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커스페이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커스페이스는 1990년대 독일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누구나 가입할 수 있는 개방적인 형태의 공간이다. 워크숍, 발표, 강연, 사교 활동 등을 통해 지식 공유와 커뮤니티 형성을 지원하며, 자유 소프트웨어, 오픈 하드웨어 개발에도 참여한다. 해커스페이스는 건축 법규, 재정적 어려움, 문화적 문제 등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지만, 심리 사회적 기술 향상, 실습 학습, 리더십 및 협업 기술 향상, 소외된 학생들을 위한 기회 제공 등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한국에서는 기술 공유와 협업을 촉진하며 지역 사회와의 연계 및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 개발 등 사회 참여적인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커 문화 - 메이커 문화
메이커 문화는 재미와 자기 충족을 동기로 능동적 학습을 장려하며, 다양한 영역의 융합과 커뮤니티 기반 지식 공유를 통해 개인 맞춤형 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문화 현상이다. - 해커 문화 - 해커 윤리
해커 윤리는 MIT에서 시작된 철학으로 지식 공유, 개방성, 분산화, 자유로운 접근, 세계 개선을 핵심 가치로 하며,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 DIY 문화 - 콜린 워드
콜린 워드는 영국의 무정부주의 사상가이자 저술가, 교육자로, 아나키즘 이론과 실제, 교육, 도시계획, 주택 문제 등 다양한 분야를 탐구하며 《프리덤》과 《아나키》의 편집자, 그리고 《도시 속의 아이》를 비롯한 여러 저서를 통해 탈학교, 자율적인 사회 조직, 주택 문제에 대한 아나키즘적 대안을 제시하고 젊은이들의 일상 공간 활용과 도시 환경에 대한 연구로 사회과학계에 영향을 미쳤다. - DIY 문화 - 인디 팝
인디 팝은 1980년대 영국 인디 신에서 발생하여 펑크 록의 DIY 정신과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영향을 받았으며, C86 컴필레이션 앨범을 통해 확산되었고 트위 팝, 시부야계 등의 하위 장르를 포함한다.
해커스페이스 | |
---|---|
개요 | |
![]() | |
유형 | 커뮤니티 조직 |
목적 | 공동 작업 학습 사회화 지식 공유 |
설명 | |
설명 | 해커스페이스(hackerspace), 메이커스페이스(makerspace), 핵랩(hacklab)은 비슷한 목표와 윤리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운영의 작업 공간이다. 해커스페이스는 사람들이 만나서 함께 작업하고, 배우고, 탐구하고, 사회화할 수 있는 물리적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공간은 종종 워크숍을 제공하고, 프리젠테이션을 주최하며, 다양한 프로젝트에 대한 사회적, 협력적 학습을 촉진한다. |
특징 | |
특징 | 해커스페이스는 공통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서로에게서 배우는 장소이다. 해커스페이스는 종종 다양한 도구와 장비를 갖추고 있어 회원들이 전자 제품, 로봇 공학, 목공, 금속 가공, 소프트웨어 개발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해커스페이스는 또한 커뮤니티 의식, 협업, 지식 공유를 강조한다. |
역사 | |
역사 | 최초의 해커스페이스는 1990년대 후반 유럽에서 등장했다. C-Base는 1995년 베를린에서 설립되었으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해커스페이스 중 하나이다. Hackerspaces.org는 전 세계 해커스페이스를 나열하는 위키이다. |
활동 | |
활동 | 해커스페이스는 다양한 활동을 지원한다. 전자 제품, 로봇 공학, 목공, 금속 가공, 소프트웨어 개발 등이 있다. 워크숍, 프리젠테이션, 소셜 이벤트 등이 있다.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메이커스페이스(Makerspace) 핵랩(Hacklab) 팹랩(Fab lab)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Lifehacker - How To Find And Get Involved With A Hackerspace |
관련 링크 | |
관련 링크 | Hackerspaces.org 위키 - 해커스페이스 목록 |
2. 역사
해커스페이스는 1990년대 독일에서 카오스 컴퓨터 클럽(CCC)의 영향을 받아 시작되었으며, 누구나 가입할 수 있는 개방적인 형태를 띠었다.
2000년대 이후, 해커스페이스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메탈랩(Metalab)을 설립한 파울 뵘(Paul Böhm)과 Hackerspaces.org가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크라우드 펀딩 역시 해커스페이스의 성장에 기여했다. 2006년부터 2016년까지 해커스페이스의 수는 급격히 증가했다. 2010년에는 신처젠(Xinchao Zhang)이 중국 최초의 해커스페이스를 설립하기도 했다.
2. 1. 초기 해커스페이스
해커스페이스는 1990년대 독일에서 카오스 컴퓨터 클럽(CCC)의 영향을 받아 확산되었다.[81] 베를린의 c-base(1995년 설립)는 학교, 대학, 회사 등에 소속되지 않은 최초의 독립적인 해커스페이스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Wired는 "유럽, 특히 독일에는 이러한 활동의 오랜 역사가 있다"고 보도했다.[84] 독일의 또 다른 해커스페이스로는 RaumZeitLabor가 있으며, 이곳에서는 Trollcon이 개최된다.[82]2. 2. 해커스페이스의 확산
200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해커스페이스가 확산되었다. 파울 뵘(Paul Böhm)이 설립한 메탈랩(Metalab)과 Hackerspaces.org의 역할이 컸으며, 크라우드 펀딩 또한 확산에 기여했다. 2006년부터 2016년까지 해커스페이스 수는 급증했다. 신처젠(Xinchao Zhang)이 2010년에 설립한 중국 최초의 해커스페이스도 있다.누구든지 가입할 수 있는 해커스페이스는 카오스 컴퓨터 클럽(CCC)의 영향권 아래 1990년대 독일에서 일반화되었다.
2. 3. 한국 해커스페이스의 역사
누구든지 가입할 수 있는 해커스페이스는 독일의 카오스 컴퓨터 클럽(CCC)의 영향권 아래 1990년대 독일에서 일반화되었다.3. 활동
해커스페이스에서는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진다. 워크숍, 발표, 강연 등을 통해 동료 학습과 지식 공유를 장려하며, 게임 나이트나 파티와 같은 사교 활동도 제공하여 회원 간의 커뮤니티 형성을 지원한다. 해커스페이스는 오픈 커뮤니티 연구소로 간주될 수 있으며, 기계 공작 작업장, 워크숍, 스튜디오의 요소를 통합하여 해커들이 함께 모여 자원과 지식을 공유하고 무언가를 만들 수 있도록 한다.[6]
많은 해커스페이스가 자유 소프트웨어, 오픈 하드웨어, 대안 미디어의 사용 및 개발에 참여한다. 이들은 종종 인포샵, 사회 센터, 성인 교육 센터, 공립 학교, 공공 도서관 또는 대학교 캠퍼스에 물리적으로 위치해 있지만, 더 많은 공간이 필요한 경우 산업 또는 창고 공간으로 이전할 수 있다.
해커스페이스는 머신 샵이나 워크숍, 또는 스튜디오와 같은 요소를 포함하며, 해커들이 함께 모여 자원과 지식을 공유하며 무언가를 구축하고 만들어내는 (Build and Make) 오픈 커뮤니티 랩으로 간주할 수 있다[74].
해커스페이스는 종종 인포샵이나 소셜 센터, 성인 교육 시설, 공립학교, 또는 대학교 캠퍼스와 같은 장소에 설립되지만, 더 많은 공간이 필요해지면 공장이나 창고와 같은 곳으로 이전할 수 있다.
해커스페이스에서 진행되는 활동은 장소마다 다르다. 전형적인 해커스페이스에서는 회원이 자신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다른 사람과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컴퓨터 도구와 공작 도구를 대여해주는 서비스[76]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시설 설비는 해커스페이스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부분이다. 공간 자체 외에도 기본적으로 모든 해커스페이스에서 전원, 컴퓨터 서버, 인터넷 연결을 제공한다. 더 고급 해커스페이스의 경우, 공구, 음향 기기, 프로젝터, 게임기, 전자 회로(오실로스코프 및 픽업 등), 해킹용 전자 부품 및 재료, 기타 전자 관련 물품 등 제작에 필요한 물품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77] 일부 해커스페이스는 식료품 보관 장소와 조리 도구를 마련하여 요리 강좌를 열기도 한다. 재봉, 공작, 미술용 도구 등은 모두 해커스페이스에서 중요한 물품이다.
한편, 인터넷 접근이 심하게 검열되는 중국에서는 새로운 사업체와 조직화된 기술 컨퍼런스가 현 상태에 "내부에서" 개입하는 역할을 한다. 중국 최초의 해커스페이스인 신처젠[7]은 2010년 상하이에 문을 열었으며, 이후 해커스페이스 네트워크가 등장하여 메이커 문화를 육성했다. 중국의 메이커들은 개방형 기술을 설계하고 새로운 사업체를 개발함으로써 시스템을 활용하고, 조롱하고, 변경하고, 도발한다.
한국 해커스페이스의 주요 활동한국의 해커스페이스는 기술 공유와 협업을 촉진하며, 특히 지역 사회와의 연계 및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 개발 등 사회 참여적인 활동이 두드러진다.
- 기술 교육 및 워크숍: 해커스페이스는 정기적으로 프로그래밍, 전자공학, 3D 프린팅 등 다양한 기술 교육 워크숍을 개최한다.
- 프로젝트 협업: 해커스페이스는 개인 또는 그룹 프로젝트를 위한 공간과 장비를 제공하며, 구성원 간의 협업을 장려한다.
- 지역 사회 연계 활동: 일부 해커스페이스는 지역 사회와 연계하여 사회적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개발하여 지역 주민들에게 대기 질 정보를 제공하거나, 장애인을 위한 보조 기구를 제작하는 등의 활동을 펼친다.
- 오픈 소스 프로젝트: 해커스페이스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개발을 지원하며,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하고 기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 해커톤 및 컨퍼런스: 해커스페이스는 해커톤, 컨퍼런스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여 기술 커뮤니티를 활성화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굴한다.
- 메이커 활동 지원: 해커스페이스는 메이커 운동의 중심지로서, 개인의 창작 활동을 지원하고 시제품 제작을 위한 장비와 공간을 제공한다.
3. 1. 지식 공유 및 협업
해커스페이스는 정보 공유의 장으로서 워크숍, 발표, 강연 등을 진행한다. 회원들에게 게임 나이트나 파티와 같은 사교의 장을 제공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회원이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다른 사람과 협력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컴퓨터 및 공작 도구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76]
해커스페이스는 프로젝트 완수를 위한 장소이므로 시설 설비가 중요하다. 기본적인 설비로 전원, 컴퓨터 서버, 인터넷 연결을 제공한다. 고급 해커스페이스의 경우 공구, 음향 기기, 프로젝터, 게임기, 전자 회로(오실로스코프 등), 해킹용 전자 부품 및 재료 등 제작에 필요한 물품을 제공한다.[77] 일부는 식료품 보관 장소와 조리 도구를 마련하여 요리 강좌를 열기도 한다. 재봉, 공작, 미술용 도구 또한 중요한 설비이다.
3. 2. 커뮤니티 활동
해커스페이스에서 진행되는 활동은 장소마다 다르지만, 정보 공유를 위한 워크숍, 프레젠테이션, 강의가 일반적이다. 또한, 게임 나이트나 파티와 같은 사교 활동을 통해 회원 간의 커뮤니티 형성을 지원하기도 한다.전형적인 해커스페이스는 회원이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다른 사람과 협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컴퓨터 도구와 공작 도구를 대여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76]
시설 설비는 해커스페이스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부분이다. 기본적인 전원, 컴퓨터 서버, 인터넷 연결 외에도, 공구, 음향 기기, 프로젝터, 게임기, 전자 회로(오실로스코프 등), 해킹용 전자 부품 및 재료 등 제작에 필요한 물품을 제공하는 곳도 있다.[77] 일부 해커스페이스는 식료품 보관 장소와 조리 도구를 마련하여 요리 강좌를 열기도 하며, 재봉, 공작, 미술용 도구 등도 중요한 물품으로 취급된다.
3. 3. 자유 소프트웨어 및 오픈 하드웨어
해커스페이스는 자유 소프트웨어, 오픈 하드웨어, 대안 미디어의 사용 및 개발에 참여하는 활동을 한다.3. 4. 한국 해커스페이스의 주요 활동
한국 해커스페이스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 기술 공유와 협업을 촉진하고 있다. 특히 지역 사회와의 연계 및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 개발 등 사회 참여적인 활동이 두드러진다.- 기술 교육 및 워크숍: 해커스페이스는 정기적으로 프로그래밍, 전자공학, 3D 프린팅 등 다양한 기술 교육 워크숍을 개최한다. 이를 통해 참가자들은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자신의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다.
- 프로젝트 협업: 해커스페이스는 개인 또는 그룹 프로젝트를 위한 공간과 장비를 제공하며, 구성원 간의 협업을 장려한다. 다양한 아이디어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 서로의 지식과 기술을 공유하며 혁신적인 프로젝트를 만들어낸다.
- 지역 사회 연계 활동: 일부 해커스페이스는 지역 사회와 연계하여 사회적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개발하여 지역 주민들에게 대기 질 정보를 제공하거나, 장애인을 위한 보조 기구를 제작하는 등의 활동을 펼친다.
- 오픈 소스 프로젝트: 해커스페이스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개발을 지원하며,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하고 기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기술 발전과 공유 문화 확산에 기여한다.
- 해커톤 및 컨퍼런스: 해커스페이스는 해커톤, 컨퍼런스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여 기술 커뮤니티를 활성화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굴한다. 이러한 행사는 참가자들에게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하고, 최신 기술 트렌드를 공유하는 장이 된다.
- 메이커 활동 지원: 해커스페이스는 메이커 운동의 중심지로서, 개인의 창작 활동을 지원하고 시제품 제작을 위한 장비와 공간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아이디어를 현실로 구현하고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는 데 기여한다.
4. 시설
해커스페이스는 회원들이 개인 프로젝트를 수행하거나 그룹 프로젝트를 협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장소마다 이용 가능한 도구와 자원은 다르다. 일반적으로 전력, 컴퓨터 서버, 네트워킹과 인터넷 연결을 제공한다.
해커스페이스가 점유하는 건물 또는 시설은 회원들이 프로젝트를 완료하는 데 필요한 물리적 인프라를 제공하며, 설비가 잘 갖춰진 곳은 공작 기계, 재봉, 공예, 예술 제작, 오디오 장비, 비디오 프로젝터, 게임 콘솔, 전자 계측기(예: 오실로스코프 및 신호 발생기), 전자 부품 및 해킹을 위한 원자재, 전자기기 제작 및 물건 제작을 위한 다양한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11] 또한 전문적인 대형 프린터, 3D 프린터, 레이저 절단기, 산업용 재봉틀, CNC 머신, 또는 워터 제트 절단기를 회원이 사용할 수 있다. 일부는 음식 보관 및 음식 준비 장비를 제공하며, 기본 또는 고급 요리 강좌를 가르치기도 한다.
전문 장비:해커스페이스는 회원들이 아이디어를 현실로 만들 수 있도록 다양한 전문 장비를 갖추고 있다.
- 공작 기계: 금속, 목재,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료를 가공할 수 있는 선반, 밀링 머신, 드릴 프레스 등의 공작 기계를 갖추고 있으며, 정밀한 부품 제작이나 DIY 프로젝트에 활용된다.
- 재봉 장비: 재봉틀, 자수틀, 재단기 등의 재봉 장비를 통해 의류 제작, 가죽 공예, 섬유 예술 등 다양한 창작 활동을 지원한다.
- 공예 도구: 목공 도구, 금속 공예 도구, 가죽 공예 도구, 도예 도구 등 다양한 공예 도구를 갖추고 있어 회원들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예술 제작 도구: 그림 도구, 조각 도구, 판화 도구 등 다양한 예술 제작 도구를 갖추고 있어 회원들의 예술 활동을 지원한다.
- 오디오 장비: 믹서, 마이크, 스피커, 오디오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오디오 장비를 갖추고 있어 음악 제작, 팟캐스트 제작, 음향 실험 등 다양한 활동을 지원한다.
- 비디오 프로젝터: 고화질 비디오 프로젝터를 통해 영화 감상, 프레젠테이션, 게임 등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다.
- 게임 콘솔: 다양한 종류의 게임 콘솔을 갖추고 있어 회원들이 함께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 전자 계측기: 오실로스코프, 함수 발생기, 멀티미터 등 다양한 전자 계측기를 갖추고 있어 전자 회로 개발, 전자 제품 수리, 전자 공학 연구 등 다양한 활동을 지원한다.
- 3D 프린터: 3D 프린터를 통해 플라스틱, 금속 등 다양한 재료로 원하는 형태의 물건을 만들 수 있다. 시제품 제작, 맞춤형 부품 제작, 예술 작품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레이저 절단기: 레이저 절단기를 사용하여 아크릴, 나무, 금속 등 다양한 재료를 정밀하게 절단하거나 조각할 수 있다. 간판 제작, 모형 제작, 예술 작품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CNC 머신: CNC 머신을 사용하여 컴퓨터 제어를 통해 정밀한 부품을 가공할 수 있다. 금속 가공, 목재 가공, 플라스틱 가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워터 제트 절단기: 워터 제트 절단기를 사용하여 고압의 물줄기를 이용하여 금속, 돌, 유리 등 다양한 재료를 절단할 수 있다. 두꺼운 재료나 복잡한 형상의 절단에 유용하다.
기타 시설:해커스페이스는 회원들이 간단한 음식을 보관하거나 준비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일부 해커스페이스는 공구 대여 라이브러리 또는 물리적 도구 대여 라이브러리를 운영하여 회원들이 필요한 도구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9]
한국 해커스페이스의 시설 현황:현재 한국에는 다양한 해커스페이스가 존재하지만, 시설 현황은 천차만별이다. 일부는 3D 프린터, 레이저 커터, 각종 공작 기계 등 다양한 장비를 갖추고 있어 멤버들이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지만, 대부분은 기본적인 작업 공간과 공구만을 제공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특히, 한국의 해커스페이스는 다음과 같은 부분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 장비 부족: 미국이나 유럽의 해커스페이스에 비해 장비의 종류와 수량이 부족하다. 멤버들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장비 확보가 필요하다.
- 공간 부족: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의 높은 임대료로 인해 넓은 공간을 확보하기 어렵다. 이는 멤버들의 활동 공간 부족으로 이어져 협업과 아이디어 교류를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 안전 문제: 일부 해커스페이스는 안전 교육 및 장비 관리가 미흡하여 사고 발생 위험이 있다. 멤버들이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안전 교육 강화와 장비 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 정부 지원 확대: 해커스페이스 설립 및 운영에 대한 정부 지원을 확대하여 장비 구입 및 공간 확보를 돕는다.
- 기업 후원 유치: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해커스페이스에 필요한 장비와 기술을 지원받는다.
- 커뮤니티 활성화: 해커스페이스 멤버들이 서로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협력하는 커뮤니티를 활성화한다.
한국의 해커스페이스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는 공간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시설 현황 개선과 커뮤니티 활성화가 필수적이다.
4. 1. 기본 시설
해커스페이스는 회원들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협업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시설을 제공한다. 이러한 시설에는 전력 공급, 컴퓨터 서버, 네트워킹 장비, 그리고 인터넷 연결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기본적인 시설들은 해커스페이스의 원활한 운영과 회원들의 창작 활동을 지원하는 데 필수적이다.4. 2. 전문 장비
해커스페이스는 다양한 전문 장비를 갖추고 있어 회원들이 아이디어를 현실로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한다.공작 기계: 금속, 목재,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료를 가공할 수 있는 선반, 밀링 머신, 드릴 프레스 등의 공작 기계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장비는 정밀한 부품 제작이나 DIY 프로젝트에 활용된다.
재봉 장비: 재봉틀, 자수틀, 재단기 등의 재봉 장비를 통해 의류 제작, 가죽 공예, 섬유 예술 등 다양한 창작 활동을 지원한다.
공예 도구: 목공 도구, 금속 공예 도구, 가죽 공예 도구, 도예 도구 등 다양한 공예 도구를 갖추고 있어 회원들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예술 제작 도구: 그림 도구, 조각 도구, 판화 도구 등 다양한 예술 제작 도구를 갖추고 있어 회원들의 예술 활동을 지원한다.
오디오 장비: 믹서, 마이크, 스피커, 오디오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오디오 장비를 갖추고 있어 음악 제작, 팟캐스트 제작, 음향 실험 등 다양한 활동을 지원한다.
비디오 프로젝터: 고화질 비디오 프로젝터를 통해 영화 감상, 프레젠테이션, 게임 등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다.
게임 콘솔: 다양한 종류의 게임 콘솔을 갖추고 있어 회원들이 함께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전자 계측기: 오실로스코프, 함수 발생기, 멀티미터 등 다양한 전자 계측기를 갖추고 있어 전자 회로 개발, 전자 제품 수리, 전자 공학 연구 등 다양한 활동을 지원한다.
3D 프린터: 3D 프린터를 통해 플라스틱, 금속 등 다양한 재료로 원하는 형태의 물건을 만들 수 있다. 시제품 제작, 맞춤형 부품 제작, 예술 작품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레이저 절단기: 레이저 절단기를 사용하여 아크릴, 나무, 금속 등 다양한 재료를 정밀하게 절단하거나 조각할 수 있다. 간판 제작, 모형 제작, 예술 작품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CNC 머신: CNC 머신을 사용하여 컴퓨터 제어를 통해 정밀한 부품을 가공할 수 있다. 금속 가공, 목재 가공, 플라스틱 가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워터 제트 절단기: 워터 제트 절단기를 사용하여 고압의 물줄기를 이용하여 금속, 돌, 유리 등 다양한 재료를 절단할 수 있다. 두꺼운 재료나 복잡한 형상의 절단에 유용하다.
4. 3. 기타 시설
해커스페이스는 회원들이 간단한 음식을 보관하거나 준비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일부 해커스페이스는 공구 대여 라이브러리 또는 물리적 도구 대여 라이브러리를 운영하여 회원들이 필요한 도구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4. 4. 한국 해커스페이스의 시설 현황
현재 한국에는 다양한 해커스페이스가 존재하지만, 시설 현황은 천차만별이다. 일부 해커스페이스는 3D 프린터, 레이저 커터, 각종 공작 기계 등 다양한 장비를 갖추고 있어 멤버들이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해커스페이스는 기본적인 작업 공간과 공구만을 제공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특히, 한국의 해커스페이스는 다음과 같은 부분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 장비 부족: 미국이나 유럽의 해커스페이스에 비해 장비의 종류와 수량이 부족하다. 멤버들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장비 확보가 필요하다.
- 공간 부족: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의 높은 임대료로 인해 넓은 공간을 확보하기 어렵다. 이는 멤버들의 활동 공간 부족으로 이어져 협업과 아이디어 교류를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 안전 문제: 일부 해커스페이스는 안전 교육 및 장비 관리가 미흡하여 사고 발생 위험이 있다. 멤버들이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안전 교육 강화와 장비 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 정부 지원 확대: 해커스페이스 설립 및 운영에 대한 정부 지원을 확대하여 장비 구입 및 공간 확보를 돕는다.
- 기업 후원 유치: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해커스페이스에 필요한 장비와 기술을 지원받는다.
- 커뮤니티 활성화: 해커스페이스 멤버들이 서로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협력하는 커뮤니티를 활성화한다.
한국의 해커스페이스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는 공간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시설 현황 개선과 커뮤니티 활성화가 필수적이다.
5. 조직
해커스페이스의 조직 구조와 운영 방식은 다양하며, 그 특성은 구성원에 의해 결정된다.[12][13] 몇 가지 일반적인 모델은 다음과 같다.
- 선출된 이사회: 일부 해커스페이스는 회원들이 선출한 이사회가 운영을 담당한다. 이사회는 새로운 장비 구매, 회원 모집, 정책 수립, 안전 기준 준수 등 행정적인 의사 결정을 담당한다. 런던 해커스페이스(London Hackspace)가 대표적인 예이다.[14]
- 종신 자비로운 독재자 (BDFL): 한 사람이 자신의 재산으로 해커스페이스를 설립한 경우, BDFL이 이끄는 경우가 있다.[15]
- 두-어크러시 (Do-ocracy): 작업에 대한 권한을 얻는 사람이 운영을 주도하는 무정부주의적인 모델이다.[16] 노이즈브릿지(Noisebridge)처럼 선출된 이사회 또는 합의 중심 회의와 결합되기도 한다.
해커스페이스의 주요 수입원은 회원의 회비이며, 스폰서를 받기도 한다. 미국의 일부 해커스페이스는 501(c)3 지위를 가지고 있어 면세 혜택을 받지만,[17] 면세 지위를 포기하는 곳도 있다. 대학 부속 해커스페이스는 회비를 부과하지 않지만, 학생, 교직원, 졸업생 등으로 이용 대상을 제한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다른 해커스페이스 방문객은 일반적으로 환영한다. 재정적으로 어려운 회원은 회비 대신 자원 봉사로 참여할 수 있으며, 첨단 벼룩시장을 통해 수입을 얻기도 한다.
해커스페이스는 도시 또는 국가를 넘어 다른 유사한 조직의 방문객을 환영하는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아이디어, 기술, 지식의 자유로운 교환을 장려한다. 이러한 교류는 "빌드 나이트", "오픈 도어", "오픈 하우스" 등의 정기적인 모임을 통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문화는 수평적인 의사소통을 지향하며, 구성원들의 자율적인 참여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한국 해커스페이스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한국의 해커스페이스는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며 협력하는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프로젝트 진행 방식에서도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고 개인의 아이디어를 존중하는 분위기이다.
해커스페이스는 회비, 스폰서, 기부금, 벼룩시장 등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며, 미국의 경우 501(c)3 비영리 단체로 등록하여 면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회원 관리, 규칙 제정, 분쟁 해결 등을 통해 커뮤니티를 관리하며, 아이디어, 기술, 지식의 자유로운 교환을 장려하는 데 중점을 둔다.
5. 1. 운영 방식
해커스페이스는 다양한 운영 모델을 채택할 수 있다. 몇 가지 일반적인 모델은 다음과 같다.- 선출된 이사회: 회원들이 이사회를 선출하여 공간 운영에 대한 결정을 내린다. 이 모델은 민주적인 의사 결정을 장려하지만, 의사 결정 과정이 느려질 수 있다.
- 종신 자비로운 독재자 (BDFL): 한 사람이 공간 운영에 대한 최종 결정 권한을 갖는다. 이 모델은 신속한 의사 결정을 가능하게 하지만, 독재자의 개인적인 편견이 공간 운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리누스 토르발스를 예시로 들 수 있다.
- 두-어크러시 (Do-ocracy): "하는 사람이 지배한다"는 원칙에 따라 운영된다. 이 모델에서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기여하는 사람이 공간 운영에 대한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 책임감 있는 참여를 장려하지만, 소수의 적극적인 참여자에게 권력이 집중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운영 모델이 존재하며, 각 해커스페이스는 자체적인 상황과 필요에 따라 가장 적합한 모델을 선택한다. 일부 해커스페이스는 위에서 언급된 모델을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중요한 것은 모든 회원이 공간 운영에 참여하고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5. 2. 재정 운영
해커스페이스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자금을 조달한다.- 회비: 회원들이 정기적으로 납부하는 회비는 해커스페이스 운영의 주요 수입원이다. 회비는 공간 임대료, 장비 유지 보수, 재료 구입 등에 사용된다.
- 스폰서: 기업이나 단체의 후원을 통해 자금을 확보할 수 있다. 스폰서는 해커스페이스의 활동을 지원하고, 해커스페이스는 스폰서에게 홍보 기회를 제공한다.
- 기부금: 개인이나 단체의 기부를 통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기부금은 해커스페이스의 운영 및 프로젝트 지원에 사용된다.
- 벼룩시장: 해커스페이스에서 벼룩시장을 개최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벼룩시장은 회원들이 자신의 물건을 판매하고, 해커스페이스는 판매 수수료를 받는다.
미국의 해커스페이스는 501(c)3 비영리 단체로 등록하여 면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501(c)3 단체는 기부금에 대한 세금 공제 혜택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해커스페이스의 자금 조달에 도움이 된다.
5. 3. 커뮤니티 관리
해커스페이스는 회원 관리, 규칙 제정, 분쟁 해결 등을 통해 커뮤니티를 관리한다. 아이디어, 기술, 지식의 자유로운 교환을 장려하는 문화를 조성하는 데 중점을 둔다.5. 4. 한국 해커스페이스의 조직 문화
한국 해커스페이스는 수평적인 의사소통을 지향하며, 구성원들의 자율적인 참여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며 서로 협력하는 문화를 가지고 있다. 프로젝트 진행 방식은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며, 개인의 아이디어를 존중하는 분위기다.6. 윤리
해커스페이스는 사람들이 만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커뮤니티 운영 물리적 공간으로 정의되며, 공간의 기능은 구성원에 따라 다양하다. 해커스페이스는 일반적으로 "해커 윤리"를 따르는데, 이는 자율성, 정보의 자유로운 접근 및 유통, 권위에 대한 불신, 학습을 통한 실천, 동료 간 학습, 공유, 연대 및 협력을 포함한다.[19] 또한, 해커스페이스는 동료 생산 원칙의 물리적 구현으로도 볼 수 있다.[13]
한국 해커스페이스는 창의적 활동과 협업을 장려하는 동시에 윤리적인 문제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며, 특히 다음과 같은 윤리적 가치를 고려해야 한다.
개인 정보 보호: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할 때 투명성을 유지하고 정보 주체의 동의를 얻어야 하며, 개인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한 보안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이다.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을 준수해야 한다.
지적 재산권 존중: 타인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하는 행위는 금지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 불법 복제, 특허 침해, 저작권 침해 등을 방지하기 위한 교육과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며, 오픈 소스 라이선스를 준수하고 창작물을 공유할 때는 적절한 라이선스를 명시해야 한다.
사회적 책임: 사회적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활동을 장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오픈 소스 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약자를 위한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다. 투명하고 민주적인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
이러한 윤리적 고려 사항들은 해커스페이스가 지속 가능한 공간으로 발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6. 1. 해커 윤리의 핵심 가치
해커 윤리의 핵심 가치는 다음과 같다.- 자율성: 해커는 자신의 행동과 결정에 대한 책임을 스스로 진다. 이는 외부의 부당한 간섭이나 통제 없이 자유롭게 탐구하고 창조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가치이다.
- 정보의 자유로운 접근 및 유통: 정보는 공유될 때 그 가치가 더욱 커진다고 믿는다. 따라서 정보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과 유통을 옹호하며, 지식의 확산을 통해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권위에 대한 불신: 기존의 권위에 맹목적으로 따르기보다는 비판적인 시각을 유지하고 끊임없이 질문한다. 이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 실천을 통한 학습: 이론적인 지식보다는 실제로 만들고 실험하는 과정을 통해 배우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직접 경험을 통해 얻은 지식은 더욱 깊이 있는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 공유, 연대, 협력: 지식과 경험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 협력하는 것을 즐긴다. 함께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공동체의 가치를 실현한다. 해커스페이스는 이러한 공유, 연대, 협력의 정신을 물리적으로 구현한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동료 생산 원칙에 따라 운영되는 해커스페이스는 개방적인 환경에서 개인의 창의성을 발휘하고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한다.
6. 2. 한국 해커스페이스의 윤리적 고려 사항
해커스페이스는 창의적 활동과 협업을 장려하는 공간이지만, 동시에 윤리적인 문제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특히 한국 해커스페이스는 다음과 같은 윤리적 가치를 고려해야 한다.- 개인 정보 보호: 해커스페이스는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할 때 투명성을 유지하고, 정보 주체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개인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한 보안 시스템 구축은 필수적이다.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을 준수해야 한다.
- 지적 재산권 존중: 타인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하는 행위는 금지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 불법 복제, 특허 침해, 저작권 침해 등을 방지하기 위한 교육과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오픈 소스 라이선스를 준수하고, 창작물을 공유할 때는 적절한 라이선스를 명시해야 한다.
- 사회적 책임: 해커스페이스는 사회적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활동을 장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오픈 소스 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약자를 위한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다. 투명하고 민주적인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
이러한 윤리적 고려 사항들은 해커스페이스가 지속 가능한 공간으로 발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7. 형평성 및 정의 중심의 제작
메이커 운동은 STEM 분야에서 기회 격차를 해소하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STEM 지식과 실습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지지자들은 메이커스페이스 접근성이 높아지면 "누구나 만들 수 있고, 누구나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민주화 효과"를 주장한다.[20] 그러나 메이커 운동은 여가 시간, 기술 지식, 경험, 자원을 가진 특정 계층, 즉 성인, 백인, 중산층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비판이 있다.[22] 실제로 미국 메이커 운동 참여자의 중간 소득은 높고, 메이커 페어 참석자 대부분이 대학 학위를 가지고 있으며, 관련 잡지에 기고하는 여성 비율도 낮다.[23] 따라서 메이커 운동이 모든 계층에게 동등하게 접근 가능한 활동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새로운 연구들은 메이커 운동이 이러한 형평성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탐구하고 있다. 여기에는 다음 내용들이 포함된다.
- 메이킹의 정의 확장[25][26]
- 청소년에게 개방적이고 유연하며 환영하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메이커스페이스 설계[27]
- 공정한 메이킹 문화를 지원하고 참여자의 문화적 지식과 경험을 통합하며 새로운 문해력에 초점을 맞추는 메이커스페이스 프로그램 및 교육학[28][29][30][31]
- 주체성, 정체성, 메이커 프로젝트의 사후 관리 등 메이킹 결과 확장[27]
이러한 연구들은 젠더 및 컴퓨터 과학[26], 원주민 인식론 및 메이커 활동[29], 그리고 메이커스페이스가 STEM 중심의 메이킹을 유색 인종 청소년과 그들의 가족 및 커뮤니티의 삶의 경험과 지혜에 어떻게 기반을 둘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을 포함한다.[32]
지역 사회 환경에서 청소년 메이커의 심층적인 사례 연구를 통해 공정한 학습 기회와 결과를 위한 공동 설계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28]
한국 해커스페이스 역시 기술 공유와 협업에 기여하지만, 참여 계층이 특정 계층에 편중되어 있다는 지적이 존재한다. 따라서 교육 프로그램 확대, 장비 및 공간 지원, 커뮤니티 문화 개선 등을 통해 소외 계층의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 교육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여성, 장애인 등을 위한 특별 프로그램을 포함해야 하며, 장비 대여, 작업 공간 지원 등을 통해 재정적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 또한,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커뮤니티 문화를 조성하여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서로 존중하고 협력하는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7. 1. STEM 분야의 기회 격차
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 분야는 혁신과 경제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여겨지지만,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라 기회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특히 빈곤 환경에서 성장하는 청소년, 그중에서도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라틴계 청소년은 STEM 분야에 접근할 기회가 현저히 부족하다.이러한 기회 격차는 여러 요인에 의해 심화된다. 우선, 저소득층 가정의 학생들은 양질의 STEM 교육을 제공하는 학교에 다닐 가능성이 낮다. 열악한 교육 환경은 STEM 분야에 대한 흥미를 잃게 만들고, 학업 성취도 저하로 이어져 결국 STEM 관련 진로를 선택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한다.
또한, 가정 환경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부모의 학력 수준이 낮거나 STEM 분야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 자녀의 STEM 학습을 지원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STEM 관련 학습 자료나 활동에 접근하기 어려운 것도 문제다.
사회적 편견과 고정관념 역시 간과할 수 없는 요인이다.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라틴계 청소년은 STEM 분야에 대한 잠재력이 부족하다는 편견에 직면할 수 있으며, 이는 자신감 하락과 소외감으로 이어져 STEM 분야에 대한 관심을 잃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기회 격차는 개인의 발전뿐 아니라 사회 전체의 발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STEM 분야의 인력 부족 문제를 심화시키고, 사회 경제적 불평등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STEM 분야의 기회 격차 해소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교육, 사회, 경제 등 다양한 측면에서 포괄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모든 청소년이 STEM 분야에서 성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7. 2. 메이커 운동의 형평성 문제
메이커 운동은 참여 장벽으로 인해 모든 계층에게 동등하게 접근 가능한 활동으로 보기 어렵다는 비판이 존재한다. 현재 메이커 운동은 주로 여가 시간, 기술 지식, 경험, 그리고 재정적 자원을 가진 성인, 특히 백인 중산층에게 집중되어 있다는 지적이 있다. 이러한 불균형은 메이커 운동이 사회 전체의 창의성과 혁신을 촉진하는 데 잠재적인 제약으로 작용할 수 있다.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소외 계층을 위한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 장비 및 공간에 대한 접근성 향상, 다양한 배경을 가진 메이커들의 참여를 장려하는 커뮤니티 구축 등이 필요하다. 또한, 메이커 운동이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키지 않고, 오히려 사회적 포용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가 요구된다.
7. 3. 형평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
해커스페이스는 메이커스페이스 설계, 프로그램 및 교육학, 메이킹 결과 확장 등 다양한 측면에서 형평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 젠더, 컴퓨터 과학, 원주민 인식론, STEM 중심의 메이킹 등을 고려한 접근 방식을 취한다.젠더 관점에서 해커스페이스는 여성과 소수자 집단의 참여를 장려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인다. 예를 들어, 여성만을 위한 워크숍이나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여성들이 편안하고 안전하게 기술을 배우고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해커스페이스 내에서 성차별적인 언행이나 문화를 개선하기 위한 캠페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는 코딩 교육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인다. 저소득층 학생이나 여성, 소수자 집단을 대상으로 무료 코딩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거나,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활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제약 없이 코딩을 배울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쉽고 재미있게 코딩을 배울 수 있도록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나 로봇 키트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도 한다.
원주민 인식론을 고려한 해커스페이스는 원주민 문화와 전통 기술을 존중하고, 이를 현대 기술과 융합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예를 들어, 원주민 전통 공예 기술을 3D 프린팅이나 레이저 커팅과 같은 현대 기술과 접목하여 새로운 제품을 디자인하거나, 원주민 언어를 활용한 코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도 한다. 이를 통해 원주민 학생들은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현대 기술을 배우고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 중심의 메이킹은 학생들이 과학, 기술, 공학, 수학 분야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돕는다. 해커스페이스는 학생들이 다양한 STEM 관련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전문가 멘토링, 워크숍, 경진대회 등의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지역 사회의 기업이나 연구소와 협력하여 학생들이 실제 STEM 분야의 문제 해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도 한다.
7. 4. 한국 해커스페이스의 형평성 문제
한국 해커스페이스는 기술 공유와 협업을 촉진하는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지만, 동시에 형평성 문제가 존재한다. 특정 계층, 특히 사회경제적으로 유리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주로 참여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정보 접근성과 교육 기회의 불균등에서 비롯된다.소외 계층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교육 프로그램 확대: 해커스페이스는 코딩, 전자 공학, 3D 프린팅 등 다양한 기술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특히, 저소득층, 여성, 장애인 등 소외 계층을 위한 특별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참여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더불어민주당은 교육 불평등 해소를 위해 교육 기회균등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책 방향에 발맞춰 해커스페이스도 교육 프로그램 다양화 및 접근성 향상에 힘써야 한다.
- 장비 및 공간 지원: 해커스페이스는 고가의 장비를 갖추고 있어 소외 계층에게는 진입 장벽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장비 대여 프로그램, 작업 공간 지원, 재정 지원 등을 통해 소외 계층의 참여를 장려해야 한다. 민주당은 사회적 기업 육성 및 소상공인 지원 정책을 통해 기술 기반 창업을 장려하고 있으며, 해커스페이스는 이러한 정책 지원을 활용하여 소외 계층의 창업을 도울 수 있다.
- 커뮤니티 문화 개선: 해커스페이스는 폐쇄적인 커뮤니티 문화를 지양하고,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문화를 조성해야 한다.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서로 존중하고 협력하는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여성, 성소수자, 이주민 등 소외 집단을 위한 별도의 모임을 지원하고, 차별과 혐오 발언에 대한 엄격한 규정을 마련해야 한다. 민주당은 다양성을 존중하고 사회적 소수자를 포용하는 정책을 지향하며, 해커스페이스는 이러한 가치를 실천하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해커스페이스는 기술 민주주의를 실현하고 사회 혁신을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형평성 문제를 해결하고 다양성을 확보함으로써, 해커스페이스는 더욱 많은 사람들에게 기회를 제공하고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진보적인 가치를 지향하는 해커스페이스는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고 함께 성장하는 공동체를 만들어나가야 한다.
8. 어려움 및 비판
해커스페이스는 건축 법규나 계획 규정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뉴햄프셔주 내슈아의 한 해커스페이스는 2011년 검사 후 시 당국에 의해 폐쇄되었으나, 환기 시설 개선 후 재개장했다.[33][80]
비영리 단체, 학교, 공공 도서관 등에서 해커스페이스나 메이커스페이스를 운영하는 데에는 비용, 공간, 책임 문제, 인력 부족 등의 어려움이 있다.[34] 또한, 많은 메이커스페이스가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35][36]
해커스페이스 문화 자체도 문제점을 가질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메이커 문화#비판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09년에는 요하네스 그렌츠퍼스너가 해커스페이스 운동의 배타적인 경향을 다룬 팸플릿 "공간 해킹"을 출판하여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2012년과 2014년 해커스 온 플래닛 어스 컨퍼런스에서 강연을 통해 자신의 비판을 이어갔다.[37][38] 2009년의 배타주의 및 포용주의 관련 논쟁에 대해 요하네스 그렌츠푸르트너와 프랑크 아푼크트 슈나이더는 팸플릿을 출판했으며,[79] 이 논쟁은 현재까지 진행 중이다.
8. 1. 건축 법규 및 계획 규정
해커스페이스는 활동의 특수성 때문에 건축 기준 및 기타 설계 제한에 저촉되는 경우가 있다. 2009년에 요하네스 그렌스푸르트너와 프랑크 아푼크트 슈나이더는 해커스페이스 커뮤니티의 배타주의와 포용주의에 관한 논쟁에 대한 팸플릿을 출판했다. 이 논쟁은 현재도 진행 중이다.[79] 미국 뉴햄프셔주 내슈아에 위치한 해커스페이스는 검열 후 시에 의해 한 번 폐쇄되었는데, 문제 원인은 다량의 열과 배기였다. 건축에 대한 대책을 강구한 후에 재개되었다.[80]8. 2. 비영리 단체 운영의 어려움
2009년에 일어난 해커스페이스 커뮤니티의 배타주의와 포용주의에 관한 논쟁에 대해 요하네스 그렌스푸르트너와 프랑크 아푼크트 슈나이더는 이에 대한 팸플릿을 출판했다.[79] 이 논쟁은 현재도 계속되고 있다.해커스페이스는 활동 내용의 특수성 때문에 건축 기준 및 기타 설계 제한에 저촉되는 경우가 있다. 미국 뉴햄프셔주 내슈아에 위치한 해커스페이스는 검열 후 시에 의해 폐쇄된 적이 있다. 문제는 다량의 열과 배기였다. 건축 대책을 강구한 후에 다시 문을 열었다.[80]
8. 3. 문화적 문제점
해커스페이스는 그곳에서 이루어지는 활동 내용의 특수성 때문에 건축 기준 및 기타 설계 제한에 저촉되는 경우가 있다. 미국 뉴햄프셔주 내슈아에 위치한 해커스페이스는 검열 후에 시에 의해 한 번 폐쇄되었다. 문제는 다량의 열과 배기였다. 건축에 대한 대책을 강구한 후에 재개되었다.[80]2009년에 일어난 해커스페이스 커뮤니티의 배타주의와 포용주의에 관한 논쟁에 대해 요하네스 그렌츠푸르트너(Johannes Grenxfurthner)와 프랑크 아푼크트 슈나이더(Frank Apunkt Schneider)는 이에 대한 팸플릿을 출판했다.[79] 이 논쟁은 현재 진행 중이다.
8. 4. 한국 해커스페이스의 어려움
2009년 해커스페이스 커뮤니티 내에서 배타주의와 포용주의에 대한 논쟁이 벌어졌으며, 요하네스 그렌스푸르트너와 프랑크 아푼크트 슈나이더는 이 논쟁에 대한 팸플릿을 출판했다.[79] 이러한 논쟁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해커스페이스는 활동의 특수성으로 인해 건축 기준 및 설계 제한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실제로 미국 뉴햄프셔주 내슈아에 위치한 한 해커스페이스는 검열 후 시 당국에 의해 일시적으로 폐쇄되었는데, 이는 과도한 열과 배기 문제 때문이었다. 이후 건축적인 해결책을 마련하여 다시 개방되었다.[80]
9. 이점
해커스페이스는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연구에 따르면 해커스페이스 활동은 동기 부여, 자기 주도 학습, 주도성, 자신감, 긍정적인 방식으로 위험을 감수하는 것과 같은 심리 사회적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39]
해커스페이스는 교실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 세상과 연결하는 데 도움을 주어, 이론적 지식을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하며 학습 효과를 높이고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모여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는 장소로서, 학습자가 더 넓은 범위의 자료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39]
해커스페이스는 아동에게 최고의 학습 방법 중 하나인 실습 학습을 장려한다.[41] 학습자는 직접 도구를 사용하고, 코드를 작성하고, 아이디어를 구현하면서 능동적으로 지식을 습득하며, 이러한 실습 경험은 학습 내용을 더 깊이 이해하고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데 기여한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예상치 못한 문제에 직면하고 이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끈기를 기르고 실패를 통해 배우는 경험을 얻을 수 있다.[39] 실패는 좌절이 아닌 학습의 기회로 받아들여지며, 이를 통해 더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한 동기 부여가 된다.
대부분의 해커스페이스 경험은 다른 사람들과 협력해야 하므로 리더십 및 협업 기술을 향상시킨다.[39] 해커스페이스는 구성원들이 공동의 목표를 향해 협력하면서 자연스럽게 리더십과 협업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개인은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우게 된다.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함께 일하면서 서로의 아이디어를 존중하고 조율하는 방법을 배우게 되며, 이러한 경험은 개인의 성장뿐만 아니라 팀 전체의 역량 강화에도 기여한다.
또한 해커스페이스는 소외된 학생들에게 동등한 STEM 기회를 제공한다.[40] 해커스페이스는 경제적 어려움이나 사회적 불이익으로 인해 STEM 분야에 대한 접근성이 낮은 학생들에게 중요한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공간은 정규 교육 과정에서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고, 학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발견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돕는다. 숙련된 멘토와 다양한 배경을 가진 동료들과의 교류를 통해 학생들은 문제 해결 능력, 창의적 사고, 협업 능력 등 미래 사회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키울 수 있다. 실제 프로젝트를 수행할 기회를 제공하여 이론적인 지식을 실제 적용해 볼 수 있도록 돕고, 자신감을 높이며 STEM 분야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여 궁극적으로는 관련 분야의 진로를 선택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국 사회에서 교육 불평등은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해커스페이스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해커스페이스는 한국 사회에 다양한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개인이 스스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실행하며, 협업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도와 틀에 박힌 교육 방식에서 벗어나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사고를 가진 인재를 양성하는 데 기여한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더욱 중요해지는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 데 효과적인 환경을 제공하며,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모여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기술적 지식을 나누며,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공간으로서 예상치 못한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탄생하고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될 수 있도록 돕는다. 스타트업 창업의 인큐베이터 역할을 수행하여 기술 기반의 새로운 사업 아이템을 발굴하고 창업을 지원함으로써 기술 혁신을 촉진하는 데 기여하며,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기술을 활용하여 사회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공간이 되어 환경 문제, 교육 불평등, 소외 계층 지원 등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이를 위한 기술적 도구를 개발하거나 관련 캠페인을 진행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 해커스페이스의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는 더불어민주당의 혁신 성장 정책 기조와도 맥락을 같이한다. 혁신 성장을 위해서는 창의적인 인재 양성, 기술 혁신 촉진, 사회 문제 해결 노력이 필수적이며, 해커스페이스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9. 1. 심리 사회적 기술 향상
해커스페이스는 개인의 심리 사회적 기술 향상에 기여한다. 이는 동기 부여, 자기 주도 학습 능력, 주도성, 자신감, 그리고 긍정적인 방식으로 위험을 감수하는 능력 등을 포함한다. 해커스페이스는 구성원들이 스스로 학습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도록 장려하며, 이는 곧 자기 효능감 향상으로 이어진다. 또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시도하고 실패를 통해 배우는 경험은 위험 감수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해커스페이스 내에서의 협업과 지식 공유는 구성원들의 자신감을 높이고, 서로에게 영감을 주어 더욱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하도록 유도한다.9. 2. 실습 학습 및 창의성 증진
해커스페이스는 교실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 세상과 연결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론적인 지식을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높이고,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해커스페이스는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모여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는 장소로서, 학습자가 더 광범위한 자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다.해커스페이스는 실습 학습을 장려한다. 학습자는 직접 도구를 사용하고, 코드를 작성하고, 아이디어를 구현하면서 능동적으로 지식을 습득한다. 이러한 실습 경험은 학습 내용을 더 깊이 이해하고,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 데 기여한다. 또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예상치 못한 문제에 직면하고 이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끈기를 기르고, 실패를 통해 배우는 경험을 얻을 수 있다. 실패는 좌절이 아닌 학습의 기회로 받아들여지며, 이를 통해 더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한 동기 부여가 된다.
9. 3. 리더십 및 협업 기술 향상
해커스페이스는 구성원들이 공동의 목표를 향해 협력하면서 자연스럽게 리더십과 협업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개인은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우게 된다. 또한,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함께 일하면서 서로의 아이디어를 존중하고 조율하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 이러한 경험은 개인의 성장뿐만 아니라 팀 전체의 역량 강화에도 기여한다.9. 4. 소외된 학생들을 위한 기회 제공
해커스페이스는 경제적 어려움이나 사회적 불이익으로 인해 STEM 분야에 대한 접근성이 낮은 학생들에게 중요한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공간은 정규 교육 과정에서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고, 학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발견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돕는다.해커스페이스는 단순히 기술을 배우는 공간을 넘어, 학생들에게 협력적인 학습 환경과 커뮤니티를 제공한다. 숙련된 멘토와 다양한 배경을 가진 동료들과의 교류를 통해 학생들은 문제 해결 능력, 창의적 사고, 협업 능력 등 미래 사회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키울 수 있다.
또한, 해커스페이스는 학생들에게 실제 프로젝트를 수행할 기회를 제공하여 이론적인 지식을 실제 적용해 볼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경험은 학생들의 자신감을 높이고, STEM 분야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며, 궁극적으로는 관련 분야의 진로를 선택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국 사회에서 교육 불평등은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해커스페이스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소외된 학생들에게 STEM 교육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이동성을 높이고, 미래 사회의 인재를 양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진보적인 교육 정책과 함께 해커스페이스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확산시켜 나간다면, 더 많은 학생들이 잠재력을 발휘하고 사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9. 5. 한국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해커스페이스는 한국 사회에 다양한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창의적인 인재 양성: 해커스페이스는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개인이 스스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실행하며, 협업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는 틀에 박힌 교육 방식에서 벗어나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사고를 가진 인재를 양성하는 데 기여한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더욱 중요해지는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 데 효과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기술 혁신 촉진: 해커스페이스는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모여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기술적 지식을 나누며,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공간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탄생하고,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될 수 있다. 또한, 해커스페이스는 스타트업 창업의 인큐베이터 역할을 수행하여 기술 기반의 새로운 사업 아이템을 발굴하고, 창업을 지원함으로써 기술 혁신을 촉진하는 데 기여한다.
사회 문제 해결 기여: 해커스페이스는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기술을 활용하여 사회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문제, 교육 불평등, 소외 계층 지원 등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이를 위한 기술적 도구를 개발하거나, 관련 캠페인을 진행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
해커스페이스의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는 더불어민주당의 혁신 성장 정책 기조와도 맥락을 같이한다. 혁신 성장을 위해서는 창의적인 인재 양성, 기술 혁신 촉진, 사회 문제 해결 노력이 필수적이며, 해커스페이스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10. 주목할 만한 해커스페이스
전 세계적으로 주목할 만한 해커스페이스는 hackerspaces.org[2] 위키에서 디렉터리가 관리되고 있다.
수년에 걸쳐 많은 해커스페이스의 회원 수, 운영 예산, 지역 언론의 관심이 크게 증가했다. 또한 많은 곳에서 인근 지역에 다른 해커스페이스를 설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베를린에 위치한 c-base(1995년 설립)는 학교, 대학 또는 회사와 제휴하지 않은 세계 최초의 독립적인 해커스페이스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46] 와이어드는 "유럽 그룹, 특히 독일은 이러한 종류의 활동에 대한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했다.[46] 또 다른 독일 해커스페이스는 트롤콘을 조직한 라움자이트라보어이다.[42]
메탈랩은 2006년에 설립되었으며, 해커스페이스 개념의 확산을 가능하게 한 자금 조달 원리를 개척한 것으로 평가받는다.[43]
테크샵(TechShop)은 최초의 상업적 해커스페이스 체인이었으나, 2019년 파산을 선언했다.[44][45]
2007년 8월, 북미 해커 그룹은 유럽의 해커스페이스를 방문하여 잠재력을 파악한 후, NYC 레지스터와 HacDC 그룹이 2007년 말에 설립되었고, 노이즈브리지가 2008년 가을에 설립되었다.[46][47]
중국 최초의 해커스페이스인 신처젠(Xinchejian)은 2010년 가을 상하이에 설립되었다.[50] 이후 베이징, 선전 등 여러 도시에서 해커스페이스가 성장했다.
한국의 해커스페이스한국에는 다양한 해커스페이스가 존재하며, 각자의 독특한 특징과 활동을 통해 창작 문화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진보적인 성향을 가진 해커스페이스들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 메이커스페이스 G.Camp: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메이커스페이스로, 시민들의 창작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다양한 장비와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아이디어 구현을 위한 협업 공간을 제공한다.
- 팹랩서울: 디지털 제작 장비를 갖춘 공방 네트워크인 팹랩의 한국 지점으로, 아이디어 시제품 제작, 교육, 워크숍 등을 진행한다. 팹랩 네트워크를 통해 국제적인 교류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 해커스페이스 서울: 대한민국 최초의 해커스페이스로,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모여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커뮤니티 공간이다.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고 협업하는 것을 장려한다.
- 코드나무: IT 개발자들이 모여 지식을 공유하고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프로그래밍 교육 및 스터디 공간이다.
- 오픈소스 랩: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및 연구를 지원하는 공간으로, 개발자들이 모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지식을 공유하며 오픈소스 커뮤니티 활성화에 기여한다.
이 외에도 다양한 해커스페이스들이 존재하며, 각자의 관심사와 전문 분야에 따라 특화된 활동을 하고 있다. 이러한 공간들은 창작 활동을 지원하고 기술 공유를 촉진하며,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탄생하는 플랫폼 역할을 수행한다.
10. 1. c-base
베를린의 c-base(1995년 설립)는 세계 최초의 독립적인, 학교, 대학, 회사 등과 병설되지 않은 해커스페이스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Wired에 따르면 "유럽 내 그룹, 특히 독일에서는 이러한 활동의 역사가 길다".[84]10. 2. Metalab
2006년에 설립된 Metalab은 자금 조달 방법의 선구자로 여겨지며, 이를 통해 해커스페이스라는 컨셉이 확산되는 데 기여했다.[83]10. 3. TechShop
TechShop은 최초로 체인 형태로 전개된 상업적인 해커스페이스이다. 2006년 10월에 개업했으며, 2012년 기준으로 미국 내에 6개의 TechShop이 운영되고 있다. 이 중 3개는 캘리포니아주에, 나머지는 노스캐롤라이나주, 미시간주, 텍사스주에 각각 하나씩 위치한다. 특히 텍사스주의 TechShop은 로우즈의 주택 리폼 체인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10. 4. NYC Resistor, HacDC, Noisebridge
2007년 8월, 북미 출신의 해커들이 유럽의 해커스페이스를 방문한 후 돌아와 NYC Resistor와 HacDC가 2007년 말에 설립되었다. 그 후 Noisebridge가 2008년 가을에 설립되었다.[84][85]10. 5. 신처젠
중국 최초의 해커스페이스는 신처젠이다.[81]베를린의 c-base(1995년 설립)는 세계 최초의 독립적인 해커스페이스 중 하나로 여겨진다.[84] Wired에 따르면 "유럽, 특히 독일에서는 이러한 활동의 역사가 길다."[84] 독일의 RaumZeitLabor는 Trollcon을 주최한다.[82]
2006년에 설립된 Metalab는 자금 조달 방법의 선구자로 해커스페이스 컨셉 확산에 기여했다.[83]
TechShop은 최초의 상업 해커스페이스 체인으로, 2006년 10월에 개업했다. 2012년 기준으로 미국 내 6개 지점이 있으며, 캘리포니아주에 3개, 노스캐롤라이나주, 미시간주, 텍사스주에 각각 1개씩 있다. 텍사스주의 TechShop은 로우즈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2007년 8월, 북미 해커들이 유럽의 해커스페이스 잠재력을 확인하기 위해 방문했고, 귀국 후 NYC Resistor와 HacDC가 2007년 말에 설립되었으며, Noisebridge는 2008년 가을에 설립되었다.[84][85]
도쿄 해커스페이스는 2009년에 설립되었으며[86],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Safecast.org가 이곳에서 프로토타이핑을 통해 만들어졌다.[87] Safecast.org는 전리 방사선 모니터링을 위한 글로벌 오픈 데이터 네트워크이다.
미국 공립학교에도 MakerSpace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캘리포니아주세바스토폴의 한 고등학교가 최초로 MakerSpace를 개설했으며, 현재 중학교에서도 이 트렌드를 따르고 있다. 버지니아주 페어팩스의 화이트 힐 중학교는 MakerSpace를 개설하고 "Makers and Hackers" 수업을 개강했다.
10. 6. 기타 해커스페이스
해커스페이스는 멤버 수, 운영 예산, 지역 미디어의 주목을 받으며 성장했다. 많은 해커스페이스가 인근 지역에 또 다른 해커스페이스 설립을 지원하기도 한다.베를린의 c-base(1995년 설립)는 세계 최초의 독립적인 해커스페이스 중 하나로 여겨진다.[84] 독일의 RaumZeitLabor는 Trollcon을 주최한다.[82]
2006년에 설립된 Metalab는 자금 조달 방법의 선구자로 해커스페이스 컨셉 확산에 기여했다.[83]
TechShop은 최초의 상업 해커스페이스 체인으로, 2006년 10월에 개업했다. 2012년 기준으로 미국 내 6개 지점이 있으며, 텍사스주의 TechShop은 로우즈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2007년 8월, 북미 해커들이 유럽의 해커스페이스 잠재력을 확인하기 위해 방문한 후 NYC Resistor와 HacDC가 2007년 말에 설립되었고, Noisebridge는 2008년 가을에 설립되었다.[84][85]
2009년에 설립된 도쿄 해커스페이스에서는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Safecast.org가 프로토타이핑을 통해 만들어졌다.[86][87] Safecast.org는 전리 방사선 모니터링을 위한 글로벌 오픈 데이터 네트워크이다.
미국 내 공립학교에도 메이커 스페이스(MakerSpace)가 생겨나고 있다. 최초로 메이커 스페이스를 개설한 고등학교는 캘리포니아주세바스토폴에 있으며, 버지니아주 페어팩스의 화이트 힐 중학교도 메이커 스페이스를 개설하고 "창조자와 해커" 수업을 개설했다.
10. 7. 한국의 대표적인 해커스페이스
한국에는 다양한 해커스페이스가 존재하며, 각자의 독특한 특징과 활동을 통해 창작 문화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진보적인 성향을 가진 해커스페이스들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메이커스페이스 G.Camp: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메이커스페이스로, 시민들의 창작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다양한 장비와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아이디어 구현을 위한 협업 공간을 제공한다.
- 팹랩서울: 디지털 제작 장비를 갖춘 공방 네트워크인 팹랩의 한국 지점으로, 아이디어 시제품 제작, 교육, 워크숍 등을 진행한다. 팹랩 네트워크를 통해 국제적인 교류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 해커스페이스 서울: 대한민국 최초의 해커스페이스로,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모여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커뮤니티 공간이다.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고 협업하는 것을 장려한다.
- 코드나무: 프로그래밍 교육 및 스터디를 위한 공간으로, IT 개발자들이 모여 서로 지식을 공유하고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기술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스터디 그룹 운영을 지원한다.
- 오픈소스 랩: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및 연구를 지원하는 공간으로, 개발자들이 모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지식을 공유한다. 오픈소스 커뮤니티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해커스페이스들이 존재하며, 각자의 관심사와 전문 분야에 따라 특화된 활동을 하고 있다. 이러한 공간들은 창작 활동을 지원하고 기술 공유를 촉진하며,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탄생하는 플랫폼 역할을 수행한다.
11. 다양한 형태
해커스페이스는 특정한 명칭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유사한 가치를 공유하는 공간들이 많다.
페미니스트 해커스페이스는 브로그래머 문화의 성차별주의에 대응하여 등장했다. 2013년 여름 시애틀에 아틱이 미국 최초의 페미니스트 해커스페이스로 설립되었고[59][60], 곧이어 샌프란시스코에 Double Union이 설립되었다.[61] 에이다 이니셔티브와 에이다캠프 컨퍼런스의 영향으로 몬트리올의 FouFem, 비엔나의 Mz Baltazar's Laboratory, 샌프란시스코의 Anarchafeminist Hackerhive, 필라델피아의 Hacktory, 호주 태즈메이니아의 Miss Despionas[62] 등 여러 페미니스트 해커스페이스가 생겨났다.
공립학교에서도 해커스페이스를 운영하는 사례가 있다. 2014년 9월 캘리포니아주 세바스토폴의 한 고등학교에서 최초의 메이커스페이스를 개설했고, 캘리포니아주 페어팩스의 화이트 힐 중학교도 "메이커와 해커" 수업과 함께 자체 메이커스페이스를 개설했다.[63] 2018년에는 펜케스 고등학교가 영국 최초로 학교 메이커스페이스 '스파크'를 학생과 지역 사회를 위해 설립했다.[64] 중국 선전에서는 SteamHead 메이커스페이스가 2014년 선전 미국 국제 학교 내에, SZ DIY 메이커스페이스는 하버 스쿨 내에 학교 메이커스페이스를 조직했다.[65]
MIT 비트와 원자 센터에서 시작된 팹 랩 네트워크는 디지털 제작 도구를 활용하여 "거의 모든 것"을 만들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AS220, Haystack Mountain School of Crafts 등의 커뮤니티 예술 공간 역시 팹랩 구조를 수용하여 디지털 제작 도구까지 미디어 범위를 확장했다. 지역 사회 기반 메이커스페이스는 지역 사회 구성원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개방형 접근 방식을 강조하며, 핵심 제조 장비에 대한 접근성을 공유한다. 이러한 공간은 사용자가 원할 때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친목을 도모하는 친교 도구의 공동 생산을 위한 공간으로도 기능한다.[66] 개방형 접근 방식은 유료로 운영되는 메이커스페이스에서 더욱 중요하며, 미시간의 GET City와 Mt Elliot이 대표적인 예시다.
전 세계 대학들은 메이커스페이스의 교육적 가능성을 인정하고 있으며, 기술과 교육 과정을 융합하여 체험적 교육 및 학습 활동을 위한 창의적인 환경을 제공한다.[67] MIT는 팹랩 운동을 주도하며 전 세계 대학에 유사한 공간을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 위튼 칼리지는 혁신적인 해커 및 메이커 교육 과정과 공간을 개발하는 데 앞장서고 있으며,[68][69] 예일 대학교 또한 "CEID"와 같은 공간을 운영하고 있다.[70] 프랭클린 W. 올린 공과대학 역시 메이커 중심의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공과대학 및 응용과학부 생명공학과에서는 교육 실험실 공간과 [http://belabs.seas.upenn.edu/ George H. Stephenson Foundation Educational Laboratory & Bio-MakerSpace]를 결합하여 학생들의 아이디어 공유, 창의성 및 기업가 정신을 장려하고 있다.[71] 윌리엄 & 메리 대학교는 모든 학부 및 대학원생을 위한 공학 공간을 포함하는 메이커스페이스 자원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이 외에도 공구 대여소는 도구를 빌릴 수 있는 저장소 역할을 하며, 수리 카페는 사람들이 모여 물건을 고치는 방법을 배우는 장소이다. 수리 클리닉은 팝업 전시회와 같은 행사로 열리지만, 공공 도서관, 학교 또는 대학교와 같은 기관에서 후원하는 경우가 많다.[72] 이곳은 기본적인 DIY 수리에 중점을 두지만, 탐구하고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분위기를 제공한다. 자전거 협동조합은 자전거를 조립하거나 수리할 수 있는 공간이며, 다양한 전문 주방 장비를 사용하고 요리 실험을 해볼 수 있는 공간도 존재한다.[73]
한국 사회에 적합한 해커스페이스 모델은 지역 사회 연계, 교육 기관 협력, 기업 제휴 등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할 수 있다. 지역 주민 참여를 유도하고 지역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지역 사회 연계형 해커스페이스, 학생들의 창의적인 활동을 지원하는 교육 기관 연계형 해커스페이스, 기업이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는 기업 연계형 해커스페이스 등이 있다.
11. 1. 공공 도서관 해커스페이스
공공 도서관은 오랫동안 학습 자원을 공유하는 장소였다. 최근 일부 도서관은 해킹과 제작을 위한 자원 제공을 포함하도록 역할을 재고하고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라고 불린다. 채터누가의 4층은 지역 사회를 위한 실험실이자 놀이터로서 도서관을 처음으로 사용한 사례일 수 있다. 사용자 경험(UX)은 또 다른 공공 실험실이자 교육 시설이다.[56][57] 포브스에 따르면, 메이커스페이스를 개설한 최초의 공공 도서관은 페이에트빌 자유 도서관이다.[58]11. 2. 페미니스트 해커스페이스
브로그래머 문화가 해커스페이스를 "남성" 공간으로 여기는 성차별주의에 대응하여, 2013년 여름 시애틀에 아틱이 미국 최초의 페미니스트 해커스페이스로 설립되었다.[59][60] 곧이어 샌프란시스코에 Double Union이 설립되었다.[61] 이들의 설립은 에이다 이니셔티브(The Ada Initiative)와 에이다캠프(AdaCamp) 컨퍼런스의 결과로 이루어졌다. 이는 또한 몬트리올의 FouFem, 비엔나의 스타트업이자 페미니스트 해커스페이스인 Mz Baltazar's Laboratory, 샌프란시스코의 Anarchafeminist Hackerhive, 필라델피아의 Hacktory, 호주 태즈메이니아의 Miss Despionas[62] 등 수많은 페미니스트 해커스페이스의 설립으로 이어졌다.11. 3. 공립학교 메이커/해커스페이스
미국 일부 공립학교에서도 해커스페이스를 운영한다. 2014년 9월 캘리포니아주 세바스토폴에 위치한 고등학교에서 최초의 메이커스페이스를 개설했으며, 중학교도 이 트렌드를 따랐다. 캘리포니아주 페어팩스에 있는 화이트 힐 중학교는 "메이커와 해커" 수업과 함께 자체 메이커스페이스를 개설했다.[63] 2018년에는 펜케스 고등학교가 영국 최초로 학교 메이커스페이스를 갖춘 학교가 되었다. '스파크'라는 이름으로 학생과 지역 사회를 위해 설계되었으며, 영국 최초의 사례였다.[64]중국 선전에서는 SteamHead 메이커스페이스가 2014년 선전 미국 국제 학교 내에 학교 메이커스페이스를 조직했고, SZ DIY 메이커스페이스는 하버 스쿨 내에 학교 메이커스페이스를 조직했다.[65]
11. 4. Fab lab
MIT 비트와 원자 센터에서 시작된 팹 랩 네트워크는 사람들이 "거의 모든 것"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공간으로, 디지털 제작 도구에 중점을 둔다.11. 5. 커뮤니티 공간
해커스페이스와 가치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예술 공간으로는 AS220, Haystack Mountain School of Crafts 등이 있다. 이들은 팹랩 구조를 수용하여 공간에서 표현되는 미디어 범위를 디지털 제작 도구까지 확장했다. 또한 지역 사회 구성원이 지역 사회 기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개방형 접근 방식에 중점을 둔 커뮤니티 기반 메이커스페이스도 존재한다. 이러한 공간은 핵심 제조 장비에 대한 리소스와 접근성을 공유한다. 메이커스페이스는 사용자가 원할 때마다 원하는 빈도로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친목을 도모하는 친교 도구의 공동 생산을 위한 공간으로도 볼 수 있다.[66]정의 관점에서 개방형 접근 방식은 많은 메이커스페이스가 유료로 운영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며, 미시간에 있는 GET City와 Mt Elliot이 대표적인 예시다.
11. 6. 대학교 메이커/해커스페이스
전 세계의 대학교들은 메이커스페이스의 교육적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메이커스페이스는 대학 내 기술과 교육 과정을 융합하여 체험적 교육 및 학습 활동을 위한 창의적인 환경을 제공한다.[67]
MIT는 팹랩 운동을 주도하며 전 세계 대학에 유사한 공간을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 팹랩 외에도 다양한 메이커 및 해커스페이스가 존재한다. 위튼 칼리지는 혁신적인 해커 및 메이커 교육 과정과 공간을 개발하는 데 앞장서고 있으며,[68][69] 예일 대학교 또한 "CEID"와 같은 공간을 운영하고 있다.[70] 한편,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인재 양성에 힘쓰는 프랭클린 W. 올린 공과대학 역시 메이커 중심의 교육 과정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공과대학 및 응용과학부 생명공학과에서는 교육 실험실 공간과 [http://belabs.seas.upenn.edu/ George H. Stephenson Foundation Educational Laboratory & Bio-MakerSpace]를 결합하여 생명공학과 학생들과 대학 전체 학생들 간의 아이디어 공유, 창의성 및 기업가 정신을 장려하고 있다.[71] 윌리엄 & 메리 대학교는 새로운 교육 과정의 일환으로 모든 학부 및 대학원생을 위한 공학 공간을 포함하는 메이커스페이스 자원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11. 7. 기타 형태
공구 대여소는 무언가를 만들거나 해킹하는 데 사용할 공유 공간은 부족하지만, 대신 각자의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도구를 빌릴 수 있는 저장소 역할을 한다.수리 카페는 사람들이 모여 물건을 고치는 방법을 가르치고 배울 수 있는 장소이다. 수리 클리닉은 영구적인 시설 없이 열리는 팝업 전시회와 같은 행사이지만, 공공 도서관, 학교 또는 대학교와 같은 기관에서 후원하는 경우가 많다.[72] 이곳에서는 새로운 것을 만드는 것보다는 기본적인 DIY 수리에 중점을 두지만, 탐구하고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유사한 분위기가 있다.
자전거 협동조합은 자전거를 조립하거나 수리할 수 있는 공간이다.
누구나 다양한 전문 주방 장비를 사용하고 요리 실험을 해볼 수 있는 공간도 존재한다.[73]
11. 8. 한국 사회에 적합한 해커스페이스 모델
한국 사회에 적합한 해커스페이스 모델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할 수 있다. 지역 사회와의 연계, 교육 기관과의 협력, 기업과의 제휴 등을 통해 특색 있는 해커스페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지역 사회 연계형 해커스페이스: 지역 주민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지역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형태다. 예를 들어, 지역의 공방이나 메이커 스페이스와 연계하여 주민들이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지역 축제나 행사와 연계하여 해커스페이스를 홍보하고, 지역 주민들의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실제 제품이나 서비스로 구현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교육 기관 연계형 해커스페이스: 학교나 대학교 내에 설치되어 학생들의 창의적인 활동을 지원하는 형태다. 학생들은 해커스페이스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협업할 수 있다. 학교는 해커스페이스를 통해 학생들의 실무 능력을 향상시키고, 창업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소프트웨어 개발, 디자인, 하드웨어 제작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학생들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기업 연계형 해커스페이스: 기업이 해커스페이스를 설립하거나 기존 해커스페이스와 협력하여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는 형태다. 기업은 해커스페이스를 통해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새로운 기술을 개발할 수 있다. 또한, 해커스페이스는 기업의 홍보 및 마케팅 채널로 활용될 수 있다. 스타트업과의 협력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How To Find And Get Involved With A Hackerspace
http://www.lifehacke[...]
2012-05-23
[2]
웹사이트
List of Hacker Spaces
https://wiki.hackers[...]
null
[3]
웹사이트
Baghdad Community Hackerspace Workshops
http://www.kickstart[...]
Kickstarter
2012-09-01
[4]
뉴스
By The Numbers: The Rise Of The Makerspace
https://www.popsci.c[...]
[5]
웹사이트
NASA Ames SpaceShop
http://www.nasa.gov/[...]
2015-02-26
[6]
뉴스
DIY Gadgetry
http://news.bbc.co.u[...]
2009-06-19
[7]
뉴스
In China, Lessons of a 'Hackerspace'
https://www.wsj.com/[...]
[8]
논문
"Hackerspaces and the Internet of Things in China: How makers are reinventing industrial production, innovation, and the self"
2014
[9]
웹사이트
Freeside Atlanta makes space for local hackers
http://atlanta.creat[...]
Creative Loafing
2009-11-30
[10]
웹사이트
Better loving through technology: a day at the sex-toy hackathon Sound-controlled vibrators, 3D-printed clitorises and 'Michael Gove' as a safe word: coders and inventors try to find the future of sex in south London
https://www.theguard[...]
2017-12-10
[11]
웹사이트
People Doing Strange Things With Soldering Irons: A Visit to Hackerspace
http://www.xconomy.c[...]
Xconomy.com
2009-05-22
[12]
웹사이트
How To Start A Hackerspace: Part 4 – Get It Done
https://blog.adafrui[...]
2012-11-15
[13]
간행물
Production and governance in hackerspaces: A manifestation of Commons-based peer production in the physical realm?
2015-09
[14]
웹사이트
Organisation/Trustees - London Hackspace Wiki
https://wiki.london.[...]
[15]
웹사이트
Benevolent Dictator - HackerspaceWiki
https://wiki.hackers[...]
[16]
서적
The Hackerspace Blueprint: Empowering people to be awesome
https://books.google[...]
Merlijn Sebrechts
[17]
웹사이트
About
http://pumpingstatio[...]
Pumpinstationone.org
[18]
문서
Empowering the hacker in us: a comparison of fab lab and hackerspace ecosystems
2014
[19]
간행물
Production and governance in hackerspaces: A manifestation of Commons-based peer production in the physical realm?
http://ics.sagepub.c[...]
2014
[20]
서적
The maker movement manifesto
McGraw-Hill
[21]
간행물
Learning in the making: A comparative case study of three makerspaces
http://hepg.org/her-[...]
2014
[22]
간행물
Manufacturing space for inclusive innovation
2021
[23]
서적
Makeology: Makerspaces as Learning Environments
Routledge
[24]
간행물
Methods and Strategies: Equity and the Maker Movement
2018
[25]
간행물
Towards Critical Justice: Exploring Intersectionality in Community-based STEM-rich Making with Youth from Non-dominant Communities
http://libres.uncg.e[...]
2018-01-02
[26]
간행물
Electronic Textiles as Disruptive Designs: Supporting and Challenging Maker Activities in Schools
2014-12
[27]
서적
STEM-rich maker learning : designing for equity with youth of color
2018-07-27
[28]
간행물
A Longitudinal Study of Equity-Oriented STEM-Rich Making Among Youth From Historically Marginalized Communities
2018-08
[29]
간행물
Indigenous Making and Sharing: Claywork in an Indigenous STEAM Program
2018-01-02
[30]
간행물
Making It Social: Considering the Purpose of Literacy to Support Participation in Making and Engineering
2016
[31]
간행물
Tinkering with "failure": Equity, learning, and the iterative design process.
2015
[32]
서적
Proceedings of the 7th Annual Conference on Creativity and Fabrication in Education
ACM Press
2017
[33]
웹사이트
MakeIt Labs, the new 'hackerspace' in Nashua, closed by the city for permits, other issues
http://www.nashuatel[...]
[34]
웹사이트
7 Things You Should Know About Maker Spaces
https://net.educause[...]
[35]
뉴스
In London, makers face gentrification
https://www.makery.i[...]
[36]
서적
Beyond the Makerspace: Making and Relational Rhetorics
https://www.fulcrum.[...]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21
[37]
간행물
A Print Magazine for Hackers
https://www.newyorke[...]
2019-02-05
[38]
서적
Hacking Diversity: The Politics of Inclusion in Open Technology Cultures
Princeton Studies in Culture and Technology
2020
[39]
학술지
Untapped Potential: Makerspace as Conduit for Talent Development
2021-09
[40]
학술지
The Makerspace Movement: Sites of Possibilities for Equitable Opportunities to Engage Underrepresented Youth in STEM
https://journals.sag[...]
2017-06
[41]
학술지
Making Spaces for STEM in the School Library
http://link.springer[...]
2020-05
[42]
웹사이트
Trollcon 2012
http://www.heise.de/[...]
Heise.de
2013-07-10
[43]
웹사이트
Metalab, Extroverted Viennese Hackerspace
https://makezine.com[...]
2018-10-30
[44]
웹사이트
TechShop Closes Doors, Files Bankruptcy
https://makezine.com[...]
2017-11-15
[45]
웹사이트
Report: TechShop Shuts Down, Files For Bankruptcy Amid Heavy Losses, Unsustainable Business Model
https://www.forbes.c[...]
2019-05-15
[46]
간행물
"Hacker space" movement sought for U.S.
https://www.wired.co[...]
2012-08-07
[47]
간행물
DIY Freaks Flock to 'Hacker Spaces' Worldwide
https://www.wired.co[...]
2012-08-07
[48]
웹사이트
Hackers rally around Dutch WikiLeaks DDoS suspect
https://www.computer[...]
2020-01-21
[49]
뉴스
Creators find camaraderie — and lifelong learning — at the Dallas Makerspace
https://www.dallasne[...]
The Dallas Morning News
2017-08-18
[50]
뉴스
"Hackerspaces and the Internet of Things in China: How makers are reinventing industrial production, innovation, and the self"
2014
[51]
뉴스
Columbus Idea Foundry becomes a work in progress
http://www.dispatch.[...]
The Columbus Dispatch
2015-06-26
[52]
웹사이트
A World Without Work
https://www.theatlan[...]
2015-06-23
[53]
웹사이트
NASA Ames SpaceShop
http://www.nasa.gov/[...]
2019-03-26
[54]
간행물
Building Stompy the Giant Robot Inside the World's Biggest Hackerspace
https://www.wired.co[...]
[55]
웹사이트
In Somerville and Lowell, do-it-yourselfers making it work - The Boston Globe
https://www.bostongl[...]
[56]
웹사이트
4th Floor
http://chattlibrary.[...]
2015-05-28
[57]
웹사이트
Making Room for Innovation
http://lj.libraryjou[...]
2015-05-28
[58]
웹사이트
First Public Library to Create a Maker Space
https://www.forbes.c[...]
2017-11-13
[59]
웹사이트
Feminist Hackerspaces: The Synthesis of Feminist and Hacker Cultures
http://peerproductio[...]
Journal of Peer Production
2015-02-14
[60]
웹사이트
The Rise of Feminist Hackerspaces and How to Make Your Own
https://modelviewcul[...]
Model View Culture
2015-02-14
[61]
웹사이트
Double Union
https://www.doubleun[...]
2015-02-14
[62]
웹사이트
Feminist Hackerspaces as Safer Spaces?
http://dpi.studioxx.[...]
Feminist Journal of Art and Digital Culture
2015-04-11
[63]
웹사이트
White Hill Robotics
http://whitehillrobo[...]
2013-10-31
[64]
웹사이트
Penketh High becomes first state school in the country to build dedicated 'makerspace'
http://www.warringto[...]
2018-04-15
[65]
웹사이트
Design and Maker Education for Shenzhen's Children and Young People
https://www.vam.ac.u[...]
V&A
2019-08-03
[66]
학술지
Beyond global versus local: illuminating a cosmolocal framework for convivial technology development
2023-09-01
[67]
웹사이트
Developing Experiential Curricula
https://www.research[...]
2020-01-31
[68]
뉴스
IMAGINE Network - Wheaton College Massachusetts
https://wheatoncolle[...]
2018-01-05
[69]
뉴스
Making matters - Wheaton College Massachusetts
https://wheatoncolle[...]
2018-01-05
[70]
웹사이트
CEID Homepage
http://ceid.yale.edu[...]
2018-01-05
[71]
웹사이트
From Course Instruction to Bio-MakerSpace: Creating a Lab Space for Independent Investigation and Innovation: Americ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https://www.asee.org[...]
2019-06-27
[72]
웹사이트
Education, empowerment and enlightenment through guided disassembly of your broken stuff
https://news.mit.edu[...]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019-05-15
[73]
웹사이트
The high-tech playground
https://www.ktchnreb[...]
2018-11-08
[74]
뉴스
DIY Gadgetry
http://news.bbc.co.u[...]
2009-06-19
[75]
웹사이트
Baghdad Community Hackerspace Workshops
http://www.kickstart[...]
Kickstarter
2013-10-19
[76]
웹사이트
Atlanta makes space for local hackers
http://atlanta.creat[...]
Creative Loafing
2013-10-19
[77]
웹사이트
People Doing Strange Things With Soldering Irons: A Visit to Hackerspace
http://www.xconomy.c[...]
Xconomy.com
2013-10-19
[78]
웹사이트
About
http://pumpingstatio[...]
Pumpinstationone.org
2013-10-19
[79]
간행물
Hacking the Spaces
http://www.monochrom[...]
Monochrom
[80]
뉴스
MakeIt Labs, the new ‘hackerspace’ in Nashua, closed by the city for permits, other issues
http://www.nashuatel[...]
Nashua Telegraph
[81]
웹사이트
List of Hacker Spaces - HackerspaceWiki
http://hackerspaces.[...]
Hackerspaces.org
2013-07-10
[82]
웹사이트
Trollcon 2012
http://www.heise.de/[...]
Heise.de
2013-07-10
[83]
웹사이트
Metalab, Extroverted Viennese Hackerspace
http://makezine.com/[...]
MAKE
2013-10-19
[84]
웹사이트
"Hacker space" movement sought for U.S.
http://www.wired.com[...]
2012-08-07
[85]
웹사이트
DIY Freaks Flock to 'Hacker Spaces' Worldwide
http://www.wired.com[...]
2012-08-07
[86]
웹사이트
About
http://www.tokyohack[...]
Tokyo HackerSpace
2013-07-10
[87]
웹사이트
History » Safecast
http://blog.safecast[...]
Blog.safecast.org
2013-07-10
[88]
웹인용
How To Find And Get Involved With A Hackerspace
http://www.lifehacke[...]
2015-05-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