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길옹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길옹주는 영조와 숙의 문씨의 둘째 딸로, 1754년에 태어나 1772년에 사망한 조선의 옹주이다. 구민화와 혼인하여 1남 2녀를 두었으며, 정조 즉위 후 어머니 숙의 문씨가 폐위되고 사사되었다. 1765년에 구민화와 혼례를 올렸으며, 19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묘소는 경기도 남양주시 평내동에 있으며, 영조가 지어준 궁집은 중요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영조의 자녀 - 화완옹주
화완옹주는 영조의 딸이자 소론 가문 정치달의 부인으로, 영조의 총애를 받았으나 사도세자와의 불화와 양자 정후겸의 정치 활동으로 정조 즉위 후 옹주 칭호를 삭탈당하고 유배를 갔다가 사면 후 파주에서 생을 마감하며 영조, 사도세자, 정조 시대 정치적 갈등과 관련된 삶을 살았다. - 조선 영조의 자녀 - 화유옹주
영조와 귀인 풍양 조씨의 딸인 화유옹주는 1753년 황인점과 혼인 후 정조의 기림을 받았으며, 그녀와 황인점의 묘는 경기도 부천시에 있다. - 1772년 사망 - 아흐마드 샤 두라니
아흐마드 샤 두라니는 1747년부터 1772년까지 아프가니스탄을 통치하며 두라니 제국을 건국한 초대 샤이자, 나디르 샤 암살 후 권력을 장악하여 아프가니스탄을 통일하고 인도를 여러 차례 침공하는 등 군사적 업적을 남겼으며, 그의 통치는 아프가니스탄 독립과 인도 대륙 정치 지형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772년 사망 - 에마누엘 스베덴보리
에마누엘 스베덴보리는 스웨덴의 과학자, 철학자, 신학자이자 신비주의 사상가로서 자연 과학과 공학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후에는 신비주의적 경험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신학 사상을 전개하여 현대 스피리츄얼리티와 뉴에이지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 1754년 출생 - 파벨 1세
파벨 1세는 표트르 3세와 예카테리나 2세 사이에서 태어나 러시아 제국의 황제가 되었으나, 어머니와의 불화, 강경한 프랑스 혁명 대응, 변덕스러운 외교 정책, 군사 개혁, 그리고 귀족들의 불만으로 1801년 암살당했다. - 1754년 출생 - 이벽
이벽은 조선 후기 학자이자 한국 천주교회 개척자로, 천주교 서적을 통해 교리를 독학하고 권철신, 정약용 등과 신앙 공동체를 형성하여 전교 활동을 펼치다 체포 후 사망했으며, 순교 여부는 논란이 있으나 한국 천주교회 초기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화길옹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화길옹주 |
한자 | 和吉翁主 |
작위 | 조선 영조의 옹주 |
배우자 | 능성위(綾城尉) 구민화(具敏和) |
자녀 | 1남 2녀 (구명희, 김이초의 처, 윤영명의 처) |
아버지 | 영조 |
어머니 | 숙의 문씨 |
출생일 | 1754년 5월 19일 (음력) |
사망일 | 1772년 12월 18일 (음력) |
묘소 | 화길옹주묘 - 경기도 남양주시 평내동 |
2. 생애
영조와 숙의 문씨의 둘째 딸로 1754년(영조 28년) 5월 19일에 태어났다. 진종(효장세자), 장조(사도세자)의 이복 동생이며, 정조의 이복 고모이자, 화령옹주의 친동생이다.
1764년(영조 40년) 음력 12월 11일, 11세의 나이로 대장 구선행의 손자이자 구현겸의 아들인 구민화와 정혼하였고, 이듬해인 1765년(영조 41년) 음력 7월 12일 혼례를 올렸다. 이때 구민화는 능성위에 봉해졌다.[3][4]
1772년(영조 48년) 음력 12월 18일, 1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5] 정조 즉위 후인 1777년(정조 1년), 화길옹주의 장례에 이 지출된 사실이 문제가 되었다.[6] 묘소는 경기도 남양주시 평내동에 있다.[1]
2. 1. 가계
영조와 숙의 문씨의 둘째 딸로 1754년(영조 28년) 5월 19일에 태어났다. 진종(효장세자), 장조(사도세자)의 이복 동생이며, 정조의 이복 고모이자, 화령옹주의 친동생이다.한편 화길옹주의 생모 숙의 문씨는 사도세자를 모함하고 여러 불법을 저질러, 정조 즉위 후 폐위되고 사사되었다.[2]
2. 2. 옹주 시절과 사망
1764년(영조 40년) 음력 12월 11일, 11세의 나이로 대장 구선행의 손자이자 구현겸의 아들인 구민화와 정혼하였다. 이때 구민화는 능성위에 봉해졌다.[3] 1765년(영조 41년) 음력 7월 12일 혼례를 올렸다.[4]1772년(영조 48년) 음력 12월 18일, 화길옹주는 1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5] 1777년(정조 1년), 화길옹주의 장례에 이 지출된 사실이 문제가 되었다.[6] 묘소는 경기도 남양주시 평내동에 있다.[1]
3. 가족 관계
능성 구씨 구민화와의 사이에서 1남 2녀를 두었다. 아들은 구명희이고, 두 딸은 김이초와 윤영명에게 각각 시집갔다.[1] 1894년(고종 31년) 화길옹주의 사손 구뢰서가 과거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8]
3. 1. 왕가 (전주 이씨)

1754년 (영조 28년) 5월 19일, 영조와 숙의 문씨의 둘째 딸로 태어났다. 화령옹주의 친동생이자 진종(효장세자), 장조(사도세자) 등의 이복 동생이며, 정조는 이복 조카이다.
한편 화길옹주의 생모 숙의 문씨는 사도세자를 무고했을 뿐 아니라 여러 불법을 많이 저지르는 바람에 정조가 즉위한 뒤 폐위되고 이내 사사되었다.[2]
3. 2. 시가 (능성 구씨)
4. 기타
영조는 화길옹주가 시집갈 때 나라에서 목수와 재목을 보내 집을 지어주었는데, 이 집은 "궁집"으로 불리며, 현재 경기도 남양주시 평내동에 남아있다. 1984년 1월 14일 대한민국의 중요민속문화재 제130호로 지정되었다.[7]
참조
[1]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화길옹주〉
https://web.archive.[...]
2012-07-19
[2]
웹사이트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숙의문씨2〉
http://people.aks.ac[...]
[3]
역사기록
《조선왕조실록》영조 104권, 40년(1764 갑신 / 청 건륭 29년) 12월 11일(무자) 2번째기사
[4]
역사기록
《조선왕조실록》영조 106권, 41년(1765 을유 / 청 건륭 30년) 7월 12일(을유) 1번째기사
[5]
역사기록
《조선왕조실록》영조 119권, 48년(1772 임진 / 청 건륭 37년) 12월 18일(무인) 1번째기사
[6]
역사기록
《조선왕조실록》정조 3권, 1년(1777 정유 / 청 건륭 42년) 5월 21일(을유) 2번째기사
[7]
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궁집〉
https://terms.naver.[...]
[8]
역사기록
《조선왕조실록》고종 31권, 31년(1894 갑오 / 청 광서 20년) 4월 9일(을묘) 1번째기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