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성역은 1930년 12월 1일 수려선 수원역-이천 구간 개통과 함께 본수원역이라는 이름으로 영업을 시작한 보통역이다. 1948년 1월 화성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으나, 1972년 4월 1일 수려선 폐선과 함께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려선 - 덕곡역
덕곡역은 1932년 5월 11일 영업을 시작한 배치간이역이었으나, 폐지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다. - 수려선 - 매류역
매류역은 1931년 수려선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나 1972년 수려선 폐선으로 폐지되었다. - 1972년 폐지된 철도역 - 아마다역
아마다역은 1927년 개업하여 1972년 폐지된 호쿠리쿠 철도 노토선의 무인 지상역으로, 단선 승강장 1면 1선을 갖췄으며 폐역 후 역 터는 빈 땅으로 남아있다. - 1972년 폐지된 철도역 - 매류역
매류역은 1931년 수려선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나 1972년 수려선 폐선으로 폐지되었다. - 경기도의 폐지된 철도역 - 장단역
장단역은 한국 전쟁 당시 폭격으로 멈춰선 증기기관차가 방치되어 전쟁의 참상을 상징하는 유물로, 현재 화통은 임진각으로 옮겨져 전시되고 있다. - 경기도의 폐지된 철도역 - 야목역
야목역은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전철역으로, 과거 수인선 정류장으로 영업했으나 중단되었다가 2020년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개통으로 재개통하여 2면 5선의 쌍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다.
화성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역 이름 | 화성역 |
한자 표기 | 華城驛 |
로마자 표기 | Hwaseong Station |
소재지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
소속 사업자 | 철도청 |
역 구조 | 지상역 |
개업일 | 1930년 12월 1일 |
폐지일 | 1972년 4월 1일 |
비고 | 폐역 |
노선 정보 | |
소속 노선 | 수려선 |
역 번호 | 해당 없음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수원 기점 3.0km |
이전 역 | 수원 |
다음 역 | 원천 |
역간 거리 | 이전 역: 3.0km 다음 역: 3.5km |
2. 역사
1930년 12월 1일 수려선 수원-이천 구간 개통과 함께 '본수원역'(本水原驛)이라는 이름으로 영업을 시작했다(보통역).[3] 1948년 1월 '화성역'(華城驛)으로 역명이 변경되었으며,[4] 1972년 4월 1일 수려선 폐선과 함께 폐지되었다.[5]
2. 1. 개요
1930년 12월 1일 수려선 수원-이천 구간 개통과 함께 '본수원역'(本水原驛)이라는 이름으로 영업을 시작했다(보통역).[3] 1948년 1월 '화성역'(華城驛)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4] 1972년 4월 1일 수려선 폐선과 함께 폐지되었다.[5]2. 2. 연혁
참조
[1]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彙報 私設鉄道運輸営業開始
1930-12-04
[2]
간행물
大韓民国官報 鉄道庁告示 第22号
1972-03-31
[3]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사설철도운수영업개시
1930-12-04
[4]
뉴스
철도선과역의 일부명칭개정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48-01-22
[5]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22호
1972-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