190]

얕은 연안 및 대륙붕 지역에서는 공기-해양 간 교환 및 pH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이 상호 작용한다.[27][28] 여기에는 광합성과 호흡[29], 용승[30]과 같은 생물학적 과정이 포함된다. 또한, 연안 해역에 도달하는 담수원의 생태계 대사는 크지만 국지적인 pH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27]

200px


250px


250px

3. 해양 산성화의 영향

인류 활동으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면서 바다는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이 과정에서 바닷물에 녹은 이산화탄소는 해양의 화학적 성분을 변화시켜 pH를 낮추는 "해양 산성화" 현상을 일으킨다.[19][20] 이는 "지구 온난화의 사악한 쌍둥이" 또는 "또 다른 CO2 문제"라고 불리며,[21][22] 해양 온도 상승, 산소 손실과 함께 "치명적인 3중주"를 이루어 해양 환경에 심각한 압력을 가한다.[23]

해양 산성화는 특히 산호나 조개류처럼 탄산칼슘으로 골격이나 껍데기를 만드는 생물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198][199] 이들의 골격 형성을 어렵게 만들어 개체 수 감소를 유발하고, 이는 먹이 사슬을 통해 해양 생태계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해수의 광물 포화 상태(Ω)는 광물이 형성되거나 용해될 가능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탄산칼슘의 경우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Omega} = \frac{\left[\ce{Ca^2+}\right] \left[\ce{CO3^2-}\right]}{K_{sp}}

여기서 Ω는 탄산칼슘을 구성하는 이온(Ca2+ 및 CO32−) 농도의 곱을 평형 상태(Ksp)에서의 용해도 곱으로 나눈 값이다.[38] 해수에서는 온도, 압력, 깊이에 따라 용해 경계(포화 수평면)가 형성되는데,[34] 이 경계 위에서는 Ω > 1로 탄산칼슘이 안정적으로 존재하며 대부분의 석회화 생물이 서식한다.[34] 그러나 이 경계 아래에서는 Ω < 1로 탄산칼슘이 용해되며, 탄산염 보상 심도 아래 퇴적물에는 탄산칼슘이 존재하지 않는다.[39] 해양 산성화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높이고 pH를 낮춰 탄산 이온 농도와 탄산칼슘 포화 상태를 감소시키므로, 탄산칼슘의 용해를 증가시킨다.

탄산칼슘은 아라고나이트방해석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하는데, 아라고나이트가 방해석보다 용해도가 더 높다.[34] 따라서 아라고나이트로 골격을 만드는 생물이 해양 산성화에 더 취약하며,[40] 해양 산성화는 두 형태의 포화 수평면을 모두 해수면 가까이 상승시킨다.[34]

북아메리카 태평양 연안(밴쿠버~북캘리포니아)에서는 이미 방해석 포화도가 낮은 물이 솟아오르고 있으며,[42] 이는 해양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른 대륙붕 지역도 유사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42]

수심 수천 미터 심해에서는 압력 증가와 온도 감소로 탄산칼슘 껍데기가 용해되기 시작하는데, 이 깊이를 탄산염 보상 심도라고 한다.[43] 해양 산성화는 이러한 용해를 가속화하고 수십~수백 년에 걸쳐 탄산염 보상 심도를 얕게 만든다.[43] 북태평양과 북대서양에서는 해양 혼합으로 이산화탄소가 깊은 곳으로 이동하면서 해양 산성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탄산염 포화 깊이가 얕아지고 탄산칼슘 용해가 발생한다. 북태평양에서는 탄산염 포화 깊이가 연간 1m~2m씩 얕아지고 있다.[20]

낮아진 pH의 해수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녹아 없어지는 익족류 껍데기 (출처: NOAA)


2100년으로 예상되는 해양 화학에 맞춰 조정된 해수에서 녹아 없어진 익족류 껍데기 (출처: NOAA)


해양 산성화의 영향을 보여주는 건강하지 못한 익족류 (출처: NOAA)


해양 산성화는 코코리토포어, 산호, 유공충, 극피동물, 갑각류, 연체동물 등 다양한 석회화 생물에게 악영향을 미친다.[16][20][86][89] 이들은 껍질이나 골격 형성에 필요한 탄산 이온을 얻기 어려워져 석회화가 감소하거나 용해가 증가한다.[88]

북대서양에서 채취한 코코리토포어 종인 ''Coccolithus pelagicus''


익족류거미불가사리는 북극 먹이 그물의 기초를 이루는 생물로, 해양 산성화에 취약하다. 익족류 껍데기는 산성화로 인해 녹아내리고, 거미불가사리는 부속지 재생 능력이 떨어진다.[115] 특히 익족류는 껍데기 생성에 필요한 아라고나이트가 부족해져 심각한 영향을 받는다.[116]

해양 산성화는 석회화 외에도 유기체의 생리, 생식, 먹이 자원 등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34] 예를 들어, 해양 이산화탄소 수치 증가는 훔볼트오징어의 대사율을 낮추고[123] 홍합의 면역 반응을 억제하며,[124] 대서양대왕오징어 알의 부화 시간을 늘리고 평형석을 기형으로 만든다.[125] 또한, 해양 산성화는 바닷물의 음향적 특성을 변화시켜 소리가 더 멀리 퍼지게 하고 해양 소음을 증가시켜 반향정위나 의사소통에 소리를 사용하는 동물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127][128]

부영양화로 인한 유해 조류 번성 증가는 멸치 등 작은 유기체에 독소 축적을 유발하여 패류 중독 발생률을 높일 수 있다.[129]

해양 산성화는 어류 자치어의 후각에도 영향을 미쳐 초기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방해한다. 실험 결과, 흰동가리 자치어는 2100년 예상 이산화탄소 농도에 해당하는 pH 7.8 ± 0.05 환경에서 환경 신호에 대한 반응이 크게 달라졌다.[131]

해양 산성화와 해수 온도 상승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해양 생물과 환경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138] 해양 온난화와 높은 이산화탄소 농도로 인한 식물 플랑크톤 생산성 증가는 해양 탈산소화를 악화시키고, 해양 성층화를 증가시켜 영양분을 제한한다.[139][140]

3. 1. 해양 생물의 석회화 감소

바다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데, 이로 인해 바닷물의 pH가 낮아진다. pH가 낮아지면 바다에 사는 산호와 조개류 등이 탄산 칼슘으로 이루어진 골격을 만들기 어려워진다.[198] 특히 탄산 칼슘으로 골격을 가진 생물들에게 피해가 크다.[199]

해양 산성화는 "지구 온난화의 사악한 쌍둥이"이자 "또 다른 CO2 문제"라고 불린다.[21][22] 해양 온도 상승 및 산소 손실과 함께 해양 산성화는 해양 환경에 "치명적인 3중주"의 압력을 가한다.[23]

해양 화학 변화는 생물과 서식지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해양 산성화의 가장 중요한 결과 중 하나는 탄산칼슘() 껍데기 생성, 즉 석회화 과정과 관련이 있다.[34] 석회화는 코클리토포어, 유공충, 갑각류, 연체동물 등 많은 해양 생물의 구조 형성에 중요하다. 구조는 주변 해수에 포화 농도의 탄산 이온()이 없으면 용해될 수 있다.

해양에 추가되는 이산화탄소는 대부분 용존 이산화탄소로 남지 않고, 중탄산염과 자유 수소 이온으로 해리된다.[35] 수소 이온 증가량이 중탄산염 증가량보다 커서 다음 반응에 불균형이 발생한다.

:

화학적 평형을 위해 해양의 탄산 이온 일부가 수소 이온과 결합하여 중탄산염을 더 만든다. 이로 인해 해양 생물이 석회화에 필요한 탄산 이온이 줄어든다.

:

비에룸 도표는 용존 이산화탄소와 중탄산염 농도 증가, 탄산염 감소를 보여준다.

비에룸 도표: 해양 산성화로 인한 해수의 탄산염계 변화


해수의 광물 포화 상태(Ω)는 광물 형성/용해의 열역학적 잠재력을 나타내며, 탄산칼슘의 경우 다음 방정식으로 표현된다.

:\Omega = \frac{[\ce{Ca^2+}] [\ce{CO3^2-}]}{K_{sp}}

Ω는 광물 형성 반응 이온(Ca2+ 및 CO32−) 농도 곱을 평형 상태(Ksp)의 겉보기 용해도 곱으로 나눈 값이다.[38] Ω 값이 1보다 크면 쉽게 용해되지 않으며, 대부분의 석회화 생물은 이런 해수에서 서식한다.[34] Ω 값이 1보다 작으면 는 용해된다. 탄산염 보상 심도는 탄산염 용해와 공급이 균형을 이루는 깊이로, 이 깊이 아래 퇴적물에는 탄산칼슘이 없다.[39]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와 pH 저하는 농도와 포화 상태를 감소시켜 용해를 증가시킨다.

탄산칼슘은 아라고나이트방해석 두 가지 다형질로 존재한다. 아라고나이트는 방해석보다 용해도가 높아 아라고나이트 포화 수평면과 보상 심도는 항상 방해석보다 표면에 가깝다.[34] 즉, 아라고나이트 생성 생물이 해양 산성화에 더 취약할 수 있다.[40] 해양 산성화는 두 형태의 포화 수평면을 표면 가까이 상승시킨다.[34] 이러한 포화 상태 감소는 무기 침전이 포화 상태에 정비례하고, 석회화 생물이 포화 상태가 낮은 해수에서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에 해양 생물 석회화 감소의 주요 요인이다.[41]

현재 북아메리카 태평양 대륙붕(밴쿠버~북캘리포니아)에는 방해석 포화도가 낮은 물이 용승하고 있다.[42] 이 대륙붕은 해양 생태계에 중요하며, 다른 대륙붕도 유사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42]

수심 수천 미터 심해에서는 압력 증가와 온도 감소로 탄산칼슘 껍질이 용해되기 시작한다.[43] 이 깊이를 탄산염 보상 심도라고 하며, 해양 산성화는 이 용해를 증가시키고 수십~수백 년에 걸쳐 탄산염 보상 심도를 얕게 한다.[43] 침강류 지역이 가장 먼저 영향을 받는다.[44]

북태평양과 북대서양에서는 포화 상태가 감소하고 있으며(포화 깊이가 얕아짐),[20] 해양 혼합으로 이산화탄소가 깊은 곳으로 이동하면서 외양에서 해양 산성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로 인해 탄산염 보상 심도가 얕아져 탄산칼슘 용해가 발생한다. 북태평양에서는 탄산염 포화 깊이가 연간 1~2m씩 얕아지고 있다.[20]

미래에는 해양 산성화로 인해 탄산염 퇴적물 매몰량이 감소하고 기존 퇴적물이 용해될 수 있다.[45]

해양 산성화로 인한 석회화 변화의 생태적 결과는 복잡하지만, 많은 석회화 생물이 악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16][20] 해양 산성화는 껍질 형성 생물이 외골격 생성에 필수적인 탄산 이온 접근을 어렵게 한다.[88] 해양 석회화 생물은 독립 영양 생물부터 종속 영양 생물까지 다양하며, 코클리토포어, 산호, 유공충, 극피동물, 갑각류, 연체동물 등이 포함된다.[86][89]

지구상의 모든 해양 생태계는 산성화 등 여러 해양 생지화학적 변화에 노출될 것이다.[90] 해양 산성화는 일부 생물이 석회화를 유지하기 위해 생산적 결과에서 자원을 재분배하도록 할 수 있다.[91] 예를 들어, 굴 ''Magallana gigas''는 pH 불균형으로 인한 에너지 상쇄 작용으로 변화된 석회화 속도와 신진대사 변화를 겪는다.[92]

정상 조건에서 방해석과 아라고나이트는 탄산 이온 과포화로 표층수에서 안정적이다. 그러나 해양 pH 감소는 탄산 이온 농도를 감소시켜 탄산칼슘 구조가 석회화 스트레스와 용해에 취약해진다.[93] 특히 산호,[94][95] 코코리토포어,[89][27][96] 산호 조류,[97] 유공충,[98] 조개류, 익족류[99]는 이산화탄소() 노출 시 석회화 감소/용해 증가를 보인다. 해양 보호 활동에도 이전 조개류 개체군 복원은 어려울 수 있다.[100]

일부 연구는 코콜리토포어의 석회화와 광합성이 대기 중 이산화탄소 분압() 증가 시 증가하고,[101] 다른 연구는 1차 생산과 석회화가 감소하거나 종에 따라 반응이 다르다고 보고한다.[102][103]

불가사리 Pisaster ochraceus는 산성도가 증가한 해역에서 성장이 증가한다.[104]

해양 산성화로 인한 석회화 감소는 탄소 격리에 영향을 미쳐 생물 펌프를 약화시킬 수 있다.[82] 해수 산성화는 남극 식물성 플랑크톤 크기를 줄여 탄소 저장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105]

코콜리토포어(Coccolithophore)는 단세포 진핵생물인 식물플랑크톤(조류)이다. 코콜리토포어 감소는 지구 온난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106] 2008년 연구에 따르면, 북대서양 코콜리토포리드 종 구성은 변하지 않았지만, 1780~2004년 동안 평균 코콜리스 질량은 40% 증가했다.[101]

온난수 산호는 해양 온난화, 해양 산성화, 오염, 어업 피해 등 위협으로 지난 30~50년간 50% 이상 감소했으며, 압력은 더 심화될 것이다.[107][20]

산호 외골격 성장 시 내부 구획(강장) 유체가 중요하다. 외부 해수 아라고나이트 포화 상태가 주변 수준이면 산호는 내부에서 빠르게 성장한다. 포화 상태가 낮으면 내부 균형 유지를 위해 노력해야 하므로 성장 속도가 느려진다. 주변 해수 포화 상태에 따라 성장이 멈출 수도 있다.[108] 현재 탄소 배출 추세라면 2050~60년까지 북대서양 한랭수 산호 70%가 부식성 해수에 서식할 것이다.[109]

산성화는 외골격 신장보다 밀도 형성에 영향을 준다. 일부 산호 종 밀도는 이번 세기 말까지 20% 이상 감소할 수 있다.[110]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실험에서 해수 이산화탄소() 수준을 산업화 이전 수준에 가깝게 만들자 순 석회화가 7% 증가했다.[111] 2050년 이후 예상 수준으로 높이는 실험에서는 순 석회화가 34% 감소했다.[112]

2007~2012년 퀸즐랜드와 서호주 산호초 연구에 따르면, 산호는 내부 항상성 조절로 환경 pH 변화에 저항력이 있다. 산호초 취약성 주요 요인은 산호 백화 현상을 유발하는 열 변화(해양 열파)이다.[131]

익족류거미불가사리는 북극 먹이 그물 기초를 형성하며, 산성화로 피해를 입는다. 익족류 껍데기는 산성화 증가로 녹고, 거미불가사리는 부속지 재생 시 근육량이 준다.[115] 익족류는 아라고나이트 생성을 위해 탄산염 과포화 물이 필요하며, 산성화로 인해 심각한 영향을 받는다.[116] 북극 해역 유기물 분해는 해양 산성화를 증폭시켜 일부 해역은 아라고나이트에 과포화되지 않았다.[117][118][119]

거미불가사리 알은 북극 산성화 예상 조건에서 며칠 내 죽는다.[120] pH 0.2~0.4 감소 환경에 노출된 온대성 거미불가사리(흔한 불가사리 친척) 유생은 8일 이상 생존율이 0.1% 미만이다.[86]

많은 해양 생물의 먹이이며, 생물 펌프에 관여하는 크릴은 pH 7.7보다 산성화되면 알 부화율이 급감한다.[196]

3. 2. 생리적 영향 및 서식지 변화

해양 산성화는 어류, 해조류 등 다양한 해양 생물에게 생리적 변화와 서식지 변화를 일으킨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면 바닷물에 녹는 이산화탄소 양도 증가하여 바닷물의 pH가 낮아진다. 이는 해양 생물, 특히 탄산칼슘 골격을 가진 산호나 조개류 등에 큰 피해를 준다.[199] 해양 산성화는 "지구 온난화의 사악한 쌍둥이"이자 "또 다른 CO2 문제"라고 불리며,[21][22] 해양 온도 상승 및 산소 손실과 함께 해양 환경에 "치명적인 3중주"의 압력을 가한다.[23]

해수의 광물 포화 상태(Ω)는 광물 형성 또는 용해의 열역학적 잠재력을 나타내는 값으로, 탄산칼슘의 경우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Omega} = \frac{\left[\ce{Ca^2+}\right] \left[\ce{CO3^2-}\right]}{K_{sp}}

여기서 Ω는 광물 형성 반응 이온(Ca2+ 및 CO32−) 농도의 곱을 평형 상태(Ksp)에서의 겉보기 용해도 곱으로 나눈 값이다.[38] 해수에서는 온도, 압력, 깊이에 따라 용해 경계(포화 수평면)가 형성되며,[34] 이 위에서는 Ω > 1로 탄산칼슘(CaCO3)이 쉽게 용해되지 않아 대부분의 석회화 생물이 서식한다.[34] 이 깊이 아래에서는 Ω < 1로 탄산칼슘이 용해되며, 탄산염 보상 심도 아래 퇴적물에는 탄산칼슘이 없다.[39]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와 pH 저하는 탄산 이온(CO32−) 농도와 탄산칼슘 포화 상태를 감소시켜 탄산칼슘 용해를 증가시킨다.

탄산칼슘은 아라고나이트방해석의 두 가지 결정 형태로 존재하는데, 아라고나이트가 더 용해도가 높아 아라고나이트 포화 수평면과 보상 심도가 방해석보다 표면에 가깝다.[34] 따라서 아라고나이트 생성 생물이 해양 산성화에 더 취약하며,[40] 해양 산성화는 두 형태의 포화 수평면을 모두 표면으로 상승시킨다.[34] 이러한 포화 상태 감소는 탄산칼슘의 무기 침전이 포화 상태에 정비례하기 때문에 해양 생물의 석회화 감소를 유발한다.[41]

북아메리카 태평양 대륙붕 지역(밴쿠버~북캘리포니아)에서는 이미 방해석 포화도가 낮은 물이 용승하고 있으며,[42] 이는 해양 생태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42] 다른 대륙붕 지역도 유사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42]

수심 수천 미터 심해에서는 압력 증가와 온도 감소로 탄산칼슘 껍질이 용해되며, 이 깊이를 탄산염 보상 심도라고 한다.[43] 해양 산성화는 이 용해를 증가시키고 수십~수백 년에 걸쳐 탄산염 보상 심도를 얕게 한다.[43] 북태평양과 북대서양에서는 포화 상태가 감소하고 있으며,[20] 해양 혼합으로 CO2가 깊은 곳으로 이동하면서 외양에서 산성화가 진행되어 탄산염 보상 심도가 얕아지고 탄산칼슘 용해가 발생한다. 북태평양에서는 탄산염 포화 깊이가 연간 1m~2m씩 얕아지고 있다.[20] 미래에는 해양 산성화로 인해 탄산염 퇴적물 매몰량이 감소하고 기존 퇴적물이 용해될 수 있다.[45]

해양 산성화로 인한 석회화 변화의 모든 생태적 결과는 복잡하지만, 코코리토포어, 산호, 유공충, 극피동물, 갑각류, 연체동물 등 많은 석회화 생물이 해양 산성화의 악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16][20][86][89] 해양 산성화는 껍질 형성 생물이 탄산 이온에 접근하기 어렵게 만들어 외골격 껍질 생성을 방해한다.[88]

정상 조건에서 방해석과 아라고나이트는 탄산 이온 과포화로 표층수에서 안정적이지만, 해양 pH가 떨어지면 탄산 이온 농도가 감소하여 탄산칼슘 구조는 석회화 스트레스와 용해에 취약해진다.[93] 특히 산호,[94][95] 코코리토포어,[89][27][96] 산호 조류,[97] 유공충,[98] 조개류, 익족류[99]는 이산화탄소 농도 상승에 노출될 때 석회화 감소나 용해 증가를 겪는다. 적극적인 해양 보호에도 불구하고 이전의 조개류 개체군을 되살리기 어려울 수 있다.[100]

일부 연구에서는 코코리토포어의 석회화와 광합성이 모두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했을 때 증가하고,[101] 다른 연구에서는 1차 생산과 석회화가 동일하게 감소하거나,[102] 종에 따라 반응이 다르다는 결과가 나왔다.[103] 불가사리 Pisaster ochraceus는 산성도가 증가한 해역에서 성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04]

해양 산성화로 인한 석회화 감소는 생물학적 탄소 격리에 영향을 미쳐 생물 펌프를 약화시킬 수 있다.[82] 해수 산성화는 남극 식물성 플랑크톤의 크기를 줄여 탄소 저장 효율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105]

익족류거미불가사리는 북극 먹이 그물의 기초를 형성하며 산성화로 큰 피해를 입는다. 익족류 껍데기는 산성화 증가로 녹고, 거미불가사리는 부속지 재생 시 근육량이 줄어든다.[115] 익족류는 껍데기 생성에 필요한 아라고나이트가 탄산염 과포화 물의 감소로 인해 부족해져 심각한 영향을 받는다.[116] 북극 해역에서는 유기물 분해가 해양 산성화를 증폭시켜 일부 해역은 이미 아라고나이트에 대해 과포화되지 않았다.[117][118][119]

거미불가사리 알은 북극 산성화 예상 조건에 노출되면 며칠 내에 죽는다.[120] 온대성 거미불가사리 유생은 pH가 0.2~0.4 감소한 환경에서 8일 이상 생존율이 0.1% 미만이었다.[86]

석회화 감소 외에도 유기체는 먹이 자원, 생식, 생리적 영향 등으로 간접적 또는 직접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34] 해양 이산화탄소 수치 증가는 체액의 이산화탄소 유발 산성화(고탄산혈증)를 초래할 수 있다.[122] 산성도 증가는 훔볼트오징어의 대사율을 낮추고[123] 홍합의 면역 반응을 억제한다.[124] 산성화된 물에서 대서양대왕오징어 알 부화 시간이 길어졌고, pH가 낮은 바닷물에 넣은 오징어 평형석은 더 작고 기형이었다.[125]

해양 산성화는 바닷물의 음향적 특성을 변화시켜 소리가 더 멀리 전파되고 해양 소음이 증가할 수 있다.[127] 이는 반향정위나 의사소통에 소리를 사용하는 동물에 영향을 미친다.[128]

부영양화로 인한 유해 조류 번성 증가는 멸치 등 작은 유기체에 독소(도모익산, 브레베톡신, 삭시톡신) 축적을 유발하여 잊음증 패류 중독, 신경 독성 패류 중독, 마비성 패류 중독 발생률을 높일 수 있다.[129] 조류 번성은 해롭지만, 잘피와 같은 유익한 광합성 유기체는 이산화탄소 증가로 이익을 얻을 수 있다.[130] 잘피의 광합성 활동 증가는 석회화 조류의 석회화 속도를 증가시키는데, 이는 국지적 광합성 활동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pH를 높이기 때문이다.[130]

해양 산성화는 해양 어류 자치어의 후각계에 영향을 미쳐 초기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방해한다. 흰동가리 자치어는 후각을 이용해 식물이 있는 섬과 없는 섬을 구별하고,[131] 성장에 적합한 지역을 찾거나 근친교배를 피한다.[131]

실험 결과, 흰동가리 자치어는 pH 7.8 ± 0.05(2100년 예상 이산화탄소 농도 1,000ppm에 해당)에 노출되었을 때 환경 신호에 대한 반응이 현재 해양 pH(8.15 ± 0.07)에서의 반응과 크게 달랐다.[131] pH 7.6 ± 0.05에서는 자치어가 어떤 신호에도 반응하지 않았다. 그러나 2022년 메타 분석 결과, 해양 산성화가 어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발표된 연구의 효과 크기가 지난 10년간 10배 감소했고, 지난 5년간은 무시할 만한 수준이었다.[132]

유럽 뱀장어는 양식에서 중요하지만[133] "멸종 위기에 처한"[133] 종으로, 배아 단계에서 해양 산성화의 영향을 받는다. 유럽 뱀장어는 산란을 위해 사르가소해로 이동하여 죽는데, 이곳에서 배아는 pH 변화에 민감하다.[134] 2021년 연구에 따르면, 21세기 말 예상 해양 이산화탄소 농도 조건에 노출되면 유럽 뱀장어 배아의 정상적인 발달이 저해되고, 극심한 산성화는 부화장 조건에서 배아 생존율과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35]



해양 산성화와 해수 온도 상승은 해양 생물과 환경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치며, 각 유해한 영향의 합보다 훨씬 크다.[138] 해양 온난화와 높은 이산화탄소 농도로 인한 식물 플랑크톤 생산성 증가는 해양 탈산소화를 악화시켜 해양 생물에 추가적인 스트레스를 주고, 해양 성층화를 증가시켜 영양분을 제한하고 생물학적 기울기를 감소시킨다.[139][140]

메타 분석은 해양 산성화, 온난화, 탈산소화의 결합된 유해한 영향의 방향과 크기를 정량화했으며,[141][142] 중규모 실험(메소코즘) 연구를 통해 해양 먹이 사슬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 스트레스는 높은 이산화탄소 농도로 인한 생산성 증가에 따른 1차 생산자에서 초식 동물로의 증가를 무효화한다.[143][144]

해양 산성화로 인해 중탄산 이온(HCO₃⁻)과 탄산 이온(CO₃²⁻) 농도가 감소한다. 탄산 이온은 조개껍데기와 산호 골격 등의 구성 요소이므로, 탄산 이온 감소는 산호, 조개류, 성게, 규조류 등 탄산칼슘 구조를 만드는 생물에게 영향을 주어[191] 해양 생물 다양성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187]

산호나 조개류 등 석회화 생물은 탄산칼슘 생성이 어려워져 성장이 저해된다.[194][195] 크릴은 pH 7.7보다 산성화되면 알 부화율이 급격히 감소한다.[196]

3. 3. 한국 연안의 해양 산성화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국 연안의 해양 산성화'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4. 해양 산성화의 역사 및 예측

현재의 해양 산성화는 과거 지구 역사에서 발생했던 해양 산성화와 비교했을 때 그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과거의 해양 산성화는 생물들이 점진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시간을 주었지만, 현재의 빠른 변화는 생물들의 적응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83][12] 또한 해양 산성화를 완화하기 위한 기후 순환 피드백이 작동하는 것을 막고 있다.

현재 해양은 지난 3억 년 동안 가장 낮은 pH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며,[81][82] 해양 산성화 속도(pH 값 변화 속도) 또한 같은 기간 동안 전례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83][12] 이러한 변화는 해양 생태계의 기능을 약화시키고, 2100년 초부터 해양과 관련된 많은 재화와 서비스 제공을 방해할 수 있다.[86]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및 해양 산성화 연구에 사용되는 정박형 자율 이산화탄소 부표(NOAA PMEL))


해양 화학 변화의 범위는 각 국가와 정부의 기후변화 완화 노력에 따라 달라진다.[50] 공유 사회경제 경로(SSP)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모델링한 결과, 매우 높은 배출 시나리오(SSP5-8.5)에서는 19세기 말과 비교하여 이번 세기 말까지 표층 해양 pH가 최대 0.44 단위 감소할 수 있다고 예측된다.[87] 이는 약 7.7 정도의 낮은 pH를 의미하며, 현재까지의 증가를 넘어 수소 이온(H+) 농도가 2~4배 더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다양한 배출 시나리오에 대한 과거 및 미래 전 지구 평균 표면 pH 추정값[50]
기간해양 표면
pH 값 (약)
산업화 이전(1850년)8.17
현재(2021년)8.08
미래(2100년) 저배출 시나리오(SSP 1–2.6)8.0
미래(2100년) 매우 높은 배출 시나리오(SSP 5–8.5)7.7



해양 산성화 문제에 대한 인식과 기초 연구는 수십 년 전부터 시작되었다. 1909년 덴마크 화학자 쇠렌 페테르 라우리츠 쇠렌센이 pH를 개발하였고,[177] 1950년대에는 해양이 화석 연료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전문가들에게 알려졌다.[178] 1970년대 초에는 해양에 축적되는 화석 연료 이산화탄소의 장기적인 영향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1990년대 중반에는 산호초 과학자들이 이산화탄소 증가로 인한 pH 변화와 탄산 이온 변화에 대해 우려하기 시작했다.[178]

2000년대 이후 해양 산성화 연구는 더욱 활발해졌다. 2004년에는 "고농도 이산화탄소 환경에서의 해양에 관한 첫 번째 심포지엄"이 개최되었고,[178] 2009년 국제학술원위원회(InterAcademy Panel)는 세계 지도자들에게 해양 산성화 완화를 위한 노력을 촉구했다.[179][180] 2012년에는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이 표층수 변화 속도가 예상보다 빠르다는 발표를 했으며,[181] 2013년 연구에서는 산도가 지구 역사상 어떤 진화 위기 때보다 10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82] 2015년에는 해양 과학자들이 화석 연료 연소로 인한 이산화탄소가 해양의 화학적 성분을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다는 종합 보고서를 발표했다.[159]

4. 1. 과거의 해양 산성화

지구 역사상 이전에도 해양 산성화는 여러 차례 발생했다.[12] 카피타니안 대멸종[63][64][65],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멸종[66][67][68], 트라이아스기-쥐라기 대멸종[69][70][71], 백악기-팔레오세 대멸종[82] 등이 이에 해당한다.

과거 5대 대멸종 사건 중 3건은 화산 활동이나 해양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열 분해로 인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가 급격히 증가한 것과 관련이 있다.[72] 이산화탄소 증가는 생물 다양성에 영향을 미쳤다.[73] 특히 트라이아스기 말기 해양 대멸종은 화산 기원 이산화탄소가 해수에 흡수되어 탄산칼슘(CaCO3) 포화도가 감소하면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74] 이는 탄산염 보상 심도와 탄산염 포화 상태를 감소시켜 해양 생물의 멸종을 초래했다.[71][70][75] 특히 두꺼운 아라고나이트 골격을 가진 유기체가 멸종에 취약했다는 점은 해양 산성화가 주요 원인이었음을 뒷받침한다.[71][76][77] 해양 산성화는 페름기 말기 대멸종[67][66]과 백악기 말기 위기[82]의 원인 중 하나로도 제시된다.

과거 해양 산성화 사례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약 5600만 년 전 팔레오세-에오세 최고온 시기(PETM)이다. 이 시기에는 막대한 양의 탄소가 해양과 대기로 유입되면서 많은 해양 분지에서 탄산염 퇴적물이 용해되었다.[73] 당시 pH는 0.3단위 감소했다.[79][80]

4. 2. 현재의 해양 산성화 속도 및 미래 예측

1950년부터 2020년까지 해양 표면의 평균 pH 값은 약 8.15에서 8.05로 감소했다.[3] 이는 세계 해양의 수소 이온 농도가 약 26% 증가했음을 의미한다(pH 척도는 로그 척도이므로 pH 단위가 1만큼 변하면 수소 이온 농도는 10배 변화한다).[48] 예를 들어, 1995년부터 2010년까지 15년 동안 하와이에서 알래스카까지 태평양 상부 100미터의 산성도는 6% 증가했다.[49]

다양한 해양의 여러 지역에서 pH 변화를 보여주는 세계 지도
170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인간 활동이 이산화탄소(CO2) 수준에 미친 영향으로 인한 해수 pH 변화 추정치(Global Ocean Data Analysis Project(GLODAP) 및 World Ocean Atlas 자료)


2021년 발표된 IPCC 제6차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해수면 pH 값은 최소 2만 6천 년 동안 전례 없는 수준이며, 현재 pH 변화율 또한 최소 그 시점 이후로 전례 없는 수준"이다.[50] 해양 내부의 pH 값은 지난 20~30년 동안 전 세계 해양 어디에서나 감소했다.[50] 이 보고서는 또한 "1980년대 후반 이후로 외양 표층수의 pH는 10년에 약 0.017~0.027 pH 단위 감소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51]

pH 감소율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 이는 서로 다른 유형의 강제 메커니즘 간의 복잡한 상호 작용 때문이다.[51] 열대 태평양의 중앙 및 동부 용승대는 10년에 -0.022~-0.026 pH 단위의 더 빠른 pH 감소를 보였는데, 이는 "인위적인 이산화탄소 흡수 외에도 이산화탄소가 풍부한 해저수의 용승 증가" 때문으로 생각된다.[51] 일부 지역에서는 산성화 속도가 느렸는데, 서태평양 열대 수역에서는 10년에 -0.010~-0.013 pH 단위의 pH 감소가 관찰되었다.[51]

해양 산성화 속도는 해수면 온난화 속도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뜻한 물은 이산화탄소를 그다지 흡수하지 않기 때문이다.[52] 따라서 해수 온난화가 더 심할 경우 이산화탄소 흡수가 제한되어 이산화탄소 증가량에 대한 pH 변화가 더 작아질 수 있다.[52] 해분 간의 온도 변화 차이는 서로 다른 지역의 산성화율 차이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현재 해양 산성화 속도는 (약 5600만 년 전) 팔레오세-에오세 경계의 온실 효과와 비슷하다. 당시 해수면 온도는 섭씨 5~6도 상승했다. 그 사건에서 표면 생태계는 다양한 영향을 받았지만, 심해의 저서 생물은 주요 멸종을 경험했다.[53] 현재 대기-해양 시스템에 대한 탄소 추가 속도는 팔레오세-에오세 경계에서 발생한 속도의 약 10배이다.[54]

서로 다른 해양 지역에서 증가하는 산성도의 비율
지역10년당 pH 단위 변화기간데이터 출처발행 연도
아이슬란드[55]-0.0241984–2009직접 측정2009
드레이크 해협[56]-0.0182002–2012직접 측정2012
카나리아(ESTOC)[57]-0.0171995–2004직접 측정2010
하와이(HOT)[58]-0.0191989–2007직접 측정2009
버뮤다(BATS)[59]-0.0171984–2012직접 측정2012
산호해[60]-0.002~1700 – ~1990대리 지표 재구성2005
동지중해[61]-0.0231964–2005대리 지표 재구성2016



세계 여러 지역의 pH 변화율[62]
관측소, 지역연구 기간10년당 pH 변화
적도 태평양TAO2004–2011−0.026
인도양IO-STPS1991–2011−0.027
지중해Dyfamed (43.42°N, 7.87°E)1995–2011−0.03
북대서양아이슬란드 해 (68°N, 12.67°W)1985–2008
1985–2010
−0.024
−0.014
북대서양이르밍거 해 (64.3°N, 28°W)1983–2004−0.026
북태평양NP-STSS1991–2011−0.01
남극해PAL-LTER, 서남극 반도1993–2012+0.02



해양 산성화의 변화 속도는 지질학적 과거보다 훨씬 빠르다. 이처럼 빠른 변화는 생물이 점진적으로 적응하는 것을 방지하고, 해양 산성화를 완화하기 위한 기후 순환 피드백이 작동하는 것을 막는다. 해양 산성화는 지난 3억 년 동안 어느 때보다 낮은 pH 수준에 도달하는 경로에 있으며,[81][82] 해양 산성화 속도(pH 값 변화 속도)도 같은 기간 동안 전례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83][12] 이러한 예상되는 변화는 지질 기록에서 전례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84][85][156] 다른 해양 생지화학 변화와 결합하여 이러한 pH 값의 감소는 해양 생태계의 기능을 약화시키고, 2100년 초부터 시작하여 해양과 관련된 많은 재화와 서비스의 제공을 방해할 수 있다.[86]

해양 pH를 포함한 해양 화학 변화의 범위는 국가 및 정부가 취하는 기후변화 완화 노력에 달려 있다.[50] 투영된 사회경제적 세계적 변화의 다양한 시나리오는 공유 사회경제 경로(SSP)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모델링된다.

매우 높은 배출 시나리오(SSP5-8.5) 하에서 모델 예측은 19세기 말과 비교하여 이번 세기 말까지 표층 해양 pH가 최대 0.44 단위 감소할 수 있다고 추정한다.[87] 이는 약 7.7 정도의 낮은 pH를 의미하며, 현재까지의 증가를 넘어 H+ 농도가 2~4배 더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다양한 배출 시나리오에 대한 추정 과거 및 미래 전 지구 평균 표면 pH[50]
기간해양 표면
pH 값 (약)
산업화 이전(1850년)8.17
현재(2021년)8.08
미래(2100년) 저배출 시나리오(SSP 1–2.6)8.0
미래(2100년) 매우 높은 배출 시나리오(SSP 5–8.5)7.7


5. 해양 산성화 대응 및 정책

해양 산성화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는 유일한 방법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이다. 기후변화 완화 조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를 목표로 한다. 예를 들어, 직접 공기 포집(DAC), 바이오에너지와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BECCS)과 같이 대기 중에서 이산화탄소 제거(CDR)에 중점을 두는 조치들은 해양 산성화 속도를 늦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56]

해양 영양염 비료화, 인공 용승류/침강류, 해조류 양식, 생태계 복원, 해양 알칼리도 증강, 강화 풍화 및 전기화학적 공정과 같은 방법들은 해양을 이용하여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고 해양에 저장하여 완화에 기여할 수 있지만, 해양 생물에 부작용을 미칠 수 있다.[153] 2019년 이후 모든 CDR 방법에 대한 연구 분야가 크게 성장했다.[156] "해양 기반 방법은 연간 1~100기가톤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비용은 톤당 40~500달러 수준으로 평가된다.[154] 강화 풍화는 연간 2~4기가톤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 기술의 비용은 톤당 50~200달러 수준이다.[154]

해양 산성화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관련 정책들이 강화되고 있다. 2015년에 해양 과학자 장-피에르 가투소(Jean-Pierre Gattuso)는 "이전의 기후 협상에서 해양은 최소한으로 고려되었다. 우리의 연구는 기후변화에 관한 유엔 회의(파리)에서 근본적인 변화를 위한 설득력 있는 주장을 제시한다"고 말했다.[159]

5. 1. 국제 협력 및 정책

해양 산성화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해양 산성화 모니터링 노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들이 마련되었다.[158] 2015년에 해양 과학자 장-피에르 가투소(Jean-Pierre Gattuso)는 "이전의 기후 협상에서 해양은 최소한으로 고려되었다. 우리의 연구는 기후변화에 관한 유엔 회의(파리)에서 근본적인 변화를 위한 설득력 있는 주장을 제시한다"고 말했다.[159]

카르타헤나 협약(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and Development of the Marine Environment of the Wider Caribbean Region)(카리브해 광역 해양 환경 보호 및 개발 협약)(1986년 발효)[160]과 같은 국제적 노력은 해양 산성화에 대응하여 지역 정부가 취약한 지역에 제공하는 지원을 강화할 수 있다.[161] 태평양 도서 지역의 많은 국가들은 SDG 14 달성을 위해 지역 정책 또는 국가 해양 정책, 국가 행동 계획, 국가 적응 계획, 기후변화 및 재해 위험 감소에 관한 공동 국가 행동 계획을 수립했으며, 해양 산성화는 이러한 틀 내에서 고려되기 시작하고 있다.[162]

유엔 해양과학 지속가능발전 10년에는 "지속가능성을 위한 해양 산성화 연구"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이 프로그램은 세계 해양 산성화 관측 네트워크(GOA-ON) 및 파트너들이 제안했으며, 유엔 해양과학 지속가능발전 10년 프로그램으로 공식 승인되었다.[163][164] OARS 프로그램은 GOA-ON의 연구를 기반으로 하며, 해양 산성화 과학 발전, 해양 화학 변화 관측 증가, 지역 및 전 세계 규모의 해양 생태계 영향 파악, 해양 산성화를 완화하고 적응하는 데 필요한 정보 제공을 목표로 한다.

해양 산성화의 중요성은 7가지 지구 기후 지표 중 하나로 포함된 것에서 알 수 있다.[165] 이 지표들은 기후 변화를 단순히 온도 상승으로만 축소하지 않고 변화하는 기후를 설명하는 일련의 매개변수이다. 이 지표들은 기후 변화와 가장 관련된 영역인 온도와 에너지, 대기 구성, 해양과 물, 그리고 빙권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지구 기후 지표는 지구 기후 관측 시스템(GCOS)이 주도하는 과정에서 과학자와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들에 의해 선정되었으며,[166] 세계기상기구(WMO)에서 승인하였다. 이 지표들은 매년 발표되는 WMO 세계 기후 현황 보고서의 기초를 형성하며, 이 보고서는 당사국 회의(COP)인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에 제출된다. 또한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의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 서비스(C3S)는 연례 "유럽 기후 현황"에 이 지표들을 사용한다.

2015년, 유엔은 2030 지속가능발전 의제와 17가지 지속가능발전목표(SDG)를 채택했는데, 여기에는 해양에 전념하는 목표인 지속가능발전목표 14[167]가 포함되어 있으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해양, 바다 및 해양 자원의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을 촉구하고 있다. 해양 산성화는 목표 SDG 14.3에서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다. 목표 14.3의 전체 제목은 "모든 수준에서 강화된 과학적 협력을 통해 해양 산성화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해결한다."[168]이며, 이 목표에는 하나의 지표, 즉 "합의된 일련의 대표적인 샘플링 스테이션에서 측정된 평균 해양 산도(pH)"를 요구하는 지표 14.3.1이 있다.[169]

정부간해양학위원회(IOC)는 유네스코의 SDG 14.3.1 지표 관리 기관으로 지정되었다. 이 역할에서 IOC-유네스코는 SDG 14.3.1 지표 방법론 개발, SDG 14.3.1 지표를 위한 연간 데이터 수집, 그리고 유엔에 대한 진행 상황 보고를 담당한다.[170][171]

유엔이 2030년까지 달성해야 할 것으로 채택한 SDGs 17개 목표 중 목표 14에서 달성 목표 "14.3"으로 모든 수준의 과학적 협력 증진 등을 통해 해양 산성화의 영향에 대처하고 최소화하여 해양 산성화의 진행을 억제하는 것이 언급되어 있다.[192]

인류의 안전한 활동 영역을 정하는 플래네터리 바운더리에 따르면, 방해석(아라고나이트)이 해양 산성화의 지표로 사용된다. 방해석 수준이 산업혁명 이전의 80%를 밑돌면 위험하다고 간주되며, 산호초의 멸종 위기 및 그로 인한 해양의 생물다양성 손실로 이어진다.

5. 2. 한국의 정책 및 노력

해양 산성화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관련 정책들이 강화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2009년 해양 산성화 연구 및 모니터링 법(Federal Ocean Acidification Research And Monitoring Act of 2009)을 제정하여 정부 차원의 대응을 지원하고 있다. 이 법에 따라 미국 해양대기청(NOAA)은 "해양 산성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172][173] 2015년 미국 환경보호청(USEPA)은 시민 청원에 따라 1976년 독성물질관리법(Toxic Substances Control Act of 1976)에 의거, 이산화탄소(CO₂)[174][175] 규제를 검토했으나 기각했다. EPA는 대통령 기후 행동 계획(Presidential Climate Action Plan)과 같은 국내 조치를 통해 해양 산성화 위험에 더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온실가스 배출 및 삼림 벌채 감소, 청정 에너지 및 에너지 효율 증진을 위해 다른 국가들과 협력하는 다양한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176]

5. 3. 해양 산성화 완화 기술

해양 산성화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기후변화 완화 조치뿐이다.[156] 그러나 배출량 감소만으로는 해양 산성화의 진행을 완전히 막을 수 없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제거(CDR) 기술을 함께 활용하여 산성화 속도를 늦추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156]

해양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방법에는 해양 영양염 비료화, 인공 용승류/침강류, 해조류 양식, 생태계 복원, 해양 알칼리도 증강, 강화 풍화 및 전기화학적 공정 등이 있다.[153] 이러한 방법들은 해양을 이용하여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고 해양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해양 생물에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도 있다.[153] 2019년 이후 모든 CDR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156]

"해양 기반 방법은 연간 1~100기가톤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비용은 톤당 40~500달러 수준으로 평가된다.[154] 예를 들어, 강화 풍화는 연간 2~4기가톤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 기술의 비용은 톤당 50~200달러 수준이다.[154]

  • '''해양 알칼리도 증강(OAE, Ocean alkalinity enhancement)''': 알칼리성 광물 또는 그 해리 생성물을 해수면에 투입하여 표면 총 알칼리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다.[155] 이는 해양의 이산화탄소 흡수를 증가시키고, 암석(규산염, 석회암, 생석회)의 강화된 풍화를 통해 중탄산염(HCO3-)의 양을 늘리는 방식이다.[156] 이 과정은 규산염-탄산염 순환을 모방하며, 이산화탄소는 100년 이상 중탄산염 형태로 남아있거나 탄산칼슘(CaCO3)으로 침전되어 심해에 저장될 수 있다.
  • '''강화된 풍화''': 해양 알칼리도 증강의 한 유형으로, 미세한 암석 입자를 분산시켜 알칼리도를 증가시킨다. 육지와 해양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해양의 pH를 완충하여 해양 산성화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추가된 알칼리도에 대한 생물의 반응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156]
  • '''전기화학적 방법''': 해수에서 이산화탄소를 직접 제거하거나,[156] 금속 수산화물 잔류물을 침전시켜 해수의 알칼리도를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이산화탄소 포집 과정에서 생성된 수소는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거나 다른 물질을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해양 알칼리도 증강(채굴, 분쇄, 운송)과 전기화학적 방법은 다른 CDR 기술에 비해 비용과 에너지 소모량이 높다.[156] 해양 알칼리도 증강 비용은 톤당 20~50달러로 추산된다.[153] 또한, 이러한 기술들은 아직 기술 성숙도 수준이 낮고, 환경적 영향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한 상황이다.[153]

6. 경제적 영향

해양 산성화는 바닷물의 석회화 속도를 늦춰 해양 생태계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145][146][16] 특히, 해양 생물의 약 25%를 지탱하는 산호초의 크기와 성장 속도가 느려지고, 산호초가 지탱하는 다양한 해양 생물 개체군도 죽어가고 있다.[147]

6. 1. 어업 및 관광 산업

해양 산성화는 상업적 어업과 연안 관광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86]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에 따라 최대 4억~8억 명의 생계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여러 해양 상품과 서비스가 훼손될 가능성이 있다.[86]

바다 밑바닥에 놓여있는 성체 미국 바닷가재. 로드아일랜드주, 더치 아일랜드, 뉴포트 카운티.


북극에서는 해양 산성화로 인해 익족류거미불가사리 같은 석회화 생물이 피해를 입어 먹이 사슬의 기반이 약화되면서 상업 어업이 위협받고 있다.[148] 익족류와 불가사리는 모두 중요한 먹이원이므로, 이들이 사라지면 전체 생태계에 큰 위협이 된다.[148] 이러한 먹이 사슬 기반의 석회화 생물에 대한 영향은 어업을 파괴할 수 있다. 2007년 미국 상업 어업에서 잡힌 어류의 가치는 38억달러였으며, 그중 73%는 석회화 생물과 그들의 직접적인 포식자로부터 얻어졌다.[149]

미국 바닷가재, 대서양 대합조개, 가리비와 같은 해양 석회화 생물의 성장 감소는 판매 및 소비 가능한 조개류의 감소를 의미한다.[150] 붉은 왕게 어업 또한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는데, 게 역시 석회화 생물이기 때문이다.[151] 산성화 수준이 증가한 환경에 노출된 어린 붉은 왕게는 95일 후 100% 폐사했다.[151] 2006년 붉은 왕게는 총 어획량 기준치의 23%를 차지했으며, 붉은 왕게 개체 수의 심각한 감소는 게 어업 산업을 위협할 것이다.[152]

해양 산성화는 바닷물에서 석회화 속도를 늦춰, 해양 생물의 약 25%를 지탱하는 산호초의 크기가 작아지고 성장 속도가 느려지게 만든다.[145][146] 이는 어업과 연안 환경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16] 산호뿐만 아니라 산호초가 지탱하는 다양한 해양 생물 개체군도 죽어가고 있다.[147] 약 10억 명이 산호초가 제공하는 어업, 관광 및 연안 관리 서비스에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7][8] 따라서 지속적인 해양 산성화는 해양과 관련된 먹이 사슬을 위협할 수 있다.[7][8]

6. 2. 사회적 영향



해양 산성화는 상업적 어업과 연안 관광 산업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여러 해양 상품과 서비스는 향후 해양 산성화로 인해 훼손될 가능성이 있으며,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에 따라 최대 4억~8억 명의 생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86]

약 10억 명이 산호초가 제공하는 어업, 관광 및 연안 관리 서비스에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해양 산성화는 향후 해양과 관련된 먹이 사슬을 위협할 수 있다.[7][8]

참조

[1] 웹사이트 SDG 14 – Measuring progress towards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https://sdg-tracker.[...] 2018
[2] 논문 Ocean acidification in emission-driven temperature stabilization scenarios: the role of TCRE and non-CO₂ greenhouse gases https://dx.doi.org/1[...] 2023
[3] 웹사이트 Earth's CO2 Home Page https://www.co2.eart[...] 2024-09-21
[4] 논문 Two Decades of Ocean Acidification in the Surface Waters of the Beaufort Gyre, Arctic Ocean: Effects of Sea Ice Melt and Retreat From 1997–2016 2020-02-16
[5] 논문 The recent state and variability of the carbonate system of the Canadian Arctic Archipelago and adjacent basins in the context of ocean acidification 2020-07-31
[6] 논문 Ocean acidification causes bleaching and productivity loss in coral reef builders 2008-11-11
[7] 뉴스 Rising Acidity Is Threatening Food Web of Oceans, Science Panel Says https://www.nytimes.[...] 2009-01-30
[8] 논문 Rising Acidity Brings an Ocean of Trouble 2012-07-13
[9] 간행물 Chapter 12: Cross sectoral perspectives https://www.ipcc.ch/[...] IPCC 2022
[10] 간행물 Climate Change 2022: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https://www.ipcc.ch/[...] IPCC
[11] 간행물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Wikidata
[13] 웹사이트 The Carbon Cycle https://earthobserva[...] 2011-06-16
[14] 논문 Global Carbon Budget 2022 2022-11-11
[15] 논문 Ocean Acidification: The Other CO₂ Problem https://www.annualre[...] 2009-01-01
[16] 논문 The Impacts of Ocean Acidification on Marine Ecosystems and Reliant Human Communities 2020-10-17
[17] 백과사전 carbon cycle http://www.search.eb[...] 2010-02-11
[18] 서적 The Earth System Upper Saddle River: Prentice Hall
[19] 논문 Surface ocean pH and buffer capacity: past, present and future 2019
[20] 간행물 Chapter 3: Oceans and Coastal Ecosystems and Their Services https://www.ipcc.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21] 웹사이트 The other carbon dioxide problem http://www.rsc.org/c[...] 2014-07-29
[22] 웹사이트 Global warming's evil twin: ocean acidification http://theconversati[...] 2013-10-09
[23] 웹사이트 Ocean acidification (Issues Brief) https://www.iucn.org[...] 2017-11
[24] 논문 The economic impact of ocean acidification on coral reefs 2012-02-01
[25] 논문 Ocean acidification impacts on coral reefs: From sciences to solutions 2019
[26] 서적 IPCC Special Report on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http://www.ipcc.ch/p[...] IPCC 2014-11-01
[27] 논문 Drivers of pH Variability in Coastal Ecosystems 2019-04-16
[28] 논문 Is Ocean Acidification an Open-Ocean Syndrome? Understanding Anthropogenic Impacts on Seawater pH 2013-03-01
[29] 논문 Ecosystem metabolism drives pH variability and modulates long-term ocean acidification in the Northeast Pacific coastal ocean 2019-01-30
[30] 논문 High-Resolution Carbonate System Dynamics of Netarts Bay, OR From 2014 to 2019 2021
[31] 웹사이트 Like Oceans, Freshwater Is Also Acidifying https://www.scientif[...] 2018-01-11
[32] 논문 Rising pCO₂ in Freshwater Ecosystems Has the Potential to Negatively Affect Predator-Induced Defenses in Daphnia 2018
[33] 웹사이트 What is alkalinity? https://www.water-re[...] Water Research Center 2014-02-05
[34] 서적 Ocean acidification due to increasing atmospheric carbon dioxide https://royalsociety[...] Royal Society
[35] 논문 A model of carbon dioxide dissolution and mineral carbonation kinetics 2010-05-08
[36] 논문 Impacts of ocean acidification on marine organisms: quantifying sensitivities and interaction with warming 2013-06-01
[37] 논문 Impact of Anthropogenic CO2on the CaCO3 System in the Oceans 2004-07-16
[38] 논문 Possible effects of ocean acidification on coral reef biogeochemistry: topics for research
[39] 서적 Introductory Oceanography Prentice Hall
[40] 논문 Anthropogenic ocean acidification over the twenty-first century and its impact on calcifying organisms https://epic.awi.de/[...] 2005-09-01
[41] 논문 The Effect of Ocean Acidification on Calcifying Organisms in Marine Ecosystems: An Organism-to-Ecosystem Perspective 2010-12-01
[42] 논문 Evidence for Upwelling of Corrosive "Acidified" Water onto the Continental Shelf 2008-06-13
[43] 논문 Ongoing transients in carbonate compensation
[44] 논문 Current CaCO 3 dissolution at the seafloor caused by anthropogenic CO 2 2018-11-13
[45] 논문 Assessing the potential long-term increase of oceanic fossil fuel CO2 uptake due to CO2-calcification feedback
[46] 웹사이트 Atmospheric Carbon dioxide and Ocean pH https://cleanet.org/[...] 2022-11-17
[47] 웹사이트 Quality of pH Measurements in the NODC Data Archives https://www.pmel.noa[...] 2023-12-18
[48] 웹사이트 The pH Scale https://www.whoi.edu[...] 2023-03-29
[49] 웹사이트 How Acidification Threatens Oceans from the Inside Out http://www.scientifi[...] 2010-08-09
[50] 간행물 Technical Summary https://www.ipcc.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1-01
[51] 간행물 Chapter 5: Global Carbon and other Biogeochemical Cycles and Feedbacks https://www.ipcc.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1-01
[52] 논문 Climate sensitivity and the rate of ocean acidification: future impacts, and implications for experimental design
[53] 논문 The Paleocene-Eocene Thermal Maximum: A Perturbation of Carbon Cycle, Climate, and Biosphere with Implications for the Future 2011-05-30
[54] 논문 History of Seawater Carbonate Chemistry, Atmospheric CO 2 , and Ocean Acidification 2012-05-30
[55] 논문 Rate of Iceland Sea acidification from time series measurements 2009-11-25
[56] 논문 Decreasing pH trend estimated from 35-year time series of carbonate parameters in the Pacific sector of the Southern Ocean in summer 2012-03-01
[57] 논문 The water column distribution of carbonate system variables at the ESTOC site from 1995 to 2004 2010-10-11
[58] 논문 Physical and biogeochemical modulation of ocean acidification in the central North Pacific 2009-07-28
[59] 논문 Detecting anthropogenic carbon dioxide uptake and ocean acidification in the North Atlantic Ocean 2012-07-11
[60] 논문 Preindustrial to Modern Interdecadal Variability in Coral Reef pH 2005-09-30
[61] 논문 Proxy-based reconstruction of surface water acidification and carbonate saturation of the Levant Sea during the Anthropocene 2016-12-01
[62] 간행물 Global Carbon and other Biogeochemical Cycles and Feedbacks Supplementary Material. Chapter 5 https://www.ipcc.ch/[...] 2021-01-01
[63] 논문 An abrupt extinction in the Middle Permian https://pubs.geoscie[...]
[64] 뉴스 Sixth extinction, rivaling that of the dinosaurs, should join the big five, scientists say https://www.science.[...] 2015-04-16
[65] 뉴스 New mass extinction event identified by geologists https://www.bbc.com/[...] 2015-04-21
[66] 논문 Ocean acidification and the Permo-Triassic mass extinction http://eprints.white[...] 2015-04-10
[67] 논문 Erosional truncation of uppermost Permian shallow-marine carbonates and implications for Permian-Triassic boundary events 2007-07-01
[68] 논문 Calcium isotope constraints on the end-Permian mass extinction
[69] 논문 Effect of end-Triassic Carbon dioxide maximum on carbonate sedimentation and marine mass extinction 2004-09-01
[70] 논문 Recognising ocean acidification in deep time: An evaluation of the evidence for acidification across the Triassic-Jurassic boundary 2012-06-01
[71] 논문 Catastrophic ocean acidification at the Triassic-Jurassic boundary 2008-07-11
[72] 논문 Flood Basalts and Mass Extinctions https://escholarship[...] 2019-05-30
[73] 논문 Rapid Acidification of the Ocean During the Paleocene-Eocene Thermal Maximum 2005-06-10
[74] 논문 Biogeochemical constraints on the Triassic-Jurassic boundary carbon cycle event 2002-09
[75] 논문 A new correlation of Triassic–Jurassic boundary successions in NW Europe, Nevada and Peru, and the Central Atlantic Magmatic Province: A time-line for the end-Triassic mass extinction 2017-07
[76] 논문 Extinction-Recovery Pattern of Level-Bottom Faunas Across the Triassic-Jurassic Boundary in Tibet: Implications for Potential Killing Mechanisms https://www.zora.uzh[...] 2008-10-01
[77] 논문 Extinction: End-Triassic Mass Extinction John Wiley & Sons 2012-08-15
[78] 논문 Scleractinian Coral Species Survive and Recover from Decalcification 2007-03-30
[79] 논문 Rapid and sustained surface ocean acidification during the Paleocene-Eocene Thermal Maximum https://academiccomm[...] 2014-05
[80] 논문 Very large release of mostly volcanic carbon during the Palaeocene–Eocene Thermal Maximum 2017-08
[81] 뉴스 The Dinosaur-Killing Asteroid Acidified the Ocean in a Flash – The Chicxulub event was as damaging to life in the oceans as it was to creatures on land, a study shows. https://www.nytimes.[...] 2019-10-22
[82] 논문 Rapid ocean acidification and protracted Earth system recovery followed the end-Cretaceous Chicxulub impact 2019-11-05
[83] 뉴스 The Geological Record of Ocean Acidification http://journalistsre[...] 2012-03-14
[84] 웹사이트 An Ominous Warning on the Effects of Ocean Acidification by Carl Zimmer: Yale Environment 360 https://web.archive.[...] e360.yale.edu 2014-01-25
[85] 뉴스 Report: Ocean acidification rising at unprecedented rate http://www.mcclatchy[...] 2010-04-22
[86] 논문 Biotic and Human Vulnerability to Projected Changes in Ocean Biogeochemistry over the 21st Century 2013-10-15
[87] 간행물 Chapter 4: Future Global Climate: Scenario-Based Projections and Near-Term Information https://www.ipcc.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88] 웹사이트 PMEL CO₂ – Carbon Dioxide Program https://www.pmel.noa[...] 2021-09-06
[89] 간행물 Overview of Climate Changes and Illustrative Impacts. Climate Stabilization Targets: Emissions, Concentrations, and Impacts over Decades to Millennia http://www.nap.edu/o[...]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90] 논문 High-Resolution Carbonate System Dynamics of Netarts Bay, OR From 2014 to 2019 2021-01-14
[91] 논문 Ocean acidification may increase calcification rates, but at a cost
[92] 논문 How the Pacific Oyster Responds to Ocean Acidificati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eta-Analysis Based Adverse Outcome Pathway 2020-11-12
[93] 논문 Energetic costs of calcification under ocean acidification https://authors.libr[...] 2017-05
[94] 뉴스 Ocean Acidification Summary for Policymakers http://www.igbp.net/[...] IGBP 2013-11-14
[95] 웹사이트 Special Report on the Ocean and Cryosphere in a Changing Climate — Special Report on the Ocean and Cryosphere in a Changing Climate https://www.ipcc.ch/[...] 2019-11-12
[96] 논문 Effect of calcium carbonate saturation of seawater on coral calcification 1998-07
[97] 논문 Photosynthesis and Calcification at Cellular, Organismal and Community Levels in Coral Reefs: A Review on Interactions and Control by Carbonate Chemistry 1999-02
[98] 논문 Effect of elevated pCO2 on photosynthesis and calcification of corals and interactions with seasonal change in temperature/irradiance and nutrient enrichment
[99] 논문 Reduced calcification of marine plankton in response to increased atmospheric CO₂ https://epic.awi.de/[...] 2000-09
[100] 논문 Impact of elevated CO 2 on shellfish calcification https://hal.archives[...] 2007-04-06
[101] 논문 Phytoplankton Calcification in a High-CO2 World
[102] 논문 Response of coccolithophorid Emiliania huxleyi to elevated partial pressure of CO₂ under nitrogen limitation 2003-10-17
[103] 논문 Species-specific responses of calcifying algae to changing seawater carbonate chemistry https://epic.awi.de/[...] 2006-09
[104] 논문 Future biological and ecosystem impacts of ocean acidification and their socioeconomic-policy implications 2012-07
[105] 웹사이트 Acid oceans are shrinking plankton, fueling faster climate change https://phys.org/new[...] 2019-08-27
[106] 보도자료 Acidification Of Oceans May Contribute To Global Declines Of Shellfish, Study By Stony Brook Scientists Concludes http://commcgi.cc.st[...] School of Marine and Atmospheric Sciences at Stony Brook University 2012-06-04
[107] 학술지 Coral Reef Ecosystems under Climate Change and Ocean Acidification 2017
[108] 학술지 Why Corals Care About Ocean Acidification: Uncovering the Mechanism
[109] 학술지 Meridional overturning circulation conveys fast acidification to the deep Atlantic Ocean https://archimer.ifr[...] 2018-02-22
[110] 학술지 Ocean acidification affects coral growth by reducing skeletal density 2018-02-20
[111] 학술지 Reversal of ocean acidification enhances net coral reef calcification 2016-02-24
[112] 학술지 Carbon dioxide addition to coral reef waters suppresses net community calcification 2018-03-14
[113] 학술지 Volcanic carbon dioxide vents show ecosystem effects of ocean acidification 2008-07
[114] 학술지 Losers and winners in coral reefs acclimatized to elevat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2011
[115] 웹사이트 Effects of Ocean Acidification on Marine Species & Ecosystems http://oceana.org/en[...] OCEANA
[116] 학술지 Impact of ocean acidification and elevated temperatures on early juveniles of the polar shelled pteropod ''Limacina helicina'': mortality, shell degradation, and shell growth 2011-04-15
[117] 학술지 Ocean Acidification in the Surface Waters of the Pacific-Arctic Boundary Regions 2015
[118] 학술지 Acidification of East Siberian Arctic Shelf waters through addition of freshwater and terrestrial carbon 2016
[119] 학술지 Emergent constraint on Arctic Ocean acidifica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hal.archives[...] 2020-06-18
[120] 웹사이트 Comprehensive study of Arctic Ocean acidification http://www.cicero.ui[...] CICERO
[121] 웹사이트 Changes in Aragonite Saturation of the World's Oceans, 1880–2015 https://www.epa.gov/[...] 2016-08
[122] 학술지 Impact of short- and long-term exposure to elevated seawater pCO2 on metabolic rate and hypoxia tolerance in Octopus rubescens [Dataset] Dryad Data Platform 2021
[123] 학술지 Synergistic effects of climate-related variables suggest future physiological impairment in a top oceanic predator
[124] 학술지 Effects of ocean acidification on the immune response of the blue mussel Mytilus edulis 2008-03-27
[125] 웹사이트 Ocean acidification could make squid develop abnormally http://conservationm[...] University of Washington 2013-06-04
[126] 뉴스 Swiss marine researcher moving in for the krill http://www.theaustra[...]
[127] 학술지 Unanticipated consequences of ocean acidification: A noisier ocean at lower pH 2008-10-01
[128] 웹사이트 Acid In The Oceans: A Growing Threat To Sea Life https://www.npr.org/[...] 2009-08-12
[129] 웹사이트 Ocean Acidification Promotes Disruptive and Harmful Algal Blooms on Our Coasts http://coastalscienc[...]
[130] 학술지 Future biological and ecosystem impacts of ocean acidification and their socioeconomic-policy implications 2012-07
[131] 학술지 Ocean Acidification Impairs Olfactory Discrimination and Homing Ability of a Marine Fish
[132] 학술지 Meta-analysis reveals an extreme 'decline effect' in the impacts of ocean acidification on fish behavior 2022-02-03
[133] 간행물 Anguilla anguilla. The IUCN Red List ofThreatened Species 2020 https://doi.org/10.2[...]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2020
[134] 서적 Acid-base physiology and CO₂ homeostasis: Regulation and compensation in response to elevated environmental CO₂ https://www.scienced[...] Academic Press 2019-01
[135] 학술지 CO₂ Induced Seawater Acidification Impacts Survival and Development of European Eel Embryos https://doi.org/10.1[...] 2022-04
[136] 학술지 The Dynamics and Impact of Ocean Acidification and Hypoxia: Insights from Sustained Investigations in the Northern California Current Large Marine Ecosystem 2019-09-01
[137] 학술지 Oceanography: Dead in the water 2010-08
[138] 학술지 Multiple Ocean Stressors: A scientific Summary for Policy Makers. Unesco-Ioc 2022
[139] 학술지 Pteropods on the edge: Cumulative effects of ocean acidification, warming, and deoxygenation
[140] 학술지 The change in oceanic O2 inventory associated with recent global warming
[141] 논문 Warming up, turning sour, losing breath: ocean biogeochemistry under global change 2011-05-28
[142] 논문 Ocean acidification and warming will lower coral reef resilience 2011
[143] 논문 Boosted food web productivity through ocean acidification collapses under warming 2017
[144] 논문 Ocean acidification and global warming impair shark hunting behaviour and growth 2015
[145] 웹사이트 Coral reefs http://wwf.panda.org[...] 2019-05-06
[146] 논문 Impacts of ocean acidification on marine fauna and ecosystem processes 2008-04
[147] 논문 Coral Reefs Under Rapid Climate Change and Ocean Acidification 2007-12-14
[148] 웹사이트 Antarctic marine wildlife is under threat, study finds https://www.bbc.co.u[...] BBC Nature 2013-10-13
[149] 논문 Present and Future Impacts of Ocean Acidification on Marine Ecosystems and Biogeochemical Cycles http://www.us-ocb.or[...] 2013-11-14
[150] 웹사이트 Canada's State of the Oceans Report, 2012 http://dfo-mpo.gc.ca[...] Fisheries and Oceans Canada 2013-10-21
[151] 간행물 CO 2 , pH, and Anticipating a Future under Ocean Acidification http://www.afs-alask[...] 2013-11-14
[152] 웹사이트 Bering Sea Crab Fishery http://www.alaskasea[...] Seafood Market Bulletin 2013-11-10
[153] 간행물 Chapter 12: Cross sectoral perspectives https://www.ipcc.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154] 간행물 Technical Summary https://www.ipcc.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155] 간행물 Annex VII: Glossary https://www.ipcc.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156] 서적 A Research Strategy for Ocean-based Carbon Dioxide Removal and Sequestration
[157] 논문 An Alkaline Solution https://www.science.[...] 2023-11-30
[158] 웹사이트 Action Plans https://www.oaallian[...] 2022-11-04
[159] 뉴스 CO2 emissions threaten ocean crisis https://www.bbc.com/[...] 2015-07-03
[160] 웹사이트 Cartagena Convention https://www.unep.org[...] The Caribbean Environment Programme (CEP) 2022-11-04
[161] 웹사이트 Cartagena Convention Secretariat and The Ocean Foundation to cooperate on priority marine biodiversity and pollution issues https://www.unep.org[...]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19-11-12
[162] 서적 Mainstreaming Ocean Acidification into National Policies: A Handbook for Pacific Islands https://www.sprep.or[...] Secretariat of the Pacific Regional Environment Programme.
[163] 웹사이트 The Ocean Decade – The Science we need for the Ocean we want https://www.oceandec[...] 2022-11-04
[164] 웹사이트 Overview http://goa-on.org/oa[...] GOA-ON
[165] 웹사이트 Global Climate Indicators https://gcos.wmo.int[...] WMO
[166] 웹사이트 Home https://gcos.wmo.int[...] GCOS 2022-11-04
[167] 웹사이트 Goal 14 targets https://www.un.org/s[...] 2020-09-24
[168] 간행물 Resolution adopted by the General Assembly on 6 July 2017, Work of the Statistical Commission pertaining to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ttps://undocs.org/A[...] 2017-07-06
[169] 웹사이트 Goal 14: Sustainable Development Knowledge Platform https://sustainabled[...] 2020-09-05
[170] 웹사이트 Update on IOC Custodianship Role in Relation to SDG 14 Indicators https://unesdoc.unes[...] 2022-11-04
[171] 웹사이트 SDG 14.3.1 data portal https://oa.iode.org/ 2022-11-04
[172] 논문 European policies and legislation targeting ocean acidification in european waters – Current state 2020-08-01
[173] 웹사이트 OAP Home https://oceanacidifi[...] 2022-11-04
[174] 웹사이트 TSCA Section 21 Petition Requesting EPA to Regulate Anthropogenic Emissions Carbon Dioxide https://www.epa.gov/[...]
[175] 웹사이트 Carbon Dioxide Emissions and Ocean Acidification; TSCA Section 21 Petition; Reasons for Agency Response https://www.federalr[...]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2015-10-07
[176] 웹사이트 The President's Climate Action Plan https://obamawhiteho[...] obamawhitehouse.archives.gov 2013-06-01
[177] 논문 Über die Messung und die Bedeutung der Wasserstoffionenkonzentration bei enzymatischen Prozessen https://core.ac.uk/d[...] 2021-03-22
[178] 논문 A short history of ocean acidification science in the 20th century: a chemist's view https://bg.copernicu[...] 2013-01-01
[179] 웹사이트 Interacademy Panel (IAP) Member Academies Statement on Ocean Acidification https://www.interaca[...] Secretariat: TWAS (the Academy of Sciences for the Developing World), Trieste, Italy. 2009-06-01
[180] 뉴스 Tackling degraded oceans could mitigate climate crisis – report https://www.theguard[...] 2019-12-07
[181] 웹사이트 Ocean Acidification Is Climate Change's 'Equally Evil Twin,' NOAA Chief Says http://www.huffingto[...] 2012-07-09
[182] 웹사이트 Rising levels of acids in seas may endanger marine life, says study https://www.theguard[...] 2013-08-29
[183] 논문 Ocean Acidification and Human Health 2020-06-24
[184] 논문 An improved method for detecting anthropogenic CO2 in the oceans
[185] 논문 Impact of Anthropogenic CO2on the CaCO3 System in the Oceans http://www.pmel.noaa[...] 2014-01-25
[186] 웹사이트 Changes in Aragonite Saturation of the World's Oceans, 1880–2015 https://www.epa.gov/[...] 2022-08-13
[187] 웹사이트 海から貝が消える? 海洋酸性化の危機 http://www.cger.nies[...] NIES-CGER 2016-11-17
[188] 간행물 全大気平均二酸化炭素濃度が始めて400 ppmを超えました 温室効果ガス観測技術衛星「いぶき」(GOSAT)による観測速報 https://www.env.go.j[...] 環境省 2016-01-01
[189] 논문 IPCC Special Report on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http://www.ipcc.ch/p[...]
[190] 웹사이트 Studying ocean acidification with conservative, stable numerical schemes for nonequilibrium air - ocean exchange and ocean equilibrium chemistry http://onlinelibrary[...] 2004-04-02
[191] 논문 海洋酸性化がサンゴ礁域の石灰化生物に及ぼす影響 http://kaiyo-gakkai.[...]
[192] 웹사이트 http://ungcjn.org/gc[...]
[193] 간행물 オープンデータから明らかになった、日本沿岸域での海洋酸性化 https://www.jamstec.[...] 海洋研究開発機構、笹川平和財団 海洋政策研究所 2019-12-16
[194] 웹사이트 【解説】海から貝が消える? 海洋酸性化の危機 | 地球環境研究センター https://www.cger.nie[...] 2023-04-10
[195] 논문 海洋酸性化がサンゴ礁域の石灰化生物に及ぼす影響 https://www.jstage.j[...] 2010-01-01
[196] 웹사이트 海の異変 しのびよる酸性化の脅威スペシャル - NHK https://www.nhk.jp/p[...] 2023-04-10
[197] 서적 고등학교 통합과학 동아출판 2020-03-01
[198] 서적 고등학교 통합과학 동아출판 2020-03-01
[199] 서적 고등학교 통합과학 동아출판 2020-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