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과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행동과학은 인간 행동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 인류학, 심리학, 사회학을 포함한 사회과학의 여러 분야를 통합한다. 행동과학자들은 다양한 과학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인간 행동의 근본 원인을 파악하고, 인지 편향, 휴리스틱, 의사 결정 과정에 미치는 요인 등을 분석한다. 응용 행동과학은 소비자 행동, 조직 행동, 건강 행동, 공공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행동 변화를 유도하고 더 나은 정책을 개발하는 데 기여한다. 미래에는 인공지능, 머신러닝과 같은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행동 패턴을 연구하고, 가상 현실과 같은 기술을 통해 새로운 치료법과 개입 방법을 개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행동과학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며, 사회과학과의 관계, 연구 범위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행동과학 - 심리학
심리학은 인간의 행동과 정신 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프쉬케'와 '-logia'에서 유래되었으며, 빌헬름 분트의 연구소 설립 이후 과학적인 학문으로 발전하여 기초 및 응용 분야에서 활용된다. - 행동과학 - 범죄학
범죄학은 범죄의 원인, 발생, 결과, 예방 및 통제를 연구하는 학제적 학문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를 통합하여 범죄 현상을 분석하고 사회 안전망 구축과 범죄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사회과학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사회과학 - 정책학
정책학은 정책 과정, 형성, 집행, 분석, 평가 등을 연구하는 사회과학 분야로서, 다양한 과학적 방법론과 이론을 활용하여 민주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고려하며, 현대 사회 문제 해결 및 정책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한다. - 인지과학 - 연결주의
연결주의는 정신 현상을 단순한 단위들의 네트워크로 설명하는 인공지능 및 인지과학의 접근 방식이며, 뇌의 뉴런을 모방한 인공 신경망을 기반으로 학습을 통해 지식을 습득하고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인지과학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행동과학 | |
---|---|
개요 | |
학문 분야 | 심리학 인지 과학 신경 과학 경제학 정치학 사회학 인류학 법학 사회 신경 과학 의사소통학 |
설명 | |
초점 | 사회 내 개체 간 커뮤니케이션 및 의사 결정 메커니즘 |
특징 | 사회 시스템의 구조 수준 분석에 집중하는 사회 과학과 겹치는 부분이 많음 |
2. 행동과학을 구성하는 학문
행동과학은 인류학, 심리학, 사회학 외에도 신경과학, 생물 행동 과학, 행동 경제학을 포함하며, 범죄학, 사회학, 정치학의 특정 분과도 포함한다.[3][4]
밀러와 베렐슨은 행동과학을 정의하는 관점이 달랐다. 밀러는 행동과학을 인간 이해에 기여하는 여러 분야의 결합된 노력으로 보았고, 베렐슨은 인류학, 심리학, 사회학을 중심으로 사회지리학, 정신의학 일부, 경제학, 정치학, 법학의 행동 관련 측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았다.
응용 행동 과학 및 행동 통찰력은 인지 심리학, 사회 심리학, 행동 경제학을 주로 다루며, 필요에 따라 건강 심리학 등 특정 분야를 포함하기도 한다.[4] 행동 과학자들은 인지 편향, 휴리스틱 등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여 행동 변화를 유도하거나, 사람들이 더 긍정적인 행동을 하도록 유도하는 정책을 개발한다.[1][2]
2. 1. 주요 학문 분야
행동과학은 사회과학의 세 가지 학문 분야인 인류학, 심리학, 사회학으로 구성된다.[3][4] 이 세 학문은 서로 유사한 부분이 많으며, 행동과학은 이들의 특성을 결합하여 인간 행동에 초점을 맞춘다. 행동과학자들은 심리학 실험, 유전학, 신경 영상, 자기 보고 연구, 종간 및 문화 간 비교, 상관 관계 및 종단 설계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행동의 본질, 빈도, 메커니즘, 원인 및 결과를 이해한다.[1][3][5]밀러에 따르면 행동과학은 인간 이해에 기여하는 여러 분야의 결합된 노력을 의미하며, 여기에는 다음 분야들이 포함된다.
베렐슨(B.Berelson)은 행동과학의 영역을 인류학, 심리학, 사회학의 세 가지 주요 분야와 사회지리학, 정신의학의 일부, 경제학, 정치학, 법학의 행동 관련 측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았다.
2. 2. 기타 관련 학문 분야
행동과학은 심리학의 다양한 분과, 신경과학 및 생물 행동 과학, 행동 경제학, 그리고 범죄학, 사회학, 정치학의 특정 분과를 포함한 자연 과학 및 사회 과학 분야를 모두 포괄한다.[3][4]밀러는 행동과학을 개인 또는 사회에서의 인간 이해에 기여하는 여러 분야의 결합된 노력으로 보았으며, 여기에는 다음 분야들이 포함된다.
행동과학은 사회과학의 인류학, 심리학, 사회학 세 가지 학문 분야로 구성된다.[3][4] 이 학문들은 서로 다르지만 유사한 부분이 많으며, 사회과학 여러 학문 중 최고의 특성을 갖추고 인간 행동에 초점을 맞춘다. 행동과학자들은 사회과학의 세 가지 학문 분야에서 확립된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인간 행동을 연구하며, 아직 완전히 이해되지 않은 인간 행동의 근본 원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편, 베렐슨은 행동과학의 영역을 인류학, 심리학, 사회학을 중심으로, 사회지리학, 정신의학의 일부, 경제학, 정치학, 법학의 행동 관련 측면을 추가한 것으로 보았다. 또한, 생리심리학, 고고학, 언어학의 일부, 형질인류학은 제외한 분류로 보았다.
3. 행동과학의 특징
행동과학과 사회과학은 모두 행동의 체계적인 과정을 연구하지만,[8] 과학적 분석 수준에서 차이를 보인다.[9] 행동과학은 사회 시스템 내 유기체 간의 의사 결정 과정과 의사 소통 전략을 연구하기 위해 경험적 데이터를 추상화하며, 심리학, 사회 신경 과학, 윤리학, 인지 과학 등을 포함한다. 반면, 사회과학은 사회 조직이 개인과 집단의 구조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사회 시스템의 과정을 연구하는 통찰력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며, 사회학, 경제학, 공중 보건, 인류학, 인구 통계학, 정치학 등을 포함한다.[10]
정치 심리학과 행동 경제학처럼 행동 과학과 사회 과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학문 분야도 많다. 이들은 정치학 및 경제학의 더 넓은 분야에서 시스템적 및 제도적 요인에 대한 지배적인 초점에도 불구하고 행동적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
3. 1. 학제성
행동과학은 사회과학의 세 가지 학문 분야인 인류학, 심리학, 사회학을 포함한다.[3][4] 이 학문들은 서로 다르지만 유사한 부분이 많으며, 행동과학은 이 세 학문의 특성을 결합하여 인간 행동의 근본 원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3][5]
행동과학은 심리학 실험, 유전학, 신경 영상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 방법을 활용한다.[1][3][5] 또한, 범죄학, 사회학, 정치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를 포괄하는 학제적 특성을 지닌다.[3][4]
응용 행동 과학은 인지 심리학, 사회 심리학, 행동 경제학 등을 활용하여 사람들이 더 긍정적인 행동을 하도록 유도하는 정책을 개발한다.[1][2][4]
행동과학과 사회과학은 모두 행동의 체계적인 과정을 연구하지만, 분석 수준에서 차이를 보인다.[8][9] 행동과학은 경험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의사 결정 과정과 의사 소통 전략을 연구하는 반면, 사회과학은 사회 시스템이 개인과 집단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10]
정치 심리학과 행동 경제학은 정치학 및 경제학의 하위 분야이지만 행동적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행동 과학과 사회 과학의 경계에 있다.
3. 2. 과학적 방법론
행동과학은 심리학의 다양한 분과, 신경과학 및 생물 행동 과학, 행동 경제학, 그리고 범죄학, 사회학, 정치학의 특정 분과를 포함한 자연 과학 및 사회 과학 분야를 모두 포괄한다.[3][4] 이러한 학제 간 특성으로 인해 행동 과학자들은 심리학 실험, 유전학 및 신경 영상, 자기 보고 연구, 종간 및 문화 간 비교, 그리고 상관 관계 및 종단 설계의 결과를 조정하여 특정 행동의 본질, 빈도, 메커니즘, 원인 및 결과를 이해할 수 있다.[1][3][5]
베렐슨(B.Berelson)은 행동과학의 영역을 좀 더 좁혀 인류학, 심리학, 사회학을 세 기둥으로 생각하며, 여기에 사회지리학, 정신의학의 일부, 경제학, 정치학, 법학에서 행동을 다루는 측면을 더했다. 또한, 이를 생리심리학, 고고학, 언어학의 일부, 형질인류학을 제외한 분류로 보았다.
베렐슨에 따르면, "행동과학의 일부로 간주되기 위해서는 그 영역은 다음 두 가지 기본적인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첫째, 인간 행동을 다루어야 한다. 단, 동물의 행동을 연구하는 심리학이나 동물학의 일부는 간접적이거나 기초적인 측면에서 인간 행동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포함된다. 둘째, 주제가 되는 사안을 '과학적'으로 연구해야 한다."
여기서 '과학적'이라는 것은 베렐슨에 따르면 다음 조건을 충족하는 것을 의미한다.3. 3. 응용 가능성
행동과학의 여러 순수 학문 분야에서 얻은 통찰력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탐구되며 일상 생활과 비즈니스 환경에서 적용된다.[7]
예를 들어, 소비자 행동은 소비자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때 내리는 의사 결정 과정을 연구한다. 이는 소비자가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책을 찾는 방식을 연구한다. 행동과학은 소비자가 구매를 할 때 나타내는 패턴, 이러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그리고 이러한 패턴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여 이 연구에 적용된다.
조직 행동은 비즈니스 환경에서 행동과학을 적용한 것이다. 이는 직원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요인, 직원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 이러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그리고 회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러한 패턴을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연구한다. 관리자는 종종 조직 행동을 사용하여 직원을 더 잘 이끌 수 있다.
심리학과 경제학의 통찰력을 활용하여 행동과학은 개인이 건강에 대해 어떻게 의사 결정을 내리는지 이해하고, 손실 회피, 프레이밍, 디폴트, 넛지 등과 같은 개입을 통해 궁극적으로 질병 부담을 줄이는 데 활용될 수 있다.
행동과학의 다른 응용 분야로는 운영 연구와 미디어 심리학이 있다.
4. 행동과학의 응용
행동과학은 여러 순수 학문 분야의 통찰력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며, 일상생활과 비즈니스 환경에 적용된다.[7] 소비자 행동과 조직 행동은 비즈니스 환경에, 건강 행동은 심리학과 경제학의 통찰력을 활용한다. 운영 연구와 미디어 심리학도 행동과학의 응용 분야이다.
4. 1. 소비자 행동
소비자 행동은 소비자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때 내리는 의사 결정 과정을 연구한다. 이는 소비자가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책을 찾는 방식을 연구한다. 행동과학은 소비자가 구매를 할 때 나타내는 패턴, 이러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그리고 이러한 패턴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여 이 연구에 적용된다.[7]4. 2. 조직 행동
조직 행동은 비즈니스 환경에서 행동과학을 적용한 것이다. 이는 직원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요인, 직원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 이러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그리고 회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러한 패턴을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연구한다.[7] 관리자는 종종 조직 행동을 사용하여 직원을 더 잘 이끌 수 있다.[7]4. 3. 건강 행동
행동과학은 심리학과 경제학의 통찰력을 활용하여 개인이 건강에 대해 어떻게 의사 결정을 내리는지 이해한다. 손실 회피, 프레이밍, 디폴트, 넛지 등과 같은 개입을 통해 궁극적으로 질병 부담을 줄이는 데 활용될 수 있다.[7]4. 4. 기타 응용 분야
행동과학의 여러 순수 학문 분야에서 얻은 통찰력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탐구되며 일상 생활과 비즈니스 환경에서 적용된다.[7]예를 들어, 소비자 행동은 소비자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때 내리는 의사 결정 과정을 연구한다. 이는 소비자가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책을 찾는 방식을 연구한다. 행동과학은 소비자가 구매를 할 때 나타내는 패턴, 이러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그리고 이러한 패턴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여 이 연구에 적용된다.
조직 행동은 비즈니스 환경에서 행동과학을 적용한 것이다. 이는 직원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요인, 직원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 이러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그리고 회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러한 패턴을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연구한다. 관리자는 종종 조직 행동을 사용하여 직원을 더 잘 이끌 수 있다.
심리학과 경제학의 통찰력을 활용하여 행동과학은 개인이 건강에 대해 어떻게 의사 결정을 내리는지 이해하고, 손실 회피, 프레이밍, 디폴트, 넛지 등과 같은 개입을 통해 궁극적으로 질병 부담을 줄이는 데 활용될 수 있다.
행동과학의 다른 응용 분야로는 운영 연구와 미디어 심리학이 있다.
5. 미래 전망
로빌라는[6] 인공지능, 머신러닝, 더 많은 데이터와 같은 현대 기술을 사용하여 행동 패턴을 더 큰 규모로 연구하고 이해하는 것이 행동 과학 지원/연구의 미래를 밝게 한다고 설명한다. 가상 현실/AI과 같은 몰입형 기술을 사용하여 최첨단 치료법과 개입을 만드는 것도 행동 과학의 미래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개념은 행동 과학이 미래에 취할 수 있는 많은 경로 중 일부일 뿐이다.
5. 1. 첨단 기술 활용
로빌라는[6] 인공지능, 머신러닝, 더 많은 데이터와 같은 현대 기술을 사용하여 행동 패턴을 더 큰 규모로 연구하고 이해하는 것이 행동 과학 지원/연구의 미래를 밝게 한다고 설명한다. 가상 현실/AI과 같은 몰입형 기술을 사용하여 최첨단 치료법과 개입을 만드는 것도 행동 과학의 미래에 도움이 될 것이다.5. 2. 새로운 연구 분야
로빌라는 인공지능, 머신러닝, 더 많은 데이터와 같은 현대 기술을 사용하여 행동 패턴을 더 큰 규모로 연구하고 이해하는 것이 행동 과학 지원/연구를 밝게 하는 데 미래가 있다고 설명한다.[6] 가상 현실/AI와 같은 몰입형 기술을 사용하여 최첨단 치료법과 개입을 만드는 것도 행동 과학의 미래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개념은 행동 과학이 미래에 취할 수 있는 많은 경로 중 일부일 뿐이다.6. 행동과학에 대한 다양한 견해
C. 라이트 밀스는 저서 《사회적 상상력》에서 '사회 과학'이라는 용어보다 '사회 연구(Social Studies)'가 더 적합하다고 주장했다. 밀스는 "행동 과학'이라는 말을 사용하는 것은 전혀 불가능하다"고 언급했는데, 이는 "'사회 과학'과 '사회주의'를 혼동하는 재단이나 대의원으로부터 사회 조사의 자금을 얻어오기 위한 선전용 책략"처럼 보인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는 "우리는 용어를 두고 다툴 것이 아니라, 용어를 사용하여 논쟁해야 하므로, 이는 가능한 한 논쟁의 여지가 없는 것이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밀스는 '인간 과학'(human disciplines)이라는 용어가 더 적합할 것이라고 제안했다.[1]
6. 1. J.G. Miller
제임스 그리어 밀러(J.G. Miller)에 따르면 행동과학은 개인 또는 사회에서의 인간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는 여러 분야가 결합된 학문이다. 여기에는 다음 분야가 포함된다.[1]
6. 2. B. Berelson
베렐슨(B. Berelson)은 행동과학의 영역을 인류학, 심리학, 사회학을 세 기둥으로 생각하고, 여기에 사회지리학, 정신의학의 일부, 경제학, 정치학, 법학의 행동을 다루는 측면을 더했다. 또한, 생리심리학, 고고학, 언어학의 일부, 형질인류학을 제외한 분류로 보고 있다.[1]베렐슨에 따르면, 행동과학의 일부로 간주되려면 다음 두 가지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1]
- 인간 행동을 다루어야 한다. 단, 동물의 행동을 연구하는 심리학이나 동물학의 일부는 간접적이거나 기초적인 측면에서 인간 행동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포함된다.
- 주제가 되는 사안을 '과학적'으로 연구해야 한다.
여기서 과학적이라는 것은 베렐슨에 따르면 다음 조건을 충족하는 것을 의미한다.[1]
- 절차가 공개되어야 한다.
- 정의가 정밀해야 한다.
- 데이터 수집 방법이 객관적이어야 한다.
- 사실은 재현 가능해야 한다.
- 접근법은 조직적이고 축적적이어야 한다.
6. 3. C. Wright Mills
C. 라이트 밀스는 저서 《사회적 상상력》에서 '사회 과학'이라는 용어보다 '사회 연구(Social Studies)'가 더 적합하다고 주장했다.밀스는 "'행동 과학'이라는 말을 사용하는 것은 전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 용어가 "'사회 과학'과 '사회주의'를 혼동하는 재단이나 대의원으로부터 사회 조사의 자금을 얻어오기 위한 선전용 책략"처럼 보인다고 생각했다. 그는 "우리는 용어를 두고 다툴 것이 아니라, 용어를 사용하여 논쟁해야 하므로, 이는 가능한 한 논쟁의 여지가 없는 것이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밀스는 '인간 과학'(human disciplines)이라는 용어가 더 적합할 것이라고 제안했다.[1]
참조
[1]
논문
A manifesto for applying behavioural science
[2]
논문
Behavioural science and policy: where are we now and where are we going?
[3]
논문
Neuroeconomics
[4]
논문
Using social and behavioural science to support COVID-19 pandemic response
[5]
서적
Mapping the Neural Basis of Neuroeconomics with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A Narrative Literature Review
[6]
논문
Ap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ologies to Behavioral and Social Sciences
https://doi.org/10.1[...]
2020-10-01
[7]
논문
A manifesto for applying behavioural science
[8]
논문
Exploring the Differences Between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
[9]
웹사이트
Definition of BEHAVIOURAL SCIENCE
https://www.merriam-[...]
2017-12-23
[10]
서적
Introduction to the book in 'Introductory Reading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Prometheus Books
[11]
웹사이트
行動科学
http://dictionary.go[...]
NTTレゾナント株式会社
2013-11-07
[12]
서적
行動の科学
至文堂
1970-09-3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