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현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현주는 1807년 숙선옹주와 혼인하여 영명위에 봉해진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그의 조부 홍낙성이 혜경궁 홍씨의 6촌 오빠였기에 부마로 간택되었으며, 정조부터 고종에 이르기까지 다섯 왕조를 섬겼다. 문장가로서 시문과 서화에 능했으며, 청나라 문인들과 교류하기도 했다. 저서로 《해거시집》이 있으며, 숙선옹주와의 사이에서 아들 홍우철을 두었다.
1807년 숙선옹주와 혼인하여 영명위(永明尉)에 봉해졌다.[7] 부마 간택은 조부 홍낙성이 혜경궁 홍씨의 6촌 오빠라는 점이 크게 작용하였다. 1815년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가 되었다. 1817년 형 홍석주가 모함을 당하고 있다고 순조에게 상소하여 억울함을 호소하였다.[8] 정조부터 고종까지 다섯 왕대를 섬겼으며, 1865년 사망하자 대왕대비 조씨가 장례 비용으로 1000냥, 포(布)와 목(木) 각 5동(同)을 내렸다.[9] 사가 외당(外堂)에는 순조의 어필전서로 〈금옥당(金玉堂)〉이라는 편액(扁額)이, 원정(園亭)에는 익종의 어필로 〈시림정(市林亭)〉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었다. [10]
홍현주는 혜경궁 홍씨의 6촌 오빠인 홍낙성(1718년~1798년)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홍인모이며, 어머니는 영수합 서씨이다. 홍석주, 홍길주는 홍현주의 형이고, 홍원주는 여동생이다. 부인은 정조의 서차녀인 숙선옹주이며, 아들은 홍우철이다.
2. 생애
2. 1. 왕실과의 인연과 관직 생활
1807년 숙선옹주와 혼인하여 영명위(永明尉)에 봉해졌다.[7] 홍현주가 부마로 간택된 이유는 조부 홍낙성이 혜경궁 홍씨의 6촌 오빠라는 점이 크게 작용하였다. 1815년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가 되었다. 1817년 형 홍석주가 모함을 당하고 있다고 순조에게 상소하여 억울함을 호소하였다.[8] 정조부터 고종까지 다섯 왕대를 섬겼으며, 1865년 사망하자 대왕대비 조씨가 장례 비용으로 1000냥, 포(布)와 목(木) 각 5동(同)을 내렸다.[9] 사가 외당(外堂)에는 순조의 어필전서로 〈금옥당(金玉堂)〉이라는 편액(扁額)이, 원정(園亭)에는 익종의 어필로 〈시림정(市林亭)〉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었다고 한다. 뛰어난 문장가였으며, 시문과 서화, 차를 즐겼는데 청의 문인 오숭량, 옹수곤 등과 시문을 통해 교류했다.[10] 저서로 《해거시집》(海居詩集)이 있다.
2. 2. 문화 예술 활동과 청나라와의 교류
홍현주는 뛰어난 문장가였으며, 시문과 서화, 차를 즐겼다. 청의 문인 오숭량, 옹수곤 등과 시문을 통해 교류했다.[10] 《해거시집》(海居詩集)이라는 저서를 남겼다.
3. 가족 관계
3. 1. 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조부 | 홍낙성 | 1718년 | 1798년 | 혜경궁 홍씨의 6촌 오빠 |
조모 | 청송 심씨 | ? | ? | 심능건의 고모, 심정지의 여동생, 심규의 딸, 심택현의 손녀 |
부 | 홍인모 | ? | ? | |
모 | 영수합 서씨 | ? | ? | |
형 | 홍석주 | ? | ? | |
형 | 홍길주 | ? | ? | |
누이 | 홍원주 | 1783년 | ? | |
처 | 숙선옹주 | 1793년 | 1836년 | 정조의 서차녀 |
아들 | 홍우철 | 1813년 | 1853년 | |
손자 | 홍승간 | 1834년 | 1845년 | [11][12] |
손자 | 홍승억 | 1842년 | 1882년 |
3. 2. 혜경궁 홍씨, 정조와의 관계
홍현주는 혜경궁 홍씨의 6촌 오빠인 홍낙성의 손자였다. 이러한 배경은 홍현주가 1807년 정조의 서차녀인 숙선옹주와 혼인하여 영명위(永明尉)에 봉해지는 데 크게 작용하였다.[7]
참조
[1]
서적
조선왕조실록 고종 8권, 8년(1871년) 3월 16일 4번째기사
[2]
서적
조선왕조실록 순조 6권, 4년(1804년) 4월 9일 2번째기사
[3]
서적
조선왕조실록 순조 20권, 17년(1817년) 1월 16일 3번째기사
[4]
서적
조선왕조실록 고종 2권, 2년(1865년) 6월 24일 2번째기사
[5]
서적
동다송 주해
이른아침
2009
[6]
서적
조선왕조실록 고종 8권, 8년(1871년) 3월 16일 4번째기사
[7]
서적
조선왕조실록 순조 6권, 4년(1804년) 4월 9일 2번째기사
[8]
서적
조선왕조실록 순조 20권, 17년(1817년) 1월 16일 3번째기사
[9]
서적
조선왕조실록 고종 2권, 2년(1865년) 6월 24일 2번째기사
[10]
서적
동다송 주해
이른아침
2009
[11]
웹인용
풍산홍씨족보 豊山洪氏族譜, 8권
https://www.familyse[...]
[12]
웹인용
정명 공주와 숙선 옹주의 종손을 바르게 할 것을 대왕대비가 명하다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