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헥소미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헥소미노는 6개의 동일한 크기의 정사각형을 변끼리 연결하여 만들어지는 다각형으로, 총 35가지의 자유 헥소미노가 존재하며 대칭성에 따라 분류된다. 헥소미노는 반사 여부에 따라 총 60개의 단면 헥소미노로 확장될 수 있으며, 회전을 고려할 경우 216개의 고정 헥소미노가 생성된다. 헥소미노는 평면 채우기 문제와 관련이 있으며, 35개의 헥소미노는 콘웨이 기준을 만족하지만, 210개의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을 채울 수는 없다. 하지만 중앙에 구멍이 있는 도형 등 다른 형태는 채울 수 있으며, 헥소미노는 정육면체의 전개도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리폼 - 폴리아몬드
    폴리아몬드는 정삼각형을 이어 붙여 만든 도형으로, 삼각형 개수에 따라 n-아몬드라 불리며 조합론에서 종류와 개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고, 평행 이동, 회전, 반사에 따라 자유형, 단면형, 고정형으로 분류되며, 폴리오미노, 폴리헥스와 유사하고 보드 게임의 구성 요소로 활용된다.
  • 폴리폼 - 테트로미노
    테트로미노는 4개의 정사각형이 변끼리 연결된 폴리오미노로, 회전 및 반사 고려 방식에 따라 자유, 단면, 고정 테트로미노로 나뉘며, 직사각형 채우기 퍼즐과 테트리스 게임에 활용된다.
헥소미노

2. 종류 및 대칭성

폴리오미노의 일종으로, 정사각형 6개를 변끼리 이어 붙여 만들 수 있는 도형인 헥소미노는 총 35가지의 서로 다른 모양(자유 헥소미노)이 존재한다.

35가지 자유 헥소미노. 각 헥소미노는 대칭군에 따라 색상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 35가지 헥소미노는 대칭성을 기준으로 여러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각 헥소미노가 가지는 대칭의 종류에 따라 대칭군이 결정되며, 자세한 분류 기준은 #대칭군 문단을 참고하라.

한편, 헥소미노를 뒤집어서(반사하여) 얻는 모양을 다른 것으로 간주하는 경우, 이를 단면 헥소미노라고 부른다. 단면 헥소미노는 총 60가지 종류가 있다. 자세한 내용은 #단면 헥소미노 문단을 참고하라.

또한, 회전하거나 뒤집어서 얻는 모양을 모두 다른 것으로 간주하는 경우, 이를 고정 헥소미노라고 하며, 총 216가지 종류가 존재한다.

2. 1. 대칭군

35개의 자유 헥소미노는 대칭군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대칭성이 없는 헥소미노 20개: 대칭군은 항등 사상만 원소로 가진다.
  • 격자선과 평행한 거울 대칭 축을 갖는 헥소미노 6개: 대칭군은 항등 사상과 해당 축에 대한 반사로 구성된다.
  • 격자선과 45° 각도를 이루는 거울 대칭 축을 갖는 헥소미노 2개: 대칭군은 항등 사상과 해당 대각선 반사로 구성된다.
  • 점대칭(차수 2의 회전 대칭)을 갖는 헥소미노 5개: 대칭군은 항등 사상과 180° 회전으로 구성된다.
  • 격자선과 평행한 두 개의 거울 대칭 축(수평축과 수직축)을 갖는 헥소미노 2개: 대칭군은 항등 사상, 수평 반사, 수직 반사, 180° 회전의 네 원소로 구성되며, 이는 이항군(차수 2) 또는 클라인 4군과 같다.


헥소미노의 반사된 모양을 다른 것으로 간주하는 경우(단면 헥소미노), 대칭성이 없는 헥소미노와 점대칭 헥소미노의 개수가 각각 두 배가 되어 총 (20 × 2) + 6 + 2 + (5 × 2) + 2 = 60개의 단면 헥소미노가 존재한다.

회전된 모양까지 다른 것으로 간주하는 경우(고정 헥소미노), 대칭성이 없는 헥소미노는 8가지, 평행선/대각선 반사 대칭 및 점대칭 헥소미노는 4가지, 두 축 반사 대칭 헥소미노는 2가지 방향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총 20 × 8 + (6 + 2 + 5) × 4 + 2 × 2 = 216개의 고정 헥소미노가 존재한다.

2. 2. 단면 헥소미노

자유 헥소미노는 회전하거나 뒤집어서(반사하여) 같은 모양이 되면 하나로 간주하지만, 단면 헥소미노는 반사하여 얻는 모양을 서로 다른 것으로 구별한다.

35개의 자유 헥소미노 중 대칭성이 없는 20개와 점대칭만 가지는 5개는 반사를 통해 서로 다른 모양이 되므로, 단면 헥소미노에서는 각각 2가지로 계산된다. 반면, 반사 대칭 축을 가지는 나머지 10개(축이 격자선과 평행한 6개, 대각선인 2개, 두 축 모두 가진 2개)는 반사해도 모양이 변하지 않으므로 그대로 1가지로 계산된다.

따라서 단면 헥소미노의 총 개수는 (20 × 2) + (5 × 2) + 10 = 40 + 10 + 10 = 60개가 된다.

이 60개의 단면 헥소미노 중 18개는 조각을 구성하는 6개의 정사각형을 바둑판 무늬처럼 번갈아 칠했을 때, 두 색깔의 정사각형 개수가 서로 다르다.

단면 헥소미노 60개를 모두 사용하여, 짧은 변의 길이가 5 이상인 직사각형을 빈틈없이 채울 수 있으며[9][8], 크기는 다르지만 모양이 같은 임의의 데코미노 형태(상사 도형)도 만들 수 있다[8].

3. 채우기 및 타일링

각 35개의 헥소미노는 모두 콘웨이 기준을 만족하므로, 개별적으로는 평면을 타일링할 수 있다.[4]

하지만 35개의 서로 다른 헥소미노 전체(총 210칸)를 모아 직사각형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는 펜토미노 12개로는 여러 크기의 직사각형을 만들 수 있는 것과 대조된다. 직사각형 채우기가 불가능한 이유는 체커판 색칠을 이용한 패리티 논증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35개 헥소미노가 덮는 각 색깔 칸의 총 개수는 항상 짝수이지만, 210칸 직사각형은 각 색깔 칸이 105개(홀수)이기 때문이다.

직사각형은 만들 수 없지만, 35개의 헥소미노로 210칸을 채울 수 있는 다른 형태는 존재한다. 예를 들어, 중앙에 3×5 크기의 구멍을 낸 15×15 정사각형[5]이나 20단 계단형[7]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헥소미노 두 세트(70개, 420칸)를 사용하거나, 좌우 대칭이 아닌 조각의 거울상을 별개로 취급하는 한 면 헥소미노(60개, 360칸)를 사용하면 직사각형을 만들 수 있다.[6][8]

3. 1. 콘웨이 기준

각 35개의 헥소미노는 모두 콘웨이 기준을 만족하므로, 모든 헥소미노는 평면을 타일링할 수 있다.[4]

하지만 35개의 헥소미노 전체(총 210개의 사각형)를 사용하여 직사각형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는 12개의 펜토미노가 3 × 20, 4 × 15, 5 × 12, 6 × 10 크기의 직사각형을 만들 수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헥소미노로 직사각형을 만들 수 없는 이유는 패리티 논증으로 설명할 수 있다. 헥소미노를 체커판처럼 번갈아 색칠된 패턴 위에 놓는다고 가정해보자. 35개의 헥소미노 중 11개는 짝수 개의 검은색 사각형(흰색 2칸, 검은색 4칸 또는 그 반대)을 덮고, 나머지 24개는 홀수개의 검은색 사각형(흰색 3칸, 검은색 3칸)을 덮는다. 따라서 35개의 헥소미노를 어떻게 배열하든 전체적으로 덮이는 검은색 사각형의 개수는 항상 짝수가 된다. 그러나 총 210개의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은 반드시 105개의 검은색 사각형과 105개의 흰색 사각형을 가지므로, 검은색 사각형의 개수가 홀수이다. 따라서 35개의 헥소미노로는 직사각형을 완전히 덮을 수 없다.

그렇지만 210개의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다른 간단한 모양 중에는 헥소미노로 타일링이 가능한 것들이 있다. 예를 들어, 가운데에 3 × 5 크기의 직사각형 구멍이 뚫린 15 × 15 정사각형은 총 210개의 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도형을 체커판 무늬로 칠하면, 흰색 사각형 106개와 검은색 사각형 104개(또는 그 반대)를 가지게 되어 패리티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실제로 타일링이 가능하다.[5] 또한, 헥소미노 두 세트(총 70개, 420칸)를 사용하여 직사각형을 만들거나, 60개의 한 면 헥소미노(이 중 18개는 짝수 개의 검은색 사각형을 덮음)를 사용하여 360칸 크기의 직사각형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6]

한 면 헥소미노는 총 60개이며, 이들을 모두 사용하여 짧은 변의 길이가 5 이상인 모든 직사각형[9]을 만들 수 있다.[8] 또한, 임의의 데코미노 모양을 확대하여 헥소미노로 채우는 것도 가능하다.[8]

3. 2. 직사각형 채우기 문제

35개의 헥소미노 전체는 총 210개의 정사각형 칸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 조각들을 모두 사용하여 직사각형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는 12개의 펜토미노 조각(총 60칸)으로는 3×20, 4×15, 5×12, 6×10 크기의 직사각형을 만들 수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헥소미노로 직사각형을 채울 수 없는 이유는 패리티 논증을 통해 간단히 증명할 수 있다. 만약 직사각형을 체커판처럼 흑백으로 번갈아 칠한다고 가정해 보자. 210칸짜리 직사각형은 정확히 105개의 검은색 칸과 105개의 흰색 칸을 가지게 된다. 이제 35개의 헥소미노를 이 체커판 위에 놓는다고 생각하면, 각 헥소미노는 6개의 칸을 덮는다. 헥소미노의 종류에 따라 덮는 흑백 칸의 수는 달라진다.

  • 11종류의 헥소미노는 짝수 개의 검은색 칸(검은색 4칸, 흰색 2칸 또는 검은색 2칸, 흰색 4칸)을 덮는다.
  • 나머지 24종류의 헥소미노는 홀수 개의 검은색 칸(검은색 3칸, 흰색 3칸)을 덮는다.


따라서 35개의 헥소미노를 어떻게 배열하든, 덮이는 검은색 칸의 총 개수는 (짝수 × 11) + (홀수 × 24) = 짝수 + 짝수 = 짝수가 된다. 그러나 목표인 직사각형은 105개(홀수)의 검은색 칸을 가지고 있으므로, 35개의 헥소미노 조각만으로는 직사각형을 완전히 덮을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른다.

하지만 헥소미노로 채울 수 있는 210칸짜리 다른 간단한 도형은 존재한다. 예를 들어, 15×15 크기의 정사각형 중앙에 3×5 크기의 직사각형 구멍을 낸 도형은 총 210칸이다. 이 도형을 체커판 무늬로 칠하면, 106개의 한 색 칸과 104개의 다른 색 칸(예: 흰색 106칸, 검은색 104칸)을 가지게 된다. 이 경우 덮어야 할 각 색깔 칸의 개수가 짝수이므로 패리티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실제로 이 도형은 35개의 헥소미노로 채우는 것이 가능하다.[5] 다른 예로는 20단 계단형[7] 등이 있다. 또한, 헥소미노 세트 두 개(총 70개 조각, 420칸)로는 직사각형을 만들 수 있으며, 한 면만 사용하는 헥소미노(片면형 헥소미노) 60개(총 360칸)로도 직사각형을 만들 수 있다.[6]

만약 특정 헥소미노 조각을 추가하거나 중복해서 사용한다면 직사각형을 만들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흑백 칸 비율이 2:4(또는 4:2)인 11종류의 조각 중 하나를 골라 2개 사용하고 나머지 34개 조각을 사용하면 총 36개 조각(216칸)이 된다. 이 경우 패리티 문제가 해결되어 6×36 크기의 직사각형 등을 만들 수 있다. 또한, 11종류 중 어떤 조각을 추가하든 2개의 6×18 직사각형을 만들 수 있다.[7] 몇 종류의 조각을 더 추가하면 3개의 6×12 직사각형이나 4개의 6×9 직사각형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7]

한 면만 사용하는 헥소미노(片면형 헥소미노)는 총 60개가 존재한다. 이 60개의 조각을 모두 사용하여 짧은 변의 길이가 5 이상인 직사각형(예: 5x72, 6x60, 8x45, 9x40, 10x36, 12x30, 15x24, 18x20)은 모두 만들 수 있다.[8][9]

3. 3. 다른 형태 채우기

35개의 헥소미노 전체는 총 210개의 칸을 차지하지만, 이 조각들을 모두 사용하여 직사각형 모양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는 각 조각을 체커판처럼 번갈아 색칠했을 때 나타나는 패리티 문제 때문이다. 직사각형은 검은색 칸과 흰색 칸의 개수가 105개로 같아야 하지만, 35개의 헥소미노를 어떻게 배열하든 덮게 되는 검은색(또는 흰색) 칸의 총 개수는 항상 짝수가 되기 때문에 직사각형을 빈틈없이 채울 수 없다.

그러나 직사각형이 아닌 다른 형태로는 210칸을 모두 채우는 것이 가능하다.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구멍 뚫린 정사각형: 가운데에 3x5 크기의 직사각형 구멍이 뚫린 15x15 정사각형 형태이다. 이 도형은 총 210칸이며, 체커판 색상으로 칠했을 때 패리티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실제로 헥소미노로 채우는 것이 가능하다.[5]

  • 계단형: 20단 높이의 계단 모양으로도 배열할 수 있다.[7]

계단형으로 배치된 헥소미노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헥소미노를 배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7개의 조각으로 구성된 5개의 합동 도형이나, 5개의 조각으로 구성된 7개의 합동 도형을 만들 수도 있다.[8] 특정 11개의 조각(흑백 칸 수가 다른 조각)만을 사용하여 면적비가 1:9:25인 닮은꼴 도형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8]

구멍이 뚫린 다른 형태들도 많이 연구되었다. 앞서 언급된 15x15 도형 외에도, 전체 면적과 구멍 면적의 비율이 224:14, 250:40, 280:70, 378:168 등이 되는 닮은꼴 도형[8], 15x17 직사각형 안에 펜토미노 모양의 구멍을 낸 도형(Jean Meeus)[8], 직사각형 안에 50개의 구멍을 낸 도형(Patrick Hamlyn)[8], 직사각형이 아닌 외형에 52개의 구멍을 낸 도형(Dominique Mallet)[8] 등이 발표되었다.

한편, 헥소미노 두 세트(총 70개, 420칸)를 사용하면 직사각형을 만들 수 있으며[6], 60개의 한 면 헥소미노(one-sided hexominoes) 세트를 사용하여 360칸 직사각형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6]

4. 정육면체 전개도

정육면체의 11가지 전개도. 각 전개도는 대칭성에 따라 다른 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정육면체전개도정사각형 6개가 변으로 이어진 모양이므로 모두 헥소미노에 해당한다. 정육면체를 만들 수 있는 서로 다른 전개도는 총 11가지가 있다. 이 11가지 헥소미노는 자유 헥소미노(회전하거나 뒤집어서 같은 모양이 되는 것을 하나로 치는 헥소미노)에 해당한다.

정육면체의 전개도는 특정 모양의 폴리오미노를 포함할 수 없다. 예를 들어, O-테트로미노, I-펜토미노, U-펜토미노, V-펜토미노를 포함하는 모양으로는 정육면체를 접을 수 없다.

5. 기타



헥소미노는 펜토미노와 비슷하게 35개의 조각을 모두 사용해 직사각형을 만드는 퍼즐을 생각해 볼 수 있지만, 이는 해를 가지지 않는다. 이 사실은 조각을 체커무늬로 칠해보면 알 수 있다. 직사각형을 만들려면 흑백 칸이 각각 105개씩 필요하지만, 헥소미노 조각 중 흑백이 3:3으로 나뉘는 조각 24종과 2:4(또는 4:2)로 나뉘는 조각 11종을 합하면, 전체적으로 흑백 칸 수가 모두 짝수가 되어 105개씩 맞출 수 없기 때문이다.

단순한 직사각형 채우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형태로 배열하는 방법들이 고안되었다. 대표적인 예로는 20단 계단형[7]이나 15×15 크기의 정사각형 중앙에 3×5 크기의 구멍을 낸 형태[8] 등이 있다.

여러 조각을 조합하여 다른 도형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7개의 헥소미노 조각으로 5개의 서로 합동인 도형을 만들거나, 5개의 조각으로 7개의 합동인 도형을 만들 수도 있다[8]. 또한, 흑백 칸 수가 다른 11개의 조각만 사용하여 면적비가 1:9:25인 닮은꼴 도형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8].

구멍이 뚫린 도형으로는 앞서 언급된 15×15 도형(오른쪽 그림 참조) 외에도, 전체 면적과 구멍 면적의 비율이 224:14, 250:40, 280:70, 378:168이 되는 닮은꼴 도형들이 발표되었다[8]. Jean Meeus 등은 15×17 크기의 직사각형 안에 펜토미노 모양의 구멍을 낸 도형을 발표했으며[8], Patrick Hamlyn은 직사각형 안에 50개의 구멍을 낸 도형을, Dominique Mallet은 직사각형이 아닌 외형에 52개의 구멍을 낸 도형을 발표하기도 했다[8].

1칸 튀어나온 직사각형


텐요(Tenyo)에서 발매한 플라스틱 퍼즐 시리즈 중에는 헥소미노 세트가 포함되어 있다. 이 퍼즐은 11×19 크기의 직사각형 외부에 정사각형 1개가 튀어나온 형태로 되어 있다. 이 형태의 퍼즐 해가 정확히 몇 개인지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상품 설명에는 "10억 가지 이상의 조합이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 실제로 컴퓨터를 이용한 탐색을 통해 200억 개 이상의 해가 발견되었으며, 전체 해의 개수는 1020에서 1025가지 사이일 것으로 추정된다.

참조

[1] 서적 Polyomino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Hexomino http://mathworld.wol[...] From MathWorld – A Wolfram Web Resource 2008-07-22
[3] 논문 Counting polyominoes: yet another attack
[4] 서적 Planar Tilings and the Search for an Aperiodic Prototile PhD dissertation, Rutgers University
[5] 웹사이트 Mathematische Basteleien: Hexominos http://www.mathemati[...]
[6] 웹사이트 Hexomino Constructions http://recmath.com/P[...]
[7] 웹사이트 The Poly Pages http://www.recmath.o[...]
[8] 웹사이트 The Poly Pages のヘキソミノのページ http://www.recmath.o[...]
[9] 문서 5×72, 6×60, 8×45, 9×40, 10×36, 12×30, 15×24, 18×20 の8種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