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능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능건은 조선 시대의 인물로, 영조의 서녀 화령옹주와 혼인하여 청성위가 되었다. 그는 장모의 집을 훼손한 죄로 삭직과 복직을 반복했으며, 사은정사, 책봉 주청 정사, 동지정사 등으로 여러 차례 청나라에 파견되었다. 심능건은 명문가 출신으로, 11대조 심연원은 영의정을 지냈으며, 명종의 국구인 심강 또한 그의 10대조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부마 - 윤사로
윤사로는 세조의 계유정난 공신으로 의정부 좌찬성 등 요직을 역임하며 세조 정권에 기여하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는 등 권력층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하여 조선왕조실록에 영민함과 청렴함이 기록됨과 동시에 재산 축적에 대한 비판도 함께 제시된 조선 전기의 인물이다. - 조선의 부마 - 심종
심종은 고려 말, 조선 초의 인물로, 태조 이성계의 사위가 되어 청원군에 봉해지고, 제1차 왕자의 난 때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회안군 이방간과 내통한 죄로 폐서인되어 사망했다. - 1817년 사망 - 샤를 메시에
샤를 메시에는 프랑스의 천문학자로, 혜성 발견과 메시에 천체 목록을 만들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달의 크레이터와 소행성에 이름이 붙여졌다. - 1817년 사망 - 마르틴 하인리히 클라프로트
마르틴 하인리히 클라프로트는 독일의 화학자로, 우라늄, 지르코늄, 세륨을 발견하고 텔루륨과 티타늄의 발견을 확인 및 명명하는 등 원소 발견과 화합물 조성 규명에 기여했으며, 베를린 대학교 초대 화학 교수로서 후학을 양성했다. - 조선 순조 - 영온옹주
영온옹주는 조선 순조와 숙의 박씨의 외동딸이자 효명세자의 이복 여동생으로, 11세에 옹주로 책봉되었으나 병약하여 13세에 요절하였으며 효명세자의 깊은 슬픔을 자아냈다. - 조선 순조 - 심환지
심환지는 조선 후기 문신으로, 정조와 순조 시대에 걸쳐 요직을 역임하며 정치적 격변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정조와의 비밀스러운 소통이 드러나 기존 평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한 인물이다.
심능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귀족 정보 | |
이름 | 심능건 |
한자 표기 | 沈能建 |
작위 | 조선 영조의 부마 |
봉작호 | 청성위(靑城尉) |
출생일 | 1752년 |
사망일 | 1817년 |
가문 | 청송 심씨 |
부친 | 심정지 |
모친 | 덕수 이씨 |
배우자 | 화령옹주 |
자녀 | 심의장, 이규신의 처 심씨, 이재교의 처 심씨 |
능묘 | 화령옹주묘 (서울특별시 노원구) |
인물 정보 | |
출생지 | 조선 |
사망일 | 1817년 7월 7일 |
사망지 | 조선 |
국적 | 조선 |
종교 | 유교(성리학) |
직업 | 부마 |
별명 | 청성위(靑城尉) |
배우자 | 화령옹주 |
부모 | 아버지: 삭녕군수 증 영의정 심정지 어머니: 증 정경부인 덕수 이씨 |
형제 | 심능운(형), 심능원(형), 심능진(형), 심능손(동생) |
자녀 | 심의장 - 요절 심의관 - 양자 이규신의 처 심씨 이재교의 처 심씨 |
친척 | 조선 영조(장인) 숙의 문씨(장모) 심택현(증조부) 심규(조부) 심관지(숙부) 심항지(숙부) 홍낙성(고모부) 어석정(고모부) 화길옹주(처제) |
2. 생애
심능건은 1764년(영조 40년) 영조의 서11녀 화령옹주와 결혼하여 청성위(靑城尉)가 되었다. 1781년(정조 5년) 장모 숙의 문씨의 생전 집을 멋대로 팔고 철거하여 삭직되고 문외출송되었으나, 이후 복직되었다. 1801년(순조 1년) 사은정사(謝恩正使), 1803년 책봉 주청 정사(冊封奏請正使), 1806년과 1808년에는 동지정사(冬至正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805년 종척집사(宗戚執事)가 되었다. 1817년(순조 17) 7월 7일 사망하자, 순조는 예장(禮葬)을 전례대로 거행하고, 녹봉을 3년간 지급하며, 그 아들은 복(服)을 벗는 대로 등용하라고 명하였다.
2. 1. 혼인과 관직 생활
1764년(영조 40년) 영조의 서11녀 화령옹주와 결혼하여 청성위(靑城尉)가 되었다.1781년(정조 5년) 장모 숙의 문씨의 생전 집을 멋대로 팔고 철거하는 바람에 삭직되고 문외출송되었다가, 이후 다시 복작되었다.
1801년(순조 1년) 사은정사(謝恩正使)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다.
1803년 책봉 주청 정사(冊封奏請正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805년 종척집사(宗戚執事)가 되었다.
1806년과 1808년 동지정사(冬至正使)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다.
1817년(순조 17) 7월 7일 사망하자, 순조는 "부음 단자(訃音單子)를 보니 슬픔을 금할 수 없다. 청성위 집에 예장(禮葬)을 전례대로 거행하고, 녹봉을 3년을 한정하여 실어 보내며, 그 아들은 복(服)을 벗는 대로 조용(調用)하라." 하였다.
2. 2. 삭직과 복직
1764년(영조 40년) 영조의 서11녀 화령옹주와 결혼하여 청성위(靑城尉)가 되었다.1781년(정조 5년) 장모 숙의 문씨의 생전 집을 멋대로 팔고 철거한 탓에 삭직되고 문외출송되었다. 이후 복직되었다.
2. 3. 청나라 파견
1801년(순조 1년) 사은정사(謝恩正使)로, 1803년 책봉 주청 정사(冊封奏請正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806년과 1808년에는 동지정사(冬至正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2. 4. 기타 활동 및 사망
1764년(영조 40년) 영조의 서11녀 화령옹주와 결혼하여 청성위(靑城尉)가 되었다.1781년(정조 5년) 장모 숙의 문씨의 생전 집을 멋대로 팔고 철거한 일로 삭직되고 문외출송되었다가, 이후 복직되었다.
1801년(순조 1년) 사은정사(謝恩正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803년 책봉 주청 정사(冊封奏請正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805년 종척집사(宗戚執事)가 되었다.
1806년과 1808년 동지정사(冬至正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817년(순조 17) 7월 7일 사망하자, 순조는 "부음 단자(訃音單子)를 보니 슬픔을 금할 수 없다. 청성위 집에 예장(禮葬)을 전례대로 거행하고, 녹봉을 3년간 지급하며, 그 아들은 복(服)을 벗는 대로 등용하라." 하였다.
3. 가계
심능건은 조선 시대 명문가 출신으로, 고위 관직을 지낸 조상들이 많다. 증조부 심택현은 이조판서, 좌참찬, 판돈녕부사를 역임했고, 조부 심규는 해주목사를 지내고 사후 좌찬성에 추증되었다. 아버지 심정지는 삭녕군수를 지내고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영조의 부마(사위)로서 왕실과도 인연을 맺었다.
심능건의 숙부 심항지(沈恒之)는 대전시 교육감 심재갑, 대전시장·충청남도지사·국회의원 등을 역임한 심대평과 대한민국 초대 참의원 법제사법위원장 심종석의 7대조이다.
3. 1. 명문가 출신
심능건은 명문가 출신으로, 그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관계 | 이름 및 설명 |
---|---|
11대조 | 심연원 - 영의정, 청천부원군 |
10대조 | 심강 - 명종의 국구, 청릉부원군, 영돈녕부사, 증 영의정 |
9대조 | 심의겸 - 서인의 초대 영수, 병조판서, 청양군 |
8대조 | 심엄 - 옥과현감, 증 영의정, 청천부원군 |
7대조 | 심광세 - 홍문관 응교, 증 이조참판 |
6대조 | 심은 - 증 이조참판 |
5대조 | 심약명 - 함창현감, 증 이조판서 |
고조부 | 심속 - 증 영의정 |
증조부 | 심택현 - 이조판서, 좌참찬, 판돈녕부사 |
증조모 | 정경부인 전주 이씨 |
조부 | 심규(沈?) - 해주목사, 증 좌찬성 |
조모 | 증 정경부인 경주 김씨 - 영의정 김흥경의 딸 |
숙부 | 심관지(沈觀之) - 병조참판, 오위도총부 도총관 |
숙부 | 심항지(沈恒之) - 심재갑의 6대조, 심대평의 7대조, 심종석의 7대조 |
아버지 | 심정지(沈鼎之) - 삭녕군수, 증 영의정 |
어머니 | 증 정경부인 덕수 이씨 - 부사 이복해(李福海)의 딸 |
장인 | 조선 제21대 영조 |
장모 | 숙의 문씨 |
고모부 | 홍낙성 - 영의정 |
고모부 | 어석정(魚錫定) - 어유구의 장남, 선의왕후의 남동생 |
3. 2.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11대조 | 심연원 | 영의정, 청천부원군 |
10대조 | 심강 | 명종의 국구, 청릉부원군, 영돈녕부사, 증 영의정 |
9대조 | 심의겸 | 서인의 초대 영수, 병조판서, 청양군 |
8대조 | 심엄 | 옥과현감, 증 영의정, 청천부원군 |
7대조 | 심광세 | 홍문관 응교, 증 이조참판 |
6대조 | 심은 | 증 이조참판 |
5대조 | 심약명 | 함창현감, 증 이조판서 |
고조부 | 심속 | 증 영의정 |
증조부 | 심택현 | 이조판서, 좌참찬, 판돈녕부사 |
증조모 | 전주 이씨 | 정경부인 |
조부 | 심규(沈?) | 해주목사, 증 좌찬성 |
조모 | 경주 김씨 | 증 정경부인, 영의정 김흥경의 딸 |
숙부 | 심관지(沈觀之) | 병조참판, 오위도총부 도총관 |
숙부 | 심항지(沈恒之) | 심재갑의 6대조, 심대평의 7대조, 심종석의 7대조 |
아버지 | 심정지(沈鼎之) | 삭녕군수, 증 영의정 |
어머니 | 덕수 이씨 | 증 정경부인, 부사 이복해(李福海)의 딸 |
장인 | 영조 | 조선 제21대 왕 |
장모 | 숙의 문씨 | |
본인 | 심능건(沈能建) | 부마, 청성위 |
부인 | 화령옹주 | 영조의 서11녀, 숙의 문씨 소생 |
장남 | 심의장(沈宜長) | 요절 |
양자 | 심의관(沈宜寬) | 포천현감, 통덕랑 심능렬(沈能烈)의 차남 |
장녀 | 청송 심씨 | 이규신(李奎信)에게 하가 |
차녀 | 청송 심씨 | 이재교(李在敎)에게 하가 |
처제 | 화길옹주 | 영조의 서12녀, 숙의 문씨 소생 |
형 | 심능운(沈能運) | |
형 | 심능원(沈能遠) | |
형 | 심능진(沈能進) | |
동생 | 심능손(沈能遜) | |
여동생 | 이희응(李羲膺) | 풍산인 |
고모부 | 홍낙성 | 영의정 |
고모부 | 어석정(魚錫定) | 어유구의 장남, 선의왕후의 남동생 |
3. 3. 친인척 관계
- 11대조 : 심연원 - 영의정, 청천부원군
- 10대조 : 심강 - 명종의 국구, 청릉부원군, 영돈녕부사, 증 영의정
- 9대조 : 심의겸 - 서인의 초대 영수, 병조판서, 청양군
- 8대조 : 심엄 - 옥과현감, 증 영의정, 청천부원군
- 7대조 : 심광세 - 홍문관 응교, 증 이조참판
- 6대조 : 심은 - 증 이조참판
- 5대조 : 심약명 - 함창현감, 증 이조판서
- 고조부 : 심속 - 증 영의정
- 증조부 : 심택현 - 이조판서, 좌참찬, 판돈녕부사
- 증조모 : 정경부인 전주 이씨
- 조부 : 심규(沈?) - 해주목사, 증 좌찬성
- 조모 : 증 정경부인 경주 김씨 - 영의정 김흥경의 딸
- 숙부 : 심관지(沈觀之) - 병조참판, 오위도총부 도총관
- 숙부 : 심항지(沈恒之) - 심재갑의 6대조, 심대평의 7대조, 심종석의 7대조
- 아버지 : 심정지(沈鼎之) - 삭녕군수, 증 영의정
- 어머니 : 증 정경부인 덕수 이씨 - 부사 이복해(李福海)의 딸
- 장인 : 영조
- 장모 : 숙의 문씨
- 본인 : 심능건(沈能建) - 영조의 부마, 청성위
- 부인 : 화령옹주 - 영조의 서11녀, 숙의 문씨 소생
- 장남 : 심의장(沈宜長) - 요절
- 양자 : 심의관(沈宜寬) - 포천현감, 통덕랑 심능렬(沈能烈)의 차남
- 장녀 : 청송 심씨 - 이규신(李奎信)에게 하가
- 차녀 : 청송 심씨 - 이재교(李在敎)에게 하가
- 처제 : 화길옹주 - 영조의 서12녀, 숙의 문씨 소생
- 형 : 심능운(沈能運)
- 형 : 심능원(沈能遠)
- 형 : 심능진(沈能進)
- 동생 : 심능손(沈能遜)
- 여동생 : 풍산인 이희응(李羲膺)에게 출가
- 고모부 : 홍낙성 - 영의정
- 고모부 : 어석정(魚錫定) - 경종의 국구 함원부원군, 영돈녕부사, 증 영의정 어유구의 장남, 경종의 두 번째 왕후 선의왕후의 남동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