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일-밥 혜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일-밥 혜성은 1995년 앨런 헤일과 토머스 밥에 의해 독립적으로 발견된 혜성이다. 발견 당시 목성과 토성 사이에 위치해 아마추어 천문가가 발견한 혜성 중 태양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혜성이었으며, 1997년 근일점에 도달했을 때 육안으로 18개월 이상 관측되었다. 헤일-밥 혜성은 혜성 연구에 많은 기여를 했으며, 특히 나트륨 꼬리, 중수소 비율, 유기 화합물, 아르곤 감지 등 다양한 과학적 발견을 이끌었다. 또한, 혜성 근처에서 UFO가 발견되었다는 주장과 천국의 문 집단 자살 사건 등 사회적 파장도 일으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5년 발견한 천체 - 테이데 1
테이데 1은 1994년 라파엘 레볼로 로페스, 마리아 R. 사파테로-오소리오, 에두아르도 L. 마르틴에 의해 테이데 천문대에서 발견된 갈색 왜성으로, 이듬해 윌리엄 허셜 망원경으로 차가운 특성이 확인되었다. - 1995년 발견한 천체 - 12796 가면라이더
- 비주기 혜성 - 1729년의 혜성
1729년에 니콜라스 사라바트 신부가 발견한 혜성은 지구에서 3.1 AU 거리에 있었고, 육안으로도 관측 가능할 정도로 밝았으며, 근일점은 목성 궤도 안쪽, 핵 크기는 약 100km로 추정된다. - 비주기 혜성 - C/1999 F1
헤일-밥 혜성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C/1995 O1 (헤일-밥) |
다른 이름 | 1997년의 대혜성 |
분류 | 장주기 혜성 |
발견자 | 앨런 헤일 토머스 밥 |
발견일 | 1995년 7월 23일 |
관측 호 | 29.2년 |
궤도 정보 | |
원점 | 2022년 9월 15일 (JD 2459837.5) |
긴반지름 | 177 au |
근일점 | 0.914 au |
원일점 | 354 au |
이심률 | 0.99498 |
공전 주기 | (질량 중심 2399년) 2364년 – 2520년 |
궤도 경사 | 89.3° |
근일점 통과 | 1997년 4월 1일 |
다음 근일점 통과 | ~4383–4387 AD |
지구 최소 궤도 교차 거리 | 0.116 au |
목성 최소 궤도 교차 거리 | 0.00736 au |
물리적 특징 | |
핵 직경 | 40–80 km |
평균 직경 | 60 km |
평균 반지름 | 30 km |
알베도 | 0.01–0.07 |
기타 | |
마지막 근일점 | 2215 BC |
2. 발견
1995년 7월 23일, 앨런 헤일과 토머스 밥이 각각 독립적으로 혜성을 발견했다. 앨런 헤일은 뉴멕시코주에서, 토머스 밥은 애리조나주에서 혜성을 발견했다.[72][75] 혜성의 겉보기등급은 10.5등급이었고, 궁수자리의 구상성단 메시에 70 근처에 위치했다.[76][73][9][6]
헤일-밥 혜성은 처음 발견되었을 때 태양이 7.2 천문단위 떨어져 있었고, 목성과 토성 사이에 있었다. 이는 아마추어 천문학자가 발견한 혜성 중 태양에서 가장 먼 것이었다.[78][79] 이 정도 거리에서는 대부분의 혜성이 매우 흐리고 활동을 보이지 않지만, 헤일-밥 혜성은 이미 코마가 형성되어 있었다.[76] 1993년에 촬영된 사전발견 사진에는 태양에서 13 천문단위 떨어진 헤일-밥 혜성이 찍혀 있었는데,[80] 보통 이 거리에서 혜성은 관측이 불가능할 정도로 어둡다.[81] 분석 결과 핵의 지름은 60±20 km로, 핼리 혜성의 약 6배였다.[82][131]
1996년 5월부터 헤일-밥 혜성은 육안으로 볼 수 있을 정도로 밝아졌으며,[90] 1997년 1월부터는 광공해가 심한 대도시에서도 위치를 알고 있다면 볼 수 있을 정도로 밝아졌다.[83]
헤일-밥 혜성은 근일점을 통과한 후 천구의 남반구로 이동했다. 남반구에서는 북반구에 비해 혜성이 어둡게 보였지만, 1997년 하반기 동안 혜성이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는 모습을 관측할 수 있었다. 마지막 육안 관측 보고는 1997년 12월에 이루어졌으며, 헤일-밥 혜성은 569일(약 18개월 반) 동안 육안 관측이 가능했다.[90] 이전 최장 기록은 1811년의 대혜성이었는데, 이때는 육안으로 약 9개월 간 볼 수 있었다.[90]
헤일-밥 혜성은 약 4,200년 전인[96] 기원전 2215년 7월에 근일점을 통과했을 것으로 보이며,[98] 당시 지구와의 접근 거리는 1.4 AU였다. 고대 이집트 제6왕조 페피 2세(기원전 2247년 ~ 기원전 2216년)의 재위 기간에 관측했을 가능성이 있다. 사카라에 있는 페피 2세의 피라미드에는 하늘에 있는 파라오의 동반자인 'nhh별'에 대한 언급이 있으며, 여기서 'nhh'는 긴 머리카락을 나타내는 상형 문자이다.[97]
헤일-밥 혜성은 핵이 매우 크다는 특징 때문에 근일점 통과를 전후하여 천문학자들의 집중적인 관측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혜성 연구에 많은 진전이 이루어졌다.
헤일은 메시에 70 인근에 다른 심원천체가 없다는 것을 확인한 후, 발견된 혜성 목록을 검색해 이 지역에 혜성이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후 혜성이 배경 별에 대해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천문학 중앙 전보국에 이메일을 보냈다.[74][7]
밥은 친구들과 애리조나 파이날 인근에서 성단과 은하를 관측하던 도중, 친구의 망원경에서 혜성을 발견하였다. 밥은 자신이 새로운 천체를 발견한 것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하여 성도를 확인했으며, 아무것도 없다는 사실을 알자, 천문학 중앙 전보국에 웨스턴 유니온을 이용해 전보를 보냈다.[75][8]
다음 날 아침 새 혜성의 발견이 공식적으로 확인되었으며, 식별자 C/1995 O1을 부여받았다. 혜성의 발견 사실은 국제천문연맹 회보 6187호에 공표되었다.[76][77][9][10]
3. 초기 관측
헤일-밥 혜성이 거리에 비해 매우 활발하게 활동했다는 점 때문에, 1997년 근일점에 도달할 때 매우 밝아질 것이라는 예측이 많았다. 그러나 먼 거리에서 큰 물질 분출을 겪은 후 어두워질 가능성도 있었다. 예를 들어 1973년 코후테크 혜성은 '세기의 혜성'으로 불렸지만, 실제로는 그리 밝지 않았다.[74]
4. 근일점 접근
헤일-밥 혜성이 접근할 당시 인터넷이 급성장하던 시기였는데, 이로 인해 혜성의 위치를 보여주고 사진을 올린 웹사이트 다수가 유명세를 탔다. 헤일-밥 혜성이 대중적 인기를 얻게 된 데에는 인터넷의 발달이 상당히 큰 요소로 작용하였다.[84]
혜성은 태양에 접근함에 따라 계속 밝아져, 1997년 2월에는 2등급까지 밝아졌으며, 궤도 모양대로 휘어지는 먼지 꼬리와 태양 반대편을 똑바로 가리키는 기체 꼬리를 모두 뚜렷하게 볼 수 있었다. 같은 해 3월 9일 중국, 몽골, 시베리아 동부에서 발생한 일식에서는 낮에도 혜성을 볼 수 있었다.[85] 1997년 3월 22일 헤일-밥 혜성은 지구에 가장 근접하였으며, 이 때의 거리는 1.315 AU였다.[86]
1997년 4월 1일 근일점 통과 후, 혜성의 밝기는 최고에 달했다. 밤하늘에서 혜성보다 밝은 별은 시리우스밖에 없었으며, 먼지 꼬리는 하늘에서 40~45도 가량 펼쳐졌다.[87][88] 매일 밤 하늘이 완전히 어두워지기 전부터 혜성을 볼 수 있었으며, 일반적인 혜성은 근일점을 통과할 때 태양에 가깝게 붙어 관측이 어려웠으나, 헤일-밥 혜성은 북반구 기준 밤 내내 관측할 수 있었다.[89]
5. 근일점 이후
육안 관측이 불가능해진 후에도 혜성은 계속해서 어두워졌으나, 천문학계에서는 혜성을 계속 추적하였다. 근일점 통과 10년 후인 2007년 10월, 태양과 25.7 AU 떨어진 헤일-밥 혜성에서 일산화 탄소 코마가 관측되었는데, 이는 이 시점까지도 혜성 활동이 일어나고 있었음을 뜻한다.[91] 2010년 허셜 우주망원경의 관측 결과에서는 혜성 표면에 새 얼음층이 생겨났다는 결과가 나왔다.[92] 이후 2010년 12월(거리 30.7 AU),[93] 2012년(거리 33.2 AU)에도 관측이 이루어졌으며,[94]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2022년 태양과 46.2 AU 떨어진 헤일-밥 혜성을 관측하였다.[95]
6. 궤도의 변화
기원전 2215년 6월 초, 헤일-밥 혜성은 목성과 충돌 직전까지 가 궤도가 크게 변화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를 통해 보면 기원전 2215년의 근일점 접근이 오르트 구름에서 태양계 내부로 들어온 처음이었던 것으로 보인다.[98] 현재 헤일-밥 혜성의 궤도는 황도와 거의 직교하기 때문에 다른 행성과 다시 만날 가능성은 낮다.
1996년 4월 다시 목성에 0.77 AU까지 접근했는데, 이로 인해 궤도가 다시 변화하였으며,[96] 이때 공전 주기가 약 2,399년으로 감소하여,[69] 다음 근일점 통과는 4385년경으로 예측하고 있다.[71] 원일점 거리는 기존의 525 AU에서[98][99][100] 354 AU로 줄어들었다.[82]
헤일-밥 혜성과 지구의 충돌 확률은 근일점 통과 1번당 약 2.5×10−9로 극히 낮으나,[101] 핵의 지름이 약 60 km[82]라는 점에서 실제 충돌할 경우의 피해는 상상을 뛰어넘을 가능성이 높다. 혜성과 지구의 충돌을 가정한 한 연구에서는, 충돌 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4.4×109 메가톤(TNT 환산), 즉 K-Pg 대량절멸 충돌의 44배가 될 것이라고 추정하였다.[72]
궤도 경사각이 크고 근일점 거리가 가까운 혜성은 중력 섭동에 의해 점차 근일점 거리가 줄어들게 된다. 헤일-밥 혜성은 약 15% 정도의 확률로 이 과정을 통해 선그레이징 혜성이 될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는데,[102] 이 경우 대량의 질량 손실을 겪거나, 크로이츠 혜성군처럼 작은 조각으로 분열할 것으로 보이며, 핵이 매우 큰 혜성이라는 점에서, 기원후 837년 당시의 핼리 혜성을 능가할 정도로 밝아질 가능성이 있다.
7. 과학적 분석
헤일-밥 혜성의 먼지 생성률은 최대 로 매우 높았으며,[103] 이로 인해 혜성 코마 안쪽의 광학적 깊이가 깊어졌다.[104] 먼지 입자는 온도가 높고 반사율도 높았으며, 10 μm 규소 방출선이 강했기 때문에, 먼지 입자 크기가 다른 혜성들에 비해 매우 작았을 것으로 추정된다.[105]
또한 헤일-밥 혜성은 편광이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태양빛의 복사압에 의해 코마 내 먼지가 산란되는 것과 먼지 자체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이를 통해서도 헤일-밥 혜성의 먼지 입자 크기가 매우 작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106]특징 상세 설명 먼지 생성률 매우 높음 (최대 )[103] 먼지 입자 크기 매우 작음[105] 편광 크게 나타남[106] 중수소 비율 지구 바다의 약 2배[110] 유기물 다양하게 발견됨[42] 아르곤 검출 비활성 기체인 아르곤 최초 검출[113] 자전 주기 약 11시간 46분[123] 이중 핵 가능성 제기되었으나 논란 있음[116]
나트륨 꼬리, 중수소 비율, 유기물, 아르곤 검출, 자전 주기, 이중 핵 가능성에 대한 내용은 각각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
7. 1. 나트륨 꼬리
헤일-밥 혜성에서는 기존에 알려진 먼지 꼬리와 기체 꼬리 외에 옅은 나트륨 꼬리가 발견되었다. 혜성에서 나트륨이 분출되는 현상은 이전에도 관측된 적이 있었지만, 꼬리 형태로 관측된 것은 헤일-밥 혜성이 처음이다.[107] 헤일-밥 혜성의 나트륨 꼬리는 이온이 아닌 중성 원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길이가 약 5000만km에 달했다.[107]
나트륨 꼬리의 생성 원인은 코마 내부로 추정되지만, 핵 자체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핵 주변 먼지 입자 간의 충돌이나, 자외선에 의한 먼지 입자의 스퍼터링 등 여러 가설이 제기되었으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꼬리 중 얇은 부분과[107] 퍼진 부분의[108] 기원이 다를 가능성도 제기된다.[109]
혜성의 먼지 꼬리는 혜성의 궤도를 따르고, 기체 꼬리는 태양 반대 방향을 가리키는 반면, 나트륨 꼬리는 그 사이에 위치한다. 이는 나트륨 원자가 복사압에 의해 혜성의 머리 부분에서 밀려나기 때문이다.[107]
7. 2. 중수소
헤일-밥 혜성에서 중수 형태로 존재하는 중수소 비율은 지구 바닷물의 약 2배였다. 따라서 다른 혜성들의 구성 성분도 헤일-밥 혜성과 비슷하다면, 지구의 물이 혜성에서만 온 것은 아니라고 추정할 수 있다.[110]
중수소는 혜성에 포함된 다른 수소 화합물에서도 검출되었다. 경수소에 대한 중수소 비율은 화합물에 따라 달랐는데, 이를 통해 혜성의 얼음이 태양계 성운이 아닌 성간운에서 형성되었다고 추정하기도 한다. 만약 성간운에서 형성되었다면, 헤일-밥 혜성 형성 당시 주변 온도는 25~45 K이었을 것이다.[110]
7. 3. 유기물
헤일-밥 혜성을 분광 관측한 결과, 많은 유기물이 발견되었으며, 그중 일부는 이전까지 혜성에서 검출된 적이 없었던 것들이다. 이러한 분자들은 혜성 핵 내부에 존재하거나 혜성에서 생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42]
7. 4. 아르곤 감지
헤일-밥 혜성은 비활성 기체인 아르곤이 검출된 최초의 혜성이었다.[113] 비활성 기체는 종류에 따라 승화하는 온도가 다르고, 다른 물질과 거의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혜성 표면의 얼음 온도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추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헤일-밥 혜성에서는 승화 온도가 약 16~20 K인 크립톤은 태양계 평균에 비해 25배가량 적었으나,[112] 승화 온도가 더 높은 아르곤은 태양계 평균보다 많았는데,[113] 이는 헤일-밥 혜성의 온도가 항상 35~40 K 이하를 유지했으나 20 K 이상으로 올라간 적은 있었음을 나타낸다. 태양계 성운이 현재 이론에 비해 더 차갑고 아르곤이 많았던 것이 아니라면, 해왕성 바깥에 있는 혜성은 현재의 카이퍼대에서 형성되어 오르트 구름으로 이동한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113]
7. 5. 이중 핵 가능성
1997년, 핵이 이중 구조로 되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이는 1995년 10월에 보였던 헤일-밥 혜성의 먼지 방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지름 약 70km의 중심체에서 약 180km 떨어진 곳을 지름 약 30km의 위성이 약 3일 주기로 공전하고 있을 것이라고 이론적으로 추정했다.[116] 1996년 허블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혜성 사진에서 위성이 발견되며 이 주장이 확인되는 듯 했다.[117]
1997년 말부터 1998년 초, 적응광학을 이용한 관측에서 혜성의 밝기 최고점이 두 곳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118] 그러나 이 현상이 핵이 이중 구조여야만 나타나는지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131] 허블 우주망원경을 제외한 다른 관측에서는 위성이 발견되지 않았으며,[119][120] 혜성이 분해되는 사례는 여럿 관측되었지만,[121] P/2006 VW139가 발견되기 전까지 안정하게 존재하는 이중 핵은 관측된 바 없었다.
8. UFO 주장
1996년 11월, 휴스턴의 아마추어 천문학자 척 슈라멕(Chuck Shramek)은 CCD 카메라로 혜성을 촬영한 사진에서 혜성 근처에 흐릿하고 길쭉한 물체를 발견했다. 자신의 컴퓨터 프로그램에 이 천체 정보가 없자, 라디오 프로그램 ''코스트 투 코스트 AM''의 진행자 아트 벨(Art Bell)에게 자신이 헤일-밥 혜성을 따라가는 '토성 같은 물체'를 발견했다고 주장했다.[122] 얼마 지나지 않아 원격 투시 지지자이자 에모리 대학교 정치학과 교수인 코트니 브라운을 포함한 UFO 애호가들 사이에서 외계 우주선이 혜성을 따라오고 있다는 주장이 퍼졌다.[55]
앨런 헤일 등 여러 천문학자는 이 물체가 단순히 8.5등급 항성 SAO141894라고 반박했으며,[123][56] 슈라멕의 사용자 설정으로 인해 컴퓨터에 표시되지 않았을 뿐이라고 설명했다.[124][57] 아트 벨은 자신이 익명의 천문학자로부터 UFO 발견을 확증하는 사진을 받았다고 주장했으나, 하와이 대학교의 올리비에 아이노와 데이비드 톨렌은 이 사진이 자신들이 촬영한 혜성 사진을 편집한 것일 뿐이라고 밝혔다.[125][58]
1997년 3월, 헤븐스 게이트 신도 39명은 '혜성 뒤를 비행하고 있는 우주선'으로 순간이동하기 위해 집단 자살하였다.[126][59]
자신의 뇌에 이식된 기기를 통해 외계인으로부터 메시지를 받았다고 주장한 낸시 리더(Nancy Lieder)는 헤일-밥 혜성이 단순히 지구의 궤도 운동을 교란시켜 대재앙을 불러올 '니비루' 또는 '행성 X'의 도착을 숨기기 위해 벌이는 공작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127][60] 낸시 리더는 당초 2003년 5월 전 지구적 대재앙이 일어날 것이라고 주장했으나,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하지만 이후로도 '니비루'의 접근에 대한 여러 음모론은 지속되었으며, 이 중 대부분은 2012년 현상과 연결되었다.[128][61] 행성 니비루에 관련된 주장은 과학계에서 여러 번 사실이 아님이 증명된 바 있다.[129][62]
9. 시사점
헤일-밥 혜성은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이 관측된 혜성 중 하나로, 여러 기록을 경신했다. 1997년 4월 9일 조사에 따르면, 미국인의 69%가 헤일-밥 혜성을 관측했다고 응답했다.[130]
기록 종류 | 내용 | 기존 기록 (해당되는 경우) |
---|---|---|
발견 거리 | 아마추어 천문학자가 발견한 혜성 중 태양으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서 발견[86] | |
핵 크기 | 키론 혜성에 이어 두 번째로 큰 핵[131] | |
육안 관측 기간 | 569일 (약 18개월 반) 동안 육안 관측 가능[90] | 1811년의 대혜성 (약 9개월) |
밝기 | 0등급보다 밝았던 기간이 약 8주로, 기록된 혜성 중 가장 김[86] |
슈메이커-레비 9 혜성을 발견한 유진 슈메이커는 헤일-밥 혜성을 촬영한 날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그의 유골은 루나 프로스펙터에 실려 달로 보내졌으며, "슈메이커 부부가 같이 관측한 마지막 혜성"인 헤일-밥 혜성의 사진이 함께 실렸다.[132]
참조
[1]
웹사이트
Barycentric Osculating Orbital Elements for Comet C/1995 O1 (Hale–Bopp)
https://ssd.jpl.nasa[...]
2022-09-18
[2]
웹사이트
OAA computing section circular NK 1553
http://www.oaa.gr.jp[...]
OAA Computing and Minor Planet Sections
2008-02-12
[3]
웹사이트
JPL SBDB Epoch 1996
https://ssd.jpl.nasa[...]
[4]
웹사이트
Solex 10 estimate for Next Perihelion of C/1995 O1 (Hale–Bopp)
http://home.surewest[...]
2009-12-18
[5]
논문
The comets of 1995
[6]
서적
It Came From Outer Space Wearing an RAF Blazer!: A Fan's Biography of Sir Patrick Moore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7]
잡지
Comet of the decade Part II
http://www.time.com/[...]
1997-03-17
[8]
웹사이트
The Age of Comets
http://science.natio[...]
1997-12
[9]
웹사이트
IAU Circular No. 6187
http://www.cbat.eps.[...]
IAU
1995-07-23
[10]
논문
Amateur Contributions in the study of Comet Hale–Bopp
[11]
논문
Comet C/1995 O1 (Hale-Bopp)
http://www.minorplan[...]
[12]
논문
Evolution of a Spiral Jet in the Inner Coma of Comet Hale-Bopp (1995 O1)
[13]
웹사이트
Circular No. 6198
http://www.cbat.eps.[...]
IAU
1995-08-02
[14]
논문
Substantial outgassing of CO from Comet Hale–Bopp at large heliocentric distance
[15]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C/1995 O1 (Hale–Bopp)
https://ssd.jpl.nasa[...]
2022-07-09
[16]
뉴스
Comet Holds Clues to Birth of Time
https://www.nytimes.[...]
1997-03-09
[17]
웹사이트
The Trail of Hale–Bopp
http://www.sciam.com[...]
1997-03-17
[18]
논문
The total solar eclipse of 1997 March 9
[19]
웹사이트
Comet Hale–Bopp
http://stardust.jpl.[...]
Jet Propulsion Laboratory, NASA
2003-11-26
[20]
웹사이트
Comet Hale–Bopp (April 13, 1997)
http://www.eso.org/p[...]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1997-04-13
[21]
논문
What's New With Hale Bopp?
[22]
웹사이트
Comet Hale–Bopp (March 7, 1997)
http://www.eso.org/p[...]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1997-03-07
[23]
논문
The Visual Light Curve Of C/1995 O1 (Hale–Bopp) From Discovery To Late 1997
[24]
논문
Cometary Activity at 25.7 au: Hale–Bopp 11 Years after Perihelion
[25]
논문
Evidence for fresh frost layer on the bare nucleus of comet Hale–Bopp at 32 au distance
[26]
논문
Frozen to death? – Detection of comet Hale–Bopp at 30.7 au
[27]
웹사이트
Comet Hale–Bopp C/1995 O1 – observed tonite
http://tech.groups.y[...]
Yahoo Groups
2012-08-07
[28]
웹사이트
MPEC 2022-S20 : Observations and Orbits of Comets and A/ Objects
https://minorplanetc[...]
2022-09-18
[29]
웹사이트
Comet Hale–Bopp Orbit and Ephemeris Information
http://www2.jpl.nasa[...]
JPL/NASA
1997-04-10
[30]
서적
The Lost Tomb
[31]
웹사이트
Barycentric Orbital Elements for Epoch 1600
https://ssd.jpl.nasa[...]
2022-09-19
[32]
논문
Orbit Determination and Evolution of Comet C/1995 O1 (Hale–Bopp)
[33]
웹사이트
Comet Fact Sheet
http://nssdc.gsfc.na[...]
NASA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2005-12-23
[34]
논문
The cometary impactor flux at the Earth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논문
Orbit Determination and Evolution of Comet C/1995 O1 (Hale–Bopp)
[36]
논문
Particulate Mass Loss from Comet Hale–Bopp
[37]
논문
The Inner Coma and Nucleus of Comet Hale–Bopp: Results from a Stellar Occultation
[38]
논문
Observations of Unusually Small Dust Grains in the Coma of Comet Hale–Bopp C/1995 O1
[39]
논문
Polarimetric observations of the comet Hale–Bopp
[40]
논문
Neutral Sodium from Comet Hale–Bopp: A Third Type of Tail
[41]
논문
Three tails of comet Hale–Bopp
[42]
논문
Sodium In Comets
[43]
논문
Cometary Deuterium
[44]
논문
Organic synthesis in the coma of Comet Hale–Bopp?
[45]
논문
Detection of Soft X-rays and a Sensitive Search for Noble Gases in Comet Hale–Bopp (C/1995 O1)
https://zenodo.org/r[...]
[46]
논문
The Discovery of Argon in Comet C/1995 O1 (Hale–Bopp)
[47]
웹사이트
Bergeron Comet Hale–Bopp Animation
http://www2.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NASA
2008-10-14
[48]
논문
Dust continuum imaging of C/1995 O1 (Hale–Bopp): Rotation period and dust outflow velocity
[49]
논문
Detection of a Satellite Orbiting The Nucleus of Comet Hale–Bopp (C/1995 O1)
[50]
논문
Detection of a Satellite orbiting the Nucleus of Comet Hale–Bopp (C/1995 O1)
European Organisation for Astronomical Research in the Southern Hemisphere
[51]
논문
Adaptive optics observations of the innermost coma of C/1995 O1. Are there a "Hale" and a "Bopp" in comet Hale–Bopp?
https://web.archive.[...]
2008-10-29
[52]
논문
Comet Hale–Bopp in outburst: Imaging the dynamics of icy particles with HST/NICMOS
[53]
논문
Post-Perihelion HST Observations of Comet Hale–Bopp (C/1995 O1)
[54]
논문
The problem of split comets revisited
[55]
잡지
The man who spread the myth
https://web.archive.[...]
1997-04-14
[56]
잡지
Hale–Bopp Comet Madness
https://web.archive.[...]
[57]
서적
Great Comet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58]
웹사이트
Fraudulent use of an IfA/UH picture
http://www.sc.eso.or[...]
European Organisation for Astronomical Research in the Southern Hemisphere
1997-01-15
[59]
논문
Heaven's Gate: The End
http://jcmc.indiana.[...]
[60]
뉴스
Comets Breed Fear, Fascination and Web Sites
https://www.nytimes.[...]
1997-03-28
[61]
웹사이트
The Myth of Nibiru and the End of the World in 2012
https://web.archive.[...]
Skeptical Inquirer
[62]
웹사이트
Nibiru: The Nonexistent Planet
https://www.space.co[...]
2018-12-04
[63]
논문
The Great Comet of 1997
https://web.archive.[...]
1997-07
[64]
논문
The Nucleus of Comet Hale–Bopp (C/1995 O1): Size and Activity
[65]
웹사이트
Eugene Shoemaker Ashes Carried on Lunar Prospector
http://www2.jpl.nasa[...]
[66]
웹사이트
Album "Comet 97 – EP" (Kayukin). Apple Music
https://music.apple.[...]
2023-08-04
[67]
문서
見かけの等級第一位のシリウスが-1.46等、第二位のカノープスが-0.74等なのでそこから比較している。
[68]
웹인용
OAA computing section circular NK 1553
http://www.oaa.gr.jp[...]
OAA Computing and Minor Planet Sections
2008-02-12
[69]
웹인용
Barycentric Osculating Orbital Elements for Comet C/1995 O1 (Hale-Bopp)
https://ssd.jpl.nasa[...]
[70]
웹인용
JPL SBDB Epoch 1996
https://web.archive.[...]
[71]
웹사이트
Solex 10 estimate for Next Perihelion of C/1995 O1 (Hale-Bopp)
http://home.surewest[...]
2009-12-18
[72]
저널
The comets of 1995
[73]
서적
It Came From Outer Space Wearing an RAF Blazer!: A Fan's Biography of Sir Patrick Moore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74]
잡지
Comet of the decade Part II
http://www.time.com/[...]
1997-03-17
[75]
웹사이트
The Age of Comets
http://science.natio[...]
1997-12
[76]
웹사이트
IAU Circular No. 6187
http://www.cbat.eps.[...]
IAU
1995-07-23
[77]
저널
Amateur Contributions in the study of Comet Hale–Bopp
[78]
저널
Comet C/1995 O1 (Hale-Bopp)
http://www.minorplan[...]
[79]
저널
Evolution of a Spiral Jet in the Inner Coma of Comet Hale-Bopp (1995 O1)
[80]
웹사이트
Circular No. 6198
http://www.cbat.eps.[...]
IAU
1995-08-02
[81]
저널
Substantial outgassing of CO from Comet Hale–Bopp at large heliocentric distance
[82]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C/1995 O1 (Hale–Bopp)
https://ssd.jpl.nasa[...]
[83]
뉴스
Comet Holds Clues to Birth of Time
https://www.nytimes.[...]
1997-03-09
[84]
웹사이트
The Trail of Hale-Bopp
http://www.sciam.com[...]
1997-03-17
[85]
저널
The total solar eclipse of 1997 March 9
[86]
웹사이트
Comet Hale-Bopp
http://stardust.jpl.[...]
Jet Propulsion Laboratory, NASA
2003-11-26
[87]
웹사이트
Comet Hale-Bopp (April 13, 1997)
http://www.eso.org/p[...]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1997-04-13
[88]
저널
What's New With Hale Bopp?
[89]
웹사이트
Comet Hale-Bopp (March 7, 1997)
http://www.eso.org/p[...]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1997-03-07
[90]
저널
The Visual Light Curve Of C/1995 O1 (Hale-Bopp) From Discovery To Late 1997
[91]
저널
Cometary Activity at 25.7 au: Hale-Bopp 11 Years after Perihelion
[92]
저널
Evidence for fresh frost layer on the bare nucleus of comet Hale—Bopp at 32 au distance
[93]
저널
Frozen to death? – Detection of comet Hale-Bopp at 30.7 au
[94]
웹사이트
Comet Hale-Bopp C/1995 O1 - observed tonite
http://tech.groups.y[...]
Yahoo Groups
2012-08-07
[95]
웹사이트
MPEC 2022-S20 : Observations and Orbits of Comets and A/ Objects
https://minorplanetc[...]
2022-09-18
[96]
웹사이트
Comet Hale-Bopp Orbit and Ephemeris Information
http://www2.jpl.nasa[...]
JPL/NASA
1997-04-10
[97]
서적
The Lost Tomb
[98]
저널
Orbit Determination and Evolution of Comet C/1995 O1 (Hale-Bopp)
[99]
웹사이트
Barycentric Orbital Elements for Epoch 1600
https://ssd.jpl.nasa[...]
[100]
웹사이트
Comet Fact Sheet
http://nssdc.gsfc.na[...]
NASA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2005-12-23
[101]
저널
The cometary impactor flux at the Eart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2]
저널
Orbit Determination and Evolution of Comet C/1995 O1 (Hale-Bopp)
[103]
저널
Particulate Mass Loss from Comet Hale-Bopp
https://archive.org/[...]
[104]
저널
The Inner Coma and Nucleus of Comet Hale–Bopp: Results from a Stellar Occultation
[105]
저널
Observations of Unusually Small Dust Grains in the Coma of Comet Hale-Bopp C/1995 O1
[106]
저널
Polarimetric observations of the comet Hale-Bopp
[107]
저널
Neutral Sodium from Comet Hale–Bopp: A Third Type of Tail
[108]
저널
Three tails of comet Hale-Bopp
[109]
저널
Sodium In Comets
[110]
저널
Cometary Deuterium
[111]
저널
Organic synthesis in the coma of Comet Hale–Bopp?
[112]
저널
Detection of Soft X-rays and a Sensitive Search for Noble Gases in Comet Hale-Bopp (C/1995 O1)
https://zenodo.org/r[...]
[113]
저널
The Discovery of Argon in Comet C/1995 O1 (Hale-Bopp)
[114]
웹인용
Bergeron Comet Hale-Bopp Animation
http://www2.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NASA
2008-10-14
[115]
저널
Dust continuum imaging of C/1995 O1 (Hale-Bopp): Rotation period and dust outflow velocity
[116]
저널
Detection of a Satellite Orbiting The Nucleus of Comet Hale–Bopp (C/1995 O1)
[117]
저널
Detection of a Satellite orbiting the Nucleus of Comet Hale-Bopp (C/1995 O1)
European Organisation for Astronomical Research in the Southern Hemisphere
[118]
저널
Adaptive optics observations of the innermost coma of C/1995 O1. Are there a "Hale" and a "Bopp" in comet Hale-Bopp?
http://aa.springer.d[...]
2008-10-29
[119]
저널
Comet Hale–Bopp in outburst: Imaging the dynamics of icy particles with HST/NICMOS
[120]
저널
Post-Perihelion HST Observations of Comet Hale–Bopp (C/1995 O1)
[121]
저널
The problem of split comets revisited
[122]
잡지
The man who spread the myth
http://www.time.com/[...]
1997-04-14
[123]
저널
Hale-Bopp Comet Madness
http://www.csicop.or[...]
[124]
서적
Great Comet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5]
웹인용
Fraudulent use of an IfA/UH picture
http://www.sc.eso.or[...]
European Organisation for Astronomical Research in the Southern Hemisphere
1997-01-15
[126]
저널
Heaven's Gate: The End
http://jcmc.indiana.[...]
[127]
뉴스
Comets Breed Fear, Fascination and Web Sites
https://www.nytimes.[...]
1997-03-28
[128]
웹인용
The Myth of Nibiru and the End of the World in 2012
http://www.csicop.or[...]
Skeptical Inquirer
[129]
웹인용
Nibiru: The Nonexistent Planet
https://www.space.co[...]
2018-12-04
[130]
저널
The Great Comet of 1997
https://pqasb.pqarch[...]
1997-07
[131]
저널
The Nucleus of Comet Hale-Bopp (C/1995 O1): Size and Activity
[132]
웹인용
Eugene Shoemaker Ashes Carried on Lunar Prospector
http://www2.jpl.nas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