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커는 컴퓨터 시스템의 세부 사항을 탐구하고 기능을 확장하는 것을 즐기는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1950년대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재능 있는 학생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컴퓨터 보안을 우회하는 사람들을 포괄하는 의미로 확장되었다. 해커는 긍정적인 의미와 부정적인 의미 모두로 사용되며, 악의적인 의도를 가진 해커는 블랙햇 해커, 윤리적인 목적의 해커는 화이트햇 해커로 구분된다. 또한, 크래커, 스크립트 키디 등 해커와 관련된 다양한 용어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커 - 줄리언 어산지
줄리언 어산지는 1971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태어난 인터넷 활동가이자 위키리크스 설립자로, 기밀문서 공개로 논란을 일으키며 여러 국가를 거쳐 망명 및 수감 생활을 하다 2024년 석방 후 고국으로 귀국했다. - 해커 - 스티브 워즈니악
스티븐 개리 워즈니악은 애플 컴퓨터의 공동 창업자이자 애플 I과 애플 II의 주요 설계자로, 개인용 컴퓨터 시대 개막에 기여했으며 블루 박스 제작으로도 알려진 미국의 컴퓨터 엔지니어이자 발명가이다. - 해킹 - 스크립트 키디
스크립트 키디는 숙련되지 않은 기술로 기존 도구와 스크립트를 활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보안 취약점을 악용하는 사람을 지칭하며, 주로 재미나 명성을 위해 웹사이트 훼손, 악성 바이러스 유포 등의 행위를 한다. - 해킹 - 롬 해킹
롬 해킹은 비디오 게임 롬 이미지 파일을 수정하여 게임 내용이나 작동 방식을 바꾸는 행위로, 그래픽, 레벨, 음악 등을 편집하고 어셈블리 코드를 변경하여 오래된 콘솔 게임을 대상으로 커뮤니티에서 정보 공유 및 패치 배포가 이루어진다. - 인터넷 보안 - 전송 계층 보안
전송 계층 보안(TLS)은 클라이언트-서버 간 통신에서 도청, 간섭, 위조를 막기 위해 설계된 암호화 프로토콜이며, 종단 간 인증, 통신 기밀성을 제공하고, 다양한 프로토콜에 적용되어 HTTPS를 보호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 인터넷 보안 - 토르 (네트워크)
토르(Tor)는 사용자의 익명성을 보장하고 온라인 활동을 보호하기 위해 개발된 네트워크로, 암호화된 통신을 여러 노드를 거쳐 전송하며 검열 우회, 언론의 자유를 위한 도구로 활용되지만 범죄에도 악용될 수 있다.
해커 | |
---|---|
기술 전문가 | |
![]() | |
![]() | |
![]() | |
![]() | |
![]() | |
정의 | |
정의 | 정보 기술에 숙련된 사람 |
용어 | |
발음 | 영어권에서 주로 해커, 기타 국가에서 주로 헤이커, 하커, 헤이켈 등으로 발음 |
기타 | |
관련 링크 | 영어 위키백과 |
2. 역사
'해커'라는 용어는 1950년대 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의 테크모델철도클럽(TMRC)에서 처음 등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기 해커들은 주로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작동 원리를 탐구하고 그 가능성을 확장하는 데 열정을 가진 기술 애호가들이었다. 이들은 PDP-1과 같은 초기 컴퓨터를 다루며 프로그래밍 기술을 연마했고, 이러한 창의적이고 때로는 장난기 넘치는 기술적 탐구를 'hack|핵영어'이라고 불렀다. 이 시기의 해커는 뛰어난 프로그래밍 실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가진 사람을 긍정적으로 지칭하는 의미가 강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해커라는 단어는 다른 의미를 내포하게 되었다. 컴퓨터 기술이 발전하고 네트워크가 확산되면서, 시스템의 보안 취약점을 찾아내고 이를 악용하는 사람들이 등장했다. 이들은 종종 '보안 해커' 또는 '크래커'로 불리며, 기존의 긍정적 의미의 해커와 구분되기 시작했다. 특히 1980년대 이후 대중 매체가 컴퓨터 범죄 사건을 보도하면서 '해커'를 주로 이러한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함에 따라, 일반 대중에게 해커는 곧 컴퓨터 범죄자라는 인식이 강하게 자리 잡게 되었다.[4][27] 이러한 용어의 혼용은 오늘날까지도 계속되며 해커의 본래 의미와 대중적 인식 사이의 간극과 논쟁을 낳고 있다.[29]
프레드 샤피로와 같은 연구자는 '해커'라는 용어에 부정적인 함의가 초기부터 존재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는 1963년 MIT 학생 신문에서 전화망 무단 사용자를 '해커'라고 지칭한 사례를 근거로 들며, 이것이 이후 컴퓨터 보안 해커 문화로 이어지는 프리킹 활동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8][9] 이처럼 해커의 역사는 기술적 탐구와 창조성이라는 긍정적 측면과, 시스템 침입 및 악용이라는 부정적 측면이 복잡하게 얽혀 발전해왔다.
2. 1. 해커의 등장

'해커'라는 용어는 1950년대 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의 동아리인 테크모델철도클럽(TMRC)에서 처음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클럽은 모형 기차의 정교한 제작을 연구하는 그룹과 기차 충돌 방지 제어를 연구하는 그룹으로 나뉘어 있었다. 제어 연구 그룹 학생들은 당시 MIT에 기증된 DEC사의 PDP-1 미니컴퓨터가 모형 기차 제어 회로와 유사하다는 점에 흥미를 느꼈다.
이 학생들이 PDP-1 사용에 몰두하자 대학 측은 비용 문제로 전산실을 폐쇄했지만, 학생들은 몰래 들어가 컴퓨터를 계속 사용하였다. 당시 기준으로 매우 기초적인 수준이었던 PDP-1용 프로그램을 탁월하게 작성하는 학생들을 '해커'라고 불렀고, 프로그래밍 행위 자체를 '핵'(hack|핵영어)이라고 칭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해커'라는 단어는 두 가지 주요 의미를 갖게 되었다.
# 원래 의미의 해커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에 능통한 숙련된 컴퓨터 기술 애호가이자 프로그래밍 하위 문화를 지지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해커 문화 참조)[3]
# 컴퓨터 보안 시스템을 무력화할 수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악의적인 목적으로 보안을 침해하는 경우, 이들을 크래커(cracker)라고 부르기도 한다.
1990년대 이후 대중 매체에서는 '해커'를 주로 컴퓨터 범죄자와 동일시하여 사용하게 되었다.[4] 이로 인해 자신이 사용하는 도구의 작동 원리를 거의 이해하지 못하는 초보적인 공격자(스크립트 키디)까지 해커로 불리게 되었다.[5] 이러한 용법이 널리 퍼지면서 일반 대중은 해커의 원래 긍정적인 의미를 거의 알지 못하게 되었다.[6] 프로그래밍 하위 문화에 속한 사람들은 이러한 용법을 잘못된 것으로 여기며, 보안 침해자를 '크래커'(금고털이범과 유사하게)라고 부르며 구분하려 한다.
이러한 용어 사용에 대한 논쟁은 '해커'가 원래 무언가를 가지고 장난치듯 즐겁게 탐구하며 목표를 달성하는 사람을 긍정적으로 지칭하는 말이었다는 주장에 기반한다. 그러나 수십 년간 의미가 변화하여 컴퓨터 범죄자를 가리키게 되었다는 것이다.
보안 관련 의미가 널리 퍼지면서 원래의 긍정적 의미는 점차 희미해졌다. 대중 매체와 일반적인 용법에서 '해커'는 거의 전적으로 '컴퓨터 침입자' 또는 '컴퓨터 범죄자'를 의미하게 되었다. 반면, 컴퓨터 애호가와 해커 문화 내에서는 여전히 뛰어난 프로그래머나 기술 전문가에 대한 칭찬으로 사용된다. 기술 커뮤니티의 상당수는 전문 용어 파일(Jargon File)의 정의처럼 후자가 올바른 용법이라고 주장한다.
때로는 '해커'가 단순히 '괴짜'(geek)와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진정한 해커는... 밤새도록 기계와 씨름하며 사랑과 증오의 관계를 맺는 사람이다... 그들은 똑똑하지만 전통적인 목표에는 별 관심이 없는 아이들이다. 이는 조롱의 의미도 있지만, 궁극적인 칭찬이기도 하다."[7]
프레드 샤피로는 '해커'가 원래 긍정적인 의미였고 부정적인 함의는 나중에 왜곡된 것이라는 통념에 반박한다. 그는 1963년 MIT 학생 신문 ''The Tech'' 기사를 근거로, 당시 이미 전화망 무단 사용자(오늘날의 전화 해커)를 지칭하는 부정적인 의미로 '해커'가 사용되었다고 주장한다.[8][9] 이는 이후 컴퓨터 보안 해커 하위 문화로 이어진 프리킹 운동의 시초와 연결된다.
보안 해커는 컴퓨터 보안을 우회하는 사람들을 통칭하며,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 '''화이트햇''': 시스템의 취약점을 찾아 보완함으로써 데이터를 보호하려는 해커이다. 이들은 주로 시스템 소유주에게 고용되어 합법적으로 활동하며 보수를 받는다.
- '''블랙햇''' 또는 '''크래커''': 악의적인 의도를 가지고 시스템에 침입하는 해커이다. 이들은 데이터를 훔치거나 파괴하고 판매하는 등 개인적인 이익을 위해 불법적인 활동을 한다.[14] 특히 '크래커'는 단순히 파괴보다는 이익을 추구하는 고도로 숙련된 블랙햇 해커를 지칭하기도 한다.
- '''그레이햇''': 때때로 법이나 윤리적 기준을 넘나들지만, 블랙햇처럼 명백한 악의는 없는 보안 전문가를 의미한다.
해커 문화는 1960년대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의 테크 모델 철도 클럽(TMRC)[15]와 MIT 인공지능 연구소[16]를 중심으로 형성된 열정적인 컴퓨터 프로그래머와 시스템 설계자 공동체에서 시작되었다.[17] 이 문화는 1970년대 후반 홈브루 컴퓨터 클럽 등 하드웨어 중심의 취미 활동으로[18],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비디오 게임, 소프트웨어 크래킹, 데모씬 등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확장되었다.[19] 이후 예술, 라이프 해킹 등 다양한 영역으로 개념이 확장되었다.

프로그래머 하위 문화의 해커와 컴퓨터 보안 해커는 역사적 배경과 발전 과정에서 차이가 있다. 하지만 ''해커 사전''(Jargon File)에 따르면, 1970년대 초반 전화 해킹(프리킹)에서는 두 집단 간 상당한 중복이 있었다. 1963년 MIT 학생 신문 ''The Tech'' 기사에서도 전화 시스템을 조작하는 사람을 부정적으로 '해커'라고 칭한 바 있다.[8] 그러나 책임감 없이 활동하는 이들이 늘어나면서 이러한 중복은 점차 줄어들었다.[20]
레이먼드에 따르면, 프로그래머 해커는 주로 공개적으로 실명을 사용하며 활동하는 반면, 보안 해커는 비밀스러운 그룹을 이루고 가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23] 활동 내용도 다르다. 프로그래머 해커는 새로운 인프라를 만들고 기존 시스템을 개선하는 데 집중하지만, 보안 해커는 주로 보안 조치를 우회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러한 관점 차이는 MIT 해커들이 의도적으로 보안 기능을 배제하고 설계한 비호환 시분할 시스템(ITS)에서도 드러난다.
물론 프로그래머 해커들도 기본적인 보안 지식은 갖추고 있다. 예를 들어, 켄 톰프슨은 1983년 튜링상 강연에서 유닉스 로그인 명령어에 특정 비밀번호로 시스템 접근을 허용하는 백도어 코드를 심을 수 있음을 시연했다. 그는 이를 '트로이 목마'라고 불렀으며, 컴파일러 자체를 수정하면 탐지가 더욱 어려워진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톰프슨은 보안 해커들과 명확히 선을 그으며 "이 아이들(414 갱 등)이 저지른 행위는 기껏해야 파괴 행위이며, 최악의 경우 침입과 절도"라고 비판했다.[21]
프로그래머 해커 문화에서는 실제 작업을 방해하는 장벽을 제거하기 위한 부차적인 보안 우회는 용인될 수 있으며, 때로는 재치 있는 장난으로 간주되기도 한다.[22] 하지만 이것이 주된 관심사나 활동은 아니다.[23] 역사적으로 프로그래머 해커들은 주로 학술 기관의 컴퓨팅 환경을 사용했지만, 보안 해커들은 개인용 컴퓨터와 모뎀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저렴한 가정용 컴퓨터와 인터넷 보급으로 학계 외부에서도 프로그래머 해커 문화 참여가 늘어났다.
1980년대 중반 이후 두 하위 문화 간의 교류와 중복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예가 MIT AI 연구소 사용자였지만 모리스 웜을 제작한 로버트 태펀 모리스이다. ''해커 사전''은 그를 "실수를 저지른 진정한 해커"라고 평한다.[24] 그럼에도 프로그래머 해커들은 보안 해커들과 거리를 두며 이들을 '크래커'라고 부르는 경향이 있다. 반면 보안 해커들은 두 문화를 엄격히 구분하지 않고 기술 학습 열정 등 공통점을 인정하며, '크래커'라는 용어를 스크립트 키디나 블랙햇 해커에게 한정하려는 경향이 있다.

세 하위 문화 모두 하드웨어 수정과 관련이 있었다. 초기 전화 해커들은 블루 박스 등을 제작했고, 프로그래머 해커 문화에는 MIT AI 연구소 PDP-10 컴퓨터의 '마법 스위치' 이야기가 전해진다.[25] 초기 취미 해커들은 직접 가정용 컴퓨터를 조립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전화망 디지털화, 저렴한 개인용 컴퓨터 보급 등으로 하드웨어 수정보다는 모뎀을 이용한 원격 접속이 주류가 되었다. 현재는 케이스 모딩 정도가 남아있다.
프로그래머와 보안 해커 문화의 충돌 사례 중 하나는 1980년대 말, 카오스 컴퓨터 클럽(CCC)과 연계된 해커 그룹이 미국 군사 및 학술 기관 컴퓨터에 침입하여 정보를 소련 비밀 정보기관에 판매한 사건이다. 이 사건은 시스템 관리자였던 클리포드 스톨의 추적으로 해결되었으며, 그의 저서 ''뻐꾸기 알''(The Cuckoo's Egg)과 다큐멘터리 ''The KGB, the Computer, and Me''에 기록되었다. 독일 영화 ''23''은 이 사건을 각색했다. 레이먼드는 스톨의 기록이 "'해커'와 '크래커'의 차이를 잘 보여준다"고 평가했다.[26]
주류 언론이 '해커'를 현재와 같은 의미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초이다. 1983년 언론 보도를 통해 이 용어가 널리 알려지면서[27], 컴퓨터 커뮤니티 내부에서도 사용되던 '컴퓨터 침입'이라는 의미가 부각되었다. 범죄적 의미로만 '해커'를 사용하는 언론 경향에 대응하여, 컴퓨터 커뮤니티는 '크래커'와 같은 대체 용어를 만들고, 이후 블랙햇, 화이트햇, 그레이햇 등으로 활동을 구분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미국 언론 등에서는 여전히 기술 커뮤니티의 구분 노력과 관계없이 '해커'를 범죄 행위와 연관 짓는 경향이 강하다. 오늘날 주류 언론과 일반 대중은 기술 수준과 무관하게 모든 컴퓨터 범죄자를 '해커'라고 부르며, 비범죄적인 의미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때로는 리누스 토르발즈나 스티브 워즈니악과 같은 합법적인 해커들조차 범죄적인 '크래커'와 구분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28]
결과적으로 '해커'의 정의는 여전히 논쟁거리이다. 많은 이들은 자신의 문화적 용어가 부정적으로 사용되는 것에 불만을 표하며[29], 보안 취약점을 악용하는 범죄자들을 지칭할 때는 보다 세분화된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일부는 일반 대중의 용법을 따르는 것이 현실적이며 긍정적 의미는 널리 퍼지기 어렵다고 본다. 소수는 문맥에 따라 두 의미를 모두 사용하기도 한다.
긍정적 의미의 '해커'가 부정적 의미보다 먼저 널리 사용되었기 때문에, 기술 지향적인 의미로 '해커'를 사용하는 것은 해당 인물이 컴퓨팅 커뮤니티의 일원임을 나타내는 표식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많은 소프트웨어 설계자들은 '해커'라는 호칭을 선호하지 않는데, 이는 여러 산업 분야에서 이 단어가 부정적인 함의를 갖기 때문이다.
'해킹'이 서로 다른 동기를 가진 해커들이 사용하는 기술과 도구의 집합이라는 관점에서 절충안도 제시된다. 이는 선악의 목적으로 모두 사용될 수 있는 자물쇠 따기 기술에 비유되기도 한다. 다만 이 비유는 기술적 이해가 부족한 스크립트 키디까지 '해커'로 포함하는 대중적 용법과는 차이가 있다.
'핵'(hack)은 『해커 영어 사전』(The Hacker's Dictionary)에 따르면 "필요한 것을 그다지 능숙하지는 않지만 어떻게든 만들어내는 임시변통의 작업"을 의미한다. 같은 사전에서 '해커'(hacker)는 "컴퓨터 시스템의 세부 사항이나 그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즐기는 사람. 최소한만 알려고 하는 대다수 사용자와 대조적"이라고 설명된다.
일본산업규격(JIS) X 0001-1994에서는 "고도의 기술을 가진 컴퓨터 매니아"(01.07.03)와 "고도의 기술과 지식, 수단을 활용하여 보호된 자원에 권한 없이 접근하는 사람"(01.07.04)이라는 두 가지 정의를 제시한다.[31] 이는 시대에 따라 의미가 달라졌기 때문이다.[32] 스티븐 레비의 저서 『해커스』(Hackers) 등에 따르면, '해커'라는 단어가 현재와 유사한 의미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의 모형 철도 클럽에서였다고 한다. 원래 'hack'이라는 단어는 "대충이지만 잘 작동하는 임시방편의 일을 하는", "도끼 하나로 가구를 만드는 장인", "냉장고 속 남은 재료로 빠르게 요리하는" 등의 뉘앙스로 일상에서도 사용되던 말이었다.
이 어원으로서의 'hack'은 신중하고 착실한 일 처리와는 반대로, 기지가 넘치고 잔재주가 좋은 사람을 '해커'라고 부르는 배경이 되었다. 따라서 이 단어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오랫동안 이끈 뛰어난 기술자보다는, 개인의 "임시변통 아이디어"나 "영감"을 중시하는 호칭이다. 스티븐 레비는 MIT 모형 철도 클럽에서 장난스럽게 시작된 'hack'이 점차 컴퓨터 내부를 탐구하고 기술적 문제를 임기응변으로 해결하는 사람을 '해커'라고 부르는 것으로 변화해 간 과정을 설명한다.
2. 2. 초기 해커 문화
'해커'라는 용어는 1950년대 말 MIT의 동아리 테크모델철도클럽(TMRC)에서 처음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클럽은 모형 기차의 정교한 제작을 연구하는 그룹과 기차 간 충돌 방지 제어를 연구하는 그룹으로 나뉘어 있었다. 당시 MIT에는 DEC가 기증한 PDP-1 미니컴퓨터가 있었는데, 모형기차 제어에 관심이 많던 두 번째 그룹 학생들은 PDP-1의 중앙회로와 작동 원리가 모형기차 제어대와 유사하다는 점에 흥미를 느꼈다.
이 학생들이 PDP-1을 너무 오랜 시간 이용하자 대학 측은 비용 문제를 이유로 컴퓨터가 위치한 전산실 문을 잠가버렸다. 하지만 학생들은 벽을 넘어 들어가는 방식으로(월담) 컴퓨터 사용을 계속했다. 이 시기, 당시 기준으로 초기 형태였던 PDP-1에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데 뛰어난 재능을 보인 학생들을 '해커'라고 불렀고, 프로그래밍 행위 자체를 '핵(hack영어)'이라고 지칭했다.
해커 문화는 이렇게 1960년대 MIT의 테크 모델 철도 클럽(TMRC)[15]와 MIT 인공지능 연구소[16]를 중심으로 형성된, 열정적인 컴퓨터 프로그래머와 시스템 설계자 공동체에서 유래했다.[17]
초기 '핵(hack영어)'의 의미는 ''The Hacker's Dictionary영어''(해커 영어 사전)에 따르면 "필요한 것을 그다지 능숙하지는 않지만 어떻게든 만들어내는 임시변통의 작업"이었다. 같은 자료에서 '해커(hacker영어)'는 "컴퓨터 시스템의 세부 사항이나 그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즐기는 사람으로, 최소한만 배우려는 대다수 사용자와 대조적"이라고 설명된다. 스티븐 레비(Steven Levy)는 저서 ''HACKERS영어''(해커스)에서 '핵'이 MIT 모형 철도 클럽에서 장난기 있는 행위를 지칭하다가, 점차 컴퓨터 내부를 탐구하고 응급 처치식 기술 대응을 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변화했다고 설명한다. 이 어원에 따르면 '핵'은 신중하고 계획적인 작업과는 거리가 멀며, 기지가 넘치고 즉흥적인 해결 능력이 뛰어난 사람을 '해커'라고 불렀다. 따라서 해커는 개인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나 영감을 중시하는 호칭이었으며, 대규모 프로젝트를 장기간 이끄는 기술자와는 구분되었다.
한편, '해커'라는 용어가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된 초기 사례도 있다. MIT 학생 신문인 ''The Tech''는 이미 1963년에 전화 시스템을 조작하는 사람을 가리켜 '해커'라는 용어를 경멸적으로 사용하기도 했다.[8] 일본공업규격 JIS X 0001-1994 역시 "고도의 기술을 가진 컴퓨터 매니아."(01.07.03)라는 긍정적 정의와 함께, "고도의 기술을 가진 컴퓨터 매니아로서, 지식과 수단을 활용하여, 보호된 자원에 권한 없이 접근하는 사람."(01.07.04)이라는 과거의 의미를 반영한 정의도 제시하고 있다.[31][32]
2. 3. 한국의 해커 문화
해커 문화는 1960년대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의 테크 모델 철도 클럽(TMRC)[15]와 MIT 인공지능 연구소[16]를 중심으로 열정적인 컴퓨터 프로그래머와 시스템 설계자 공동체에서 유래한 개념이다.[17] 이 개념은 1970년대 후반 하드웨어(예: 홈브루 컴퓨터 클럽)[18]에 초점을 맞춘 취미로서의 가정용 컴퓨팅 공동체로 확장되었고,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소프트웨어(비디오 게임,[19] 소프트웨어 크래킹, 데모씬)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후 예술 및 라이프 해킹과 같은 많은 새로운 정의를 포함하게 되었다.3. 윤리적 의미
'해커'(hacker)라는 단어는 본래 가치중립적인 의미를 지녔으나, 오늘날에는 '컴퓨터 지식을 이용하여 타인의 정보 시스템에 침입하거나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이라는 부정적인 의미로 더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부 컴퓨터 전문가 커뮤니티에서는 이러한 용법은 잘못이며, 불법적인 행위를 하는 사람은 크래커(cracker)라고 불러야 한다고 주장한다.[40] 리누스 토르발스, 리처드 스톨먼, 에릭 레이먼드와 같은 저명한 프로그래머들도 '해커'로 불린다.
현재 '해킹' 또는 '해커'라는 말은 행위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의도를 명확히 구분하고자 할 때는 합법적이고 윤리적인 경우 화이트햇 해커, 불법적이고 비윤리적인 경우 블랙햇 해커 또는 크래커, 그 중간적이거나 구분이 모호한 경우 그레이햇 해커로 분류하기도 한다.
에릭 레이먼드는 오픈 소스 개발을 공유가치 추구의 한 방법으로 보았다. 그의 저서 《성당과 시장》에서는 정보가 제한된 사회를 위계적인 성당 구조에, 정보가 자유롭게 흐르는 사회를 수평적인 시장 구조에 비유하며, 정보의 자유로운 접근과 공유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해커'라는 단어에는 크게 두 가지 정의가 공존한다.[3]
# 원래 의미: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능통한 숙련된 컴퓨터 기술 애호가이자 프로그래밍 하위 문화(해커 문화)의 지지자.
# 변화된 의미: 컴퓨터 보안을 무력화할 수 있는 사람. 악의적인 경우 크래커라고도 불린다.
1990년대 이후 대중 매체의 영향으로 '해커'는 주로 컴퓨터 범죄자를 지칭하는 용어로 굳어졌다.[4] 여기에는 자신이 사용하는 도구의 원리를 잘 알지 못하는 스크립트 키디와 같은 미숙한 이들도 포함된다.[5] 이러한 용법이 지배적이 되면서 원래의 긍정적인 의미는 대중에게 거의 알려지지 않게 되었다.[6] 프로그래밍 하위 문화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용어의 오용으로 간주하며, 보안 침해자를 '크래커'(금고털이범과 유사)라고 부르며 구분하려 한다.
이 용어 논쟁은 '해커'가 본래 무언가를 탐구하고 재치 있게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을 긍정적으로 지칭하는 말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컴퓨터 범죄자를 가리키는 의미로 변질되었다는 주장에 기반한다. 하지만 프레드 샤피로는 '해커'라는 단어에 악의적인 함의가 이미 1963년 MIT에서 전화망 무단 사용자를 지칭할 때부터 존재했다고 주장하며, 원래 긍정적인 의미만 있었다는 통념에 반박한다.[8][9] 이는 오늘날의 컴퓨터 보안 해커 하위 문화로 이어진 프리커 운동과 관련이 있다.
일본공업규격(JIS X 0001-1994)에서도 해커를 "고도의 기술을 가진 컴퓨터 매니아"와 "고도의 기술을 가진 컴퓨터 매니아로서, 지식과 수단을 활용하여, 보호된 자원에 권한 없이 접근하는 사람"이라는 두 가지로 정의하며[31] 시대에 따른 의미 변화를 반영한다.[32] 스티븐 레비의 저서 《해커스》(HACKERS)에 따르면, '해커'라는 단어가 현재와 유사한 의미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의 모형 철도 클럽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본래 이 단어는 "대충이지만 잘 작동하는 임시변통의 일을 하는 사람", "도끼 하나로 가구를 만드는 장인"과 같이 기지가 넘치고 즉흥적인 해결 능력이 뛰어난 사람을 가리키는 뉘앙스를 가졌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하면서 악의적인 목적으로 해킹 기술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 사회적 문제가 되었고, 컴퓨터 바이러스와 같은 악성 프로그램 제작자까지 '해커'로 불리게 되었다. 이러한 오용에 대한 반발로 컴퓨터를 이용해 악행을 저지르는 자를 크래커 또는 도둑으로 구분하여 '해커' 본래의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인 의미를 되살리려는 시도가 있었다.[33] 하지만 대중 매체에서는 여전히 네트워크 범죄자를 '해커'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많으며[33], 특히 미국 언론에서는 'cracker'보다 'hacker'가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중국에서는 黑客(헤이커)라는 단어가 일반적으로 쓰인다.[33]
결론적으로 '해커'의 정의는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 기술 커뮤니티에서는 본래의 긍정적 의미를 지키려 하지만, 대중적으로는 부정적인 의미가 훨씬 강하게 통용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해킹 기술 자체는 선악의 목적 모두에 사용될 수 있는 자물쇠 따기와 같은 기술에 비유하며 중립적인 관점을 제시하기도 한다.
3. 1. 화이트햇 해커
합법적이고 윤리적인 해커나 보안 연구자를 화이트햇 해커라고 부른다. 이들은 선의를 가지고 자신의 기술을 좋은 목적으로 사용하는 해커를 의미한다.[39] 화이트햇 해커는 시스템의 취약점을 찾아내어 블랙햇 해커나 크래커와 같은 악의적인 해커들로부터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대상 시스템의 소유주에게 고용되어 활동하며, 시스템 소유주의 동의를 받고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들의 활동은 불법이 아니다. 때로는 상당한 급여를 받기도 한다.컴퓨터 침입에 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범죄 행위와 합법적인 행위를 구분하기 위해 블랙햇, 화이트햇, 그레이햇과 같은 용어들이 등장했다. 보안 경연대회 등에서는 생산적이고 선의를 가진 해커를 화이트햇 해커(White hat hacker)라고 부르며, 여러 나라에서 화이트햇 해커를 육성하려는 활동을 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화이트햇 해커를 "공격적인 보안 연구자(offensive security researcher)"로 바꾸자는 제안도 있다.[39]
3. 2. 블랙햇 해커 (크래커)
블랙햇 해커(Black Hat Hacker)는 악의적인 의도를 가지고 컴퓨터 보안 시스템을 침해하는 사람을 의미한다.[14][39] 이들은 주로 개인적인 이익을 목적으로 데이터를 훔치거나 시스템을 악용하며, 탈취한 정보를 판매하는 등 불법적인 활동을 벌인다.[14]본래 '해커'라는 단어는 뛰어난 컴퓨터 기술 전문가를 지칭하는 가치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인 의미를 지녔으나, 1980년대 이후 대중 매체에서 컴퓨터 범죄자를 가리키는 용어로 주로 사용하면서 부정적인 인식이 강해졌다.[4][27] 이러한 용어 오용에 대해 일부 컴퓨터 전문가 커뮤니티에서는 악의적인 침입자를 '크래커(Cracker)'라고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40][37] 에릭 레이먼드는 해커가 창조적인 활동을 하는 반면, 크래커는 파괴적인 활동을 한다고 구분하기도 했다.[38]
'크래커'는 종종 블랙햇 해커와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되지만[14], 때로는 단순히 시스템을 파괴하는 것을 넘어 이익을 추구하는 고도로 숙련된 블랙햇 해커를 특정하여 지칭하기도 한다.[14] 이들은 시스템의 취약점을 찾아내 시스템 소유주에게 수정 방법을 팔거나, 다른 블랙햇 해커에게 악용 방법을 넘겨 정보를 훔치고 이득을 취하는 방식으로 활동한다.[14]
하지만 이러한 구분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 대중 매체나 일반 대중은 기술 수준과 무관하게 모든 컴퓨터 범죄자를 통칭하여 '해커'라고 부르는 경향이 지배적이며[6][28], '크래커'라는 용어는 상대적으로 잘 사용되지 않는다.[33] 미국 언론 보도에서는 'cracker'보다 'hacker'가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되며, 중국에서는 黑客(헤이커)라는 단어가 일반적으로 쓰인다.[33]
블랙햇 해커는 선의를 가지고 시스템 취약점을 찾아 보안 강화에 기여하는 화이트햇 해커나, 때로는 법이나 윤리적 기준을 넘나들지만 악의적인 의도는 없는 그레이햇 해커와는 명확히 구분된다. 최근에는 블랙햇 해커를 '공격자(attacker)', 화이트햇 해커를 '공격적인 보안 연구자(offensive security researcher)'로 대체하자는 제안도 나오고 있다.[39]
3. 3. 그레이햇 해커
화이트햇 해커와 블랙햇 해커의 중간적 성격을 띠거나 구분이 불분명한 해커를 그레이햇 해커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들은 때때로 법률이나 일반적인 윤리적 기준을 위반할 수 있지만, 블랙햇 해커처럼 악의적인 의도를 가지고 있지는 않은 컴퓨터 보안 전문가를 의미한다. 컴퓨터 침입에 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범죄 행위와 합법적인 행위를 구분하기 위해 블랙햇, 화이트햇과 함께 등장한 용어 중 하나이다.4. 해커의 동기
해커가 컴퓨터와 네트워크에 침입하는 데에는 크게 네 가지 동기가 있다.
첫째, 신용카드 번호를 훔치거나 금융 시스템을 조작하는 등 범죄를 통해 금전적 이익을 얻으려는 목적이다.
둘째, 해커 사회 내에서 자신의 명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이다. 이들은 자신이 공격한 웹사이트에 자신의 별명(핸들)이나 해킹의 증거를 남기기도 한다.
셋째, 기업 스파이 활동을 통해 경쟁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 정보를 빼내 시장에서 이용하려는 목적이다.
넷째, 특정 국가의 지원을 받아 사이버 공간에서 전쟁 행위를 하거나 정보를 수집하려는 목적이다.[19]
5. 해커의 유형
해커라는 단어는 크게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본래 해커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에 능숙한 컴퓨터 기술 애호가이자 프로그래밍 하위 문화를 지지하는 사람을 의미했다. 해커 문화가 이에 해당한다.[3] 다른 하나는 컴퓨터 보안을 무력화할 수 있는 사람을 가리키는 의미이다. 악의적인 목적으로 보안을 무력화하는 경우 크래커(cracker)라고 부르기도 한다.
1990년대 이후 대중 매체의 영향으로 '해커'라는 단어는 주로 컴퓨터 범죄자를 가리키는 부정적인 의미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4] 여기에는 자신이 사용하는 도구의 작동 원리를 거의 알지 못하면서 다른 사람이 만든 도구를 사용하는, 상대적으로 기술 수준이 낮은 스크립트 키디(script kiddy)도 포함된다.[5] 이러한 용법이 워낙 널리 퍼져서, 일반 대중은 해커라는 단어에 다른 긍정적인 의미가 있다는 사실을 거의 알지 못한다.[6]
컴퓨터 보안 분야의 해커들은 취미로 해킹하는 사람들이 스스로를 해커라고 부르는 것을 일반적으로 인정하지만, 초기의 프로그래밍 하위 문화에 속했던 사람들은 컴퓨터 침입과 관련된 부정적인 의미로 해커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잘못되었다고 생각한다. 이들은 보안을 침해하는 사람들을 '크래커'(금고털이범과 유사)라고 부르며 두 의미를 구분하려 한다. 이들은 해커라는 용어가 원래 무언가를 가지고 즐겁게 탐구하거나 장난기 넘치는 재치를 발휘하여 목표를 달성하는 사람을 긍정적으로 지칭하는 말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컴퓨터 범죄자를 가리키는 말로 의미가 변질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프레드 샤피로는 '해커'가 원래 긍정적인 의미였고 부정적인 의미는 나중에 왜곡된 것이라는 일반적인 통념이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는 이미 1963년 MIT에서 전화망에 무단으로 접속하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부정적인 의미로 '해커'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음을 발견했다. 이는 오늘날 컴퓨터 보안 해커 하위 문화로 이어진 프리킹(phreaking) 운동과 관련이 있다.[8][9]
보안과 관련된 부정적인 의미가 널리 퍼지면서 원래의 긍정적인 의미는 점차 잊혀 갔다. 대중 매체와 일반 대중에게 '해커'는 거의 전적으로 '컴퓨터 침입자' 또는 '컴퓨터 범죄자'를 의미하게 되었다. 반면, 컴퓨터 애호가나 해커 문화 내에서는 여전히 뛰어난 프로그래머나 기술 전문가를 칭찬하는 의미로 주로 사용된다. 기술 커뮤니티의 상당수는 해커 사전(Jargon File)의 정의처럼 후자가 올바른 용법이라고 주장한다. 때로는 '해커'가 단순히 '괴짜(geek)'와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한다.[7]
프로그래머 하위 문화의 해커와 컴퓨터 보안 해커는 역사적 기원과 발전 과정이 다르지만, 1970년대 초반 프리킹에서는 상당한 중복이 있었다고 해커 사전은 보고한다.[20] 그러나 점차 책임감 없이 활동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이러한 중복은 줄어들었다. 레이먼드에 따르면, 프로그래머 해커들은 보통 공개적으로 활동하고 실명을 사용하지만, 보안 해커들은 비밀스러운 그룹을 이루고 가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23] 활동 내용도 달라서, 프로그래머 해커는 새로운 인프라를 만들고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는 반면, 보안 해커는 주로 보안 조치를 우회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러한 관점 차이는 보안 조치가 의도적으로 배제된 MIT의 비호환 시분할 시스템(Incompatible Timesharing System) 설계에서도 나타난다.
물론 프로그래머 해커들도 기본적인 보안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때로는 경계가 모호해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유닉스 개발자 중 한 명인 켄 톰슨은 1983년 튜링상 강연에서 컴파일러 자체를 수정하여 트로이 목마를 심는 방법을 설명했지만, 동시에 컴퓨터 보안 해커들의 파괴적인 행위와는 명확히 선을 그었다.[21] 프로그래머 해커 문화에서는 작업을 방해하는 장벽을 제거하기 위해 보안 메커니즘을 우회하는 것을 정당화하기도 하지만[22], 이것이 주된 활동은 아니다.[23]
1980년대 중반 이후 두 하위 문화 간의 교류와 중복이 일부 발생했다. 모리스 웜을 만든 로버트 T. 모리스는 MIT-AI 연구소 사용자였지만 보안 사고를 일으켰다. 해커 사전은 그를 "실수를 저지른 진정한 해커"라고 평한다.[24] 그럼에도 프로그래머 커뮤니티는 일반적으로 보안 해커들과 거리를 두며, 그들을 '크래커'라고 부르고 해커의 정의에 포함시키기를 거부한다. 반면 보안 해커 커뮤니티는 두 문화를 엄격히 구분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으며, 많은 공통점이 있다고 인식한다.
결론적으로 '해커'의 정의는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 부정적인 의미가 지배적인 것에 대해 원래의 긍정적인 의미를 지지하는 많은 사람들은 불만을 표하며[29], '크래커'와 같은 대안 용어를 사용할 것을 주장한다. 다른 이들은 일반적인 대중적 용법을 따르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보기도 한다. 일부는 문맥에 따라 두 가지 의미를 모두 사용하기도 한다.
일본공업규격(JIS X 0001-1994)에서는 해커를 "고도의 기술을 가진 컴퓨터 매니아"(01.07.03)와 "고도의 기술을 가진 컴퓨터 매니아로서, 지식과 수단을 활용하여, 보호된 자원에 권한 없이 접근하는 사람"(01.07.04)이라는 두 가지로 정의하고 있다.[31] 이는 시대에 따라 의미가 변화했기 때문이다.[32] 해커의 어원은 1960년대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의 모형 철도 클럽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으며, 원래는 "대충이지만 잘 작동하는 임시변통의 일을 하는", "기지가 넘치는" 사람을 가리키는 긍정적인 뉘앙스를 가졌다.
5. 1. 활동 목적에 따른 분류
보안 해커는 컴퓨터 보안을 우회하는 데 관여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며, 활동 목적이나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화이트햇 해커(White hat hacker)
: 시스템의 취약점을 찾아 데이터를 보호하고 시스템 보안을 강화하는 해커이다.[39] 이들은 주로 대상 시스템 소유주에게 고용되어 합법적으로 활동하며, 때로는 상당한 보수를 받기도 한다. 선의를 가지고 기술을 선량한 목적으로 이용하는 해커를 의미하며[39], "공격적인 보안 연구자(offensive security researcher)"로 바꿔 부르자는 제안도 있다.[39] 보안 경연대회 등에서는 생산적인(선의의) 해커를 화이트햇 해커라고 부르며, 여러 나라에서 화이트햇 해커 육성을 위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 블랙햇 해커(Black hat hacker) 또는 크래커(Cracker)
: 악의적인 의도를 가진 해커이다.[39] 이들은 종종 데이터를 훔치고, 악용하고, 판매하며 개인적인 이익을 추구한다. 이들의 활동은 대부분 불법이다. 사이버 공격 등을 하는 해커를 의미하며[39], "공격자(attacker)"로 바꿔 부르자는 제안도 있다.[39] 크래커는 블랙햇 해커와 거의 동의어로 사용되지만[14], 때로는 이익을 위해 시스템 취약점을 찾아내 악용하는 매우 숙련된 블랙햇 해커를 특정하여 지칭하기도 한다. 컴퓨터를 이용하여 컴퓨터 바이러스와 같은 악성 프로그램을 만들거나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악용하는 등 악행을 저지르는 자를 크래커라고 부르며 해커와 구분하려는 시도도 있지만[33], 미국 등 영어권 언론에서는 여전히 해커(hacker)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중국에서는 黑客(헤이커)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 그레이햇 해커(Gray hat hacker)
: 때때로 법률이나 일반적인 윤리적 기준을 위반할 수 있지만, 블랙햇 해커처럼 악의적인 의도를 가지고 있지는 않은 컴퓨터 보안 전문가이다.
; 시빅 해커(Civic hacker)
: 자신의 보안 및/또는 프로그래밍 능력을 사용하여, 종종 공개적이고 오픈소스인 솔루션을 만들어, 동네, 도시, 주 또는 국가 및 그 안의 인프라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해커이다.[10] NASA와 같은 기관이나 지방 자치 단체는 시빅 해커의 참여를 장려하기 위해 해커톤을 개최하거나 특정 날짜를 "시민 해킹의 날"로 홍보하기도 한다.[11] 시빅 해커는 자율적으로 활동하기도 하고, 정부나 지역 인프라와 협력하기도 한다.[12] 예를 들어, 2008년 필라델피아의 시빅 해커 윌리엄 엔트리켄(William Entriken)은 지역 SEPTA 기차의 실제 도착 시간과 예정된 시간을 비교하여 표시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했다.[13]
이 외에도 활동 방식이나 기술 수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하기도 한다.
; 어택커(Attacker)
: 접근 제한 돌파나 제어 기능 파괴를 주로 시도하는 크래커이다. 인터넷 서버 등의 취약점을 불법적인 목적으로 찾거나, DoS 공격과 같은 서비스 거부 공격을 수행하는 자를 가리킨다.
; 반달(Vandal)
: 어택커 중에서 넓은 의미의 훼손 행위(vandalism)를 하는 자를 의미한다. 네트워크를 주요 표적으로 삼아 기능 자체를 파괴하기보다는 정보 교환을 방해하는 행위(DoS 공격, 메일 폭탄, 스팸 게시 등)를 한다. 스크립트 키디인 경우가 많다.
; 프리커(Phreaker)
: 전화 회선에 정통한 크래커이다. 불법적인 통화를 목적으로 전화 시스템을 조작하는 행위를 한다. 존 T. 드레이퍼(캡틴 크런치)가 1970년대에 이러한 행위를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스크립트 키디(Script kiddy)
: 타인이 만든 도구나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공격하며, 해당 도구의 작동 원리에 대한 이해는 부족한 사람들을 지칭한다.[5] 불법 목적으로 작성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거나 불법 복제된 상용 애플리케이션을 복제, 배포하는 등의 행위를 한다. 언론에 보도되는 많은 사건의 배후에 스크립트 키디가 있는 경우가 많다.
; 와너비(Wannabe)
: 컴퓨터, 특히 개인용 컴퓨터에 대해 높은 수준의 사용자이면서 불법 행위에 관심을 보이거나 아는 체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해커가 되고 싶어하는 바보"("I wanna be a hacker")에서 유래했으며, 일본어 속어인 "주방"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 뉴비(Newbie)
: 컴퓨터 기술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초보자나 학습자를 의미한다. "신입"(new boy) 또는 "와너비가 된 지 얼마 안 된 바보"(new wannabe)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으며, newb, noob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해커들이 컴퓨터와 네트워크에 침입하는 동기는 다양하다. 신용카드 번호 절도나 금융 시스템 조작을 통한 금전적 이익, 해커 하위 문화 내에서의 명성 획득(자신이 공격한 웹사이트에 흔적을 남기는 등), 기업 스파이 활동을 통한 정보 절취, 국가 차원의 사이버전 수행 및 정보 수집 등이 주요 동기로 꼽힌다.[19]
일본공업규격(JIS X 0001-1994)에서는 해커를 "고도의 기술을 가진 컴퓨터 매니아"(01.07.03)와 "고도의 기술을 가진 컴퓨터 매니아로서, 지식과 수단을 활용하여, 보호된 자원에 권한 없이 접근하는 사람"(01.07.04) 두 가지로 정의하고 있다.[31] 이는 사용되는 시대에 따라 의미가 달라졌기 때문이다.[32] 원래 'hack'이라는 단어는 "대충이지만 잘 작동하는 임시변통의 일을 하는 것" 또는 "기지가 넘치고 사소한 일을 잘하는 사람"을 의미하는 긍정적인 뉘앙스를 가졌으나, 점차 컴퓨터 시스템의 세부 사항을 탐구하고 그 능력을 확장하는 것을 즐기는 사람을 가리키게 되었다. 에릭 레이먼드는 해커는 무언가를 창조하는 사람이고, 크래커는 무언가를 파괴하는 사람이라고 구분하며, 스스로 "해커"임을 자칭하는 사람일수록 "크래커"일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38] 드물게 해커 이상의 뛰어난 기술자를 위저드(wizard)나 구루(guru)라고 부르기도 한다(예: 리눅스 커널 개발자 리누스 토르발즈).
6. 해커 문화와 오픈 소스
에릭 레이먼드는 오픈 소스 개발을 공유가치를 추구하는 방법으로 보았다. 그의 저서 성당과 시장에서는 정보가 제한된 사회를 위계적인 성당 구조에 비유하며, 이러한 구조가 정보의 자유로운 흐름을 막고 분업화를 조장한다고 설명했다. 반면, 시장은 수평적 구조로 정보가 자유롭게 공유되며, 이를 통해 모두가 정보에 쉽게 접근하고 공유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해커 문화는 1960년대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의 테크 모델 철도 클럽(TMRC)[15]와 MIT 인공지능 연구소[16]를 중심으로 형성된 열정적인 컴퓨터 프로그래머와 시스템 설계자 공동체에서 비롯되었다.[17] 이 문화는 1970년대 후반에는 홈브루 컴퓨터 클럽[18] 등 하드웨어 중심의 취미 가정용 컴퓨터 공동체로 확장되었고,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비디오 게임[19], 소프트웨어 크래킹, 데모씬 등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발전했다. 이후 예술 및 라이프 해킹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되었다.
7. 관련 용어
'해커'(hacker)라는 단어는 크게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 본래 '해커'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에 능통한 숙련된 컴퓨터 기술 애호가이자 프로그래밍 하위 문화를 지지하는 사람을 의미했다. 이는 해커 문화와 관련이 깊다.[3] 이들은 시스템의 세부 사항을 탐구하고 기능을 확장하는 것을 즐기며,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중시한다. ''해커 사전''에서는 이를 긍정적인 의미로 정의한다.
# 다른 의미는 컴퓨터 보안 시스템을 무력화할 수 있는 사람을 가리킨다. 만약 악의적인 목적으로 이런 행위를 한다면 크래커(cracker)라고 부르기도 한다.
1990년대 이후 대중 매체의 영향으로 '해커'는 주로 컴퓨터 범죄자를 지칭하는 부정적인 의미로 널리 쓰이게 되었다.[4] 여기에는 자신이 사용하는 도구의 원리를 잘 알지 못하고 다른 사람이 만든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상대적으로 기술 수준이 낮은 스크립트 키디(script kiddy)도 포함된다.[5] 이러한 용법이 너무 일반화되어, 많은 사람들은 해커의 본래 긍정적인 의미를 잘 알지 못한다.[6]
프로그래밍 하위 문화에 속하는 사람들은 컴퓨터 침입과 관련된 부정적인 의미의 사용을 잘못되었다고 생각하며, 보안 시스템을 파괴하는 이들을 '크래커'(금고털이범과 유사)라고 부르며 구분하려 한다. 이들은 '해커'라는 용어가 원래 무언가를 가지고 장난치듯 즐겁게 탐구하며 목표를 달성하는 사람을 긍정적으로 지칭하는 말이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용어의 의미가 변질되어 컴퓨터 범죄자를 가리키게 되었다는 것이다.
프레드 샤피로는 '해커'가 원래 긍정적인 의미였고 부정적인 의미는 나중에 왜곡된 것이라는 통념에 반박한다. 그는 이미 1963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전화망에 무단으로 접속하는 사람들을 '해커'라고 부정적으로 지칭한 사례를 발견했다. 이는 오늘날 컴퓨터 보안 해커 문화의 뿌리가 된 프리커(phreaker) 활동과 관련이 있다.[8][9]
컴퓨터 보안 분야에서는 해커를 활동 방식과 의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하기도 한다.
용어 | 설명 |
---|---|
화이트햇 해커 (White hat hacker) | 시스템 취약점을 찾아 데이터를 보호하려는 선의의 해커. 시스템 소유자의 허가를 받고 합법적으로 활동한다. 착한 해커, 윤리적 해커라고도 불린다. 최근에는 공격적인 보안 연구자(offensive security researcher)로 바꿔 부르자는 제안도 있다.[39] |
블랙햇 해커 (Black hat hacker) | 악의적인 의도를 가지고 개인적인 이익을 위해 데이터를 훔치거나 시스템을 파괴하는 해커. 활동은 대부분 불법이다. 나쁜 해커라고도 불린다. 최근에는 공격자(attacker)로 바꿔 부르자는 제안도 있다.[39] |
그레이햇 해커 (Gray hat hacker) | 선의와 악의의 경계에 있는 해커. 때때로 법이나 윤리적 기준을 어기지만, 블랙햇처럼 명백한 악의를 가지지는 않는다. |
이 외에도 해킹과 관련된 다양한 용어들이 있다.
용어 | 설명 |
---|---|
크래커 (Cracker) | 본래 해커라는 용어가 악의적인 의미로 오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 1985년에 만들어진 용어.[37] 정보 파괴, 불법 복제, 접근 제어 돌파 등 불법적인 활동을 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특히 이익을 위해 해킹하는 고도의 기술을 가진 블랙햇 해커를 의미하기도 한다.[14] 에릭 스티븐 레이먼드는 해커는 창조하고 크래커는 파괴한다고 구분했다.[38] 미국 주요 언론에서는 크래커 대신 해커를 더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
어태커 (Attacker) | 접근 제한 돌파나 시스템 기능 파괴를 즐기는 크래커. 서버의 버그를 악용하거나 DoS 공격 등을 수행한다. |
반달 (Vandal) | 훼손 행위를 하는 어태커. 기능 자체를 파괴하기보다 기능을 악용하여 정보 교환을 방해한다 (예: DoS 공격, 스팸 게시). 스크립트 키디인 경우가 많다. |
프리커 (Phreaker) | 전화망 시스템을 해킹하는 사람. 초기 해커 문화와 관련이 깊으며, 전화 요금을 내지 않고 통화하는 등의 행위를 했다. 존 T. 드레이퍼(캡틴 크런치)가 유명하다. |
스크립트 키디 (Script Kiddy) | 다른 사람이 만든 도구를 이용하여 해킹을 시도하는, 기술적 이해도가 낮은 사람. 주로 모방적인 불법 행위를 한다. |
와너비 (Wannabe) | 해커가 되고 싶어 하지만 실력은 부족하고 아는 척하는 사람. "I wanna be a hacker"에서 유래했다. 일본어 속어인 주방과 유사한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
뉴비 (Newbie) | 컴퓨터 기술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초보자. "new wannabe" 또는 "new boy"에서 유래했다. noob(눕)이라고도 불린다. |
해커의 본래 의미와 대중적인 의미 사이의 간극 때문에 용어 사용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프로그래밍 커뮤니티에서는 '해커'의 긍정적인 의미를 지키려 하고, 보안 침해 행위자는 '크래커'로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대중 매체와 일반 대중은 기술 수준과 관계없이 컴퓨터 범죄자 전반을 '해커'라고 부르는 경향이 강하다.[28]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해커'라는 단어는 사용하는 사람의 배경이나 관점에 따라 다른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일본공업규격(JIS X 0001-1994)에서는 "고도의 기술을 가진 컴퓨터 매니아"(01.07.03)와 "고도의 기술을 가진 컴퓨터 매니아로서, 지식과 수단을 활용하여, 보호된 자원에 권한 없이 접근하는 사람"(01.07.04)이라는 두 가지 정의를 하고 있다.[31] 이는 시대에 따라 의미가 변해왔음을 반영한다.[32] 중국에서는 해커를 '헤이커'(黑客)라고 음차하여 표기하는데, 이는 주로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에릭 스티븐 레이먼드는 해커로 활동하기 위한 전제 조건 중 하나로 영어 능력을 강조했다. 해커 문화와 인터넷의 작업 언어가 영어이며, 명확한 의사소통 능력이 중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34][35] 그는 또한 "해커는 무언가를 창조하고, 크래커는 무언가를 파괴한다"고 구분하며, 스스로 '해커'임을 내세우는 사람일수록 '크래커'일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38]
참조
[1]
논문
Tallinn, Hacking, and Customary International Law
https://scholarship.[...]
2020-09-06
[2]
논문
Searching Places Unknown: Law Enforcement Jurisdiction on the Dark Web
https://scholarship.[...]
2020-09-06
[3]
서적
Hackers: Heroes of the Computer Revolution
[4]
웹사이트
In '95, these people defined tech: Gates, Bezos, Mitnick and more
https://www.cnet.com[...]
2020-05-28
[5]
논문
Hacker types, motivations and strategies: A comprehensive framework
2022-03-01
[6]
잡지
A Short History of "Hack"
http://www.newyorker[...]
2015-11-03
[7]
간행물
S P A C E W A R: Fanatic Life and Symbolic Death Among the Computer Bums
Rolling Stone
[8]
웹사이트
Antedating of "Hacker"
http://listserv.ling[...]
2003-06-13
[9]
웹사이트
The Origin of "Hacker"
https://imranontech.[...]
2008-04-01
[10]
웹사이트
What is a Civic Hacker?
https://digital.gov/[...]
2013-05-15
[10]
잡지
White House, NASA Celebrate National Day of Hacking
https://www.wired.co[...]
[11]
웹사이트
Join Us for National Day of Civic Hacking
https://www.chhs.ca.[...]
2016-06-04
[11]
웹사이트
Open Data and Innovation at the National Day of Civic Hacking 2016
https://obamawhiteho[...]
2016-06-03
[11]
웹사이트
Time To Make Plans For June's National Day of Civic Hacking - IEEE Spectrum
https://spectrum.iee[...]
[11]
웹사이트
National Day of Civic Hacking is about 'civic bravery'
https://technical.ly[...]
2016-06-08
[11]
웹사이트
Government releases 'unprecedented amount of data' for National Day of Civic Hacking
https://venturebeat.[...]
2013-05-31
[12]
웹사이트
Bus pass: Civic hackers open transit data MTA said would cost too much to share
https://arstechnica.[...]
2015-02-25
[12]
웹사이트
Thanks to civic hackers, a Montreal company just made Baltimore's bus system more usable
https://technical.ly[...]
2015-02-25
[12]
웹사이트
This app shows you how often SEPTA Regional Rail is late (with fixes)
https://technical.ly[...]
2014-01-09
[12]
웹사이트
Why does this data from our troubled Philadelphia Traffic Court cost $11K?
https://technical.ly[...]
2014-07-11
[13]
웹사이트
Frustrated Over Late SEPTA Trains, Software Developer Creates App Proposing Better Schedules
https://www.nbcphila[...]
2014-01-20
[13]
웹사이트
This app shows you how often SEPTA Regional Rail is late (with fixes)
https://technical.ly[...]
2014-01-09
[13]
웹사이트
SEPTA rider creates app proposing 'better schedules'
https://www.metro-ma[...]
2014-01-22
[14]
웹사이트
What are crackers and hackers? Security News
http://www.pctools.c[...]
[15]
웹사이트
Happy 60th Birthday to the Word "Hack"
https://slice.mit.ed[...]
2015-04-06
[16]
웹사이트
The Early Hackers
http://www.catb.org/[...]
Thyrsus Enterprises
2000-08-25
[17]
기타
Levy, part 2
[18]
기타
Levy, part 3
[19]
논문
Developing Algorithms to Identify Spoofed Internet Traffic
Colorado Technical University
2014
[20]
웹사이트
phreaking
http://catb.org/~esr[...]
[21]
논문
Reflections on Trusting Trust
http://www.ece.cmu.e[...]
1984-08-01
[22]
웹사이트
The Hacker Community and Ethics: An Interview with Richard M. Stallman
https://www.gnu.org/[...]
GNU Project
[23]
웹사이트
cracker
http://catb.org/~esr[...]
[24]
웹사이트
Part III. Appendices
http://catb.org/jarg[...]
[25]
웹사이트
A Story About 'Magic'
http://catb.org/~esr[...]
[26]
웹사이트
Part III. Appendices
http://catb.org/jarg[...]
[27]
웹사이트
EDN - 'Hacker' is used by mainstream media, September 5, 1983
https://www.edn.com/[...]
2019-09-05
[28]
웹사이트
A who's who of hackers
http://tech.fortune.[...]
Fortune Magazine
[29]
웹사이트
TMRC site
http://tmrc.mit.edu/[...]
[30]
서적
ハッカー英語辞典
自然社
[31]
웹사이트
JIS X 0001
https://www.jisc.go.[...]
経済産業省審議会 日本産業標準調査会
[32]
서적
Free as in Freedom
https://www.oreilly.[...]
O’Reilly Media
[33]
서적
読書するプログラマ
翔泳社
1988-10-31
[34]
웹사이트
How To Become A Hacker
http://www.catb.org/[...]
[35]
웹사이트
How To Become A Hacker: Japanese
https://cruel.org/fr[...]
[36]
서적
ハッカーズ大辞典 改定新版
アスキー
[37]
서적
ハッカーズ大辞典 改定新版
アスキー
[38]
웹사이트
ハッカーになろう (How To Become A Hacker)
https://cruel.org/fr[...]
2008-09-09
[39]
웹사이트
IT用語から差別や偏見一掃へ、業界で進む言い換え ホワイトハッカーもダメ? いやそれってそもそも
https://www.itmedia.[...]
2021-04-26
[40]
웹인용
Internet Users' Glossary
https://tools.ietf.o[...]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구글, 사이버보안 AI 모델 ‘Sec-Gemini v1’ 발표 – 바이라인네트워크
오라클 클라우드, 600만 고객 SSO 비밀번호 정말 털렸나 – 바이라인네트워크
기업 데이터 암호화 전략, 가장 큰 어려움은 ‘데이터 위치 파악’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