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라이마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라이마산은 남아메리카 북부 가이아나 고원 동부에 위치한 파카라이마 산맥의 일부로, 베네수엘라, 가이아나, 브라질에 걸쳐 있다. 높이 약 2,810m로 볼리바르 주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며, 17억~20억 년 전 형성된 원생대 사암으로 구성되어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암석 중 하나이다. 1595년 유럽인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1884년 영국 식물학자 에버라드 임 턴과 해리 퍼킨스에 의해 최초 등정이 이루어졌다. 현재는 등반이 가능하며, 카나이마 국립공원 내에서 월별 등반 인원이 제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호라이마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이름로라이마산
다른 이름몬테 로라이마 (에스파냐어)
테푸이 로라이마 (에스파냐어)
세로 로라이마 (에스파냐어)
몬테 호라이마 (포르투갈어)
위치브라질(호라이마주), 가이아나(쿠유니-마자루니), 베네수엘라(볼리바르주) 국경 지역
산맥파카라이마 산맥, 기아나 고지
종류테이블 마운틴
지리
해발 고도2,810m
돌출 높이2,338m
좌표북위 5° 08′ 36″, 서경 60° 45′ 45″
특징마베리크 바위 (고도) 400–1,000 m
등반
최초 등반1884년, 에버라드 임 투른 경, 해리 이니스 퍼킨스와 원주민 동반
쉬운 경로하이킹 경로
기타
관련 정보베네수엘라, 브라질, 영국령 기아나의 경계가 실제로 만나는 지점
1931년 국제 위원회가 정상에 표지석 설치

2. 지리

호라이마산은 베네수엘라카나이마 국립공원 내에 있으며, 해발 2810m이다. 로라이마는 페몬족의 언어로 '위대하다'는 뜻이다. 사바나 한가운데에 1000m 가까이 깎아지른 듯한 절벽은 멀리서 보면 육지에 떠 있는 군함으로 비유되기도 한다. 판 구조론에 따르면 기아나 고지 부근은 대륙 이동의 회전축에 해당한다고 여겨진다. 이 때문에 화산 폭발이나 지진 등의 지질학적 변화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곤드와나 대륙 시대의 지구에서 가장 오래된 암반이 그대로 남아 있다고 전해진다.

페몬족은 테이블 마운틴 형태의 산을 테푸이라고 부르지만, 로라이마산과 인접한 쿠케난산은 예외적으로 테푸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그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페몬족의 신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열대 정글 속에 우뚝 솟은 이 산은 수 세기에 걸친 탐험가들의 탐사로 정상으로 오르는 길이 발견되었다. 산 정상에는 수정이 널려 있는 '크리스탈 밸리'와 바위에 구멍이 뚫린 '벤타나' 등이 있다. 산 정상의 한쪽에는 베네수엘라, 브라질, 가이아나의 국경이 만나는 트리플 포인트가 있다.

2. 1. 지형

호라이마산은 남아메리카 북부, 가이아나 고원 동부의 파카라이마 산맥에 속하는 산이다. 산 면적의 85%는 베네수엘라, 10%는 가이아나, 5%는 브라질에 걸쳐있다.[3] 베네수엘라 쪽에서는 도로와 가까워 접근이 쉽지만, 브라질과 가이아나 쪽에서는 며칠 동안 숲길을 걷거나 작은 활주로를 이용해야만 접근할 수 있어 완전히 고립되어 있다.[18][4][5]

호라이마산은 가이아나 순상지 형태를 띠는 평평한 산으로,[6] 동남쪽은 약 1200m, 북서쪽은 약 600m의 고도를 가지고 있다.[7] 남쪽, 동남쪽, 동쪽, 북동쪽, 북서쪽 면은 모두 약 1000m 높이의 곧은 절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의 남쪽 끝에서는 절벽의 일부가 무너져 자연적인 너덜겅을 형성하고 있다.[3] 절벽의 기저부는 남쪽과 동쪽으로는 가파른 경사로 둘러싸여 있으며, 북쪽과 서쪽 면은 정상으로 이어지는 강 계곡을 형성한다.[8]

호라이마산 정상은 길이가 10km 이상, 최대 폭이 5km이며, 면적은 약 33sqkm에서 50sqkm이고, 고도는 2200m 이상이며, 평균 해발고도는 2600m에서 2700m이다.[7][3][14] 이 고원은 강우량이 많은 지역에서 형성된 의사-카르스트 지형이다.[8] 최고점은 해발 2810m로, 고원의 남쪽 끝에 위치해 있으며 볼리바르 주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다.[7][18][14] 정상에서 북쪽으로 8.25km 떨어진 지점에는 해발 2772m의 또 다른 고봉이 있는데, 이곳이 가이아나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다.[9] 고원의 북쪽 부분에는 브라질, 베네수엘라, 가이아나의 국경 지점(삼국 국경)이 있으며, 해발 2734m이다.[10]

호라이마산은 높이와 적도 근처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연평균 기온이 20°C에서 22°C로 일정하며, 연간 강수량은 1500mm 이상이고, 우기인 4월부터 11월까지는 1800mm에서 3000mm의 강수량을 보인다.[11] 산 정상의 기후 조건은 기저부와 상당히 다르며, 이 지역의 높은 구름 양은 우세한 북동풍 및 남동풍과 관련이 있고, 공기 상대 습도는 75%에서 85% 사이를 유지한다.[3][12]

2. 2. 기후

호라이마산은 높이와 적도 근처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연평균 기온이 20°C~22°C로 일정하며, 연간 강수량은 1500mm 이상이다.[11] 우기인 4월부터 11월까지는 1800mm~3000mm의 강수량을 보인다.[11] 산 정상의 기후 조건은 기저부와 상당히 다르며, 이 지역의 높은 구름 양은 우세한 북동풍 및 남동풍과 관련이 있고, 공기 상대 습도는 75%에서 85% 사이를 유지한다.[3][12]

카리브해에서 습한 공기가 항상 유입된다. 이 때문에 항상 습도가 높고, 정상의 기후는 시시각각 변화한다. 폭우가 쏟아지거나 맑은 பின் 금세 짙은 안개가 끼는 등, 같은 날씨가 10분도 지속되지 않는다.

3. 지질

호라이마산은 약 17억에서 20억 년 전에 형성된 원생대 시대의 사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13][3]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암석 중 하나이다. 석영 퇴적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고, 98%는 이산화 규소 입자[14]로 수 센티미터 길이의 흰색 또는 분홍색 결정을 형성한다.[13][28] 이 암석은 화강암편마암 기반 위에 자리 잡고 있으며, 원래 중생대 점토, 역암, 섬록암 층으로 덮여 있었지만, 지난 1억 8천만 년 동안 침식과 조산 운동에 의해 노출되었고, 강수에 의해 침식되어 기묘한 형태를 형성했다.[3][6] 사암 기질의 토양은 산성이 강하고 영양분이 부족하며 매우 미세하다.[6] 강렬한 강우는 영양분과 입자의 고정을 막아 산꼭대기 식생과 토양 형성을 방해한다.[18][29]

3. 1. 동굴

호라이마산 고원 내부에는 수많은 동굴과 틈새가 존재하여 유사 카르스트 구조를 보인다.[18][15] 이 동굴들은 총 15km 길이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총 높이 차이는 73.21m이다.[16] 옥스퍼드 대학교 동굴 클럽과 베네수엘라 동굴학회가 세계 최대의 석영 동굴을 발견했다.[17] 이 동굴은 표면수의 침투로 형성되므로, 동굴 내부의 수위는 고원 표면의 강수에 크게 의존한다. 오랜 가뭄은 수로를 말릴 수 있으며, 마른 동굴도 지하 강이 될 수 있다.[3] 동굴 안으로 쏟아진 물은 암석의 틈새로 흘러 들어가 산비탈에서 폭포 형태로 흘러나와 산기슭에 많은 시내를 만든다.[3]

4. 생태계

로라이마산은 남아메리카 지역의 탐사가 늦어지면서 매년 새로운 종이 발견되기 때문에 동식물상이 대체로 잘 알려지지 않았다.[18] 현재 확인된 종은 특히 동물군에서 강하게 고유하며, 이는 멸종 위험을 높인다.[6]

산기슭 절벽 아래는 높이가 25m에서 45m인 나무로 구성된 상록수 열대 우림이며, 일부는 60m에 달할 수 있다.[6] 절벽의 토양은 더 모래가 많고, 기후는 더 시원하며, 식생은 안데스와 매우 유사한 브로멜리아드로 구성된다.[18] 고원 식생은 여전히 ​​대부분 알려지지 않았으며 주로 맨바위, 나무 숲과 착생식물, 습지와 건조한 사바나 형태의 습지로 구성되어 있다.[18] 특히 곤충을 포획하는 육식성 식물이 많으며, 이들은 사암과 발달에 필요한 질산염이 부족한 토양에 서식한다.[29][13][6] 노출된 바위는 지의류, 조류 및 시아노박테리아가 차지하고 있다.[14]

산기슭의 동물군은 다양한 포유류, 수백 종의 새, 파충류와 양서류 등으로 구성된다. 동굴 동물군에는 많은 종의 박쥐, 귀뚜라미, 거미, 지네가 포함되어 있지만, 등반객과 관광객, 탐험가에 의해 생태계가 교란되고 있다.[3][14]

정상에는 헬리아포라속 식충식물이 다수 자생하며, 물만 있으면 이끼류가 스펀지처럼 물을 저장하여 식충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생장하고 있다. 기아나 고지 고유의 식충식물인 헬리아포라속 종은 이곳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또한, 몸길이가 4센티미터 정도인 개구리의 일종인 오레오프리넬라가 다수 서식하고 있다.

4. 1. 식물

남아메리카의 이 지역은 탐사가 늦어지고 매년 새로운 종이 발견되기 때문에, 이곳의 동식물상은 대체로 알려지지 않았다.[18] 현재 확인된 종은 특히 동물군에서 강하게 고유하며, 이는 또한 멸종 위험을 높인다.[6]

산기슭 절벽 아래는 높이가 25m에서 45m인 나무로 구성된 상록수 열대 우림이며, 일부는 60m에 달할 수 있다.[6] 식생은 야자과와 아스트라갈루스가 지배적이다.[18] 절벽의 토양은 더 모래가 많고, 기후는 더 시원하며, 식생은 브로멜리아드로 구성된다.[18]

고원 식생은 여전히 ​​대부분 알려지지 않았으며 주로 맨바위, 나무 숲과 착생식물, 습지와 건조한 사바나 형태로 습지로 구성되어 있다.[18] 이는 특히 곤충을 포획하는 육식성 식물과 같이 수많은 고유종으로 특징지어지며, 이들은 사암과 발달에 필요한 질산염이 부족한 토양에 서식한다.[29][13][6] 시내와 협곡 근처에는 종의 수가 적고, 나무는 키가 8m에서 15m이며 혹독한 환경 조건에 적응할 수 있는 단단한 잎을 가지고 있다.[18] 노출된 바위는 지의류, 조류 및 시아노박테리아가 차지하고 있다.[14]

고유 식물에는 오레크탄테 스케프트룸,[19] 사우바게시아 임스르니이,[20] 셀리안타 임스르니아나,[21] 로라이마 습지 벌레잡이통풀(헬리암포라 누탄스), 그란 사바나 끈끈이주걱(드로세라 펠릭스),[22] 로라이마 통발 (유트리쿨라리아 켈치이), 로라이마 "진달래"(베자리아 임스르니이)[23] 등이 있다.[24]

4. 2. 동물

이 지역의 동식물상은 탐사가 늦어지고 매년 새로운 종이 발견되기 때문에 대체로 알려지지 않았다.[18] 특히 동물군은 고유성이 강하며, 이는 멸종 위험을 높인다.[6]

산기슭의 동물군은 다양한 포유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나무늘보, 개미핥기, , 아르마딜로, 카피바라, 주머니쥐, 아구티, 족제비, 너구리, 사슴, 퓨마, 원숭이와 같은 얼굴원숭이와 카푸친 등 아마존 열대 우림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수백 종의 새가 있으며, 가장 흔한 새로는 , 앵무새, 부엉이가 있다. 일부 벌새는 이 지역의 고유종이다.[18]

파충류와 양서류는 로라이마산 기슭과 꼭대기에서 발견되는 개체 간에 큰 차이를 보인다.[18] 고원 기슭의 숲에 서식하는 녹색 이구아나, 살무사, 산호뱀, 비단뱀과 같은 종은 흔하지만, 꼭대기에서 발견되는 종은 훨씬 더 희귀하다.[3]

동굴 동물군에는 많은 종의 박쥐, 귀뚜라미, 거미, 지네가 포함되어 있지만,[3][14] 이 연약한 지하 생태계는 수년 동안 표면 등반객, 관광객이 생산한 유기물 및 탐험가에 의해 교란되고 있다. 연료와 같은 오염 물질은 빗물에 의해 땅으로 씻겨 내려가 미생물의 증식을 유발하고 생태학적 불균형을 초래한다.

고유종에는 로라이마 등반 쥐(리피도미스 마콘넬리 로라이마에)[25][26] 또는 더 희귀한 로라이마쥐(포독시미스 로라이마에),[24] 큰 꽃새(디글로사 메이저)와 같은 많은 새, 그리고 존트리키아 카펜시스 로라이마에[27][24] 와 존트리키아 카펜시스 마콘넬리의 두 아종 참새가 있다.[24][27]

가장 잘 알려진 고유종 중 하나는 로라이마 두꺼비(오레오프리넬라 켈치이)이다.[24] 물갈퀴가 없고, 헤엄치거나 뛰어오를 수 없으며, 알에서 올챙이가 되지 않고 개구리 상태로 부화하는 개구리의 일종으로, 몸길이가 4센티미터 정도인 오레오프리넬라가 다수 서식하고 있다. 이 오레오프리넬라는 인접한 쿠케난 산과 로라이마 산에만 서식하고 있다.

5. 역사

1864년, 독일의 박물학자이자 식물학자인 카를 페르디난트 아푼과 영국의 지질학자인 찰스 배링턴 브라운이 호라이마산 남동쪽 끝에 도착하여 열기구를 이용하여 산을 오르자고 제안했다. 이후, 이 지역의 조류를 연구한 헨리 화이트리는 밧줄과 사다리의 도움을 받아 남쪽에서 정상에 도달할 수 있다고 관찰했다.

그 후, 식물학자, 동물학자, 지질학자로 구성된 많은 탐험대가 이 지역의 주로 알려지지 않은 동식물과 특별한 지질학적 조건을 연구하기 위해 호라이마산에 여러 차례 탐험을 했다.[29]

산 정상에는 수정이 널려 있는 '''크리스탈 밸리'''와, 바위에 구멍이 뚫린 '''벤타나''' 등이 있다. 산 정상의 한쪽에는 베네수엘라·브라질·가이아나의 국경 3곳이 교차하는 '''트리플 포인트'''([삼국 국경])가 존재한다.

페몬족은 테이블 마운틴 형태의 산을 테푸이라고 부르지만, 로라이마산과 인접한 테이블 마운틴인 쿠케난산의 두 산만은 테푸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그들의 신앙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5. 1. 최초 등정

1595년, 스페인과 영국이 남아메리카 이 지역을 식민지화하기 위해 경쟁하던 중 유럽인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영국의 시인이자 군 장교, 탐험가인 월터 롤리는 호라이마산을 무수한 폭포를 쏟아내는 측량할 수 없는 "수정 산"으로 묘사했다.[28] 1838년, 독일의 과학자이자 탐험가인 로베르트 헤르만 숌부르크가 영국령 기아나(1835–1839) 탐사를 위해 왕립지리학회의 자금 지원을 받은 탐험 중에 이 산을 관찰했다. 1844년, 숌부르크는 이 지역의 식물을 연구하기 위해 다시 방문하여, 우뚝 솟은 절벽 때문에 정상에 접근할 수 없어 보인다고 보고했다.[13]

수직 절벽 때문에 접근이 매우 어렵지만, 호라이마산은 가이아나 고원에서 등반된 최초의 큰 메사였다.[18][29] 1884년 12월 18일, 에버라드 임 턴과 해리 퍼킨스가 이끄는 왕립지리학회 후원의 탐험대는 현지인인 페몬족을 만났는데, 그들은 탐험대보다 먼저 호라이마산 정상에 올랐을 수도 있었다. 탐험가들은 여전히 절벽 꼭대기가 이전에 인간에게 알려지지 않았다고 믿었다.[13]

기록에 따르면 최초 등정은 1884년 12월 18일, 영국의 식물학자였던 임 투른과 해리 퍼킨스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유럽인으로서 처음 로라이마산을 발견한 것은 1838년 독일인 탐험가 로버트 숌부르크였다.

최초 등정을 한 임 투른은 영국으로 귀국 후, 당시 촬영한 사진을 사용한 강연회를 열었다. 그 강연의 청중 중에는 우연히 아서 코난 도일이 있었다. 도일은 로라이마의 풍경에 감격하여 자신의 SF 소설 『잃어버린 세계』의 무대로 삼았다.

6. 등반

호라이마산은 테이블 마운틴 중에서는 비교적 등반하기 쉬운 편이다. 산기슭의 산프란시스코 데 유르와니에서 출발하는 5박 6일 일정이나, 브라질 보아 비스타를 거점으로 하는 6박 7일 일정으로 등반할 수 있다. 다만 우기에는 쿠케난 강의 수위가 높아져 접근이 어려울 수 있다.[28][29][13]

6. 1. 등반 경로

카나이마 국립공원 내에서 호라이마산과 아오얀산은 등반이 가능한 유일한 평평한 산으로, 월별 200명으로 등반 인원이 제한된다.[18][14] 등반에는 총 3~5일이 소요되며,[7][13] 정상으로 가는 경로는 호라이마산 남서쪽 절벽의 자연 경사로에 위치해 있다.[8][28][29] 특별한 장비나 훈련이 필요하지 않아 거의 모든 등산객들이 이 경로를 선택하며,[28][29] 유일한 어려움은 폭우 시 일부 개울과 작은 폭포를 건너기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이다.[13][29]

등반로는 길기 때문에 등반객들은 해발 약 2000m의 절벽 기슭에 있는 베이스 캠프에서 하룻밤을 묵고, 정상에서도 하룻밤을 묵으며, 고원을 탐험하는 데 며칠, 하산하는 데 이틀을 보낸다.[13][28] 호라이마산을 등반하기 가장 좋은 시기는 건기이지만, 햇볕이 매우 강하고 기온이 높아 산으로 가는 길이 어려울 수 있다.[28][29]

테이블 마운틴 중에서는 비교적 등산하기 쉽다. 산기슭의 산프란시스코 데 유르와니에서 5박 6일의 일정으로 등반할 수 있다. 그러나 우기에는 쿠케난 강의 수위가 높아져 접근할 수 없다. 브라질 측에서 등산할 때는 보아 비스타를 거점으로 등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6박 7일 정도의 일정으로 등반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meaning behind the name 'Mount Roraima' https://explorationj[...] 2019-12-07
[2] 백과사전 Mount Roraima http://www.britannic[...] 2012-02-06
[3] 웹사이트 Roraima Tepuy http://www.lagransab[...] La Gran Sabana y Canaima 2022-03-21
[4] 서적 Caraurín, Venezuela; Brazil; Guyana http://www.lib.utexa[...] U.S. National Imagery and Mapping Agency 1994-11
[5] 뉴스 New route in remote Guyana http://www.climbing.[...] 2012-04-24
[6] 웹사이트 Ambiente Natural http://www.inparques[...] Instituto Nacional de Parques 2012-04-24
[7] 웹사이트 Monte Roraima, Venezuela http://www.peakbagge[...] 2012-04-24
[8] 웹사이트 Карта Рораймы, Венесуэла http://www.geopoesia[...] 2012-04-24
[9] 웹사이트 Mount Roraima-Guyana high point, Guyana / Venezuela http://www.peakbagge[...] 2012-04-11
[10] 웹사이트 Monte Roraima – triple-country Point, Brazil / Guyana / Venezuela http://www.peakbagge[...] 2012-04-11
[11] 웹사이트 Información General http://www.inparques[...] Instituto Nacional de Parques 2012-04-24
[12] 웹사이트 Santa Elena de Uairen, Venezuela: Climate, Global Warming, and Daylight Charts and Data http://www.climate-c[...] World Climate 2012-04-24
[13] 뉴스 Mount Roraima: An Island Forgotten by Time http://members.shaw.[...] 2022-03-21
[14] 서적 The speleological expedition Roraima 2003 Cueva Ojos de Cristal http://audy.speleo.c[...] 2022-03-21
[15] 간행물 Notas sobre la exploración del sistema kárstico de Roraima Sur, Estado Bolívar http://www2.scielo.o[...] 2022-03-21
[16] 웹사이트 World's longest caves http://www.caverbob.[...] 2013-07-31
[17] 웹사이트 OUCC-SVE Roraima expedition http://www.oucc.org.[...] 2024-04-29
[18] 서적 Canaima National Park Venezuela http://www.unep-wcmc[...] Programme des Nations unies pour l'environnement 2022-03-21
[19] Citation Orectanthe sceptrum https://de.wikipedia[...] 2017-11-11
[20] 웹사이트 Sauvagesia imthurniana https://uk.inaturali[...] 2024-08-01
[21] 웹사이트 Celiantha imthurniana (Oliv.) Maguire {{!}} Plants of the World Online {{!}} Kew Science http://powo.science.[...] 2024-08-01
[22] 웹사이트 Killerpflanzen - Killerpflanzen - Drosera felix http://www.killerpfl[...] 2024-08-01
[23] 웹사이트 Bejaria imthurnii description https://www.nybg.org[...] 2024-08-01
[24] 웹사이트 Homepage of Vladimir Dinets - Mount Roraima, Part 7 http://dinets.info/r[...] 2024-08-01
[25] 간행물 Rhipidomys macconnelli De Winton 1900 https://zenodo.org/r[...] 2005-12-31
[26] 간행물 Two new species of Rhipidomys (Rodentia: Sigmodontinae) from Eastern Brazil, with comments on the taxonomy of the genus http://www.italian-j[...] 2022-05-31
[27] 웹사이트 Zonotrichia capensis (Rufous-collared Sparrow) - Avibase https://avibase.bsc-[...] 2024-08-01
[28] 뉴스 An unearthly plateau in Venezuela http://theseoultimes[...] 2012-04-12
[29] 웹사이트 Monte Roraima http://www.summitpos[...] 2012-04-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