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콘 7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콘 7세는 1905년부터 1957년까지 노르웨이 국왕으로 재위했다. 덴마크 왕자였던 그는 노르웨이가 스웨덴과의 동군 연합에서 독립한 후 국왕으로 선출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의 침략에 저항하여 망명 정부를 이끌었다. 전쟁 후 노르웨이로 귀환하여 국민의 존경을 받았으며, 1957년 사망할 때까지 국가 원수로서 헌법적 역할을 수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 트뤼그베 리
    트뤼그베 리는 노르웨이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1946년부터 1952년까지 초대 유엔 사무총장을 역임하며 유엔 본부 설립, 이스라엘 건국 지지, 유엔정전감시단 창설 등 활동을 펼쳤으나 냉전 시대 소련과의 대립 속에 사임하여 그의 업적과 한계에 대한 논쟁이 있다.
  • 노르웨이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 비드쿤 크비슬링
    비드쿤 크비슬링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의 노르웨이 침공에 협력하여 괴뢰 정부 총리가 되었으며, 종전 후 반역죄로 사형당한 노르웨이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 노르웨이의 루터교도 - 한스 에게데
    한스 에게데는 노르웨이 출신의 루터교 선교사로, 그린란드 선교를 위해 덴마크-노르웨이의 지원을 받아 그린란드에 정착지를 건설하고 이누이트의 언어를 연구했으며, 그린란드 주교로 임명되어 선교 활동을 펼치다 사망했다.
  • 노르웨이의 루터교도 - 닐스 헨리크 아벨
    노르웨이 수학자 닐스 헨리크 아벨은 5차 이상의 대수 방정식의 일반적인 근의 공식이 존재하지 않음을 증명하고 타원 함수론을 발전시키는 등 수학사에 큰 업적을 남겨 아벨 군과 같은 수학 용어에 그의 이름이 사용되고 있다.
  • 노르웨이 글뤽스부르크가 - 하랄 5세
    하랄 5세는 올라프 5세와 스웨덴의 메르타 공주 사이에서 태어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망명 생활을 했고, 1991년부터 노르웨이의 국왕으로 재위하며 평민 출신 소냐 하랄센 왕비와의 결혼, 요트 분야에서의 뛰어난 재능과 올림픽 참가 등으로도 알려져 있다.
  • 노르웨이 글뤽스부르크가 - 노르웨이 공주 잉리드 알렉산드라
    잉리드 알렉산드라 공주는 2004년에 태어나 하랄 5세 국왕의 손녀이자 노르웨이 왕위 계승 서열 2위이며, 견신례를 받고 군 복무를 시작하여 왕실 활동과 다양한 활동을 하는 인물이다.
호콘 7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호콘 7세
1930년의 호콘 7세
군주 칭호노르웨이 국왕
재위 기간1905년 11월 18일 − 1957년 9월 21일
대관식1906년 6월 22일, 니다로스 대성당, 트론헤임, 노르웨이
출생명크리스티안 프레데리크 카를 게오르그 발데마르 악셀 (Christian Frederik Carl Georg Valdemar Axel)
출생일1872년 8월 3일
출생지덴마크, 코펜하겐, 샬로텐룬 궁전
사망일1957년 9월 21일
사망지노르웨이, 오슬로, 왕궁
매장일1957년 10월 1일
매장지노르웨이, 오슬로, 아케르스후스 성
호콘 7세 서명
호콘 7세 서명
통치
섭정크리스티안 미켈센
외르겐 뢰블란
군나르 크누센
볼레르트 코노우
옌스 브라틀리에
오토 바르 할보르센
오토 블레르
아브라함 베르게
요한 루드비그 모빈켈
이바르 뤼케
크리스토페르 호른스루드
페데르 콜스타드
옌스 훈세이드
요한 뉘고르스볼
에이나르 게르하르센
오스카르 토르프
섭정 유형총리
왕조
왕가글뤽스부르크 가
아버지프레데리크 8세
어머니로비사 아브 스베리에
결혼과 자녀
배우자모드 오브 웨일스 (1896년 7월 22일 결혼, 1938년 11월 20일 사망)
자녀올라프 5세
기타
덴마크 왕실 컬렉션http://www.kongernessamling.dk/en/amalienborg/person/carl-haakon-vii/
노르웨이 방송 협회https://www.nrk.no/underholdning/store_norske/4356194.html

2. 생애

덴마크 국왕 프레데리크 8세와 그의 왕비이자 스웨덴-노르웨이 국왕 칼 15세의 딸인 로비사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본명은 크리스티안 프레데리크 칼 게오르그 발데마르 악셀(Christian Frederik Carl Georg Valdemar Axelda)이며 칼 왕자로 불렸다. 형은 덴마크 국왕 크리스티안 10세이다.

1905년, 노르웨이는 스웨덴과의 동군 연합을 해소하고 독립했는데, 이때 칼 왕자는 큰아버지인 오스카르 2세를 대신하여 노르웨이 국왕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노르웨이와 인연이 있는 호콘으로 개명하고, 수도 크리스티아니아(현재의 오슬로)에서 즉위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된 1940년 4월 9일, 아돌프 히틀러 총통이 이끄는 독일 국방군덴마크와 노르웨이에 대한 침공(베저위붕 작전)을 시작했다. 덴마크는 개전 당일 독일에 항복했고, 독일군은 노르웨이에 맹공을 가했다(노르웨이 전투). 호콘 7세와 노르웨이 정부(요한 뉘고르스볼 내각)는 수도 오슬로를 포기하고 하마르 시를 임시 수도로 정해 탈출했으며, 이후 국내 여러 도시를 전전했다. 오슬로에서는 친독일파 파시즘 정당인 국민연합의 당수 비드쿤 크비슬링 (전 국방 장관)이 뉘고르스볼 내각의 무효와 크비슬링 정권의 수립을 선언했고, 독일은 호콘 7세에게 오슬로로 귀환하여 크비슬링 정권을 승인할 것을 요구했지만, 호콘 7세는 이를 거부했다.

1940년 6월 9일, 호콘 7세는 전 노르웨이 군에게 독일에 항복한다는 선언을 발했다. 왕세자 올라프를 비롯한 왕실, 뉘고르스볼 총리가 이끄는 노르웨이 정부는 영국군의 군함으로 노르웨이를 탈출하여 영국 런던에서 노르웨이 망명 정부를 수립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독일 점령하의 노르웨이가 독일의 국가 변무관요제프 테어보벤의 압정에 시달리는 가운데, 호콘 7세는 런던에서 라디오 방송과 신문을 통해 노르웨이 국민을 계속 고무했고, 그로 인해 국민의 큰 존경을 받았다. 1945년 5월 8일 독일 항복 후, 5월 13일에 먼저 올라프 왕세자가 오슬로에 들어갔고, 망명에서 정확히 5주년이 되는 6월 7일에 호콘 7세는 노르웨이로 귀환하여 국민들의 열광적인 환영을 받았다.

1955년, 노르딕 스키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로서 "홀멘콜렌 메달"을 수상했다.

1945년 귀국 후 호콘 7세는 전쟁 중의 정치적 역할 대신 국가 원수로서의 헌법적 임무에 집중했다. 1945년 늦여름, 전쟁 피해 조사와 국민 위로를 위해 노르웨이 전역을 순회했다. 전쟁 기간 동안의 역할과 개인적인 청렴함으로 인해 호콘 7세는 국가의 최고 도덕적 권위자로 여겨졌으며, 모든 계층의 국민들로부터 큰 존경을 받았다.

1947년, 노르웨이 국민들은 대중 모금을 통해 국왕을 위한 왕실 요트 ''노르게''를 구매했다.[38] 1952년, 조지 6세 국왕의 장례식에 참석하여 공개적으로 눈물을 흘렸다. 1953년 5월 15일, 국왕의 손녀 라그닐 공주가 사업가 얼링 로렌첸(로렌첸 가문)과 결혼했는데, 이는 노르웨이 왕실 구성원 중 평민과 결혼한 첫 번째 사례였다.[39] 호콘 7세는 두 명의 증손주(하콘 로렌첸, 1954년 8월 23일 출생, 잉게보르 로렌첸, 1957년 2월 3일 출생)가 태어나는 것을 보았다. 마르타 왕세자비는 1954년 4월 5일 암으로 사망했다.[40]

1955년 7월, 호콘 7세는 뷔그되이 왕실 영지의 욕실에서 넘어져 넙다리뼈가 골절되었다. 83세 생일을 한 달 앞두고 발생한 사고였고, 합병증은 거의 없었지만 휠체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활동적이었던 국왕은 무력감에 우울해졌고, 시사 참여와 관심도 잃기 시작했다. 1957년 여름, 건강 악화로 올라프 왕세자가 공식 행사에서 대리인으로 등장, 국정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했다.[41]

노르웨이 우체국은 국왕을 기리기 위해 세 종류의 기념 우표 세트를 발행했다.

발행년도목적종류
1952년국왕의 80번째 생일 기념2종
1955년국왕의 즉위 50주년 기념2종
1957년국왕의 85번째 생일 기념2종



1972년, 고(故) 국왕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우표 세트가 발행되었다.[42]

올라프 5세하랄 5세가 선두에 서고, 그 뒤로 (왼쪽부터) 구스타프 6세 아돌프프레데리크 9세가 따르는 하콘 7세의 장례 행렬.


1957년 9월 21일, 호콘 7세는 오슬로 왕궁에서 8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올라프 5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호콘 7세는 1957년 10월 1일, 아내와 함께 아케르스후스 요새의 노르웨이 왕실 묘지의 흰색 석관에 안장되었다. 그는 덴마크의 프레데리크 8세의 마지막 생존 아들이었다.

2. 1. 덴마크 왕자 시절

칼 왕자의 출생지, 샬롯룬 궁전 (코펜하겐 북쪽), 1895년경.


칼 왕자는 1872년 8월 3일 부모의 별장인 샬롯룬 궁전 (코펜하겐 북쪽)에서 태어났으며, 당시 그의 부계 조부인 크리스티안 9세가 재위하고 있었다.[3] 그는 덴마크의 프레데리크 왕세자 (훗날 프레데리크 8세)와 그의 아내 스웨덴의 루이즈의 차남이었다.[4] 그의 아버지는 크리스티안 9세와 헤세-카셀의 루이즈의 장남이었고, 그의 어머니는 스웨덴의 칼 15세 (노르웨이의 칼 4세로도 재위)와 네덜란드의 루이즈의 외동딸이었다.[5] 그는 태어났을 때 아버지와 형에 이어 덴마크 왕위 계승 순위에서 세 번째였지만, 왕위를 계승할 실질적인 가능성은 없었다. 어린 왕자는 1872년 9월 7일 샬롯룬 궁전에서 셸란 주교 한스 라센 마르텐센에 의해 세례를 받았다. 그는 '크리스티안 프레데리크 칼 게오르그 발데마르 악셀'이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으며, 칼 왕자(세례를 받은 지 불과 11일 만에 사망한 그의 외조부 스웨덴-노르웨이 국왕의 이름을 따서)로 알려졌다.[4]

칼은 올덴부르크 왕가의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 (종종 글뤽스부르크로 축약됨) 분가에 속했다. 올덴부르크 왕가는 1448년부터 덴마크 왕가였으며, 1536년에서 1814년까지는 덴마크-노르웨이 왕국의 일부였던 노르웨이도 통치했다. 이 왕가는 원래 북부 독일 출신으로, 글뤽스부르크(리크스보르) 분가가 작은 봉토를 소유하고 있었다. 이 가문은 15세기부터 노르웨이와 연관되어 있었다. 그의 부계 조상 중 여러 명이 덴마크와 때로는 스웨덴과 연합하여 노르웨이의 왕이었다. 여기에는 크리스티안 1세, 프레데리크 1세, 크리스티안 3세, 프레데리크 2세, 크리스티안 4세, 프레데리크 3세 등이 포함된다. 프레데리크 3세는 노르웨이를 덴마크, 슐레스비히, 홀슈타인과 함께 올덴부르크 국가에 통합했다. 그 이후 그의 부계 조상들은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의 공작이었다. 1814년 잠시 노르웨이의 왕이었던 크리스티안 프레데리크는 1814년 노르웨이 헌법과 독립 투쟁의 첫 번째 국왕으로, 그의 증고조부였다.

1889년 해군 사관생도 시절의 칼 왕자.


칼은 형제들과 함께 코펜하겐의 왕실에서 자랐으며, 부모님의 거처인 코펜하겐의 프레데릭 8세 궁전, 아말리엔보르 궁전 단지의 일부인 18세기 궁전과 도시 북쪽 해안에 위치한 샬로텐룬 궁전에서 성장했다. 당시의 일반적인 관행과는 달리, 왕족 자녀들은 유모에 의해 양육되었지만, 이 아이들은 루이즈 왕세자빈이 직접 키웠다. 어머니의 감독하에 아이들은 엄격함, 의무의 이행, 배려와 질서가 특징인 다소 엄격한 기독교 중심의 양육을 받았다.

칼은 왕세자의 차남이었기 때문에 왕이 될 것이라는 기대는 거의 없었다. 그는 아버지와 형인 크리스티안 왕자 다음으로 왕위 계승 서열 3위였으며, 형의 그림자 속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칼은 크리스티안보다 2살이 채 안 되었고, 두 왕자는 사립 튜터에 의해 집에서 함께 교육을 받았으며 1887년 크리스티안보르 궁전 예배당에서 공동 견진성사를 치렀다.

그의 견진성사 이후, 당시 왕자들에게 관례였듯이 칼은 군사 교육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는 자신의 희망에 따라 덴마크 해군에 입대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1889년부터 1893년까지 덴마크 해군 사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고 소위로 졸업했다. 그는 그 후 1905년 노르웨이 국왕으로 임명될 때까지 덴마크 해군에서 복무했다. 1894년 그는 중위로, 1905년에는 제독으로 진급했다.[5] 해군 경력 동안, 그는 1904~1905년 지중해와 대서양으로 방호순양함과 함께 한 원정을 포함하여 여러 해군 원정에 참여했다.[3]

버킹엄 궁전에서 열린 마우드 공주와 칼 왕자의 결혼식


1895년 10월 28일, 23세의 칼은 사촌 웨일스 공주 마우드와 약혼했다. 마우드 공주는 웨일스 공(훗날 에드워드 7세 국왕)과 웨일스 공비(훗날 알렉산드라 왕비)의 막내딸이었다. 웨일스 공비는 칼의 고모였으며, 크리스티안 9세 국왕과 루이제 왕비의 장녀였다. 결혼식은 1896년 7월 22일[6] 버킹엄 궁전의 사적인 예배당에서 거행되었으며, 신부의 할머니인 77세의 빅토리아 여왕이 참석했다.

결혼 후, 부부는 코펜하겐에 정착했고, 칼은 해군 장교로서의 경력을 계속 이어갔다. 그들은 칼의 삼촌인 그리스 국왕 게오르기오스 1세가 소유한 18세기 로코코 양식의 타운하우스인 베른스토르프 저택에서 거주했다. 이 저택은 아말리엔보르 궁전 단지 바로 옆 브레드가에 위치해 있었다. 또한 신부의 아버지는 딸이 잉글랜드를 자주 방문할 수 있도록 샌드링엄 하우스에 있는 애플턴 하우스를 별장으로 제공했다.[7] 그곳에서 부부의 외아들인 알렉산데르 왕자, 미래의 올라프 5세 국왕이 1903년 7월 2일에 태어났다.[6]

2. 2. 노르웨이 국왕 즉위

스웨덴-노르웨이 연합은 여러 문제로 수년간 불화를 겪다가 1905년 해체되었다. 노르웨이 의회는 일방적으로 연합 해체를 선언했고, 국민투표를 통해 노르웨이 국민들도 이를 확인했다. 이후 협상을 통해 스웨덴은 칼스타드 조약에서 노르웨이의 완전한 주권을 인정하고 오스카 2세 (스웨덴 국왕)는 노르웨이 왕위에서 퇴위했다.[8]

노르웨이 정부 위원회는 유럽 왕가의 여러 왕자들을 새 국왕 후보로 지명했다. 노르웨이는 1814년부터 법적으로 독립 국가였지만, 1387년 이후 자체 국왕이 없었다. 프린스 칼은 독립 노르웨이 국왕의 후손이었고, 왕위 계승자인 아들이 있었으며, 영국 왕실의 일원인 아내 매우드 공주가 있다는 점이 큰 이점으로 작용하여 유력한 후보가 되었다.[8]

1905년 노르웨이 군주제 국민투표의 ''찬성'' 및 ''반대'' 투표 용지.


민주주의를 지향한 프린스 칼은 노르웨이가 왕정 유지 또는 공화정 전환을 두고 논쟁 중임을 알고, 국민투표를 조건으로 노르웨이 정부의 제안을 수락했다. 국민투표 결과, 79%의 압도적인 찬성으로 군주제 유지가 확인되자,[9] 프린스 칼은 스토르팅 (의회)으로부터 공식적으로 노르웨이 왕위를 제안받고 1905년 11월 18일에 선출되었다. 칼은 그날 저녁, 덴마크 국왕 크리스티안 9세의 승인을 받은 후 제안을 수락하면서 500년 넘게 사용되지 않았던 고대 노르드어 이름 호콘을 사용하여[10] 즉위했다.

노르웨이 의회의 대표단이 1905년 11월 20일 아말리엔보르에서 덴마크 국왕 크리스티안 9세의 영접을 받고 있으며, 그는 손자 프린스 칼의 노르웨이 국왕 선출에 동의한다. 폴 피셔의 그림.


11월 20일, 덴마크 국왕 크리스티안 9세는 아말리엔보르의 크리스티안 7세 궁전에서 스토르팅 대표단을 만나 프린스 칼의 선출에 대한 동의를 표명했다. 스토르팅 의장 칼 베르너는 노르웨이 국민의 인사를 전하고 행복한 협력을 기원했으며, 국왕은 "모든 것은 노르웨이를 위해!"라는 좌우명을 삼겠다고 답했다.[11]

왕실 요트 ''Dannebrog''가 코펜하겐에서 크리스티아니아로 가는 길에 스카게라크 해협에 있는 모습. 빌헬름 아르네센의 그림 (1906년).


11월 23일, 새로운 노르웨이 왕가는 덴마크의 왕실 요트인 외륜선 ''Dannebrog''를 타고 노르웨이로 출발했다. 오슬로 피요르드에서 오스카르스보르 요새에서 노르웨이 해군 함선에 탑승하여 11월 25일 크리스티아니아(현재 오슬로)에 도착했다.

호콘 7세가 팔에 크라운 프린스 올라프를 안고 노르웨이에 도착하여 배에서 크리스티안 미켈센 총리의 환영을 받고 있다.


노르웨이 총리 크리스티안 미켈센은 항구에서 왕을 영접하며, 거의 600년 만에 노르웨이만의 왕을 갖게 되었고, 왕이 노르웨이의 모든 국가적 업적을 위한 강력하고 통일된 표식이 될 것이라고 연설했다.[12]

11월 27일, 호콘 7세는 518년 만에 노르웨이의 첫 번째 독립 국왕으로서 의회 앞에서 헌법 선서를 했다. 노르웨이는 그의 선출일인 11월 18일을 그의 통치의 공식적인 시작으로 간주한다.

2. 3. 제2차 세계 대전과 망명

1940년 4월 9일, 나치 독일의 해군 및 공군이 베저위붕 작전으로 노르웨이를 침공했다. 오스카스보르그 요새는 오슬로 점령을 위해 파견된 독일 해군 분견대를 저지하고, 중순양함 ''블뤼허''를 침몰시켰으며, 중순양함 ''뤼초우''에 피해를 입혔다.[20] 이로 인해 독일 함대가 철수하면서 오슬로 점령이 지연되었고, 왕실, 내각, 스토르팅 의원 대부분은 특별 열차를 이용하여 수도를 탈출할 수 있었다.

스토르팅은 엘베룸에서 엘베룸 권한 위임을 통과시켜 내각에 모든 권한을 부여했다. 다음 날, 독일 대사 쿠르트 브로이어는 호콘 7세에게 아돌프 히틀러의 요구를 수락하여 모든 저항을 종식하고 비드쿤 퀴슬링을 총리로 임명하라고 요구했다. 퀴슬링은 이미 스스로 총리로 선언한 상태였다.[20] 호콘 7세는 정부의 조언에 따라서만 행동할 수 있다고 말하며, 뉘베르순에서 열린 회의에서 독일의 최후 통첩을 내각에 보고했다. 그는 퀴슬링을 총리로 임명할 수 없다고 말하며, 내각이 달리 생각한다면 퇴위하겠다고 밝혔다.[21]

정부는 호콘 7세의 입장에 영감을 받아 만장일치로 퀴슬링 임명에 반대했다.[23] 그날 밤, NRK는 독일의 요구에 대한 정부의 거부를 방송했다. 1940년 4월 11일, Luftwaffe|루프트바페de 폭격기는 뉘베르순드를 공격하여 정부를 제거하려 했다. 호콘 7세와 각료들은 숲으로 피신하여 몰데로 향했고, 영국 순양함 HMS ''글래스고'' (C21)에 탑승하여 트롬쇠로 이동, 5월 1일에 임시 수도를 세웠다.

1940년 4월, 몰데 외곽에서 독일군의 공습을 피해 숨는 호콘 7세와 올라프 왕세자


연합군은 5월 말까지 노르웨이 북부를 장악했지만, 프랑스 공방전 상황 악화로 병력을 철수하기로 결정했다. 왕족과 노르웨이 정부는 6월 7일 HMS ''데본셔'' (39)를 타고 트롬쇠에서 탈출, 런던에 노르웨이 망명 정부를 수립했다.[26][27] 호콘 7세는 버킹엄 궁전에 머물다가 런던 대공습 이후 보우다운 하우스로, 1942년 3월에는 폴리존 파크로 이주했다.[28]

호콘 7세는 팰리스 그린의 노르웨이 공사관에서 매주 내각 회의에 참석하고, BBC 월드 서비스를 통해 노르웨이로 방송되는 연설문을 작성했다. 이러한 방송들은 노르웨이 레지스탕스에게 중요한 국가적 상징으로서의 입지를 다지는 데 기여했다.[29]

히틀러는 요제프 테르보벤을 노르웨이의 Reichskommissar|국가판무관de으로 임명했다. 테르보벤은 스토르팅에게 국왕 폐위를 강요했으나, 스토르팅은 거부했다. 이후 독일은 노르웨이인을 강제 수용소에 억류하겠다고 위협했고,[31] 스토르팅은 호콘 7세에게 퇴위를 요청하는 서신을 보냈지만, 국왕은 스토르팅이 강압에 의해 행동하고 있다고 답하며 거절했다.[32] 테르보벤은 왕족의 귀환 권리를 상실했다고 선언하고 민주 정당들을 해산시켰다.[33]

국왕의 모노그램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저항의 상징이 되었다.


독일 점령 기간 동안, 많은 노르웨이인들은 호콘 7세의 "H7" 모노그램이 새겨진 동전으로 만든 옷이나 장신구를 착용하여 저항과 연대의 상징으로 삼았다.[34]

1945년 5월 8일 독일 항복 후, 올라프 왕세자와 5명의 정부 장관이 5월 13일 노르웨이로 귀환했다.[35] 호콘 7세와 나머지 왕족은 HMS ''노퍽'' (78)를 타고 1945년 6월 7일 오슬로에 도착하여 환영받았다.[36][37]

노르웨이 왕가가 1945년 6월 오슬로에서 HMS ''노퍽''에서 환영하는 군중에게 손을 흔들고 있다.

2. 4. 전후와 사망

귀국 후 호콘 7세는 전쟁 중에 수행했던 정치적 역할을 더 이상 하지 않고, 국가 원수로서의 헌법적 임무에 국한했다. 1945년 늦여름에는 전쟁 피해를 조사하고 국민을 위로하기 위해 노르웨이 전역을 순회했다. 전쟁 기간 동안의 그의 역할과 개인적인 청렴함 때문에 호콘 7세는 국가의 최고 도덕적 권위자로 여겨졌으며, 모든 계층의 국민들로부터 큰 존경을 받았다.

1947년, 노르웨이 국민들은 대중 모금을 통해 국왕을 위한 왕실 요트 ''노르게''를 구매했다.[38]

1952년, 그는 아내의 조카인 조지 6세 국왕의 장례식에 참석하여 공개적으로 눈물을 흘렸다.

국왕의 손녀인 라그닐 공주는 1953년 5월 15일 사업가 얼링 로렌첸(로렌첸 가문)과 결혼했는데, 이는 새로운 노르웨이 왕실 구성원 중 평민과 결혼한 첫 번째 사례였다.[39]

호콘 7세는 두 명의 증손주가 태어나는 것을 보았다. 하콘 로렌첸 (1954년 8월 23일 출생)과 잉게보르 로렌첸 (1957년 2월 3일 출생).

마르타 왕세자비는 1954년 4월 5일 암으로 사망했다.[40]

호콘 7세 국왕은 1955년 7월 뷔그되이 왕실 영지 (''Bygdøy kongsgård'')의 욕실에서 넘어졌다. 그의 83번째 생일을 불과 한 달 앞두고 발생한 이 사고로 넙다리뼈가 골절되었고, 낙상으로 인한 다른 합병증은 거의 없었지만, 국왕은 휠체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한때 활동적이었던 국왕은 이로 인한 무력감에 우울해졌고, 평소와 같은 시사 참여와 관심도 잃기 시작했다고 한다. 호콘 7세의 이동성이 떨어지고, 1957년 여름에 건강이 더욱 악화되자, 올라프 왕세자는 공식 행사에서 아버지의 대리인으로 등장하여 국정에 더욱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했다.[41]

노르웨이 우체국은 국왕을 기리기 위해 세 종류의 기념 우표 세트를 발행했다.

발행년도목적종류
1952년국왕의 80번째 생일 기념2종
1955년국왕의 즉위 50주년 기념2종
1957년국왕의 85번째 생일 기념2종



추가적으로 1972년, 고(故) 국왕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우표 세트가 발행되었다.[42]

1957년 9월 21일, 호콘 7세는 오슬로 왕궁에서 8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가 사망하자 올라프가 올라프 5세로 왕위를 계승했다. 호콘 7세는 1957년 10월 1일, 아내와 함께 아케르스후스 요새에 있는 노르웨이 왕실 묘지의 흰색 석관에 안장되었다. 그는 덴마크의 프레데리크 8세의 마지막 생존 아들이었다.

3. 유산

호콘 7세는 많은 사람들에게 전쟁 전 시대의 가장 위대한 노르웨이 지도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지며, 불안정한 정치 상황 속에서 젊고 취약한 국가를 하나로 묶는 데 성공했다. 그는 2005년 세기의 노르웨이인 여론 조사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43]

왕실 문장


동남극의 호콘 7세 해는 국왕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로알 아문센이 1911년 남극점에 최초로 도달했을 때 남극점을 둘러싼 전체 고원도 ''호콘 7세 비데''로 명명되었다. 폴하임 참조.[44]

1914년에는 미국의 사우스다코타 주에 있는 호콘 군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5]

두 척의 노르웨이 해군 군함—1942년부터 1951년까지 취역한 호위함 ''킹 호콘 7세''와 1958년부터 1974년까지 취역한 훈련함 ''호콘 7세''—이 호콘 7세 국왕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6]

나치 정권에 대한 그의 투쟁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홀멘콜렌 스키 축제를 부활시키려는 그의 노력으로, 호콘 7세 국왕은 1955년에 홀멘콜렌 메달을 받았다(공동 수상자: 할게이르 브렌덴, 베이코 하쿠리넨, 스베레 스테네르센).[47]

;명예 군사 임명

  • 덴마크 해군 대장 (덴마크 해군), 1905년 11월 20일, 그의 아버지 프레데리크 8세 국왕에 의해 임명.[48]
  • 명예 해군 대장 (영국 해군)
  • * 명예 해군 소위, 1901년 2월 7일, 즉위 직후 그의 장인 에드워드 7세 국왕에 의해 임명.[49]
  • 명예 포병 연대장
  • 명예 노포크 예오매너리 연대장, 1902년 6월 11일 – 1957년 9월 21일[50]
  • 최고 연대장, 더 그린 하워즈, 1942년 5월 12일 – 1957년 9월 21일[51]


국가훈장
덴마크[53]
노르웨이
외국[52]
오스트리아오스트리아 공로 훈장 대성장
벨기에레오폴드 훈장 (군사) 대십자장, 1906년 10월 2일[54]
브라질남십자 훈장 대십자장, 칼라 포함
체코슬로바키아
에티오피아 황실솔로몬 훈장 칼라
핀란드핀란드 백장미 훈장 대십자장, 칼라 포함, 1926년[56]
프랑스 제3공화국
그리스 왕실
아이슬란드매 훈장 대십자장, 칼라 포함, 1955년[57]
이탈리아 왕실최고의 성스러운 수태 훈장 기사, 1909년 4월 12일[58]
일본 제국국화 훈장 칼라
독일 제국 및 왕실 가문
네덜란드네덜란드 사자 훈장 대십자장
페루페루 태양 훈장 대십자장, 다이아몬드 포함, 1922년
폴란드폴란드 백수리 훈장 기사, 1930년
포르투갈 왕실
루마니아 왕실카롤 1세 훈장 대십자장, 칼라 포함
러시아 제국 가문
스페인금양모 훈장 기사, 칼라 포함, 1910년 7월 16일[59]
스웨덴세라핌 훈장 기사, 1893년 5월 30일[60]
태국차크리 왕가 훈장 기사
터키 제국 가문오스마니에 훈장 1등급, 다이아몬드 포함
영국



호콘 7세는 2009년 NRK 드라마 시리즈 ''해리 & 찰스(Harry & Charles)''에서 야콥 세데르그렌에 의해 묘사되었는데, 이 드라마는 1905년 호콘 왕 선출에 이르는 사건들을 다루었다. 예스퍼 크리스텐센은 2016년 영화 ''국왕의 선택(Kongens nei)''에서 국왕을 연기했으며, 이 영화는 독일의 노르웨이 침공과 국왕의 저항 결정을 둘러싼 사건들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이 영화는 광범위한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으며, 제89회 아카데미상에서 아카데미 국제 장편 영화상 부문에 노르웨이 대표로 출품되었다. 이 영화는 2016년 12월에 9명의 최종 후보 명단에 올랐다.[67][68][69][70] 호콘 7세는 2020년 NRK 드라마 시리즈 ''대서양 건너기(Atlantic Crossing)''에서 쇠렌 필마르크에 의해 묘사되었으며, 이 시리즈는 마르타 왕세녀가 1939년부터 1945년까지 왕실의 망명을 처리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4. 가족



1896년 7월 22일, 호콘 7세는 웨일스 공주 마우드와 버킹엄 궁전에서 결혼식을 올렸다.[6] 마우드 공주는 에드워드 7세와 알렉산드라 왕비의 막내딸이었다. 빅토리아 여왕도 이 결혼식에 참석했다.

결혼 후 부부는 코펜하겐의 베른스토르프 저택에서 거주했다. 또한, 마우드 공주가 잉글랜드를 자주 방문할 수 있도록 샌드링엄 하우스의 애플턴 하우스를 별장으로 제공받았다.[7] 1903년 7월 2일, 외아들 올라프 5세가 태어났다.[6]

이름출생사망비고[4]
올라프 5세1903년 7월 2일1991년 1월 17일노르웨이 국왕 (1957–1991); 1929년 스웨덴의 마르타 공주와 결혼, 노르웨이 국왕 하랄 5세의 아버지.


5. 일본과의 관계

1909년 일본 제국 일본 제국 육군의 동계 군사 훈련 중 조난 사망 사고(핫코다산 설중행군 조난사건 참조) 소식을 들은 호콘 7세는 "우리나라에서 겨울철에 사용하는 스키가 있었다면 이런 조난 사고는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라고 생각하여, 메이지 천황에게 스키 2대를 사고 위로의 뜻으로 기증했다.[74] 이것이 계기가 되어 일본과 노르웨이의 스키 교류가 시작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Carl (Haakon VII) http://www.kongernes[...] The Royal Danish Collection 2019-11-01
[2] 웹사이트 Kong Olav 5 https://www.nrk.no/u[...] Norweg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9-11-01
[3] 서적 Dansk Biografisk Leksikon J.H. Schultz Forlag 2023-04-21
[4] 서적 Burke's Royal Families of the World Burke's Peerage Ltd
[5] 백과사전 Haakon 7 https://nbl.snl.no/H[...] Kunnskapsforlaget 2009-02-13
[6] 잡지 The Queen Receives https://web.archive.[...] 1923-06-18
[7] 웹사이트 Appleton House http://www.kongehuse[...] The Royal House of Norway 2011-03-05
[8] 서적 Norge på egen hånd 1905–1920 (Norsk utenrikspolitikks historie, volume 2) Universitetsforlaget 1995
[9] 잡지 Jubilee https://web.archive.[...] 1930-12-08
[10] 웹사이트 Blue Plaque for King Haakon VII of Norway http://www.english-h[...] English Heritage
[11] 웹사이트 Alt for Norge – Kongens "Ja" https://www.kongehus[...] The Royal House of Norway 1905-11-20
[12] 웹사이트 Kongevalget https://www.kongehus[...] The Royal House of Norway 2013-07-09
[13] 웹사이트 Royal residences in Norway http://www.reisenett[...]
[14] 웹사이트 Trekongemødet i Malmø http://altomhistorie[...] 2014-11-12
[15] 학술지 Trekungamötet i Malmö 1914 http://www.popularhi[...]
[16] 웹사이트 (Official site of the Norwegian Royal House, in Norwegian) http://www.kongehuse[...]
[17] 서적 Justismord Aschehoug
[18] 웹사이트 Queen Maud of Norway https://talknorway.n[...]
[19] 웹사이트 The State of Absaroka http://www.southdako[...]
[20] 웹사이트 Breivik, Quisling and the Norwegian spirit https://www.cbc.ca/n[...]
[21] 문서 The account and quotation were recorded by one of the cabinet members and were recounted in William L. Shirer's ''The Challenge of Scandinavia''.
[22] 서적 The German Invasion of Norway Seaforth
[23] 웹사이트 Breivik, Quisling and the Norwegian spirit https://www.cbc.ca/n[...]
[24] 웹사이트 Breivik, Quisling and the Norwegian spirit https://www.cbc.ca/n[...]
[25] 서적 Bakom den gyllene fasaden Bonniers
[26] 웹사이트 Mine plikter – "Kongens andre nei" https://www.kongehus[...]
[27] 웹사이트 The Tragedy of HMS Glorious https://janus.lib.ca[...]
[28] 웹사이트 British Government News & Press Releases – 25 October 2005: Blue Plaque for King Haakon VII of Norway https://web.archive.[...]
[29] 웹사이트 Norway: the official site in the UK – News 27 October 2012 – Princess Astrid unveils blue plaque http://www.norway.or[...]
[30] 문서 The Diocese of Southwark, ''The Bridge'', December 2009 – January 2010: Scandinavia in Rotherhithe https://web.archive.[...]
[31] 서적 The challenge of Scandinavia: Norway, Sweden, Denmark and Finland in our time Robert Hale
[32] 백과사전 Norge i krigen 1939–45. Kronologisk oversikt http://www.nb.no/utl[...] Cappelen
[33] 웹사이트 Krigsårene 1940–1945 http://www.kongehuse[...] 2009-01-31
[34] 잡지 H7 https://web.archive.[...] 1957-09-30
[35] 웹사이트 Olav V king of Norway https://www.britanni[...]
[36] 잡지 First Out, First In http://www.time.com/[...] 1945-06-11
[37] 웹사이트 The Norwegian Royal House's official page about the escape, the five years in exile and the return after World War II http://www.royalcour[...]
[38] 웹사이트 Drømmen om Norge https://www.kongehus[...]
[39] 웹사이트 Erling Sven Lorentzen https://www.paperdis[...]
[40] 웹사이트 Crown Princess Märtha (1901–1954) https://www.kongehus[...]
[41] 웹사이트 Bygdøy kongsgård https://snl.no/Bygd%[...]
[42] 간행물 Norgeskatalogen Oslo Filatelistklubb
[43] 웹사이트 Han er Norges beste konge gjennom tidene https://www.vg.no/i/[...] 2017-12-29
[44] 웹사이트 Amundsen's original South Pole Station http://www.southpole[...]
[45] 웹사이트 Haakon County South Dakota http://genealogytrai[...]
[46] 웹사이트 Skoleskip KNM Haakon VII https://www.sjohisto[...]
[47] 웹사이트 Olympians Who Received the Holmenkollmedaljen https://www.sports-r[...]
[48] 웹사이트 Haandbog for Søværnet for 1912 http://www.marinehis[...] H.H. Thieles Bogtrykkeri 1912-01-01
[49] 간행물 London Gazette 1901-02-15
[50] 간행물 London Gazette 1902-06-10
[51] 간행물 London Gazette 1942-05-08
[52] 웹사이트 Royal House of Norway web page on King Haakon VII's decorations http://www.kongehuse[...]
[53] 서적 Statshaandbog for Kongeriget Danmark for Aaret 1953 https://dis-danmark.[...] J.H. Schultz A.-S. Universitetsbogtrykkeri
[54] 문서 Almanach Royale Belgique
[55] 웹사이트 Kolana Řádu Bílého lva aneb hlavy států v řetězech http://www.vyznamena[...]
[56] 웹사이트 Suomen Valkoisen Ruusun Suurristi Ketjuineen http://www.ritarikun[...]
[57] 웹사이트 Icelandese Presidency Website http://falkadb.forse[...]
[58] 서적 Calendario generale del regno d'Italia https://books.google[...]
[59] 서적 Guía Oficial de España 1929-01-01
[60] 서적 Sveriges statskalender https://runeberg.org[...]
[61] 서적 The Knights of England https://archive.org/[...]
[62] 간행물 London Gazette 1901-02-15
[63] 문서 https://archive.org/[...]
[64] 웹사이트 The Edinburgh Gazette https://www.thegazet[...]
[65] 간행물 London Gazette 1927-06-14
[66] 잡지 Miscellany http://www.time.com/[...] 1944-12-25
[67] 웹사이트 "Kongens nei" er Norges Oscar-kandidat http://www.vg.no/ram[...] 2016-09-08
[68] 웹사이트 Oscars: Norway picks 'The King's Choice' http://www.screendai[...] 2016-09-08
[69] 웹사이트 Oscars: Nine Films Advance in Foreign-Language Race https://variety.com/[...] 2016-12-15
[70] 웹사이트 "Kongens nei" er Norges Oscar-kandidat https://www.vg.no/ra[...] 2016-09-08
[71] 서적 ノルウェーにも侵入、オスロを占領 昭和ニュース事典編纂委員会 1994
[72] 서적 ノルウェー軍降伏、国王は亡命 昭和ニュース事典編纂委員会 1994
[73] 웹사이트 ヒトラーに屈しなかった国王に学ぶ「信念」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ONLINE 2017-10-26
[74] 웹사이트 【スキー】歴史(起源~現在)を解説!日本での始まりは1911年 https://sposuru.com/[...] スポスルマガジン 2022-1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