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경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허경징은 1845년 저장성 자싱에서 태어난 청나라 말기의 외교관이자 관료였다. 1868년 과거에 급제하여 한림원에서 관직 생활을 시작했으며, 육부 주사, 편수, 시강학사 등을 역임했다. 1884년에는 프랑스, 독일 등 여러 국가의 공사를 지냈으며, 독일에서 딩위안함을 인수하고 《외국사선표》를 저술하여 해방 강화를 주장했다. 1890년 러시아, 독일 등 공사를 겸임하며 내각 학사로 승진했고, 파미르 고원 출병 시 국경 협상을 담당했다. 1898년 총리각국사무아문의 대신, 예부좌시랑 등을 거쳐 경사대학당 총교습 겸 관학대신으로 교육 개혁을 추진했다. 의화단 운동 당시 의화단을 북경에 들이지 않으려 노력했으나 서태후의 분노를 사 1900년 처형되었으며, 사후 문숙이라는 시호와 함께 삼충으로 추앙받았다. 그는 루정샹의 멘토였으며, 루정샹이 가톨릭으로 개종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의 이부시랑 - 이지방 (1622년)
이지방은 1622년 출생하여 청나라 시기에 활동하며, 과거 급제 후 형부 낭중, 이부 상서 등을 역임하고 문화전 대학사를 거쳐 태자태보로 추서되었으며, 저서로 《청사고》 등을 남겼다. - 청나라의 공부시랑 - 영록
영록은 청나라 말기 만주족 출신 정치인이자 군인으로, 무술정변에서 서태후를 지지하고 의화단의 난 진압 과정에서 공사관 보호에 힘썼으며, 사후 태부로 추증되고 선통제 푸이의 외조부가 되었다. - 청나라의 공부시랑 - 반조음
반조음은 청나라의 관료이자 서예가로, 시독학사, 군기대신 등을 역임하고 좌종당을 변호했으며, 금석 비문 감정가로 명성을 떨치다 1890년 사망했다. - 중국의 외교관 - 심괄
심괄은 중국 송나라 시대의 과학자, 정치가, 외교관, 예술가, 문인으로, 천문학, 지리학, 약학, 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저서 《몽계필담》을 통해 과학적 사고를 보여준다. - 중국의 외교관 - 엄항섭
엄항섭은 1898년 출생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독립운동을 하였으며, 해방 후 김구와 함께 활동하다가 북한으로 간 인물로,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받았다.
허경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허경징 |
원어 이름 | 許景澄 |
로마자 표기 | Xu Jingcheng |
출생 이름 | Xu Guishen (許癸身) |
자 | Zhuoyun (倬畇) |
호 | Zhúyún (竹筠) |
시호 | Wensu (文肅) |
출생일 | 1845년 |
출생지 | 저장성 자싱 시 |
사망일 | 1900년 7월 28일 |
사망지 | 베이징, 차이시커우 처형장 |
사망 원인 | 참수 |
국적 | 청나라 |
직업 | 외교관, 정치인, 정부 관료 |
학력 | 진사 학위 (과거 제도) |
주요 경력 | |
종리야문 대신 | 1898년 11월 2일 ~ 1900년 7월 28일 |
독일 주재 중국 대사 | 1884년 4월 28일 ~ 1887년 6월 23일 (프랑스 대사 겸임) |
이전/이후 | |
종리야문 대신 이전 | 해당 정보 없음 |
종리야문 대신 이후 | 해당 정보 없음 |
독일 주재 중국 대사 이전 | 리펑바오 |
독일 주재 중국 대사 이후 | 뤼하이환 |
2. 생애
허경징은 절강성(浙江省) 가흥(嘉興) 출신으로 1868년에 진사가 되었고, 한림원(翰林院) 편수가 되었다.
1895년 공부 좌시랑(공부의 선임 부장관)으로 승진했다. 이 기간 동안 외교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며 1897년에는 독일 특사, 1895년부터 1899년까지는 총리아문 (외무부)의 수석 장관을 역임했다.[4] 외국 철도 회사 및 정부와 중개 역할도 맡아, 1897년 1월부터 사망할 때까지 중국 동부 철도 사장으로서 중국 북동부 산업화 과정에서 주요 철도 현대화를 담당했다.[7]
의화단 운동이 일어나기 전부터 로마 가톨릭 신자였던 허경징은 의심을 받았다.[2] 그는 청나라 조정의 자유주의자로서, 쉬 융이, 병부 상서 리 산, 공부 상서 롄 위안, 군기처 부총리 위안 창, 예부 시랑과 함께 서태후에게 국제법 위반을 항의하고 의화단 진압, 의화단 지도자 처형, 외국 군대와의 외교적 해결을 촉구하는 건의를 올렸다. 허경징은 상소에서 "치외법권 침해와 외국 외교관 살해는 중국 국내외에서 전례가 없는 일입니다."라고 썼다.
서태후는 분노하여 허경징에게 "고의적이고 터무니없는 조정을 상소"하고 "파괴적인 사상을 조장"했다는 죄목으로 사형을 선고했고, 1900년 7월 28일에 처형되었다. 그의 잘린 머리는 베이징 채시구 처형장에 전시되었다.[8]
2. 1. 초기 생애 및 관직 진출
1845년 저장성 자싱에서 태어났다. 1868년 과거에 급제하여 진사가 되었다.[4] 한림원에서 문관으로 관직 생활을 시작하여 육부 주사 (), 편수 (), 시강학사 () 등을 역임했다.[5]편수로 재직할 당시 외교 및 시사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 능력을 보였으나, 처음에는 일본 특사로 임명되었음에도 부친상을 당하여 장남으로서 상중 책무로 인해 해외 부임을 하지 못했다.[2]
2. 2. 외교관 활동
1884년, 허경징은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벨기에 공사로 임명되었다.[2] 재임 중 독일 조선업체 AG 벌칸 슈테틴에서 제조된 중국 딩위안함을 인수하고, 《외국사선표》(外國師船表)를 저술하여 조정에 해로 방어 강화를 건의했다.[2]1890년, 러시아, 독일,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공사로 다시 임명되었고, 내각 학사로 승진했다.[4] 1892년에는 러시아가 파미르고원에 출병했을 때 국경 협상을 담당했다.[4]
1896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러청은행과 동청 철도 부설에 관한 협약을 체결했다.[7] 이는 대한제국의 국익과 관련된 중요한 문제였다.
2. 3. 국내 정치 활동 및 교육 개혁
1898년, 허경징은 총리각국사무아문의 대신, 예부좌시랑, 중동철도공사 감독관으로 임명되었다.[4] 이후 이부 좌시랑으로 승진하였고, 경사대학당(京師大學堂, 현재의 베이징 대학) 총교습(총장) 겸 관학대신(管學大臣)에 임명되어 교육 개혁을 추진했다.[4]2. 4. 의화단 운동과 죽음
의화단 운동이 일어나자 허경징은 의화단을 베이징에 들이지 않도록 노력했다. 그러나 8개국 연합군이 대고포대(大沽砲臺)를 점령하자 조정은 의화단을 이용하게 되었고, 관병으로 각국의 공사관을 공격했다. 허경징은 서용의, 원창과 함께 의화단을 신뢰하여 각국에 선전포고를 하는 일이 없도록 간언했다.로마 가톨릭 신자인 허경징은 의화단 운동이 일어나기 전부터 의심을 받았다.[2] 반기독교, 반외세, 반제국주의 운동은 1900년 6월 산둥성과 화북 평원에서 수개월간의 폭력 사태 이후 베이징으로 모여들었고, 외교관, 외국인, 중국인 기독교인들을 공사관 구역으로 몰아넣었다. 허경징은 청나라 조정의 자유주의자로서, 쉬 융이, 병부 상서 리 산, 공부 상서 롄 위안, 군기처 부총리, 위안 창, 예부 사부 시랑과 함께 서태후에게 국제법 위반을 항의하고 의화단의 진압, 의화단 지도자 처형, 외국 군대와의 외교적 해결을 촉구하는 건의를 올렸다. 허경징은 서태후에게 올린 자신의 상소(탄원)에서 "치외법권 침해와 외국 외교관 살해는 중국 국내외에서 전례가 없는 일입니다."라고 썼다.
서태후는 분노하여 허경징에게 "고의적이고 터무니없는 조정을 상소"하고 "파괴적인 사상을 조장"했다는 죄목으로 사형을 선고했고, 1900년 7월 28일에 처형되었다. 그의 잘린 머리는 베이징 채시구 처형장에 전시되었다.[8]
3. 사후
1909년, '문숙'(文肅)이라는 시호가 추서되었고, 서용의, 원창과 함께 삼충(三忠)으로 불리며, 항저우 서호에 삼충사(三忠祠)가 건립되었다.[1]
3. 1. 평가
허경징은 청나라 말기의 개혁적인 관료로서, 서구 열강과의 외교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청나라의 근대화를 추구했던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과거에 급제한 후, 한림원에서 관직 생활을 시작하여 외교 및 시사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 능력을 보여주었다.[5]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벨기에 등 유럽 여러 나라의 외교관을 역임하면서,[2] 서구 열강의 선진 문물을 접하고 이를 청나라에 도입하고자 노력했다. 특히, 독일 조선업체 AG 벌칸 슈테틴에서 제조된 중국 딩위안함을 검사하고 인수하는 과정에서 서구의 발달된 기술력을 직접 확인하고, 청나라 함대의 근대화를 주장하기도 했다.[2]
그는 총리아문의 수석 장관을 역임하며 외교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했고,[4] 중국 동부 철도의 사장으로서 중국 북동부 지역의 산업화를 이끌었다.[7] 그의 외교 활동은 당시 조선과 대한제국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중동철도 부설은 만주 지역을 둘러싼 열강들의 각축 속에서 조선의 국익과도 관련된 중요한 문제였다.
또한 이부 좌시랑으로서 교육부 장관이자 베이징 황립 대학(현재의 베이징 대학)의 총장을 역임하며,[4] 인재 양성에도 힘썼다.
3. 2. 기념
1909년, '문숙'(文肅)이라는 시호가 추서되었고, 서용의, 원창과 함께 삼충(三忠)으로 불렸다. 항저우의 서호에는 이들을 기리는 삼충사(三忠祠)가 건립되었다.[1] 허경징은 원창, 서용의와 함께 항저우 서호에서 기념되고 있으며, 이곳에는 청나라 조정 관리 세 명을 충신으로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1]3. 3. 영향
외교관 시절 쉬징청은 훗날 중화인민공화국의 총리 겸 외교부 장관이 되는 루정샹의 멘토였으며, 루정샹이 개신교에서 로마 가톨릭교회로 개종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2] 그는 루정샹에게 "유럽의 힘은 무기나 지식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종교에서 나온다 [...]. 기독교 신앙을 관찰하라. 그 핵심과 힘을 파악한 뒤, 그것을 중국에 가져다주어라."라고 가르쳤다.[9]의화단 운동 당시 쉬징청의 처형은 루정샹이 제1차 및 제2차 헤이그 평화 회의에 청나라 대표로 참석하고, 벨기에 및 러시아 주재 공사를 역임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직책들은 이전에 쉬징청이 맡았던 역할이었다.[9] 루정샹은 쉬징청을 "두 번째 아버지"라고 칭하며, 청나라 조정에 의해 처형된 것을 결코 잊지 않았다.[9]
4. 저서
- 帕米爾圖說|파미르도설중국어
- 許文肅公外集|허문숙공외집중국어
- 許文肅公日記|허문숙공일기중국어
- 許文肅公書札|허문숙공서찰중국어
- 許竹篔先生出使函稿|허죽운선생출사함고중국어
2015년, 주가영(朱家英)은 허징의 선집을 엮은 책 許景澄集|허징청집중국어을 출판했다.[10]

참조
[1]
웹사이트
The China Relief Expedition Joint Coalition Warfare in China Summer 1900
https://web.archiv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Applied Physics Laboratory
2010-10-31
[2]
서적
Qing shi gao
新華書店北京發行所發行, Beijing
[3]
문서
Wikisource:Boxer Protocol
[4]
웹사이트
(Qing) Xu Jingcheng
https://archive.toda[...]
Institute of History and Philology (IHP) of Academia Sinica
2013-03-30
[5]
서적
A dictionary of official titles in Imperial China
Stanfo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坐衔
http://www.historych[...]
[7]
웹사이트
Former Foreign Colonies and Major Concessions in China
http://worldstatesme[...]
[8]
웹사이트
資料連結
https://archive.toda[...]
2022-02-03
[9]
문서
Lou Tseng-Tsiang, Souvenirs et pensées (1945)
[10]
서적
許景澄集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