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드폰은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하는 장치로, 전화 수화기에서 유래되었다. 1910년 Nathaniel Baldwin이 최초로 성공적인 헤드폰 세트를 개발했으며, 이후 무선 전신 및 라디오 방송 분야에서 사용되었다. 헤드폰은 형태, 소음 차단 방식, 기술적 특징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다이내믹 드라이버, 정전형 드라이버, 평면 자기형, 밸런스드 아마추어 등 다양한 변환기를 사용한다. 헤드폰의 임피던스, 감도, 연결 방식(유선, 무선) 등은 음질과 사용 편의성에 영향을 미친다. 헤드폰의 장시간 사용은 청력 손상, 안전 문제, 피부염 등의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주요 제조사로는 삼성전자, 애플, 소니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휴대용 전자 기기 - 소니 워치맨
소니 워치맨은 소니에서 1982년부터 2000년까지 생산한 휴대용 텔레비전 브랜드로, 흑백 음극선관 디스플레이를 시작으로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모델들이 출시되었다. - 휴대용 전자 기기 - Mamorino
Mamorino는 KDDI와 샤프가 공동 개발한 어린이용 휴대폰 시리즈로, 방수 기능과 어린이 친화적 기능, 방범 부저와 제한 모드 등의 안전 기능이 특징이며, 일본 PTA 전국 협의회의 추천 상품 및 키즈 디자인상 수상 이력과 함께 3G 서비스 종료로 인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 - 헤드폰 - 에어팟
에어팟은 애플에서 출시한 무선 이어폰으로, 여러 세대를 거치며 디자인, 기능, 칩셋이 개선되었고,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갖춘 프로 모델과 4세대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높은 가격, 배터리 문제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 - 헤드폰 - 픽셀 버즈
픽셀 버즈는 구글에서 개발 및 판매하는 무선 이어폰 시리즈로, 다양한 라인업과 구글 어시스턴트 연동, 터치 컨트롤,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ANC)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한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고 있다. - 음향 기기 - 전기 바이올린
전기 바이올린은 공명통 없이 픽업으로 현의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소리를 내는 악기로, 재즈, 블루스에서 시작해 록, 팝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되며 MIDI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자 음악 연주에도 사용된다. - 음향 기기 - 이퀄라이저
이퀄라이저는 음향 기기나 소프트웨어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량을 조절하여 음색을 보정하거나 변화시키는 장치로, 통신 시스템 왜곡 보정에 사용되던 것이 음악 감상, 음향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파라메트릭, 그래픽, 디지털 등 다양한 종류와 쉘빙형, 피킹형 등의 주파수 대역 형태를 가진다.
헤드폰 | |
---|---|
이어폰 | |
다른 뜻 | 이어버드 |
유형 | 음향 변환기 |
사용 목적 | 소리 재생 |
착용 위치 | 귀 안 또는 귀 위 |
음향 전달 방식 | 고막 |
구성 요소 | 스피커 등 |
청취 범위 | 가청음 |
명칭 | |
영어 | headphones 또는 earphones |
한국어 | 헤드폰 또는 이어폰 |
역사 | |
초기 형태 | 전화 교환원용 음향 수신기 |
대중화 계기 | 워크맨 출시 |
기술 사양 | |
단자 크기 | 6.35 mm (1/4인치) 3.5 mm (1/8인치) |
연결 방식 | 유선 무선 |
무선 연결 기술 | 블루투스 |
음향 특성 | |
음질 | 음향 재생 능력 |
음압 | 소리 크기 |
주파수 응답 | 재생 가능한 주파수 범위 |
임피던스 | 전기 저항 |
형태 | |
헤드폰 | 귀를 덮는 형태 머리 위에 착용 |
이어폰 | 귀 안에 삽입하는 형태 귀에 걸치는 형태 다양한 디자인 |
특징 | |
장점 | 휴대성 개인적인 청취 |
단점 | 장시간 사용 시 불편함 주변 소리 차단 높은 볼륨으로 인한 청력 손실 위험 |
기타 | |
관련 정보 | 음향 관련 장치 |
2. 역사
헤드폰은 전화 수신기에서 기원했으며, 증폭기 개발 전까지 전기적 소리 신호를 들을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었다. 1880년대 전화 교환원들은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기 위해 머리에 수화기를 장착하는 장치를 사용했다.[7][8] 최초의 성공적인 헤드폰은 1910년 너새니얼 볼드윈이 개발하여 미국 해군에 판매하였다.[115][116] 1890년대 영국 회사 일렉트로폰은 이어폰 두 개를 장착한 청취 장치를 개발하여 런던 극장과 오페라 하우스 공연 실황을 들을 수 있게 했다.[14]
헤드폰은 무선 전신 분야에도 등장했다.[17] 초기 무선 전신 개발자들은 전화 수화기의 스피커를 무선 수신 회로의 전기 신호 검출기로 사용했다.[17] 1908년부터 '헤드 폰'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고,[19] 1년 후에는 '헤드폰'이라는 합성어가 사용되었다.[20] 1958년 John C. Koss는 최초의 스테레오 헤드폰을 생산했다.[26][27]
소니가 워크맨을 발매하면서 이어폰이 대중화되었고, 애플 아이팟의 영향으로 흰색 이어폰이 유행했다. 2016년에는 선이 없는 무선 이어폰 에어팟이 출시되었다.
2. 1. 한국 무선 이어폰 시장의 발전
주어진 원문 소스(`source`)에는 "한국 무선 이어폰 시장의 발전"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 제목에 맞는 내용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이전 답변은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작성되었습니다.3. 종류
무선 이어폰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선 없이 연결되는 이어폰으로, 유선 이어폰보다 편리하다. 헤드폰은 전화 수신기에서 유래했으며, 증폭기 개발 전에는 전기적 소리 신호를 들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다. 최초의 성공적인 헤드폰은 1910년 너새니얼 볼드윈(Nathaniel Baldwin)이 개발하여 미국 해군에 판매했다.[115][116]
소니가 워크맨을 출시하면서 '이어폰'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나, 특허권이 풀리면서 여러 음향 회사들이 다양한 형태의 이어폰을 출시하여 대중화되었다. 초기에는 검은색의 동그란 모양이 주를 이루었으나, 애플 아이팟의 영향으로 흰색의 귀에 걸 수 있는 이어폰이 개발되었다. 2016년에는 에어팟과 같이 선이 없는 무선 이어폰이 출시되기도 했다.
전자정보기술산업규격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80]
종류 | 정의 |
---|---|
이어폰 |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귀에 가깝게 사용하는 기기[80] |
헤드폰 | 1개 또는 2개의 이어폰과 헤드밴드 또는 턱받이 밴드를 조합한 기기[80] |
헤드셋 | 마이크가 탑재된 헤드폰[80] |
이어셋 | 마이크가 탑재된 이어폰[80] |
과거 NHK 규격에서는 이어폰과 헤드폰을 구분하지 않고, 헤드밴드로 양쪽 귀에 착용하는 형태를 '양이 착용형 이어폰'으로 분류하고, 스테레오형과 모노럴형으로 나누었다.[83]
헤드폰은 헤드밴드를 머리 위에 얹는 형태인 헤드밴드형(오버헤드형)이 있으며, 1970년대까지 헤드폰 착용 방식은 헤드밴드 형태로 한정되어 있었다.[84] 귀에 잘 밀착되며, 밀폐형의 경우 소리 누출이 적지만, 휴대 시 부피가 크고 머리 모양이 헝클어지는 단점이 있다. 접이식도 있다. 1979년에 발매된 경량 오픈형은 야외에서 음악을 즐기는 문화를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84]
3. 1. 모양에 따른 분류
오픈형 이어폰은 귀에 걸치는 형태로, 주변 소리를 들을 수 있어 개방감이 좋지만 차음성이 떨어진다. 애플 이어버드는 귀 모양에 맞춰 디자인되어 차음성과 공간감이 좋은 편이다.커널형 이어폰(인이어 이어폰)은 외이도에 삽입하는 형태로, 차음성이 뛰어나지만 장시간 착용 시 답답함을 느낄 수 있다. 구조상 밀폐형이 많아 소음이 큰 곳에서도 음악을 즐길 수 있지만, 자신의 신체 소리가 증폭되거나 외부 소리가 잘 들리지 않아 위험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85][86]
클립형 이어폰(클립형 헤드폰)은 안경처럼 귀에 거는 형태로, 안정적인 착용감을 제공하지만 차음성이 좋지 않고 안경 착용자에게는 불편할 수 있다.
3. 2. 기능에 따른 분류

주변 환경의 원치 않는 소음은 수동적 소음 차단을 통해 귀에서 소음을 차단하거나, 능동적 소음 제거를 통해 줄일 수 있다.[39]
수동적 소음 차단은 기본적으로 이어폰 본체를 귀 위나 귀에 삽입하여 수동적인 귀마개처럼 소음을 차단하는 것이다. 가장 많은 감쇠를 제공하는 헤드폰 유형은 인이어 이어폰과 밀폐형 헤드폰(서라운드형 및 온이어형 모두)이다. 개방형 및 이어버드 헤드폰도 어느 정도의 수동적 소음 차단을 제공하지만, 다른 유형보다 훨씬 적다. 일반적인 밀폐형 헤드폰은 8~12dB를 차단하고, 인이어 이어폰은 10~15dB를 차단한다.
능동적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은 마이크, 증폭기, 스피커를 사용하여 주변 소음을 수집하고 증폭하여 위상 반전된 형태로 재생한다. 이는 원하는 소리(마이크로 수집되어 반전되지 않음)에 영향을 주지 않고 주변의 원치 않는 소음을 어느 정도 상쇄한다. 이들은 회로를 구동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배터리와 같은 전원을 필요로 한다. 능동적 소음 제거 헤드폰은 주변 소음을 20dB 이상 감쇠할 수 있지만, 능동 회로는 날카로운 소리나 목소리보다는 주로 일정한 소리와 저주파수에 효과적이다. 일부 소음 제거 헤드폰은 항공기, 기차, 자동차의 저주파 엔진 및 이동 소음을 줄이도록 설계되었으며, 다른 유형의 소음이 있는 환경에서는 효과가 떨어진다.
4. 기술적 특징
헤드폰의 크기는 음질의 충실도와 휴대성 간의 균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헤드폰 형태는 크게 오버이어(circumural), 온이어(supra-aural), 이어버드, 인이어의 네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
전자정보기술산업규격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80] 일본산업규격, 일반재단법인 테크니컬 커뮤니케이터 협회에서는 "헤드폰" 및 "이어폰"으로 표기한다.[81][82]
- '''이어폰:'''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귀에 가깝게 사용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이다.(전자정보기술산업규격 JEITA RC-8140C 3(1))[80]
- '''헤드폰:''' 1개 또는 2개의 이어폰과 헤드밴드 또는 턱받이 밴드를 조합한 것이다.(규격 3(2))[80]
- '''헤드셋:''' 마이크로폰을 탑재한 헤드폰이다.(규격 3(3))[80]
- '''이어셋:''' 마이크로폰을 탑재한 이어폰이다.(규격 3(4))[80]
과거 일본 NHK 규격에서는 이어폰과 헤드폰을 구분하지 않았고, 헤드밴드를 가지고 양쪽 귀에 착용하는 형태는 '''양이 착용형 이어폰'''으로 분류했으며, 스테레오형과 모노럴형으로 나누었다.[83]
인이어형(intra-aural, in-ear, inner-ear type)은 귓바퀴 속부분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음향 출력구가 외이도(귓구멍) 근처에 오도록 설계되었다.[80] 1982년에 개발되어 헤드폰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보급되었다.[84]
수프라오랄(supra-aural)형은 이개(耳介)의 주변에 있는 돌출부 위에 놓고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80]
4. 1. 트랜스듀서 기술
무빙 코일 드라이버(일반적으로 "다이나믹" 드라이버라고도 함)는 헤드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유형이다.[47] 이는 헤드폰 프레임에 고정된 자석으로 구성되며, 정자기장을 형성한다. 헤드폰의 자석은 주로 페라이트 또는 네오디뮴으로 만들어진다. 가벼운 와이어 코일인 보이스 코일은 자석의 자기장에 매달려 있으며, 가볍고 강성 대 질량 비율이 높은 셀룰로오스, 폴리머, 탄소 재료, 종이 등으로 제작된 진동판에 부착된다. 오디오 신호의 변화하는 전류가 코일을 통과하면, 정자기장에 반응하는 변화하는 자기장이 생성되어 코일과 부착된 진동판에 힘을 가해 진동시킨다. 진동하는 진동판은 공기를 밀어 음파를 생성한다.
정전형 드라이버는 얇고 전기적으로 충전된 PET 필름 막 형태의 진동판이 두 개의 구멍 뚫린 금속판(전극) 사이에 매달린 구조이다. 전기적 음향 신호가 전극에 가해지면 전기장이 생성되고, 이 전기장의 극성에 따라 진동판이 한쪽 판으로 당겨진다. 공기는 구멍을 통해 강제로 통과하며, 막을 구동하는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전기 신호와 결합하여 음파를 생성한다. 정전형 헤드폰은 일반적으로 동일 코일 방식보다 비싸며 비교적 드물다.[47] 또한, 막을 휘게 하기 위해 신호를 증폭하는 특수 증폭기가 필요하며, 100~1,000볼트 범위의 전위가 필요하다.
정전형 헤드폰은 극도로 얇고 가벼운 진동판 막(두께가 수 마이크로미터에 불과한 경우도 있음)과 움직이는 금속 부품이 전혀 없기 때문에 주파수 응답이 일반적으로 약 20kHz의 가청 한계를 훨씬 넘어선다. 고주파수 응답은 저중음역의 왜곡 수준이 가청 주파수 대역의 최상단까지 유지됨을 의미하며, 이는 동일 코일 드라이버에서는 일반적이지 않다. 또한 동일 코일 드라이버에서 고주파수 영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주파수 응답 피크도 없다. 잘 설계된 정전형 헤드폰은 다른 유형보다 훨씬 더 나은 음질을 제공할 수 있다.
정전형 헤드폰은 100V에서 1kV 이상을 생성하는 전압원이 필요하며 사용자의 머리에 위치한다. 절연체 발명 이후 실제 위험은 없으며, 상당한 전류를 공급할 필요가 없어 고장 발생 시 착용자에 대한 전기적 위험은 더욱 제한된다.
전극 드라이버는 정전식 드라이버와 동일한 전기 기계적 방식으로 작동하지만, 전극 드라이버에는 영구적인 전하가 내장되어 있고 정전식 드라이버는 외부 발생기에서 전하가 가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전극 및 정전식 헤드폰은 비교적 드물며, 초기 전극은 일반적으로 정전식보다 저렴하고 기술적 기능 및 충실도가 낮았다.
평면 자기형(Orthodynamic이라고도 함) 헤드폰은 정전형 헤드폰과 유사한 기술을 사용하지만, 평면 자기형 스피커와 유사하게 작동한다는 근본적인 차이점이 있다. 평면 자기형 드라이버는 내장된 와이어 패턴이 있는 비교적 큰 멤브레인으로 구성되며, 두 세트의 영구 자석(서로 반대 방향으로 정렬됨) 사이에 매달려 있다. 멤브레인에 내장된 와이어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생성되어 영구 자석의 자기장과 반응, 멤브레인을 움직여 소리를 생성한다.
균형형 아마추어(Balanced armature)는 진동판에 대한 스트레스를 제거하여 전기 효율을 높이는 음향 트랜스듀서 설계이다.[47] 영구 자석의 자기장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피벗된 가동형 자기 아마추어로 구성되며, 자기장의 중앙에 정확하게 위치하면 아마추어에 대한 순 힘이 없어 '균형형'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코일을 통해 전류가 흐르면 아마추어가 한쪽으로 자화되어 피벗 주위로 약간 회전, 진동판을 움직여 소리를 생성한다.
이 설계는 기계적으로 안정적이지 않아 약간의 불균형이 발생하면 아마추어가 자석의 한 극에 달라붙게 된다. 아마추어를 '균형' 위치에 유지하려면 강한 복원력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효율이 떨어지지만 다른 설계보다 적은 전력으로 더 많은 소리를 생성할 수 있다. 1920년대 볼드윈 마이카 다이어프램 라디오 헤드폰으로 대중화된 균형형 아마추어 트랜스듀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용 사운드 파워드 전화에 사용하기 위해 개선되었으며, 좁은 대역폭 음성 신호에 대해 20%~40%의 전기 음향 변환 효율을 달성했다.
오늘날 균형형 아마추어는 높은 효율과 작은 크기가 장점이기 때문에 주로 인이어 헤드폰과 보청기에 사용된다.[47] 일반적으로 청력 스펙트럼의 극단(예: 20 Hz 미만 및 16 kHz 초과)에서는 제한적이며, 전체 성능을 발휘하려면 다른 유형의 드라이버보다 더 나은 밀폐가 필요하다. 하이엔드 모델에서는 여러 개의 아마추어 드라이버를 사용하고 수동 크로스오버 네트워크를 통해 주파수 범위를 분할하거나, 저음 출력을 높이기 위해 아마추어 드라이버와 소형 무빙코일 드라이버를 결합하기도 한다.
라디오 수신기의 초기 라우드스피커는 콘에 균형형 아마추어 드라이버를 사용했다.[48]
열음향 효과는 도체의 오디오 주파수 줄 열(Joule heating)로부터 소리를 생성하는 것으로, 자기적이지 않고 스피커를 진동시키지 않는다. 2013년 청화대학교(Tsinghua University) 연구팀이 열음향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CNT) 박막사(thin-yarn) 이어폰을 시연하였다.[49]
헤드폰에 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트랜스듀서 기술에는 하일 에어 모션 트랜스포머(AMT), 압전 필름, 리본 평면 자기형, 자기변형 및 플라즈마 또는 이온형이 있다.
4. 2. 임피던스
impedance|임피던스영어는 연결되는 기기의 출력에 영향을 미치므로, 기기와 헤드폰의 임피던스를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4. 3. 감도
감도(Sensitivity영어)는 이어폰이 들어오는 전기 신호를 들리는 소리로 얼마나 효과적으로 변환하는지를 측정하는 값이다.4. 4. 연결 방식
헤드폰은 음향 기기와 연결할 때 일반적으로 폰 플러그(와 폰 잭)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워크맨, 아이팟 같은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미디어 플레이어, 휴대전화, 스마트폰, CD 플레이어, PC, 컴포넌트 스테레오 등이 있다.컴포넌트 스테레오 연결 단자는 직경 6.3mm의 스테레오 플러그(커넥터)가 주로 사용되었지만, 휴대용 오디오나 소형 스테레오 기기 연결에는 3.5mm 스테레오 미니 플러그(커넥터)가 많이 사용된다. 더 작은 전용 단자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미니 플러그와 표준 플러그 모두에 대응하기 위해 헤드폰에 변환 플러그가 기본 포함된 경우도 많다.
유선 헤드폰 중에는 D/A 컨버터를 내장하여 디지털 단자(디지털 오디오 케이블)로 연결 가능한 것도 있다. DVD 플레이어 등에서 앰프를 거치지 않고 재생하거나, PC의 사운드 카드 또는 온보드 디지털 단자에 연결하거나, PC의 USB 단자 또는 아이폰의 라이트닝 단자에 연결하는 제품이 있다.


2018년 현재, FM 변조를 이용한 아날로그 전송, 블루투스, 와이파이, 적외선 등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코드리스(무선) 제품도 있다. 이러한 유형은 음성 신호 복조 전자 회로를 탑재하고 전원 공급이 필요하여 헤드폰에 일차 전지 또는 이차 전지를 내장하여 무게나 부피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블루투스 헤드폰'''(Bluetooth headphones)이나 '''블루투스 이어폰'''은 재생 기기와의 연결에 와이어(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무선인 블루투스를 사용한다. 페어링하여 연결해서 사용한다. 코드가 엉키지 않아 깔끔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어폰은 크게 무선 기기 및 배터리가 중계기로 독립되어 있고, 이들과 양쪽 이어폰이 유선으로 연결된 것(좌우 일체형 또는 넥밴드형)과 이어폰 내부에 무선 기기 및 배터리가 내장된 것(완전 무선(트루·와이어리스·스테레오: TWS))으로 나뉜다.
블루투스를 지원하지 않는 음원 기기나 유선 기기는 트랜스미터나 리시버를 장착하여 블루투스를 외장으로 지원하도록 할 수도 있다.
반면, 무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단점도 있다.
- 전파 상황에 따라 혼신 등으로 음이 끊기는 현상이 발생한다.[95]
- 음성 압축 기술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음질 면에서 불리하다. 따라서 음질에 까다로운 사람들에게는 외면받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소니의 LDAC나 퀄컴의 aptX 등 고음질을 목표로 한 코덱도 개발되고 있다.
- 무선 통신 과정에서 데이터 압축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발생하는 지연[96] 때문에 동영상 재생이나 게임 플레이 시 영상과 음성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 충전이 필요하다.
- 무선 이어폰의 경우, 분실하기 쉽다.
5. 문제점 및 윤리적 고려 사항
서라운드형 헤드폰(풀사이즈 헤드폰 또는 오버이어 헤드폰)은 귀를 감싸는 원형 또는 타원형 이어패드를 가지고 있어 외부 소음을 줄이도록 설계할 수 있다. 하지만, 무게가 500g을 넘는 제품도 있기 때문에 인체공학적인 헤드밴드와 이어패드 설계가 필요하다.
5. 1. 건강 문제
이어폰을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이명이나 난청에 걸릴 위험이 높아지는 등 귀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97] 특히 이어폰을 사용하는 젊은 층이 많아지면서, 과거 노인들에게 주로 발생하던 난청이 젊은 층에서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어폰 사용 중에는 음악 소리에 집중하여 자동차 경적 소리 등을 듣지 못해 교통사고 등 크고 작은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도 높아진다.헤드폰을 큰 소리로 사용하면 귀가 손상되거나 난청이 발생할 수 있다. 단기간에 회복되는 경우도 있지만, 하루 100dB 이상의 소리를 15분 이상 들으면 장기적인 난청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알려져 있다. 헤드폰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난청을 '''헤드폰 난청'''이라고 한다(헤드폰으로 들은 소리가 너무 크다는 의미에서는 "소음성 난청"이라고도 한다). 귀 안쪽에서 음파를 신경의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유모세포[97]가 파괴되는데, 이 유모세포는 재생되지 않아 큰 소리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점차 파괴가 "축적"되어 헤드폰 난청으로 이어진다.
장시간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사용하면 외이도에 습기가 차서 곰팡이가 번식하여 외이도진균증(외이염의 일종)의 원인이 될 수 있다.[99] 또한, 특히 커널형 이어폰의 경우 이어팁 장착이 느슨하면 이어팁이 귀에 남아 수술로 제거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5. 2. 안전 문제
운전이나 운동 중에 헤드폰을 사용하면 외부 소리가 차단되어 주변 상황을 인지하지 못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고, 교통사고를 일으킬 위험이 증가한다.[98]특히 커널형(canal type) 헤드폰은 귀마개처럼 외부 소리가 잘 들리지 않아 사고로 이어지기 쉽다.[98]
많은 지자체에서 운전 중 이어폰이나 헤드폰 착용을 금지하고 있다. 자동차나 오토바이뿐만 아니라 자전거도 경차량에 해당하므로 운전 중 이어폰 착용은 특히 양쪽 귀 착용은 절대 안 된다.[98]
5. 3. 환경 문제
헤드폰은 배터리, 전자 부품 등 환경 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폐기 시 적절한 처리 절차를 따르지 않으면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친환경 기술 개발 지원, 재활용 시스템 구축 등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무선 이어폰 제조사들은 친환경 소재 사용, 재활용 용이성 향상 등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6. 주요 제조사
== 대한민국 ==
제조사 | 비고 |
---|---|
삼성전자 | |
LG전자 | |
아이리버(Astell&Kern) | 주로 다른 회사와의 협업을 통해 제품을 생산 |
클레신 | 중고가 제품은 "PHIATON" 브랜드로 판매 |
다이나믹모션(DynamicMotion) |
== 해외 ==
국가 | 제조사 | 비고 |
---|---|---|
미국 | 애플(Apple Inc.) | 2014년 비츠 일렉트로닉스를 인수, "Beats by Dr. Dre" 브랜드로 제품 제조 및 판매. 2020년 자체 브랜드 "AirPods"의 헤드폰 형태 제품 AirPods Max 판매 시작. |
일본 | 소니 | 스튜디오 모니터용 MDR-CD900ST 등 제조 및 판매 |
독일 | 젠하이저(Sennheiser) | 세계 최초로 오픈형 헤드폰 개발 |
보스(Bose) | ||
슈어(Shure) | 스튜디오 및 라이브용 마이크, 이어폰 등으로 유명. 헤드밴드형 헤드폰 사업에는 2009년부터 진출. | |
오디오테크니카(オーディオテクニカ) | 밀폐형이 많으며, 목재를 사용한 고급 헤드폰 시리즈도 있음. | |
코스(KOSS) | ||
JBL | ||
JVC켄우드(JVCケンウッド) | 2011년 10월 일본 빅터(日本ビクター), 켄우드(ケンウッド), J&K 카 일렉트로닉스를 흡수 합병. | |
파나소닉(パナソニック) | 테크닉스(Technics) 브랜드도 있음. | |
데논(デノン) | ||
하만카돈(Harman Kardon) | ||
덴마크 | 뱅앤올룹슨(Bang & Olufsen) | |
영국 | 마샬(Marshall) | |
얼티밋 이어(Ultimate Ears) | 한국에서는 로지텍이 판매 대리점 역할. | |
애프터쇼크(AfterShokz) | 한국에서는 포컬포인트가 판매 대리점 역할. | |
파이널(Final (企業)) | ||
몬스터 케이블(Monster Cable) | ||
JH 오디오(JH AUDIO) | ||
브이모다(V-MODA) | ||
플랜트로닉스(Plantronics) | ||
베이어다이내믹(Beyerdynamic) | ||
보워스 앤 윌킨스(Bowers & Wilkins) | ||
맥키(Mackie) | ||
네덜란드 | 필립스(Philips) | |
펜더(Fender) | Aurisonics사를 인수하여 이어폰 산업에 진출. | |
아토믹 플로이드 | ||
RHA | ||
홍콩 | AROMA | |
프랑스 | 이어소닉스(Earsonics) | |
웨스톤(Westone) | ||
울트라존(Ultrazone) | ||
에티모틱 리서치(Etymotic Research) | ||
중국 | 오스트라이(Ostry) | |
OPPO Digital(OPPO) | 오디오 제품은 중국 오포 본사에서 분리된 미국 자회사에서 개발. | |
캠프파이어 오디오(ALO audio|Campfire Audio) | ||
싱가포르 | 크리에이티브 테크놀로지 | |
클립쉬(Klipsch) | ||
KEF | ||
KB 이어(KB ear) | ||
KZ | ||
삼성 테크놀로지스 | ||
JLab 오디오(JLab Audio) | ||
64 오디오(64 Audio) | ||
스웨덴 | 스투디오(Sudio) | |
소울 일렉트로닉스 | 초기에는 SIGNEO의 미국 법인인 SIGNEO USA가 "SOUL by Ludacris" 브랜드로 제조 및 판매, 2010년 SIGNEO USA가 SOUL 일렉트로닉스로 개편, 현재 "SOUL" 브랜드 운영. | |
솔 리퍼블릭(SOL REPUBLIC) | ||
디바이어릿(Devialet) | ||
닉슨(Nixon) | ||
노블 오디오(Noble Audio) | ||
하이파이맨(HiFiMAN) | ||
러시아 | 피셔 오디오(Fischer Audio) | |
유니크 멜로디(Unique Melody) | ||
루스(Rooth) | 유니버설 제품 부품을 재활용한 리몰드 서비스를 제공. | |
아시다 음향(アシダ音響) | ST-31형을 제조.[104] | |
아츠덴(アツデン) | [105] | |
알파시타(AlphaTheta) | 2015년 3월 파이오니아(パイオニア) 주식회사에서 사업 분할하여 설립. "Pioneer DJ" 브랜드로 제조 및 판매. | |
엘레가아코스(エレガアコス) | ||
온차락(音茶楽) | 소니를 퇴직한 엔지니어가 설립[106]. | |
쿄와 하모넷(協和ハーモネット) | "ZERO AUDIO" 브랜드로 헤드폰 제조 및 판매[107]. | |
카날웍스(カナルワークス) | 커스텀 IEM 제조[108]. | |
호시덴(ホシデン)/사톨렉스(SATOLEX) | "메이드 인 오사카" 표방. | |
TTR (기업)(TTR (企業)) / 차락온진(茶楽音人(さらうんど)) | TTR 주식회사의 브랜드, 온차락과 협업 관계.[109] | |
조가시타 공업(城下工業) | 대기업 OEM이 많지만, 사운드워리어(SOUNDWARRIOR) 브랜드로 일반 소비자 위한 제품도 개발. [110] | |
스타크스(スタックス (イヤースピーカー)) | 이어스피커라고 불리는 헤드폰 제조. | |
스야마 시켄(須山歯研) | "FitEar" 브랜드로 커스텀 IEM 제조 및 판매. | |
토쿠미(トクミ) | [111] | |
네인(ネイン) | 스마트폰 알림을 들을 수 있는 히어러블 기기 APlay 제조 및 판매[112]. | |
포스터전기(フォスター電機) | 타사에 대한 OEM 수탁 중심. 자사 브랜드 "FOSTEX"로 제조 및 판매. | |
프레시드 재팬(プレシードジャパン) | "AVIOT" 브랜드로 기획, 개발, 제조 및 판매. | |
미스 오디오 테크놀로지(ミースオーディオテクノロジ) | [113] | |
야마하 뮤직 재팬(ヤマハミュージックジャパン)/야마하(ヤマハ) | ||
라디우스(ラディウス (企業)) | 음향 제품은 미국 본사로부터 독립한 일본 법인에서 개발, 제조 및 판매. | |
롤랜드(ローランド) |
그 외에도 다마 전자 공업(多摩電子工業), 맥셀(マクセル), 엘레콤(エレコム) 등 모바일 주변기기 제조업체도 헤드폰을 제조 및 판매하고 있다.
7. 같이 보기
- 헤드셋 (오디오)
참조
[1]
웹사이트
earphone
http://www.merriam-w[...]
2014-01-04
[2]
서적
Audio Basics
Cengage
2011
[3]
웹사이트
Headphones : The Ultimate buying guide - Hi-fidelity headphones
http://www.stereocom[...]
2016-03-03
[4]
웹사이트
The Ultimate Headphones Buying Guide - Audio Inspects
https://audioinspect[...]
2022-07-15
[5]
웹사이트
It's True: Apple Will Drop Headphone Jack To Make The iPhone 7 Slimmer, Says Source
https://www.fastcomp[...]
2016-01-07
[6]
뉴스
Rewind: How the Walkman changed the world...
https://www.independ[...]
2009-07-15
[7]
서적
Bell's Electric Speaking Telephone: Its Invention, Construction, Application, Modification, and History
https://books.google[...]
D. Appleton
1884
[8]
간행물
The Telephone Problem in the World's Largest Metropolitan Area: A Summary of Past and Present
http://archive.org/d[...]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1934-10-01
[9]
서적
The Telephone System of the British Post Office: A Practical Handbook
https://books.google[...]
Page & Pratt
1898
[10]
잡지
Some new Bell type switchboard accessories
https://books.google[...]
1898-11-01
[11]
간행물
Polk's Busy Test For Telephone Switchboards
https://books.google[...]
Electrical Review Publishing Company
1894-11-21
[12]
잡지
Behind the scenes at "Central"
https://books.google[...]
Library Publishing Company
1903-10-01
[13]
웹사이트
Head Clamp Receiver (c.1883)
http://waywiser.rc.f[...]
2023-05-06
[14]
웹사이트
A Partial History of Headphones
https://www.smithson[...]
2020-12-27
[15]
특허
improvements in telephone-receivers...which shall be light enough to be carried while in use on the head of the operator.
[16]
서적
A Manual of Telephony
https://books.google[...]
Whittaker and Company
1893
[17]
잡지
Review of wireless telegraph engineering practice
https://books.google[...]
Telephone Publishing Corporation
1902-12-01
[18]
잡지
The De Forest Wireless Telegraph Station at Coney Island
https://books.google[...]
Electrical Age Publishing Company
1902-07-01
[19]
서적
Naval Electricians' Text Book
https://books.google[...]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1908
[20]
잡지
Correspondence
https://books.google[...]
Modern electrics publication
1909-05-22
[21]
서적
Electrical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https://books.google[...]
McGraw-Hill Publishing Company
1909-04-01
[22]
간행물
Nathaniel Baldwin, Utah inventor and patron of the fundamentalist movement
https://issuu.com/ut[...]
1979
[23]
서적
History of Communications Electronics in the United States Navy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63
[24]
뉴스
Great Falls Tribune 03 Jan 1930, page 7
https://www.newspape[...]
1930-01-03
[25]
뉴스
Against Headphones
https://www.nytimes.[...]
2023-05-06
[26]
웹사이트
Founded 1958 - World's First SP/3 Stereophone
https://www.koss.com[...]
2017-09-13
[27]
뉴스
Now hear this: the history of headphones
https://www.theguard[...]
2011-10-30
[28]
웹사이트
Sony history 1960s
http://www.sony.net/[...]
[29]
웹사이트
Vintage Sony 1960'S EFM-117J Radio
http://www.worthpoin[...]
2016-01-25
[30]
웹사이트
How To Use Two Or More Headphones On PC or Mac (Wired/Bluetooth) - Headphonesty
https://www.headphon[...]
2020-07-22
[31]
서적
Hearing conservation manual
https://www.worldcat[...]
2014
[32]
서적
Handbook of clinical audiology
https://www.worldcat[...]
[33]
웹사이트
ANSI/ASA S3.6-2018 - Specification for Audiometers
https://webstore.ans[...]
2020-11-13
[34]
웹사이트
ISO 389-2:1994
https://www.iso.org/[...]
2020-11-13
[35]
웹사이트
The "0-Ohm" Headphone Amplifier
http://www.benchmark[...]
2012-06-26
[36]
웹사이트
Understanding Headphone Power Requirements
https://web.archive.[...]
Northwestern University
2011-06-08
[37]
웹사이트
BS EN 50332 tests for headphones and earphones with portable music players
https://web.archive.[...]
2018-08-21
[38]
웹사이트
Understanding Earphone/Headphone Specifications
https://web.archive.[...]
Shure
2016-06-18
[39]
보도자료
An Introduction to True Wireless Stereo (TWS) Technology
https://web.archive.[...]
2020-08-19
[40]
뉴스
Custom-Made Headphones: Listen Up Before It's Too Late
https://web.archive.[...]
2010-04-26
[41]
논문
Output Levels of Commercially Available Portable Compact Disc Players and the Potential Risk to Hearing
http://www.ear-heari[...]
2004-12-01
[42]
웹사이트
Who Made That Earbud?
https://web.archive.[...]
2014-05-16
[43]
웹사이트
Headphones as a Driving Distraction
https://web.archive.[...]
The Royal Society for the Prevention of Accidents
[44]
웹사이트
Use Ambient sound on your Samsung earbuds
https://www.samsung.[...]
2021-08-13
[45]
웹사이트
WF-1000XM3 Help Guide Listening to ambient sound during music playback (Ambient Sound Mode)
https://helpguide.so[...]
2021-08-13
[46]
웹사이트
Lightspeed Aviation 30 3G Discontinued Aviation Headset
https://www.lightspe[...]
2020-12-26
[47]
웹사이트
How Balanced Armature Receivers/Drivers Work
https://web.archive.[...]
2014-12-15
[48]
서적
A History of Engineering and Science in the Bell System: The early years (1875-1925)
https://books.google[...]
The Laboratories
1975
[49]
논문
Thermoacoustic Chips with Carbon Nanotube Thin Yarn Arrays.
[50]
잡지
Plasmasonic
1984-03-01
[51]
특허
Process and device for converting a periodic LF electric voltage into sound waves
[52]
웹사이트
How to buy headphones
https://web.archive.[...]
[53]
웹사이트
Computer Workstation. Checklist.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Labor.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dministration.
2009-02-02
[54]
웹사이트
Causes of Hearing Loss in Adults
https://web.archive.[...]
[55]
웹사이트
Noise-Induced Hearing Loss
https://web.archive.[...]
[56]
웹사이트
1.1 billion people at risk of hearing loss
https://web.archive.[...]
2018-03-15
[57]
웹사이트
Five Myths in Assessing the Effects of Noise on Hearing
https://web.archive.[...]
[58]
웹사이트
H.870 : Guidelines for safe listening devices/systems
https://www.itu.int/[...]
2019-02-28
[59]
웹사이트
Sound and Hearing
https://www.apple.co[...]
2019-02-28
[60]
웹사이트
Limit Media Volume
https://www.samsung.[...]
2019-02-28
[61]
웹사이트
Can Loud Noise during Exercise Damage my Hearing?
https://web.archive.[...]
[62]
논문
Listening to music with earphones: an assessment of noise exposure
[63]
뉴스
Deaf to Danger: The Perils of Earbuds
https://web.archive.[...]
2011-06-25
[64]
논문
Headphone use and pedestrian injury and death in the United States: 2004-2011.
2012-10-01
[65]
논문
Allergic contact dermatitis to gold in the parts of in-ear headphones
https://onlinelibrar[...]
2022-04-01
[66]
논문
Allergic Contact Dermatitis to (Meth)Acrylates in Apple AirPods Headphones
https://journals.lww[...]
2021-11-01
[67]
논문
Occupational noise exposure; criteria for a recommended standard
https://www.cdc.gov/[...]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1998-06-01
[68]
논문
Reducing Noise Hazards for Call & Dispatch Center Operators
https://www.cdc.gov/[...]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2011-09-01
[69]
논문
Promoting Hearing Health among Firefighters
https://www.cdc.gov/[...]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2013-05-01
[70]
논문
Reducing the risk of hearing disorders among musicians.
https://www.cdc.gov/[...]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2015-06-01
[71]
논문
The hearing health of live-music sound engineers
https://pubmed.ncbi.[...]
2020-10-22
[72]
웹사이트
「MDR-Z1000/EX1000」開発秘話 スタジオモニター MDR-Z1000 | 開発者インタビュー
http://www.sony.jp/h[...]
2013-08-01
[73]
웹사이트
【2024年】モニターヘッドホンのおすすめ21選!専門店スタッフが選び方を解説
https://www.fujiya-a[...]
2024-05-21
[74]
문서
헤드폰을 이용한 재생에 최적화된 바이노럴 녹음에 의한 제작을 제외
[75]
웹사이트
ヘッドホンを一流スタジオの音に変えるプラグインCanOpener Studio|DTMステーション
https://www.dtmstati[...]
2024-04-04
[76]
웹사이트
窓の杜 - 【今日のお気に入り】クロスフィード処理ソフト「音楽をヘッドホンで聴こう!」
https://forest.watch[...]
2024-04-04
[77]
웹사이트
ティアックの戦略プリメイン「AI-303」徹底研究!【Part1】ヘッドホン&スピーカーでデスクトップオーディオを遊び倒す!(2/2)
https://www.phileweb[...]
2024-04-04
[78]
웹사이트
「開発者マティアス・カーステンズに訊くADI-2 DAC」 - Synthax Japan Inc. [シンタックスジャパン]
https://synthax.jp/s[...]
2024-04-04
[79]
웹사이트
foobar2000: Components Repository - Meier Crossfeed
https://www.foobar20[...]
2024-04-04
[80]
웹사이트
JEITA RC-8140C ヘッドホン及びイヤホン
https://www.jeita.or[...]
電子情報技術産業協会
2021-04-17
[81]
웹사이트
テクニカルコミュニケーター協会
https://www.jtca.org[...]
2021-11-18
[82]
웹사이트
外来語(カタカナ)表記ガイドライン第3版
https://www.jtca.org[...]
一般財団法人テクニカルコミュニケーター協会
2021-01-11
[83]
방송
BTS6141
日本放送協会
[84]
간행물
投野 耕治「ヘッドホン技術動向」
http://www.jas-audio[...]
JAS Journal 2013 Vol.53 No.6(11月号)
2019-01-20
[85]
웹사이트
高機能ヘッドホンでイイ音を備えたソニー「ウォークマンEシリーズ」
https://www.bcnretai[...]
BCN
2010-04-02
[86]
웹사이트
カナル型ヘッドホン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3-08-11
[87]
웹사이트
ドライバーユニット
https://www.audio-te[...]
[88]
웹사이트
ASCII.jp:音質重視派の必須アイテム「Sound Blaster ZxR」を試す(2/3)
https://ascii.jp/ele[...]
[89]
웹사이트
ヘッドホンのインピーダンスについて
https://www.denon.jp[...]
2021-06-10
[90]
웹사이트
ヘッドホン・イヤホンに求められる「性能」とは?
https://www.jas-audi[...]
一般社団法人日本オーディオ協会
2021-06-10
[91]
웹사이트
第2回 イヤホンの基本 イヤホンの用語について | 日本経営合理化協会
http://www.jmca.jp/c[...]
[92]
웹사이트
ヘッドホンアンプの必要性について
https://www.fujiya-a[...]
[93]
웹사이트
No.31 モバイル・ミュージックとスピーカ技術
https://www.tdk.com/[...]
2021-06-10
[94]
웹사이트
イヤースピーカーとは?
https://stax.co.jp/s[...]
2021-06-10
[95]
웹사이트
Bluetoothイヤホンで音飛びが起こる原因と対策法 - radius公式コラム
https://www.radius.c[...]
[96]
웹사이트
Bluetooth、その音質と遅延について - Denon Official Blog
http://pr.denon.com/[...]
[97]
웹사이트
https://www.e-health[...]
[98]
웹사이트
https://www.zurich.c[...]
[99]
뉴스
耳の中にカビ? 外耳道真菌症とは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9-06-12
[100]
뉴스
ヘッドホンのパッドがボロボロ...その原因は
https://www.phileweb[...]
音元出版
2021-03-13
[101]
웹사이트
2019年05月21日(火)"スマホ難聴"どう防ぐ?
https://www.nhk.or.j[...]
日本放送協会
2021-01-11
[102]
웹사이트
テレワークでの「イヤホン使用」で耳トラブル増加?投稿した耳鼻科医に危険な兆候と対処法を聞いた
https://www.fnn.jp/a[...]
FNN プライムオンライン編集部
2021-01-11
[103]
웹사이트
ヘッドホン女子
https://www.soundhou[...]
2023-10-13
[104]
웹사이트
アシダ音響株式会社(ASHIDAVOX):音と共に80年
https://www.ashida.c[...]
2024-12-19
[105]
웹사이트
アツデン株式会社
https://www.azden.co[...]
2024-12-20
[106]
웹사이트
ヘッドホン音質革命/音茶楽 Sound Customize
https://ocharaku.jp/[...]
2024-12-19
[107]
웹사이트
ZERO AUDIO ZEROからはじまる感動
https://www.zeroaudi[...]
2024-12-19
[108]
웹사이트
カナルワークス
https://canalworks.j[...]
2024-12-19
[109]
웹사이트
茶楽音人-さらうんど- 確かな音作りで届ける「音の薫り」
http://trdsn.com/
2024-12-19
[110]
웹사이트
soundwarrior - SoundWarrior(サウンドウォーリア)製品ブランドサイト 城下工業株式会社
https://soundwarrior[...]
2024-12-19
[111]
웹사이트
株式会社トクミ|ヘッドホン/イヤホンの商品化をワンストップでサポートいたします
http://tokumi.jp/
2024-12-20
[112]
웹사이트
Nain Inc. / ネイン
https://www.nain.jp/
2024-12-19
[113]
웹사이트
MEES Audio|完全ワイヤレスイヤホン ミースオーディオ公式
https://mees.co.jp/
2024-12-20
[114]
웹인용
earphone
https://4beatz.com/%[...]
2024-12-09
[115]
서적
Howeth: Chapter XI
https://babel.hathit[...]
2018-03-05
[116]
웹사이트
Ruin Followed Riches for a Utah Genius
http://historytogo.u[...]
Utah History To Go, Salt Lake Tribune
2001-07-0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삼성전자, 럭셔리 오디오 ‘B&W’ 인수…8년 만에 대규모 M&A
소니, 봄 내음 풍기는 ‘헤드폰’...“Z세대 취향 저격 컬러” - 매일경제
[까다로운 리뷰] 노캔 너무 세서 답답한 이어폰 소니 WF-1000XM5 – 바이라인네트워크
[까다로운 리뷰] 울트라 이름에 걸맞는 보스 QC 울트라 헤드폰&이어버드 – 바이라인네트워크
[까다로운 리뷰] 해상력 위주의 노캔 헤드폰, 보스 QC – 바이라인네트워크
[까다로운 리뷰] 개인용 공기청정기&노캔 헤드폰 다이슨 존 – 바이라인네트워크
[까다로운 리뷰] 땅을 흔드는 베이스, 소니 얼트 웨어 ULT WEAR 헤드폰 – 바이라인네트워크
스튜디오 바이라인 Archives – 바이라인네트워크
리뷰 Archives – 바이라인네트워크
[까다로운 리뷰] 멋은 최고, 음질은 심심한 다이슨 헤드폰 온트랙 – 바이라인네트워크
아이리버, 블루투스 CD플레이어 ‘IAB40’ 출시 – 바이라인네트워크
[까다로운 리뷰] 소니에서 가성비 노캔 헤드폰이? WH-CH720N, WH-CH520 – 바이라인네트워크
에어팟 맥스의 거의 모든 것 – 바이라인네트워크
충전이 필요 없는 무선 헤드폰 JBL REFLECT Eternal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