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순읍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화순군에 속한 읍이다. 청동기 시대 고인돌이 발견되었으며, 마한 시대에는 여래비리국, 백제 시대에는 잉리아현의 중심지였다. 757년 신라 시대에 여미현으로 개칭되었고, 고려 시대에 화순현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조선 시대에는 여러 차례 행정 구역 변동을 겪었으며, 1963년 화순면에서 읍으로 승격되었다. 현재는 24개의 법정리와 다양한 아파트 단지, 도립전남학숙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순군의 행정 구역 - 도곡면
도곡면은 전라남도 화순군에 위치한 면으로,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과거 여래비리국과 이릉부리현에 속했고 조선시대에는 능주목의 서일면과 북면으로 나뉘어 있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오도면, 화남면, 대곡면이 통합되어 현재 12개의 법정리를 관할한다. - 화순군의 행정 구역 - 백아면
백아면은 전라남도 화순군에 위치한 면으로, 과거 동복군 내북면과 외북면에서 1914년 화순군에 편입, 1932년 북면으로 통합되었다가 2020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이천리에 면사무소를 두고 16개의 법정리와 행정리로 구성된 청동기 시대 고인돌 유적과 마한 시대 두부지현의 중심지였던 역사적인 지역이다. - 전라남도의 읍·면 - 회진면
회진면은 전라남도 장흥군에 속하는 면으로, 백제 시대 마사량현에서 시작하여 고려 시대 회령을 거쳐 조선 시대 회령면으로 존속하다가 1986년 분면되어 현재 대리, 덕산리, 신상리, 진목리, 회진리의 5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 - 전라남도의 읍·면 - 삼호읍
전라남도 영암군 남서쪽에 위치한 삼호읍은 대불국가산업단지 조성으로 인구가 증가하여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영암군청과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이 위치하고 국도 제2호선으로 연결된다. - 1963년 설치 - 반포동
반포동은 대한민국의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하며, 1970년대 강남 개발과 함께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면서 현대적인 주거 지역으로 변모하였고,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국립중앙도서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등의 주요 시설과 반포한강공원, 서래섬 등 다양한 공원 및 녹지가 조성되어 있다. - 1963년 설치 - 신림동
신림동은 서울특별시 관악구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관악산 아래에 위치하여 숲이 무성하다는 의미에서 유래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림역 주변 상업지역 발달로 번화한 지역으로 발전했다.
화순읍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화순읍 |
한자 표기 | 和順邑 |
영문 표기 | Hwasun-eup |
광역시도 | 전라남도 |
시군구 | 화순군 |
읍사무소 | 화순읍 중앙로 20-4 (삼천리) |
홈페이지 | 화순읍사무소 |
통계 정보 | |
면적 | 69.65 |
세대 | 15,973 |
세대 조사 기준일 | 2016년 6월 30일 |
인구 | 39819 |
인구 조사 기준일 | 2022년 3월 |
행정 구역 | |
법정리 | 25 |
행정리 | 71 |
반 | 292 |
2. 역사
화순읍의 역사는 청동기 시대부터 시작된다. 읍내에는 청동기 시대 유적인 고인돌이 91기 분포하고 있다.[1]
마한 시대에는 능주와 함께 여래비리국의 일부였으며, 백제 시대에는 잉리아현의 중심지였다.[1]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잉리아현이 여미현으로 개칭되면서 릉성군의 일부가 되었고, 940년(고려 태조 23년)에는 화순현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018년(고려 현종 9년) 화순현과 능성현이 나주목에 속했다가, 고려 시대에 나주목에서 분리된 후 다시 능성현의 관할이 되었다.
조선 시대에 들어 1390년(고려 공양왕 2년) 화순현이 능성현에서 분리되어 남평현을 관할했고,[1] 1394년(조선 태조 3년) 남평현이 분리되었다.[1] 이후 화순현은 동복현과 합쳐졌다 분리되기를 반복했다. 1405년(조선 태종 5년) 동복현의 감무가 화순으로 옮겨졌고,[1] 1407년에는 두 현이 합쳐져 복순현이 되었다가,[1] 1413년 화순현으로 개칭되었다.[1] 1416년 다시 화순현과 동복현으로 분리되었고, 화순현은 능성현과 합쳐져 순성현이 되었다.[1] 1418년 순성현은 다시 화순현과 능성현으로 분리되었다.[1] 1435년(조선 세종 17년) 화순현이 능성현에 합쳐졌다가 다시 복구되었으나, 정확한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1]
1597년(조선 선조 30년) 정유재란으로 화순현이 폐지되고 능성현에 통합되었다가, 1611년(조선 광해군 3년) 다시 분리되었다.[1] 1655년(조선 효종 6년) 동복현이 화순현에 합쳐졌다가 1664년(조선 현종 5년) 다시 분리되었다.[1]
1895년(조선 고종 32년) 나주부 화순군 읍내면, 서면이 되었다가,[1] 1896년 전라남도 화순군 읍내면, 서면이 되었다.[1] 1908년 화순군이 폐지되고 능주군에 통합되면서 능주군 원화순방 읍내면, 서면이 되었다.[1]
1910년 읍내면사무소는 훈리 34번지, 서면사무소는 하천리 153번지에 설치되었다.[1] 1913년 능주군이 화순군으로 개칭되면서 화순군 읍내면, 서면이 되었다.[1]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화순면과 서면이 되었고, 1932년 서면이 폐지되면서 화순면에 통합되었다.[1]
1963년 1월 1일 화순면이 읍으로 승격되어 화순읍이 되었다.[1] 1973년 동면 수만리가, 1983년에는 도곡면 주도리가 화순읍에 편입되었다.[1] 1984년 화순읍사무소가 삼천리 현 위치로 신축 이전되었으며,[1] 이후 여러 차례 행정구역 조정이 있었다. 2022년 12월 31일 화순읍민원출장소가 설치되었다.[1]
2. 1. 청동기 시대 ~ 조선 시대
읍내에는 청동기 시대 유적인 고인돌이 91기 분포하고 있다.[1]마한, 백제 시대, 통일신라, 고려 시대, 조선 시대에 대한 내용은 각각의 하위 섹션을 참고.
1759년 발간된 여지도서(與地圖書)와 1789년(조선 정조 13년) 호구총수(戶口總數)에 의하면 화순현은 읍내면(邑內面), 서면(西面)의 2개 면으로 기록되어 있다.[1] 1864년(조선 고종 1년) 대동지지(大東地志)에는 화순현이 읍내면(邑內面), 서면(西面), 남면(南面)의 3개 면으로 기록되어 있다.[1]
2. 1. 1. 마한, 백제 시대
마한 시대에는 능주 방면과 함께 여래비리국(如來卑離國)의 일부에 속했다.[1] 백제 시대에는 잉리아현(仍利阿縣)의 중심에 속했다.2. 1. 2. 통일신라, 고려 시대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잉리아현(仍利阿縣)을 여미현(汝湄縣)으로 고치고 릉성군(陵城郡)의 일부가 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년) 여미현을 화순현(和順縣)으로 고쳤다. 1018년(고려 현종 9년) 화순현과 능성현(綾城縣)이 나주목에 속했다. 고려 시대에 나주목에서 능성현과 화순현이 분리되었는데, 화순현은 다시 능성현의 관할이 되었다.2. 1. 3. 조선 시대
1390년(고려 공양왕 2년), 화순현이 능성현에서 분리되어 감무(監務)를 두고 남평현을 관할하였다.[1] 1394년(조선 태조 3년)에는 남평현이 분리되면서 따로 감무를 두었다.[1] 1396년(조선 태조 5년) 화순현이 동복현의 관할이 되었다가,[1] 1405년(조선 태종 5년) 동복현의 감무를 화순으로 옮겼다.[1]1407년(조선 태종 7년) 화순현과 동복현을 합하여 복순현(福順縣)이라 칭했다가,[1] 1413년(조선 태종 13년) 화순현으로 개칭하였다.[1] 1416년(조선 태종 16년) 화순현을 다시 화순현과 동복현으로 분리하고 동복현에 현감을 두었으며, 화순현은 능성현에 합쳐져 순성현(順城縣)이 되었다.[1] 1418년(조선 태종 18년) 순성현을 다시 화순현과 능성현으로 분리하여 각각 현감을 두었다.[1]
1435년(조선 세종 17년) 화순현이 다시 능성현에 합쳐졌다가 화순현으로 복구되었으나 그 연대는 알려지지 않았다.[1]
1597년(조선 선조 30년) 정유재란 때 왜구의 침입으로 화순현의 유지 능력이 없어 민원에 의해 화순현을 폐하고 능성현에 속하게 되었다.[1] 1611년(조선 광해군 3년) 화순현을 다시 능성현에서 분리하여 현감을 두었다.[1]
1655년(조선 효종 6년) 동복현 객사에 둔 연전패가 불에 타 동복현이 폐현되고 화순현에 합쳐졌다.[1] 1664년(조선 현종 5년) 화순현이 다시 화순현과 동복현으로 분리되었다.[1]
1759년 발간된 여지도서(與地圖書)와 1789년(조선 정조 13년) 호구총수(戶口總數)에 의하면 화순현은 읍내면(邑內面), 서면(西面)의 3개면으로 기록되어 있다.[1] 당시 읍내면은 29개리, 서면은 16개리를 관할했다. 1864년(조선 고종 1년) 대동지지(大東地志)에는 화순현이 읍내면(邑內面), 서면(西面), 남면(南面)의 4개면으로 기록되어 있다.[1]
2. 2. 일제강점기 ~ 현재
1910년 10월 1일 칙령에 의해 면사무소를 두기 시작했는데, 읍내면사무소는 훈리 34번지, 서면은 하천리 153번지에 각각 설치되었다.[1] 1913년 능주군이 화순군으로 개칭되면서 화순군 읍내면, 서면이 되었다.[1]1914년 3월 1일 부군면 통폐합으로 동복군이 폐지되고 화순군에 편입되면서 화순군의 17면 중 화순면(14리)과 서면(9리)이 되었다.[1] 당시 화순면의 관할리는 다지리, 일심리, 동구리, 유천리, 만연리, 훈리, 향청리, 신기리, 광덕리, 교리, 삼천리, 이십곡리, 강정리, 대리였다.[1] 서면은 내평리, 벽라리, 세량리, 앵남리, 감도리, 계소리, 도웅리, 서태리, 연양리를 관할했다.[1]
1920년경 서면사무소를 벽라리 서라실 252번지로 이전하였다.[1] 1932년 11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의해 서면이 폐지되고 화순면에 통합되었으며, 화순면사무소는 훈리 34번지에서 교리 100번지(현 100-5,6번지)로 신축 이전하였다.[1] 이때 화순면은 23개 리를 관할하게 되었다.[1]
1951년 11월 한국 전쟁으로 면사무소 청사가 소실되어 훈리 51-7번지 윤공의 사무실로 이전하였다.[1] 1952년경 면사무소 청사를 교리 100번지(현 100-4번지) 석탄공사 부속의원 건물로 이전하였다.[1] 1959년 교리 100번지(현 100-7,8,10,11,14,15번지)에 면사무소 청사를 농촌형(함석지붕)으로 신축 이전하였다.[1]
1963년 1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의해 화순면이 읍으로 승격해 '''화순읍'''이 되었다.[1] 1973년 7월 1일 동면 수만리 4개 마을이 화순읍 수만리에 편입되어 24개 리를 관할하게 되었다.[1] 1983년 2월 15일 도곡면 주도리 3개 마을이 화순읍에 편입되어 관할리가 25개리로 변경되었다.[1]
1984년 10월 24일 삼천리 623번지 남산방죽을 매립하여 화순읍사무소 청사를 3층 슬라브로 신축 이전하였다.[1] 이후 여러 차례 행정리 및 반 조정이 이루어졌다. 1986년 7월 1일 대리1리를 1리(한골)와 4리(매화동)로 분할하였다.[1] 1988년 8월 17일 교리를 교리1, 2구로, 만연2구를 만연2, 3구로, 일심3구를 일심3, 4구로, 광덕1구를 광덕1, 4구로 분할하였다.[1] 1999년 8월 5일 만연3구를 만연3, 4, 5, 6구로, 일심1구를 일심1, 5구로, 대리4구를 대리4, 5구로 분할하였다.[1] 2003년 2월 15일 신기리를 신기리 1, 2구로, 대리4구를 대리4, 6구로, 벽라1구를 벽라1, 3구로, 계소1구를 계소1, 4구로 분할하였다.[1] 2004년 4월 12일 수만1, 2구를 수만1구로, 수만3, 4구를 수만2구로 통합하여 25개 법정리 64개 행정리에 259개반을 운영하였다.[1] 2006년 1월 5일 교리1구를 교리1, 3구로, 신기2구를 신기2, 3구로, 일심4구를 일심4, 6구로, 광덕4구를 광덕4, 5구로, 대리5구를 대리5, 7구로, 수만1구를 수만1, 2구로, 수만2구를 수만3구로 분구 및 변경하여 25개 법정리, 71개 행정리에 292개반을 운영하고 있다.[1]
2022년 12월 31일 화순읍민원출장소를 설치하였다.[1]
3. 행정 구역
화순읍에는 25개의 법정리와 71개의 행정리가 있다. 삼천리는 읍사무소 소재지로, 삼천1구, 삼천2구, 삼천3구, 삼천4구의 4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3. 1. 법정리 목록
법정리 | 한자명 | 행정리 | 비고 |
---|---|---|---|
강정리 | 江亭里 | 강정리 | |
감도리 | 甘道里 | 감도1구, 감도2구, 감도3구 | |
계소리 | 桂所里 | 계소1구, 계소2구, 계소3구, 계소4구 | |
광덕리 | 廣德里 | 광덕1구, 광덕2구, 광덕3구, 광덕4구, 광덕5구 | |
교리 | 校里 | 교리1구, 교리2구, 교리3구 | |
내평리 | 內平里 | 내평1구 | |
다지리 | 茶智里 | 다지1구, 다지2구 | |
대리 | 大里 | 대리1구, 대리2구, 대리3구, 대리4구, 대리5구, 대리6구, 대리7구 | |
도웅리 | 道熊里 | 도웅1구, 도웅2구 | |
동구리 | 洞口里 | 동구리 | |
만연리 | 萬淵里 | 만연1구, 만연2구, 만연3구, 만연4구, 만연5구, 만연6구 | |
벽라리 | 碧羅里 | 벽라1구, 벽라2구, 벽라3구 | |
삼천리 | 三川里 | 삼천1구, 삼천2구, 삼천3구, 삼천4구 | 읍사무소 소재지 |
서태리 | 西台里 | 서태1구, 서태2구 | |
세량리 | 細良里 | 세량1구 | |
수만리 | 水萬里 | 수만1구, 수만2구, 수만3구 | |
신기리 | 新基里 | 신기1구, 신기2구, 신기3구 | |
앵남리 | 鸚南里 | 앵남1구, 앵남2구 | |
연양리 | 蓮陽里 | 연양1구, 연양2구 | |
유천리 | 柳川里 | 유천1구, 유천2구, 유천3구 | |
이십곡리 | 二十谷里 | 이십곡1구, 이십곡2구 | |
일심리 | 一心里 | 일심1구, 일심2구, 일심3구, 일심4구, 일심5구, 일심6구 | |
주도리 | 周道里 | 주도1구, 주도2구, 주도3구 | |
향청리 | 鄕廳里 | 향청리 | |
훈리 | 訓里 | 훈리 |
4. 주거
화순읍은 1990년대부터 부영, 서라 등에서 건설한 아파트 단지들이 들어섰으며, 2020년대에는 현대엔지니어링의 힐스테이트와 한양건설의 한양립스와 같은 새로운 아파트 단지들이 건설되었다.
4. 1. 아파트
단지명 | 주소 | 시행사 | 건설사 | 입주 | |
---|---|---|---|---|---|
화순 서라3차 | 오성로 558 (벽라리) | ㈜원림건설 | ㈜서라건설 | 1996년 5월 | |
화순 서라4차 | 알메로 86 (일심리) | 세종건설㈜ | ㈜서라건설 | 1997년 10월 | |
화순 힐스테이트 | 칠충로 141-7 (교리) | 아시아신탁㈜ | 현대엔지니어링 | 2021년 7월 | |
화순 한양립스 | 쌍충로 13-20 (삼천리) | 화순삼천지구지역주택조합 | 한양건설 | 2020년 3월 | |
화순 금호타운 | 광덕로 203 (만연리) | 금호건설 | 아시아나항공㈜ 건설부문 | 1997년 12월 | |
청전 | 광덕로 156 (만연리) | 청전주택㈜ | 청전주택㈜ | 1996년 6월 | |
화순한국아델리움 더 숲 | 교동길 49 (교리) | ㈜한국건설 | 2021년 7월 | 민간임대 | |
화순부영 1차 | 광덕로 170 (만연리) | ㈜부영 | ㈜부영 | 1993년 11월 | |
화순부영 2차 | 광덕로 155 (광덕리) | ㈜부영 | ㈜부영 | 1995년 9월 | |
화순부영 3차 | 광덕로 180 (만연리) | ㈜부영 | ㈜부영 | 1997년 12월 | |
화순부영 5차 | 광덕로 202 (만연리) | ㈜부영 | ㈜부영 | 1997년 12월 | |
화순부영 6차 | 광덕로 215 (신기리) | ㈜부영 | ㈜부영 | 1998년 10월 |
5. 관공서
도립전남학숙 (앵남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