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흐 음악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흐 음악원은 1877년 프랑크푸르트 시의회의 승인을 받아 설립되었으며, 1878년 개원했다. 요제프 호흐 박사의 유산을 기증받아 설립되었으며, 클라라 슈만이 교수로 재직했다. 나치 정권에 의해 유대인 및 외국인 교사들이 해고되는 등 역사적 변화를 겪었으며, 1938년 국립 호흐슐레로 격하되기도 했다. 2차 세계대전 중 건물 파괴 이후 재건되었으며, 2002년 음악 아카데미 지위를 얻었다. 역대 원장으로는 요아힘 라프, 베른하르트 숄츠 등이 있으며, 파울 힌데미트, 엥겔베르트 훔퍼딩크 등 저명한 음악가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크푸르트의 대학교 -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프랑크푸르트 대학교는 독일 프랑크푸르트암마인에 위치한 대학교로, 1914년 개교하여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기반인 사회연구소가 위치해 있으며, 법학, 경제학, 철학, 자연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는 재단형 대학이다.
  • 독일의 음악 학교 - 베를린 예술대학교
    베를린 예술대학교는 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종합 예술 대학으로, 미술, 건축, 미디어 디자인, 음악, 공연 예술 분야를 아우르는 4개의 단과대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독일 내에서 박사 학위 및 박사 후 과정 자격을 수여할 수 있는 예술대학 중 하나이다.
  • 독일의 음악 학교 - 브레멘 예술대학교
    브레멘 예술대학교는 독일 브레멘에 위치한 예술대학교로, 음악대학과 미술대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술적 지도와 예술적 실기의 연관성을 중요시하며 다양한 문화단체시설과의 협력을 통해 실기 훈련 교육을 제공한다.
  • 프랑크푸르트의 음악 - 스냅!
    스냅!은 루카 안질로티와 마이클 뮌징이 결성한 독일 댄스 팝 듀오로, "파워", "웁스 업", "리듬 이즈 어 댄서" 등의 히트곡으로 1990년대 초 유럽과 미국에서 큰 인기를 누렸으나 1996년 해산 후 여러 차례 복귀 시도에도 이전의 성공을 재현하지 못했다.
  • 프랑크푸르트의 음악 - 도이체 방크 파르크
    도이체 방크 파르크는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위치한 축구 경기장으로, 발트슈타디온에서 코메르츠방크 아레나를 거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FIFA 월드컵, UEFA 유로,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FIFA 여자 월드컵, UEFA 유로 등 주요 국제 대회를 개최했고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의 홈 구장이자 세계적인 팝스타들의 콘서트가 열리는 다목적 경기장이다.
호흐 음악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09년 프랑크푸르트-오스텐트에 있는 음악원
개교1878년
종류공립
위치독일 헤센주 프랑크푸르트 Sonnenmannstraße 16
웹사이트호흐 음악원 공식 웹사이트
조직
총장마리오 리페 (Mario Liepe)
직원80명
학생약 1000명

2. 역사

1900년경의 잘호프: 1878년부터 1888년까지 음악원의 본부


에셴하이머 란트슈트라세 4번지. 호흐 음악원, 1900년경. 1888년부터 1943년까지 음악원의 본부


에셴하이머 란트슈트라세 4번지. 폴크스빌둥스하임. 1951년부터 1988년까지 음악원의 본부


프랑크푸르트 필란트로핀: 1986년부터 2004년까지 음악원의 본부


호흐 음악원은 1878년 9월 22일, 프랑크푸르트 시민 요제프 호흐 박사(Dr. Joseph Hoch)의 유산을 바탕으로 설립된 음악 교육 재단에 의해 문을 열었다. 초기에는 잘호프(Saalhof) 건물에서 시작하여 요아힘 라프가 초대 원장을 맡았고, 클라라 슈만과 같은 세계적인 음악가들이 교수로 참여하며 명성을 쌓았다.

음악원은 설립 이후 꾸준히 성장하여 1888년 에셴하이머 란트슈트라세(Eschenheimer Landstraße) 4번지에 새로운 건물을 마련하는 등 발전을 거듭했다. 이 시기 엥겔베르트 훔퍼딩크, 한스 피츠너, 파울 힌데미트 등 후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음악가들이 학생 또는 교수로 음악원과 인연을 맺었다. 1928년에는 마티아스 자이베르의 지휘 아래 유럽 최초로 정규 재즈 강좌를 개설하는 등 혁신적인 교육을 시도하기도 했다.

그러나 1933년 나치 정권이 들어서면서 음악원은 큰 시련을 맞았다.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원장 베른하르트 제클레스를 비롯한 많은 교수가 해고당하는 등 탄압을 받았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1943년과 1944년 연이은 폭격으로 건물이 파괴되는 아픔을 겪었다.

전쟁 후 음악원은 파괴된 에셴하이머 란트슈트라세 부지에 새로 지어진 폴크스빌둥스하임(Volksbildungsheim) 건물에서 1951년 수업을 재개하며 재건의 과정을 밟았다. 이후 프랑크푸르트 음악 및 공연 예술 대학교와의 관계 설정 변화, 교육 과정 개편 등을 거치며 발전을 모색했다. 1979년 프랑크 슈텔레 원장 취임 이후 전문 음악가 양성 기관으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했으며, 1986년부터 1989년에 걸쳐 유서 깊은 건물인 필란트로핀(Philanthropin)으로 이전하여 새로운 교육 환경을 마련했다.

2002년 음악 아카데미(Musikakademie) 지위를 인정받았고, 2005년에는 현대적인 시설을 갖춘 오스트엔트 교육 센터(Bildungszentrum Ostend, BZO)로 다시 이전하여 현재까지 프랑크푸르트의 중요한 음악 교육 기관으로서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2. 1. 설립 배경



클라라 슈만(1878년). 1878년부터 1892년까지 호흐 음악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호흐 음악원의 설립은 1857년 7월 14일, 프랑크푸르트 출신의 요제프 호흐 박사(Dr. Joseph Hoch, 1815–1874)가 자신의 재산을 음악 교육 기관 설립을 위한 재단에 기증하겠다는 유언을 남기면서 시작되었다.

1874년 9월 19일 요제프 호흐 박사가 사망한 후, 그의 유언에 따라 음악원 설립 절차가 진행되었다. 1876년 3월 16일, 음악원 설립을 위한 재단이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이듬해인 1877년 2월 16일에는 프랑크푸르트 시의회에서 재단 이사회를 승인했으며, 하인리히 뭄 폰 슈바르첸슈타인 박사(Dr. Heinrich Mumm von Schwarzenstein)가 초대 이사회 회장으로 선출되어 1890년까지 직책을 맡았다. 같은 해 6월에는 작곡가 요아힘 라프(Joachim Raff)가 음악원의 초대 원장으로 선출되었다.

마침내 1878년 9월 22일, 프랑크푸르트의 유서 깊은 건물인 잘호프(Saalhof)에서 호흐 음악원의 개원식이 열렸다. 이는 요제프 호흐 박사의 유언이 남겨진 지 21년 만의 결실이었다. 개원 직후인 10월 20일에는 클라라 슈만(Clara Schumann)의 연주 50주년 기념 행사가 열렸으며, 그녀는 개원과 동시에 교수로 부임하여 1892년까지 학생들을 가르쳤다.

2. 2. 발전 과정



음악원은 1878년 9월 22일 프랑크푸르트 잘호프에서 개원식을 열며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 초대 원장은 요아힘 라프였고, 클라라 슈만과 같은 저명한 음악가들이 교수진으로 합류했다. 개원 직후인 10월 20일에는 클라라 슈만의 연주가 50주년 기념 행사가 열렸으며, 이듬해 2월 10일에는 첫 내부 학생 연주회가 개최되었다. 1879년 6월 9일에는 프란츠 리스트가 프랑크푸르트를 방문하기도 했다.

그러나 초기부터 내부 갈등이 있었다. 1880년, 원장 라프와 성악 교수 율리우스 슈톡하우젠 사이에 불화가 생겨 슈톡하우젠이 9월 1일 사임했다. 1882년 6월 24일에는 초대 원장 요아힘 라프가 사망했고, 같은 해 11월 베른하르트 숄츠가 후임 원장으로 임명되었다. 라프의 사망 이후 그의 추종자들이 분리되어 1883년 4월 라프 음악원을 따로 개원하는 일도 있었다. 숄츠는 1883년 3월 21일 공식적으로 원장직을 인수했다. 1884년에는 슈톡하우젠이 두 번째로 사임했고(4월 1일), 같은 해 9월에는 이반 크노르가 원장으로 있는 세미나가 개원했다. 1886년 9월에는 예비 학교가 문을 열었으며, 작곡가 한스 피츠너가 이곳에서 1890년까지 장학금으로 공부했다.

1888년 4월 29일, 에셴하이머 란트슈트라세 4번지에 새로운 음악원 건물이 준공되었다. 1890년에는 테오도어 메텐하이머 박사가 이사회 의장직을 맡았고, 주 정부로부터 2개의 장학금을 위한 보조금을 받기 시작했다. 또한, 오페라 헨젤과 그레텔의 작곡가로 유명한 엥겔베르트 훔퍼딩크가 1890년부터 1897년까지 이곳에서 강의했다. -- 1892년에는 클라라 슈만이 은퇴했고, 음악원은 모차르트 재단의 장학금 훈련을 인수했다. 클라라 슈만은 1896년 5월 20일 세상을 떠났다.

20세기 들어서도 음악원은 발전을 거듭했다. 1908년, 베른하르트 숄츠가 원장직에서 물러나고 이반 크노르가 후임 원장이 되었으며, 관현악 학교가 개원했다. 1909년에는 파울 힌데미트가 장학금을 받고 입학하여 아돌프 레브너에게 배웠다. 1916년 1월 22일 이반 크노르가 사망하자, 같은 해 9월 발데마르 폰 바우쓰너른이 원장직을 이어받았다. 1918년에는 성악 학교 세미나가 개원했다.

1920년대에는 재정적 어려움과 변화가 있었다. 1921년, 이사회와 원장 사이에 긴장이 발생했고, 극심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재단은 프랑크푸르트 시와 헤세 주에 보조금을 요청해야 했다. 이 시기 레오 케스텐베르크에 의해 프랑크푸르트를 위한 "호흐슐레"(Hochschule, 고등교육기관) 설립 계획이 논의되기도 했다. 1923년 4월 27일 발데마르 폰 바우쓰너른이 은퇴했고, 헤르만 셰르헨이 원장직에 지원했으나 성사되지 않았다. 1924년 베른하르트 세클레스가 새 원장으로 임명되었고, 오페라 학교가 개원했다. 1926년에는 개인 음악 교사 세미나와 "음악 감상자를 위한 음악원"이 문을 열었다. 특히 1928년에는 마티아스 자이베르의 지휘 아래 유럽 최초의 정규 재즈 강좌가 개설되는 혁신적인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1933년 나치 정권이 들어서면서 음악원은 큰 시련을 맞았다. 4월 10일, 유대인이었던 베른하르트 세클레스 원장을 비롯해 모든 유대인 및 외국인 교사들이 강제로 해고당했다. 한스 룸프 박사가 재단 의장으로, 베르틸 베첼스베르거가 원장으로 취임했다. 같은 해 10월 17일에는 문화부의 허가 없이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시립 음악 및 연극 호흐슐레"가 개원하며 혼란이 가중되었다. 1936년에는 헤르만 로이터가 원장으로 취임했다. 1937년 10월 19일 프랑크푸르트 시와 재단 간의 계약을 통해 국립 음악 "호흐슐레" 설립이 결정되었고, 1938년 4월 1일 국립 호흐슐레가 개원하면서 기존의 호흐 음악원은 사실상 예비 학교로 격하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물리적인 피해도 겪었다. 1943년 10월 4일, 에셴하이머 란트슈트라세의 음악원 건물이 연합군의 항공기 폭격으로 파괴되어 파사반트-곤타르셰 팔레로 이전했으나, 1944년 2월 이 건물마저 파괴되었다.

전쟁 후 음악원은 재건 과정을 밟았다. 1947년 4월 교회 음악부가 재개되었고, 가을에는 학교 음악부가 다시 문을 열었다. 1951년, 폭격으로 파괴되었던 에셴하이머 란트슈트라세 4번지 부지에 새로 지어진 폴크스빌둥스하임(Volksbildungsheim) 건물에서 수업을 재개했다. 1954년에는 음악대학과 음악원을 위한 이사회가 설치되었고, 1958년 필리프 몰러가 통합된 "호흐슐레"와 호흐 음악원의 원장으로 취임했다.

1967년 프랑크푸르트 시의회는 1937년에 체결된 계약을 무효화했다. 1971년에는 음악원을 음악대학과 통합하려는 계획에 대한 반발이 있었고, 그 결과 음악원은 음악 학교와 음악대학 사이의 중간 단계 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1973년 필리프 몰러가 원장직에서 사임하고 클라우스 폴크가 통합 원장직을 이어받았으나, 1977년 폴크 역시 사임했다. 이후 "음악대학" 총장 한스 디터 레쉬 교수가 임시 원장을 맡았고, 1978년 알로이스 코트만이 원장이 되었다.

1979년 프랑크 슈텔레가 원장으로 취임하면서 음악원은 다시 한번 중요한 변화를 맞았다. 슈텔레의 지도 아래 음악원은 재구성되어 전문 음악가 양성 기관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했다. 1986년부터는 프랑크푸르트 북쪽 끝에 위치한 옛 유대인 학교 건물인 필란트로핀(Philanthropin)으로의 이전을 단계적으로 시작하여 1989년에 완료하고 2월 9일 개원식을 열었다.

2002년, 호흐 음악원은 음악 아카데미(Musikakademie) 지위를 부여받았다. 2005년에는 새로 건설된 오스트엔트 교육 센터(Bildungszentrum Ostend, BZO)로 이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07년 프랑크 슈텔레가 은퇴한 후 베르너 빌데가 1년간 임시 원장을 맡았으며, 2008년부터 마리오 리페가 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2. 3. 역대 원장


  • 1878–1882: 요아힘 라프
  • 1883–1908: 베른하르트 숄츠
  • 1908–1916: 이반 크노르
  • 1916–1923: 발데마르 폰 바우쓰너른
  • 1924–1933: 베른하르트 제클레스
  • 1933–1936: 베르틸 베첼스베르거
  • 1936–1944: 헤르만 로이터
  • 1950–1954: 발터 다비손
  • 1954–1958: 헬무트 발하, 에리히 플린쉬, 구스타프 렌체프스키
  • 1958–1973: 필리프 몰러
  • 1973–1977: 클라우스 폴크
  • 1977–1979: 한스 디터 레쉬, 알로이스 코트만
  • 1979–2007: 프랑크 슈태클레
  • 2007–2008: 베르너 빌데 (임시 원장)
  • 2008–2018: 마리오 리페
  • 2018–2022: 크리스티안 하이니쉬, 캐롤라인 프라젤, 카린 프랑케-앙드레 (원장단)
  • 2022년~현재: 파비안 리저, 캐롤라인 프라젤, 카린 프랑케-앙드레 (원장단)

3. 교육 과정 및 특징

호흐 음악원은 개원 초기부터 피아노, 성악, 작곡, 오케스트라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을 제공했다. 초대 교수진에는 클라라 슈만, 율리우스 슈톡하우젠과 같은 저명한 음악가들이 포함되었다. 특히 클라라 슈만은 1878년부터 1892년까지 피아노 주임 교수로 재직하며 음악원의 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음악원은 지속적으로 교육 과정을 확장해 나갔다. 1884년에는 이반 크노르가 이끄는 세미나가 개설되었고, 1886년에는 예비 학교가 문을 열었다. 엥겔베르트 훔퍼딩크는 1890년부터 1897년까지 이곳에서 강의했다. 이후 1908년 관현악 학교, 1918년 성악 학교 세미나, 1924년 오페라 학교가 차례로 개원하며 교육 영역을 넓혔다. 1926년에는 개인 음악 교사 양성을 위한 세미나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음악 감상자를 위한 음악원'이 개설되기도 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1928년 마티아스 자이베르의 지휘 아래 독일 최초의 정규 재즈 강좌가 개설된 것이다. 이는 당시로서는 매우 혁신적인 시도로, 호흐 음악원이 현대 음악 교육을 선도하는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나치 시대에는 정치적 탄압을 피하지 못했다. 1933년 베른하르트 세클레스 원장을 비롯하여 유대인 및 외국인 교사들이 대거 해고되는 아픔을 겪었다. 1938년에는 국립 '호흐슐레'가 설립되면서 음악원은 예비 학교로 격하되는 등 시련을 겪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7년 교회 음악부와 학교 음악부가 다시 문을 열면서 교육 과정을 복원하기 시작했다. 여러 변화를 거쳐 1979년 프랑크 슈텔레 원장이 취임한 후, 음악원은 전문 음악가 양성 기관으로서의 정체성을 다시 확립하고 재정비되었다. 2002년에는 음악 아카데미(Musikakademie) 지위를 부여받았다.

음악원의 역사적 중요성은 과거 독일 연방은행이 발행한 구 100 DM 지폐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지폐 뒷면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폭격으로 소실된 옛 음악원 건물이 그려져 있으며, 앞면에는 초대 피아노 교수였던 클라라 슈만의 초상이 담겨 있다.

4. 주요 동문 및 교수진

호흐 음악원은 오랜 역사 동안 수많은 저명한 음악가들을 교수 및 동문으로 배출했다. 대표적인 교수진으로는 피아니스트 클라라 슈만, 헨젤과 그레텔의 작곡가 엥겔베르트 훔퍼딩크 등이 있으며, 동문으로는 작곡가 파울 힌데미트 등이 있다. 자세한 교수진 및 동문 명단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저명한 교수진



호흐 음악원에는 역사적으로 저명한 음악가들이 교수진으로 참여했다. 주요 교수진과 재임 기간은 다음과 같다.

이름재임 기간비고
베른하르트 코스만1878–1910
휴고 헤어만1878–1904
카를 하이만1878–1880
요아힘 라프1878–1882초대 원장
클라라 슈만1878–1892피아노
율리우스 슈톡하우젠1878–1880, 1883–84
안톤 우르스프루흐1878–1883
라자로 우치엘리1882–1907
이반 크노르1883–1908원장 (1908년부터)
제임스 크바스트1883–1902
에른스트 엥게서1884–1923
엔겔베르트 훔퍼딩크1890–1897작곡가 (헨젤과 그레텔)
카를 프리드베르크1893–1904
휴고 베커1894–1906
마리 한프스텡글1895–1897
베른하르트 제클레스1896–1933원장 (1924–1933), 나치 정권에 의해 해고
요하네스 헤가르1899–1912
헤르만 질허1904–1908
아돌프 레브너1904–1907, 1908–1933나치 정권에 의해 해고
요하네스 메스차트1905–1906
알프레트 아우어바흐1906–1933나치 정권에 의해 해고
알프레트 횔른1908–1916, 1929–1942
마르가레테 데소프1912–1917
헤르미네 보세티1926–1928
루트비히 로텐베르크1926–1932
머티어스 샤이버1928–1933최초의 정규 재즈 학과장, 나치 정권에 의해 해고
헤르베르트 그라프1930–1933오페라 학교, 나치 정권에 의해 해고
헬무트 발하1933–1938
쿠르트 헤센베르크1933–1942
게르하르트 프롬멜1933–1945
안톤 비어작1936–1940
페터 칸 (음악가)1954–1974
알로이스 코트만1958–?원장 (1978년)
알베르트 망겔스도르프1976–1982[3]
게르하르트 셰들1981–2000
리하르트 루돌프 클라인1985–1996
알마 무디?
바바라 제흐마이스터2005–현재



독일 연방은행(Deutsche Bundesbank)은 과거 100 DM 지폐 뒷면에 제2차 세계 대전 중 폭격으로 파괴된 원래 음악원 건물 사진을 넣어 음악원을 기렸다. 지폐 앞면에는 음악원의 첫 피아노 교수였던 클라라 슈만의 초상이 그려져 있다.

4. 2. 저명한 동문

오스카 프리드(Oskar Fried), 1891-92년 이반 크노르(Iwan Knorr)에게 사사

  • 1879–1882: 에드워드 맥도웰
  • 1886–1890: 한스 퓌츠너
  • 1891–1893 및 1896–1899: 시릴 스콧 (프랑크푸르트 그룹)
  • 1893–1895: 마르게레테 데소프
  • 1893–1897: 노먼 오닐 (프랑크푸르트 그룹)
  • 1894–1896: 헨리 발푸어 가디너 (프랑크푸르트 그룹)
  • 1894–1901: 발터 브라운펠스
  • 1895–1900: 퍼시 그레인저 (프랑크푸르트 그룹)
  • 1895–1903: 요한나 젠프터
  • 1895–1898: 한스 젤몰리
  • 1897–1901: 로저 퀼터 (프랑크푸르트 그룹)
  • 1898–1903: 보리스 함부르크
  • 1900–1901: 어니스트 블로흐
  • 1901–1902: 오토 클렘페러
  • 1903–1909: 라인하르트 오펠
  • 1904–1907: 한스 게브하르트-엘사스
  • 1904–1908: 프레데릭 셉티무스 켈리
  • 1908–1910: 리하르트 타우버
  • 1909–1917: 파울 힌데미트
  • 1909–1913: 에른스트 토흐
  • 1913–1916 및 1918–1920: 오트마어 게르스터
  • 약 1915: 한스 로스바우드
  • 1917–1931: 쿠르트 헤센베르크
  • 1924–1927: 알렉산더 슈나이더

  • Vladimír Ambros
  • 프레데릭 오스틴
  • Erich Bender
  • Carlo Bohländer
  • 프란츠 마그누스 뵘
  • 레너드 보윅
  • 캐서린 카스웰
  • 토르스텐 데 빈켈
  • 모리츠 에거트
  • Agnes Fink
  • 에른스트 피셔
  • 클레멘스 폰 운트 추 프랑켄슈타인
  • 오스카 프리드
  • 엘제 겐트너-피셔
  • Frank Gerhardt
  • 콘라트 게오르크
  • Heinz Gietz
  • 리아 긴스터
  • Eugen Henkel
  • 다니엘 헨젤
  • Herbie Hess
  • 로빈 호프만
  • 알프레드 홀린스
  • 에리히 이토르 칸
  • Alice Kaluza
  • 한스 클로츠
  • 크리스토프 라우어
  • 티아나 렘니츠
  • 울리 렌츠
  • 에밀 망겔스도르프
  • 안네테 마르쿠아르트
  • 하인츠 모오크
  • Sibylle Nicolai
  • 발터 레어베르크
  • 막스 루돌프
  • 프리치 셰프
  • 에리히 슈미트
  • Dietrich Schulz-Köhn
  • 요한나 센프터
  • 헤르미네 슈피스
  • 루디 슈테판
  • 슈테판 토마스
  • 리하르트 트렁크
  • 한스-위르겐 폰 보제
  • 헤르만 한스 베츨러
  • 하이케 마티센

5. 유산

독일 연방은행은 과거 발행했던 100 독일 마르크 지폐 도안에 호흐 음악원과 관련된 인물과 건물을 사용하여 그 역사적 가치를 기렸다. 지폐 앞면에는 클라라 슈만의 초상이 그려져 있는데, 그녀는 1878년부터 1892년까지 호흐 음악원에서 피아노 교수로 활동했던 초기 주요 인물 중 한 명이다.

지폐 뒷면에는 1888년부터 1943년까지 음악원의 본부로 사용되었던 에셴하이머 란트슈트라세 4번지의 건물이 묘사되어 있다.

이 건물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3년 10월 4일, 연합군의 공습으로 인해 파괴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Raff's Role in Dr. Hoch's Conservatory http://www.raff.org/[...] 2016-05-24
[2] 서적 This was actually the first academic program for the study of jazz anywhere in the world. Kathryn Smith Bowers, "East Meets West. Contributions of Mátyás Seiber to Jazz in Germany." Jazz and the Germans Hillsdale, NY: Pendragon Press 2002
[3] 웹사이트 albert mangelsdorff http://www.albert-ma[...] 2022-05-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