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정옹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혜정옹주는 조선 중종과 경빈 박씨의 딸로, 1514년에 태어나 석환이라는 이름을 받았다. 1521년 혜정옹주로 봉해졌으며, 홍여와 혼인하여 딸을 낳았다. 작서의 변과 가작인두의 변에 연루되어 폐서인되었으나, 김희의 무고임이 밝혀져 복권되었다. 을사사화로 사위의 가족이 몰락했지만, 혜정옹주는 사위 윤호에게 의지하며 살다가 1580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80년 사망 - 안드레아 팔라디오
안드레아 팔라디오는 고대 로마 건축 원리에 기반한 팔라디오 양식을 정립하여 르네상스 건축에 큰 영향을 미친 이탈리아 건축가로, 《건축 사서》를 통해 이론적 기반을 제시하고 팔라디안 건축 운동을 일으켰다. - 1580년 사망 - 루이스 드 카몽이스
루이스 드 카몽이스는 16세기 포르투갈의 시인이자 작가로, 포르투갈 역사와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항로 발견을 묘사한 서사시 《우스 루지아다스》로 포르투갈 문학의 정점으로 평가받으며 민족주의와 애국심 고취에 기여했다. - 1514년 출생 - 게오르크 요아힘 레티쿠스
오스트리아 태생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 지도 제작자인 게오르크 요아힘 레티쿠스는 코페르니쿠스의 유일한 제자로서 지동설을 알리고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 출판을 추진했으며, 삼각법 연구와 지도 제작에도 기여했으나 말년에 불운을 겪었다. - 1514년 출생 - 레 장종
레 장종은 막 왕조 찬탈 후 응우옌 김에 의해 옹립되어 후 레 왕조를 재건했으나, 실권은 응우옌 김과 찐끼엠에게 있어 꼭두각시 노릇을 하였다. - 조선 중종의 자녀 - 효혜공주
효혜공주는 조선 중종과 장경왕후의 장녀로, 김희와 혼인하여 딸 김선옥을 낳았으며, 이질을 앓다 사망하여 고양의 월산대군 묘에 예장되었다. - 조선 중종의 자녀 - 덕흥대원군
덕흥대원군은 조선 중종의 아들이자 선조의 아버지로, 덕흥군 시절 사치와 노비 문제로 탄핵을 받았지만 선조 즉위 후 대원군으로 추존되었으며, 그의 삶은 왕권과 신권의 관계 및 성리학적 이념을 보여주는 사례이고 문학적 업적도 남겼다.
혜정옹주 | |
---|---|
기본 정보 | |
이름 | 혜정옹주 |
한자 표기 | 惠靜翁主 |
작위 | 조선 중종의 옹주 |
배우자 | 당성위(唐城尉) 홍여(洪礪) |
자녀 | 1녀 ----홍옥환(洪玉環) |
휘 | 석환(石環) |
아버지 | 중종 |
어머니 | 경빈 박씨 |
출생일 | 1514년 10월 27일 (음력) |
사망일 | 1580년 5월 4일 (음력) |
2. 생애
1514년(중종 9년) 중종과 경빈 박씨의 차녀로 태어났으며, 이름은 석환(石環)이다. 1521년(중종 16년) 혜정옹주(惠靜翁主)로 봉해졌으며, 홍서주의 아들인 당성위(唐城尉) 홍여(洪礪)와 혼인하여 1녀를 두었다.
1527년(중종 22년) 어머니 경빈 박씨와 오빠 복성군이 인종을 저주한 작서의 변의 범인으로 지목되어 폐서인되고 상주로 추방되었다.[1] 1533년(중종 28년) 남편 홍여는 가작인두의 변에 연루되어 장모 경빈 박씨의 사주를 받고 세자를 저주하는 일에 관여하였다는 죄목으로 추국을 받던 도중 사망하였고,[2] 옹주의 어머니와 오빠 복성군 또한 사사되었다.[2] 언니 혜순옹주와 함께 옹주의 작호는 삭탈당하고 폐서인이 되었다.[2]
이후 작서의 변이 김안로의 아들 김희가 꾸민 일임이 밝혀져 신원되어 도성 안에 거주가 허락되었고, 1541년(중종 36년) 인종이 중종에게 청하여 복성군, 혜순옹주, 혜정옹주 및 부마들의 속적을 회복시켜 직첩을 되돌려줄 것을 호소하였다.[3]
1545년(명종 즉위년) 을사사화로 윤호의 조부인 윤임과 아버지 윤흥인이 연루되어 모두 처형되었지만, 윤호는 중종의 외손녀사위라 하여 연좌되지 않고 목숨을 구하였다. 이후 혜정옹주는 양자를 들이지 않고 사위 윤호에게 의지하며 살았다.
1580년 (선조 13년) 4월 11일, 사위 윤호가 남도 우후(南道虞候)로 임명되었으나, 옹주의 병환이 깊고 간호할 자녀가 없어 왕이 전교하여 체직시켰다.[4] 같은 해 4월 21일, 혜정옹주는 병환으로 사망하였으며, 양주(楊州) 울도리(鬱陶里)에 매장되었다.
2. 1. 출생과 혼인
1514년(중종 9년) 10월 10일, 중종과 경빈 박씨의 차녀로 태어났으며, 이름은 '''석환'''(石環)이다. 1521년(중종 16년), '''혜정옹주'''(惠靜翁主)로 봉해졌으며, 홍서주의 아들인 당성위(唐城尉) 홍여(洪礪)와 혼인하여 1녀를 두었다.2. 2. 폐서인과 복권
1527년(중종 22년), 어머니 경빈 박씨와 오빠 복성군이 세자(인종) 저주 사건인 작서의 변의 범인으로 지목되어 폐서인되고 상주로 추방되었다.[1] 1533년(중종 28년) 남편 홍여가 가작인두의 변에 연루되어 장모 경빈 박씨의 사주를 받고 세자를 저주하는 일에 관여하였다는 죄목으로 추국을 받던 도중 모진 고문 끝에 사망하였다.[2] 옹주의 어머니인 경빈 박씨와 오빠 복성군 또한 사사되었다.[2] 언니 혜순옹주와 함께 옹주의 작호를 삭탈당하고 폐서인이 되었다.[2]이후 작서의 변이 김안로의 아들 김희가 꾸민 일임이 밝혀져 신원되어 도성 안에 거주가 허락되었고, 1541년(중종 36년) 인종이 중종에게 청하여 복성군, 혜순옹주, 혜정옹주 및 부마들의 속적을 회복시켜 직첩을 되돌려줄 것을 호소하였다.[3]
2. 3. 을사사화와 말년
1545년(명종 즉위년) 을사사화로 윤호의 조부인 윤임과 아버지 윤흥인이 연루되어 모두 처형되었지만, 윤호는 중종의 외손녀사위라 하여 연좌되지 않고 목숨을 구하였다. 이후 혜정옹주는 양자를 들이지 않고 사위 윤호에게 의지하며 살았다.1580년 (선조 13년) 4월 11일, 사위 윤호가 남도 우후(南道虞候)로 임명되었으나, 옹주의 병환이 깊고 간호할 자녀가 없어 왕이 전교하여 체직시켰다.[4] 같은 해 4월 21일, 혜정옹주는 병환으로 사망하였으며, 양주(楊州) 울도리(鬱陶里)에 매장되었다.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
부왕 | 중종 | 1488년 | 1544년 |
생모 | 경빈 박씨 | ? | 1533년 |
오빠 | 복성군 이미 | 1509년 | 1533년 |
언니 | 혜순옹주 이철환 | 1512년 | 1583년 |
시부 | 홍서주 | 1499년 | 1546년 |
시모 | 전주 이씨 | ? | ? |
남편 | 당성위 홍여 | ? | 1533년 |
딸 | 홍옥환 | 1531년 | ? |
사위 | 파평 윤씨 윤호[6] | ? | ? |
외손녀 | 윤예순 | 1552년 | ? |
외손녀 | 광주 안씨 안천서의 처 | 1553년 | ? |
외손녀 | 윤순이 | 1554년 | ? |
외손녀 | 윤응례 | 1558년 | ? |
외손녀 | 윤순례 | 1562년 | ? |
외손자 | 윤정언 | 1564년 | ? |
외손녀 | 윤경례 | 1570년 | ? |
참조
[1]
서적
중종실록
1527-04-21
[2]
서적
중종실록
1533-05-26
[3]
서적
중종실록
1541-11-09
[4]
서적
선조실록
1580-04-11
[5]
문서
밀성군의 증손녀
[6]
문서
윤임의 손자, 윤흥인의 아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