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목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목역은 수인선의 철도역으로, 1937년 정류장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1996년 수인선 운행 중단으로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다가, 2020년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재개했다. 현재 2면 5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며, 서해안고속도로 매송휴게소가 인접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5년 폐지된 철도역 - 어천역
어천역은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어천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전철역으로, 1937년 영업을 시작하여 1996년 폐지되었으나 2020년 재개업하였으며, 2025년 인천발 KTX 개통과 함께 KTX 정차역이 될 예정이다. - 2015년 폐지된 철도역 - 사리역
경기도 안산시 사동에 위치한 사리역은 과거 수인선 역으로 개업했으나 운행 중단으로 폐역된 후, 수인·분당선 복선 전철화 사업을 통해 재개업한 전철역이며, 역명은 과거 역 위치였던 성곶면 사리에서 유래되었다. - 화성시의 건축물 - 병점차량사업소
병점차량사업소는 한국철도공사 소속으로, 311000호대 및 312000호대 전동차의 입출고와 경정비를 담당하여 전동차 안전 운행과 철도 서비스 품질 유지를 지원하며 철도 운행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한다. - 화성시의 건축물 - 화산초등학교 (경기)
화산초등학교 (경기)는 1946년에 개교하여 특수학급, 유치원, 급식소 등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1996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2020년 개업한 철도역 - 목천신호소
목천신호소는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며 대오역과 익산역 사이에 위치한 장항선의 신호소로, 2020년 11월 24일에 개업했다. - 2020년 개업한 철도역 - 미사역
미사역은 경기도 하남시 미사강변도시에 위치한 하남선의 전철역으로, 2020년 8월 8일 개통하여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주변에 하남종합운동장, 미사리 조정경기장 등의 주요 시설이 있다.
야목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주소 |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 792-2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수인·분당선 |
승강장 | 2면 |
선로 | 5선 |
구조 | 지상역 |
개업일 | 2020년 9월 12일 |
비고 | 수인·분당선 개통 |
한국어 역명 | |
한글 | 야목역 |
로마자 표기 | Yamok-yeok |
인접 역 | |
수인선 | 어천역 - 야목역 - 사리역 |
역간 거리 | 어천역 2.6km, 사리역 4.7km |
역 번호 | |
역 번호 | K249 |
2. 역사
1937년 8월 5일 정류장 등급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7][2] 1949년 7월 20일 여객 영업을 재개할 당시에는 무배치간이역이었다.[8] 1964년 7월 27일 배치간이역으로 승격되었으나,[9][3] 1972년 7월 20일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10][4] 1996년 1월 1일 수인선 영업 중지로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고,[11][5] 역사도 철거되었다. 이후 2015년 9월 4일 철도거리표에서 삭제되었다.[12][6]
2015년 9월 4일 철도거리표에서 삭제되었으나,[12][6] 2019년 10월 25일 역명이 '''야목역'''으로 결정되었다.[13] 2020년 2월 2일 수인선 한대앞 - 수원역 구간 종합시험운행을 거쳐,[14] 같은 해 5월 29일 철도거리표 사용개시에 따른 거리표 수정이 이루어졌다.[15] 2020년 9월 12일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이 개통되면서 영업을 재개하였다.[15]
2. 1. 수인선 시절 (1937년~1996년)
1937년 8월 5일 정류장 등급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7][2] 1949년 7월 20일 여객 영업을 재개할 당시에는 무배치간이역이었다.[8] 1964년 7월 27일 배치간이역으로 승격되었으나,[9][3] 1972년 7월 20일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10][4] 1996년 1월 1일 수인선 영업 중지로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고,[11][5] 역사도 철거되었다. 이후 2015년 9월 4일 철도거리표에서 삭제되었다.[12][6]2. 2.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2020년~현재)
2015년 9월 4일 철도거리표에서 삭제되었으나,[12][6] 2019년 10월 25일 역명이 '''야목역'''으로 결정되었다.[13] 2020년 2월 2일 수인선 한대앞 - 수원역 구간 종합시험운행을 거쳐,[14] 같은 해 5월 29일 철도거리표 사용개시에 따른 거리표 수정이 이루어졌다.[15] 2020년 9월 12일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이 개통되면서 영업을 재개하였다.[15]3. 역 구조
야목역은 2면 5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건설되었다.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 1. 승강장
야목역은 2면 5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건설되었다.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 2. 배선도
4. 역 주변
5. 이용객 변동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수인선 | 승차 | 미개통 | 172 | 230 | 348 | 376 | [16] | |||||||||
하차 | 156 | 190 | 267 | 301 |
202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20년 9월 12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11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6. 인접한 역
청량리 방면
인천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