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화장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화장장은 시신을 화장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산업 혁명 이후 새로운 용광로 기술의 개발과 화장을 시행하는 문화와의 접촉으로 서구 사회에 다시 도입되었으며, 1870년대에 화장을 제도화하려는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1876년 이탈리아 밀라노에 서구 세계 최초의 화장장이 문을 열었고, 19세기 말까지 여러 국가에 화장장이 설립되었다. 현대의 화장장은 시신을 처리하는 장소뿐 아니라 조문객의 정서적, 정신적 요구를 충족하는 공간으로 설계되며, 다양한 디자인과 시설을 갖추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2000년대 이후 묘지 부족 문제와 사회적 인식 변화로 화장률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서울시립승화원과 같은 현대적인 시설이 운영되고 있다. 또한, 인도, 네팔 등 힌두교 문화권에서는 전통적인 노천 화장이 이루어지기도 하며, 필리핀과 같은 기독교 국가에서도 묘지 부족 등의 이유로 화장을 선택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장장 - 인천가족공원
    인천가족공원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공원묘지로, 육우당, 강태기, 임희춘, 박지선, 빅죠 등 다양한 분야의 유명 인사들이 안장되어 있으며, 세월호 침몰 사고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 화장 (장례) - 사티 (관습)
    남편 사망 후 아내가 산 채로 화장되는 힌두교 관습인 사티는 '정숙한 여성'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했으며, 논쟁적인 역사와 사회적 의미를 지니고 현대 인도에서는 불법으로 규정된다.
  • 화장 (장례) - 라지가트
    라지가트는 인도 델리의 야무나강 서쪽 제방에 위치한 '왕의 계단'이라는 의미의 역사적인 가트이자, 마하트마 간디가 화장된 장소에 조성된 기념관이다.
  • 장례 관련 산업 - 시체
    시체는 죽은 생물의 몸, 특히 사람의 몸을 뜻하며, 한국어에서 다양한 어휘로 불리고 종교, 역사, 법률 등 여러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다뤄지며 의학 및 과학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장례 관련 산업 - 비탄
화장장
개요
정의화장이 이루어지는 건물 또는 기계
다른 이름크리메이터리엄 (Crematorium)
화장로 (火葬爐)
시설
주요 설비화장로, 냉각 장치, 분쇄기, 집진 장치
부대 설비대기실, 참관실, 유족 대기실, 수골실, 매점, 식당, 주차장
위치묘지, 장례식장 인근 또는 독립적인 건물
과정
절차시신 안치
예열
화장 (고온 소각)
냉각
유골 수습 및 분쇄
시간1~3시간 (시신 상태, 화장로 종류에 따라 다름)
온도800~1000℃
환경
오염 물질다이옥신, 질소 산화물, 황 산화물, 먼지
배출 규제오염 물질 배출 기준 준수
집진 장치백 필터, 전기 집진기 등 설치
역사 및 문화
기원고대 그리스, 로마
보급19세기 후반 유럽, 북미
현대전 세계적으로 보편화
종교적 관점종교에 따라 화장에 대한 입장 상이 (불교 긍정적, 기독교, 이슬람교 부정적)
대한민국
화장률90% 이상
시설 부족화장장 시설 부족으로 인한 문제 발생
문제점수도권 화장 대란
원정 화장
화장 예약 어려움
해결 방안화장 시설 확충 및 운영 효율성 증대 필요
기타
관련 법규장사 등에 관한 법률
참고 자료화장

2. 역사

화장의 역사는 세계적으로, 그리고 한국에서도 매우 오래되었다.

일본에서는 종교적인 이유로 화장이 발생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처음에는 영구적인 "화장장"은 설치되지 않았고, 귀족들의 화장은 임시 시설에서 이루어졌다.[23]

나라 시대 후반부터 헤이안 시대까지 천황의 화장을 하는 장소는 "산작소(山作所)"라고 불렸다. 이는 천황 화장 후에는 능묘에 준하는 "화장총(火葬塚)"을 축조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같은 시기에 천황가를 제외하고는 화장 장소를 "삼매(산마이)" 또는 "삼매장"이라고 불렀다.

중세에 가까워지면서 서민들 사이에서도 화장을 하는 사람이 나타났고, 인적이 드문 들판에서 나무 섶을 쌓아 유해를 태우는 "노야키(野焼き)"가 행해졌다. 노야키는 에도 시대 말까지 대부분의 화장장이었으며, 메이지 시대부터 급속히 감소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헤이세이 시대에도 존속하고 있다.[24]

2. 1. 세계의 화장 역사

산업 혁명 이전에는 야외 화장만이 가능했고, 그 외의 방법은 매장뿐이었다. 19세기에 새로운 용광로 기술이 개발되고 화장을 시행하는 문화와의 접촉은 서구 사회에 화장을 다시 도입하는 결과를 낳았다.[14]

시신 처리 방법으로 화장을 제도화하려는 움직임은 1870년대에 시작되었다. 1873년, 로디의 파올로 고리니 교수와 파도바의 Lodovico Brunetti 교수는 그들이 수행한 연구 또는 실제 작업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1][2] 찰스 윌리엄 지멘스 경은 1850년대에 자신의 재생 용광로를 개발했다. 그의 용광로는 연료와 공기의 연소를 위한 재생 예열을 사용하여 고온에서 작동했다. 이 방법을 통해 개방로 용광로는 강철을 녹일 수 있을 정도로 높은 온도를 얻을 수 있었고, 이 공정은 화장을 효율적이고 실용적인 제안으로 만들었다. 찰스의 조카인 칼 프리드리히 폰 지멘스는 드레스덴에 있는 그의 공장에서 유기 물질의 소각에 이 용광로를 사용하는 것을 완성했다. 이 공정은 시신의 빠르고 완전한 소각을 가져왔고, 마침내 산업 화장을 실현 가능한 기술적 돌파구를 마련했다.[4]

서구 세계 최초의 화장장은 1876년 밀라노에 문을 열었다.[5][6] 19세기 말까지 여러 국가에서 최초의 화장장이 문을 열었다.

국가최초의 화장장 위치개장 연도
이탈리아화장 사원, 밀라노 기념 묘지, 밀라노1876
미국르모인 화장장, 워싱턴 카운티, 펜실베이니아1876
독일고타1878
영국워킹 화장장, 워킹, 서리1885
스페인알무데나 묘지, 마드리드1973
스웨덴스톡홀름1887
스위스취리히1889
프랑스페르 라셰즈 묘지, 파리1889
폴란드Cerkiew św.Mikołaja w Gdańsku, 그단스크1914
벨기에Uccle 화장장, 위클, 브뤼셀1933



나치 독일의 당국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대인 문제의 최종 해결 방안"으로 만든 절멸 수용소에서 시신 처리에 화장장이 널리 사용되었다.[12][13]

2. 2. 한국의 화장 역사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불교의 영향으로 화장이 행해졌다는 기록이 있다. 고려시대에는 불교가 국교로 융성하면서 화장이 더욱 널리 퍼졌다. 조선시대에는 유교 이념이 강화되면서 매장이 선호되었지만, 일부 지역과 계층에서는 여전히 화장이 행해졌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의 영향으로 화장이 다시 증가하기 시작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 화장은 꾸준히 증가했으며, 특히 2000년대 이후 묘지 부족 문제와 사회적 인식 변화로 화장률이 급격히 증가했다.

2. 2. 1. 근현대

메이지 시대 이후, 일본에서는 화장 습관이 보급된 지역을 중심으로 깎은 돌[40]이나 벽돌을 사용하여 터널 모양의 연소실과 굴뚝을 만들고, 금속제 로 문(연소실 뚜껑)을 갖춘 "화장로"가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화장로는 외국에서 도입된 제철용 반사로와 벽돌 소성 가마의 기술을 응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로실과 굴뚝을 갖춘 화장로는 점화 후 로 문을 닫으면 흡기구와 굴뚝 외에는 개구부가 없는 폐쇄 구조이기 때문에 연소실 내의 고온 유지가 쉬워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었다.

  • 적은 연료(장작이나 목탄)로 화장을 완료할 수 있었다.
  • 준비와 정리에 필요한 인원이 적게 들었다.
  • 화장 작업 종사자가 연소 중인 시체를 직접 보지 않아도 되었다.
  • 시체가 불타고 남은 부분이나 잔여물이 적었다.
  • 굴뚝 효과로 인해 지상으로 떨어지는 냄새나 매연을 줄일 수 있었다.


이러한 장점들 덕분에 도쿄 시내나 교토에서는 메이지 초기 새롭게 개업한 대규모 화장장[41]에서 채용되었으며, 중유 소각 화장로로 바뀌는 쇼와 초기까지 사용되었다. 또한, 화장률이 높았던 긴키·호쿠리쿠·주고쿠 지방[42]에서는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중기에 걸쳐 오랜 기간 동안 개인 소유 또는 집락이나 자치회가 소유하는 간이 화장장에도 보급되었다.

메이지 시대 초기부터 후기에 걸쳐 만들어진 굴뚝과 로 문을 갖춘 연소실형 목재 로는 좌관(앉은 자세로 넣는 관) 전용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메이지 시대 후기 이후에 만들어진 것 중에는 좌관과 눕혀 놓는 관을 겸용하거나 눕혀 놓는 관 전용인 것도 있었다.

이 무렵, 긴키 지방 서쪽에서는 "화옥" 또는 "삼매"[43]라고 부르는 지역이 늘어났지만, 간토 지방 북쪽에서는 "화옥"과 "삼매"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지역이 줄어들고, "야키바"나 "가마바"라는 명칭이 많이 사용되게 되었다.

3. 현대의 화장장

현대의 화장장은 단순한 시신 처리 시설을 넘어 조문객의 정서적, 정신적 요구를 충족하는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14] 각 나라의 장례 문화에 따라 화장터 디자인도 다른데, 영국은 조문객이 관이 화장로에 들어가는 것을 보지 않도록 시설을 분리하지만, 일본은 이 과정을 지켜보고 화장 후 유골에서 뼈를 수습하는 관습이 있다.[14]

과거에는 야외 화장장이 사용되기도 했지만, 산업화된 국가에서는 대부분 밀폐된 화로 내에서 화장이 이루어진다. 높은 수분 함량 때문에 인체 연소에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며, 주로 천연 가스, LPG, 연료유 등이 사용된다.[16] 인도에서는 전기 가열 방식도 사용되며, 개발 도상국에서는 집광형 태양 에너지 활용 방식도 연구되고 있다.[16] 목탄 가스를 이용한 화장로는 나무 사용량을 줄여 환경 영향을 줄이는 대안으로 제시되기도 한다.[17]

메이지 시대 일본에서는 화장이 제한적인 지역에서만 이루어졌으나, 도시화와 묘지 부족 문제, 전염병 예방 등의 이유로 점차 보급되었다. 정부는 화장장 설치와 운영에 대한 규정을 마련하여 냄새와 연기 피해를 줄이고 위생적인 관리를 도모했다.

3. 1. 시설 및 디자인

현대 화장장은 단순한 화장 시설을 넘어, 쾌적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여 조문객의 정서적, 정신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추모 공원, 휴게 시설 등을 함께 갖추어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추세이다.[14]

화장로는 크게 대차식과 로스토르식으로 나뉜다. 대차식 화장로는 대차 위에 관을 올려놓고 화장하는 방식으로, 유골 수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로스토르식 화장로는 바닥에 내화 벽돌을 깔고 그 위에 관을 놓아 화장하는 방식으로, 재래식 화장 방식과 유사하다. 각 방식은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화장장의 규모와 특성에 따라 적합한 방식을 선택한다.

최근에는 화장장의 디자인 또한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과거에는 기능적인 측면만을 강조하였지만, 최근에는 이용자의 편의와 심리적 안정을 고려한 디자인이 적용되고 있다. 건축가가 설계에 참여하여 예술적인 외관과 조경을 갖춘 화장장도 등장하고 있다.

다음은 건축가가 설계한 화장장의 예시이다.

건축가화장장 이름 및 위치
마에카와 구니오http://www.city.hirosaki.aomori.jp/gaiyou/shisetsu/saijou.html 히로사키시 제례장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
이토 토요오https://www.city.kakamigahara.lg.jp/shisei/shisetsu/1005485/1005496/1005498.html 명상의 숲 시립 제례장 (기후현 가카미가하라시, 제49회 BCS상 수상)
엔도 슈헤이http://www.town.hyogo-taishi.lg.jp/soshikikarasagasu/kankyo/tukusinookasaijyou/tsukushinooka.html 쓰쿠시노오카 제례장 (이보 류 화장장) (효고현 이보군 다이시정, 제46회 BCS상 수상)
마키 후미히코바람의 언덕 장례식장 (오이타현 나카쓰시, 제39회 BCS상・2003년 굿 디자인상 금상 수상)


3. 2. 화장 절차

과거에는 야외 화장장이 사용되었지만, 산업화된 국가에서는 대부분 밀폐된 화로 내에서 화장이 이루어진다. 전형적인 화장로는 1차 연소실과 2차 연소실을 포함하며, 내화 벽돌로 덮여 있다. 1차 연소실에는 시신이 안치되며, 최소 1개의 버너가 열을 제공한다. 1차 연소실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760°C~982°C 사이이다.[18] 2차 연소실은 1차 연소실에서 통과하는 유기 물질을 산화시켜 냄새와 연기 배출을 제거한다. 2차 연소실은 일반적으로 900°C 이상의 온도에서 작동한다.

컴퓨터 제어를 통해 화장로의 자동화가 가능해졌으며, 이는 사용자의 개입을 줄이면서 작동할 수 있게 되었다. 화장을 수행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70분에서 210분까지 다양하다.[20][21]

서구에서는 화장 후 유골을 입자 형태로 분쇄하여 다양한 형태의 골호에 담아 인도하기 때문에 일본에 비해 비교적 고온에서 굽는 경우가 많다.

3. 3. 환경 문제

화장은 대기 오염과 에너지 소비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인체를 연소시키려면 많은 에너지가 필요한데, 이는 높은 수분 함량 때문이다. 68kg의 인체를 화장하는 데는 약 3m3의 천연 가스 또는 3L의 연료유가 필요하다.[16] 화장장은 주로 천연 가스를 사용하지만, LPG나 연료유를 사용하기도 한다. 인도에서는 전기 가열 방식 화장장도 운영되고 있다.

과거에는 석탄, 코크스, 나무를 사용하여 챔버를 아래에서 가열하는 방식(레토르트)도 있었다. 최근에는 개발 도상국을 중심으로 집광형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화장로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다.[16] 또한, 목탄 가스를 이용한 화장로는 나무 사용량을 줄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17]

화장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는 굴뚝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이 배기가스의 온도는 매우 높아, 최근에는 열에너지를 회수하여 난방 등에 활용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19] 그러나 이러한 열 회수 노력에 대해서는 긍정적, 부정적 시각이 공존한다.

또한, 많은 국가에서 화장장에 여과 시스템(집진기)을 설치하고, 활성탄 흡착을 통해 수은 배출을 줄이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는 치과용 아말감 사용 증가로 인한 수은 오염 우려 때문이다.

후생노동성의 연구에 따르면, 관을 싣는 스테인리스강 받침대가 고온에 장시간 노출되면 소각재에서 육가크롬 등의 유해 물질이 발생할 수 있다.[70] 따라서 유해 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재질로 교체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또한, 다이옥신 발생을 줄이기 위해 많은 화장장에서 부장품 내용에 제한을 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바라키현 쓰쿠바시의 시립 장례식장 "쓰쿠바 메모리얼 홀"에서는 직원이 무단으로 관을 열어 부장품을 꺼내 쓰레기 봉투에 넣어 장례업체에 반환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71]

중화민국(타이완) 타이베이시 제2 장례식장은 화장로의 폐열을 이용해 발전(화력 발전, 증기력 발전)을 하고 있다.[72] 영국 잉글랜드 레디치 구의회는 2011년 화장장 폐열을 난방 및 온수 풀에 이용하는 것을 승인했다.[73][74]

4. 대한민국의 화장장

대한민국에는 여러 지방자치단체에서 설립한 화장장이 있다. 관내 거주민에게는 요금이 저렴하고[91], 장례도 일찍 치를 수 있지만, 관외 거주민은 이용료가 비싸고 장례를 늦게 치러야 한다. 화장장은 혐오시설로 인식되어 기피 대상이 되기 때문에, 이웃한 도시에 화장장을 운영하는 경우 해당 도시 거주민에게도 혜택을 주거나, 지자체 접경지역에 설립하여 인접한 마을[92] 주민에게도 관내 거주민과 같은 혜택을 주기도 한다.

4. 1. 현황 및 문제점

2000년대부터 대한민국에서 화장이 증가하여, 2004~2005년에 걸쳐 화장 건수가 매장 건수를 넘어섰다.[84] 유교 국가인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화장은 조상에 대한 불효로 여겨져 금기시되었고, 개신교의 영향도 커서 매장이 계속되었지만, 특히 서울 수도권에서의 묘지 부족은 사회 문제화되었다. 서울은 물론 다른 대도시권에서도 화장은 일반화되고 있다. 그러나 2007년 당시 화장장은 한국 전역에서 47곳, 220기 정도에 불과하여 화장장 부족이 심각해지고 있다. 또한, 과거에 매장된 유해를 다시 화장하는 사례도 늘고 있는데, 개장 유골의 화장에 드럼통 등을 사용한 불법적인 화장이 성행하여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4. 2. 서울시립승화원

2012년 준공된 서울시립승화원은 최신 디자인과 설비를 갖춘 화장장이다. 거대한 미술관과 같은 외관을 하고 있으며, 실제로 뮤지엄을 병설하고 있다. 인근 주민의 반대로 준공까지 14년이 걸렸지만, 환경 문제에 철저히 배려하고, 화장로도 최신 기술에 의해 로봇이 운반하는 등 세계적인 최신 설비를 갖추어 주민의 납득을 얻었다.[85]

5. 기타 국가의 화장장

로스토르식 화장은 관을 금속 막대로 만든 격자 위에 놓고 굽는 방식이다. "로스토르"는 네덜란드어그릴이나 스토브 등의 불판 격자를 의미하는 "rooster"에서 유래했다.[68]

로스토르는 관이 다 탄 후에도 불길이 유해 아래로 퍼져 대차식보다 빠르게 골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68] 하지만 뼈가 격자에서 골회 수집기로 떨어질 때 위치가 흩어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골회 수집기는 로스토르보다 온도가 낮아 악취가 발생하기 쉽다.

로스토르식은 건설비가 저렴하고 열효율이 높지만, 연소음, 열기, 냄새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도쿄교토의 대규모 화장장에서는 로스토르식을 채택하는 시설이 많으며, 교토시 중앙 화장장과 같이 하루에 최대 5구의 화장을 실시하는 시설도 있다.

5. 1. [[인도]]

힌두교 신자가 많은 인도에서는 힌두교 관습에 따라 화장이 선호되며, 야외에서 "노천 화장"이 주를 이룬다.[80] 화장장은 가 등 야외에 설치되어 있으며, 장작을 쌓아 그 위에 시신을 올려놓고 불을 붙이는 방식이다.[80]

힌두교에서는 사람이 다시 태어날 때마다 고통을 참아야 한다고 여겨지지만, 바라나시(일본어 발음으로는 바라나시, 베나레스라고도 함)의 갠지스 강 근처에서 죽은 자는 이 고통의 윤회에서 해탈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80] 바라나시는 "'''위대한 화장터'''"라는 별명을 가질 정도로, 화장으로 인한 연기가 끊이지 않는다.[80] 인도 각지에서 많은 날에는 100구에 가까운 시신이 화려한 천에 싸여 운반되며, 죽음이 가까워지면 무크티 바반(해탈의 집)에 모여 가족의 보살핌을 받으며 오로지 죽음을 기다리는 사람들도 있다.[80] 무크티 바반에서는 힌두교 신의 이름을 끊임없이 외쳐 죽어가는 자가 마지막 순간에 신의 이름을 들을 수 있도록 배려한다.[80]

남북 6킬로미터 갠지스 강변의 거의 중앙에 위치하며, 수천 년의 역사를 가진 마니카르니카(가트)는 목욕장 외에 '''화장터'''로서의 기능도 함께 가지고 있다. 죽은 자는 여기서 갠지스 강에 담근 후 가트에서 다비에 처해지고, 유골은 갠지스 강으로 흘려보낸다.[80] 돈이 없는 자, 유아, 임산부, 에 물려 죽은 사람은 화장되지 않고 그대로 수장된다.[80] 마을에는 하리슈찬드라 가트라고 불리는 또 다른 화장터가 있으며, 두 화장터는 돔이라는 같은 일족이 관리하고, 일하는 사람들도 공통으로, 교대 근무로 약 650명이 일하고 있다.[80] 화장터를 내려다보는 한 구석에는 두 화장터를 관리해 온 돔 일족의 장이 앉는 곳이 있으며, 그곳에는 성스러운 불이라고 불리는 씨앗불이 피워져, 사람들은 이 불에서 화장에 사용되는 불씨를 얻는다.[80] 화장터의 사진 촬영은 엄격히 금지되어 있으며, 만일 발각될 경우 친족에게 살해당할 뻔하거나 금품을 요구받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80] 화장터를 중심으로 마을에는 순례길이 마련되어 있으며, 인도의 많은 힌두교도는 일생에 한 번 이 순례길을 걷는 것을 꿈꾼다.[80]

과거, 영국과 인도의 가치관 (주로 힌두교와 기독교의 죽음에 대한 것)의 차이와 생리적인 혐오감 때문에, 영국인에 의한 화장장의 교외 이전을 시도했다. 바라나시 사람들은 강하게 이의를 제기했다. 화장 논쟁은 30년에 걸쳐 지속되었다. 이 당시의 기록이 시 공문서관에 남아 있는데, "바라나시 시정 보고서 (1925년)"에는 "'''화장터가 마을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마을이 화장터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라고 적혀 있다. 이는 영국이 인정할 수밖에 없었던, 바라나시의 죽음의 전통이다.[81][82]

최근에는, 연료로서의 목재 벌채가 환경 파괴로 이어진다는 심각한 문제가 제기되었고, 또한 장작 가격이 폭등하고 있어, 일본 기술을 사용한 "근대적인" 화장로도 설치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옛날부터의 전통적인 노천 화장에 집착하는 사람이 많아 노천 화장이 계속되고 있다.

5. 2. [[네팔]]

네팔인도와 마찬가지로 힌두교가 주류이며, 수도 카트만두의 파슈파티나트 사원 뒤 바그마티강 강변에서 화장이 이루어진다. -- 윤회를 믿는 힌두교도들은 를 만들지 않으며, 불에 태운 재는 바그마티 강에 흘려보낸다. 강가에서는 화장과 목욕이 동시에 이루어지기도 하며, 화장장은 유료로 견학할 수 있다.

5. 3. [[필리핀]]

기독교 국가인 필리핀은 매장이 기본이었지만, 최근에는 묘지 부족 등으로 인해 화장을 선택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평균 연봉이 약 230000PHP인 필리핀에서 장례 비용은 100000PHP로 비싸고, 묘지 유지 비용도 많이 든다. 이에 따라 5분의 1 정도의 비용으로 해결할 수 있는 화장을 선택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으며, 매장했던 유해를 화장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일본 업체도 필리핀에 진출하고 있다.[83]

6. 사회문화적 의미

화장은 단순한 장례 방식을 넘어, 사회, 문화, 종교적 의미를 지닌다. 화장은 죽음에 대한 인식, 가족 관계, 사회적 가치관 등을 반영한다. 그러나 화장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문제와 부장품 처리 문제는 사회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과제이다.

후생노동성의 연구에 따르면, 화장 시 관을 싣는 스테인리스강 받침대가 고온에 장시간 노출되면 소각재에서 육가크롬 등의 유해 물질이 발생할 수 있다.[70] 또한, 다이옥신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많은 화장장에서 부장품을 제한하고 있다.

하지만 2020년이바라키현쓰쿠바시의 시립 장례식장 "쓰쿠바 메모리얼 홀"에서는 직원이 무단으로 관을 열어 부장품을 꺼내 쓰레기 봉투에 담아 장례식장에 돌려보내는 사건이 발생했다.[71] 이는 유족의 슬픔과 추모의 감정을 존중하지 않는 행위로, 화장 문화와 관련된 사회적 윤리 문제를 제기한다.

참조

[1] 서적 A Quartercentury of Cremation in North America https://books.google[...] Knight and Millet
[2] 백과사전 Brunetti, Lodovico http://www.treccani.[...]
[3] 웹사이트 Introduction https://web.archive.[...] The Cremation Society of Great Britain 2010-12-02
[4] 서적 Between Mass Death And Individual Loss: The Place of the Dead in Twentieth-Century Germany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5] 논문 The Crematorium Temple in the Monumental Cemetery in Milan https://www.research[...]
[6] 문서 Encyclopedia of Cremation
[7] 웹사이트 The LeMoyne Crematory http://www.acrematio[...] 2014-10-27
[8] 뉴스 An Unceremonious Rite; Cremation of Mrs. Ben Pitman https://timesmachine[...] 1879-02-16
[9] 웹사이트 26 March – This day in history https://web.archive.[...] 2007-02-20
[10] 웹사이트 Evolución de los servicios funerarios en el último siglo en España https://revistafuner[...] 2018-11-07
[11] 웹사이트 Achter de coulissen van het crematorium: 'Uitvaart wordt steeds meer een vertoning' https://www.bruzz.be[...] 2024-11-02
[12] 웹사이트 Crematorium at the Natzweiler-Struthof camp (Alsace, France) http://www.scrapbook[...] 2010-07-24
[13] 웹사이트 Ovens at Dachau camp http://www.scrapbook[...]
[14] 웹사이트 Typology: Crematorium https://www.architec[...] Architectural Review 2016-11-14
[15] Youtube Как работает крематорий https://youtube.com/[...]
[16] 웹사이트 Development of a Solar Crematorium http://www.solare-br[...]
[17] 웹사이트 Gasifier Based Crematorium, Wood Gasifier Based Crematorium, Biomass Gasifier Crematorium Exporters https://web.archive.[...] 2014-01-17
[18] 웹사이트 How Is A Body Cremated? https://www.crematio[...] 2020-05-31
[19] 웹사이트 New Life for Crematories' Waste Heat https://web.archive.[...] Miller-McCune 2011-05-24
[20] 웹사이트 Cremationprocess.co.uk http://www.cremation[...]
[21] 웹사이트 Ashes to Ashes: The Cremation Process Explained https://web.archive.[...] 2010-04-05
[22] 웹사이트 平成27年度衛生行政報告例の概況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6-11-17
[23] 서적 古代日本のすまい ナカニシャ出版
[24] 문서
[25] 문서 大日本古記録 東京大学史料編纂所編
[26] 서적 火葬場 大明堂
[27] 서적 中世の葬送・墓制 吉川弘文館
[28] 문서 続江戸砂子
[29] 서적 葬送文化論 古今書院
[30] 문서 火葬場及び関連施設に関する建築計画的研究
[31] 서적 火葬場 大明堂
[32] 문서
[33] 문서 史料京都の歴史 京都市歴史資料館
[34] 문서 京都坊目誌
[35] 문서
[36] 문서 梅田、南濱、葭原、蒲生、小橋、千日、鳶田
[37] 서적 大阪の風俗 毎日放送文化双書8 毎日放送 1973
[38] 서적 火葬場 大明堂 1983
[39] 논문 近世火葬墓の考古学的研究 早稲田大学 2005-03
[40] 문서 栃木県や、栃木から水運の便が良かった埼玉、東京では大谷石を用いた火葬炉や焼却炉、竈が多く見られた。
[41] 문서 明治9年(1876年)、東京府・小塚原火葬場全面改築操業再開。明治11年(1878年)、京都府・東西両本願寺花山火葬場新規開業(各本願寺とも松薪炉14基、計28基)
[42] 문서 大阪・奈良・三重・岐阜・石川・福井・広島・岡山など
[43] 문서 凡そ石川県、岐阜県、三重県より西の地域では、火葬場を有しない土葬用墓地または集落共有墓地を「三眛」と称呼している地域が多数あり、火葬場や墓地に付属する火葬炉と言うよりは、葬送儀礼上の遺体の終着点という意味合いで「三眛」と称呼している地域も多いので「三眛」が火葬場のみを指す呼称でないことに注意が必要
[44] 문서 火葬禁止布告は、警保寮(当時、保健・衛生・墓地埋葬に関する許認可事務・取締は警視庁の前身である警保寮が担当していた)が「東京の深川と千住(小塚原)の火葬場が排出する煤煙と悪臭が付近の市街に蔓延して堪え難き状態かつ健康を害しているので、人家近くの火葬を禁止して、人家に悪臭や煤煙が届かない場所へ火葬場を移転できないか検討して欲しい」と、司法省に伺いを出したことに端を発する。警保寮には宗教的意図は無く、純粋に公衆衛生問題からの伺いであった。伺いを受けた司法省は太政官に上申し、太政官は神道派が主張する「火葬は仏教葬法であり廃止すべき」との主張を採って「火葬禁止を布告したい」と教部省へ諮問したところ、教部省は土葬用墓地の不足を心配して東京府・京都府・大阪府に調査を下命し、東京府・京都府から「土葬用墓地枯渇の虞は低い」、大阪府からは「土葬可能な墓地用地は逼迫しているが火葬が禁止されても40~50日は差し支え無い。引続き調査する」との回答を得られたことから、急ぎ火葬禁止を布告するに至ったものである。
[45] 간행물 火葬ノ儀自今禁止候条此旨布告候事 1873-07-18
[46] 간행물 火葬禁止ノ布告ハ自今廃シ候条此旨布告候事 1875-05-23
[47] 간행물 墓地及び埋葬取締規則 1884-10-04
[48] 간행물 墓地及び埋葬取締規則施行方法細目標準 1884-11-18
[49] 문서 火葬開始(点火)時刻は20時以降、火葬終了(消火)時限は翌朝5時または8時までとした自治体が多い
[50] 법령 伝染病予防取締規則 1890-07
[51] 법령 伝染病予防法 1999-04-01
[52] 법령 東京府火葬場取締規則 警視廳警視総監 1887-04-11
[53] 문서 東京府火葬場取締規則(明治20年警察令第5号)は全18条から成る詳細かつ厳しいもので、その条文の一部は「墓地、埋葬等に関する法律」昭和23年法律第48号に引き継がれて、現在も全国に適用されている
[54] 문서 産褥物胞衣とは、胎盤、臍帯、卵膜、悪露およびそれらが付着した衣類など。産汚物とは産婦の排泄物およびそれらが付着した衣類・紙類など。
[55] 문서 火葬場取締規則改正では第一条にて東京の火葬場定数を5から8箇所と増やしており、明治20年7月、新たに許可された日暮里に火葬場を新設開業するために東京博善会社が設立されて、東京博善会社日暮里火葬場として操業開始した。しかし、開業すると同時に近隣住民から激しい苦情を受けるようになり、明治21年(1887年)12月14日・東京市区改正設計(都市計画)委員会決定でも日暮里は否定された事から、明治22年(1889年)に移転命令を受けた。その後、しばらく移転計画は難航して15年後の明治37年(1904年)8月に町屋火葬場の隣地に移転し、町屋で先行操業していた町屋火葬場会社と並んでしばらく操業した後、両社は合併して東京博善町屋斎場となった
[56] 서적 東京市史稿 東京都 1965
[57] 서적 荒川区史 荒川区 1989
[58] 문서 大阪市は明治40年(1907年)に民営の天王寺、長柄、岩崎、浦江の各火葬場を買収、市営化した。
[59] 문서 名古屋市は大正4年(1915年)6月1日に市営八事火葬場を操業開始した
[60] 문서 京都市は昭和6年(1931年)3月に東西両本願寺が経営する花山火葬場を買収して全面改築、昭和7(1932)11月、最新重油炉18基を備える市営花山火葬場を操業開始した
[61] 뉴스 電気式火葬場操業開始の記事 読売新聞 1919-04-28
[62] 뉴스 無煙無臭重油火葬炉実験成功に関する記事 時事新報 1923-06-25
[63] 문서 明治期の簡易木薪炉では6~10時間程度、設計の優れた木薪炉でも4時間程度。初期の重油炉では2時間程度であった。
[64] 문서 大正14年(1925年)3月、日新起業株式会社堀之内葬祭場昼間火葬開業。昭和2年(1927年)、東京博善株式会社町屋斎場日中火葬許可
[65] 문서 昭和初期から中期に建設された重油を燃料とする火葬場では、高さ18~30メートル程度の[[煙突]]が多い。昭和47年(1972年)改築の群馬県前橋市営斎場では高さ50メートルの煙突を備えていた。
[66] 웹사이트 石油産業の歴史 第2章第3節 戦時統制時代|石油便覧-ENEOS https://www.eneos.co[...]
[67] 웹사이트 表現文化社「火葬と埋葬―東日本大震災の仮埋葬」 http://www.sogi.co.j[...]
[68] 기사 死に方上手 第35回 火葬炉工場へ行ってきた(富士建設工業) 週刊ポスト
[69] 뉴스 最近見かけなくなった「宮型霊柩車」どこへ行った? https://web.archive.[...] 東京スポーツ 2014-12-13
[70] 뉴스 読売新聞2009年1月19日報道 読売新聞 2009-01-19
[71] 뉴스 【なぜ?】火葬場で棺開け副葬品を勝手にゴミ袋に 葬祭業者怒り「やり直し利かない」市長は謝罪 https://www.fnn.jp/a[...] FNNプライムオンライン 2022-10-05
[72] 뉴스 二殯綠建築 燒大體發電 http://www.epochtime[...] 大紀元 2009-10-07
[73] 뉴스 エコ?不謹慎?火葬場の熱を温水プールに再利用 https://www.afpbb.co[...] AFP通信 2011-02-10
[74] 뉴스 火葬場の熱を温水プールに再利用する計画、英地元当局が承認 http://jp.reuters.co[...] ロイター通信 2011-02-09
[75] 뉴스 ひつぎの数に衝撃 遺体搬送を手伝った宮川さん http://www.tomamin.c[...] 苫小牧民報 2011-03-30
[76] 간행물 火葬場における災害対策と広域火葬について http://www.tama-100.[...] 公益財団法人東京市町村自治調査会
[77] 뉴스 宮城県が遺体の土葬容認…燃料不足で火葬場稼働せず http://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11-03-17
[78] 뉴스 知られざる死の記録 http://www.nhk.or.jp[...] NHK 2014-03-02
[79] 웹사이트 (仮称)木更津市火葬場整備運営事業基本計画 https://www.city.kis[...] 千葉県木更津市 2020-07-01
[80] 서적 地球の歩き方 ガイドブック
[81] Youtube アジア古都物語 NHKスペシャル http://www.youtube.c[...]
[82] 문서 ベナレス市制報告書(1925年)
[83] 웹사이트 【アジア・ユニークビジネス列伝】「火葬ビジネス拡大」「海外展示会を再現」 日本・サービス https://www.nna.jp/n[...] 2022-02-16
[84] 뉴스 朝鮮日報記事 http://www.chosunonl[...]
[85] 블로그 一条真也 HEARTFUL BLOG 2012年4月25日 https://shins2m.hate[...]
[86] 웹사이트 富士建設工業株式会社公式サイト http://www.fuji-kaso[...]
[87] 웹사이트 宮本工業所公式サイト http://www.miyamoto-[...]
[88] 웹사이트 太陽築炉工業公式サイト http://www.taiyochik[...]
[89] 웹사이트 高砂炉材工業公式サイト http://www.takasago-[...]
[90] 웹사이트 株式会社開邦工業公式サイト http://www.kaiho-k.c[...]
[91] 문서
[92] 문서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