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황정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정견은 북송 시대의 문인이자 서예가로, 강서시파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1066년 진사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으나, 왕안석의 신법과 대립하여 지방관을 역임했다. 소식과 교류하며 소문사학사로 불렸으며, 신법과 구법의 당쟁에 휘말려 유배 생활을 겪었다. 그의 시는 두보와 한유의 영향을 받았으며, 서예는 독창적인 서풍을 확립하여 송나라의 사대가로 칭송받았다. 주요 작품으로는 《산곡시집》, 《복파신사시권》, 《황주한식시권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45년 출생 - 미나모토노 요시미쓰
    미나모토노 요시미쓰는 헤이안 시대 후기의 무장으로, 가와치 겐지의 일족이자 미나모토노 요리요시의 아들이며, 신라 사부로라는 별칭으로 불리고, 후삼년의 역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으며, 가이 겐지의 시조로서 여러 무가 가문의 선조이자 무예와 음악에 능통했으며, 대동류 합기유술의 개조로 여겨진다.
  • 주장시 출신 - 마거릿 맥 닐
    마거릿 맥닐은 중국 출생 캐나다 입양 수영 선수로, NCAA 기록을 세우고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2024년 9월 수영 은퇴를 발표했다.
  • 주장시 출신 - 도연명
    동진 말기에서 남조 송나라 초기에 활동한 도연명은 속세를 떠나 자연 속 은거 생활을 노래한 시인으로, 《귀거래사》, 《도화원기》 등의 대표작을 남기며 후대 문인들에게 큰 영향을 준 은일 시인이다.
  • 11세기 화가 - 곽희
    북송 시대 화가 곽희는 신종의 총애를 받으며 독창적인 화법으로 웅장하고 깊이 있는 산수화를 그렸고, 이곽파를 형성하여 중국 산수화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신종 사후에는 잊혀졌다.
  • 11세기 화가 - 미불
    미불은 북송 시대의 서예가, 화가, 문인이자 감식가로서, 남종화의 중요한 인물이며 채양, 소식, 황정견과 함께 송나라 4대가로 불리고, 당나라 서풍을 계승하여 독창적인 '미체'를 확립했으며, 산수화가로서 재능과 미술 평론 및 저술 활동에도 뛰어났다.
황정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황정견
본명황정견 (黃庭堅)
노직 (鲁直, 魯直)
산곡도인 (山谷道人)
부옹 (涪翁)
인물 정보
출생일1045년 8월 9일
출생지강서성 수수현
사망일1105년 5월 24일
사망지광서성 창난현
직업서예가, 화가, 시인
정보
한어 병음Huáng Tíngjiān
웨이드-자일스Huang T'ing-chien

2. 생애

치평 3년(1066년), 23세에 진사에 급제한 황정견은 왕안석의 신법에 반대하여 엽현 현위, 북경 국자감 교수, 태화 지현, 덕평 진감 등에 부임하였다. 원풍 8년(1085년) 신종이 죽고 구법파가 권력을 잡자, 황정견은 개경에서 교서랑, 저작좌랑, 기거사인 등 중앙 관료로 활동하였다. 34세 무렵 소식과 알게 되어 진관, 조보지, 장뢰와 함께 '소문사학사'로 불렸다.

소성 원년(1094년) 이후 신법파가 다시 실권을 장악하자 황정견은 좌천되어 기주, 첨주, 자주의 융주 등으로 좌천되었다. 숭녕 2년(1103년)에는 참언을 받고 의주로 유배되었으며, 숭녕 4년(1105년) 그곳에서 병사하였다. 향년 61세였다. 남송 도종 때 명예가 회복되어 문절이라는 시호가 추증되었다.

지방으로의 부임은 자연을 사랑하며 시서화에 탐닉할 시간을 허락하였기에 반드시 불행이었다고는 할 수 없다. 또한 불문에 귀의하고 노장사상에 경도되는 등 자유로운 정신 활동을 할 수 있었다. 오히려 황정견의 혁신적인 예술을 꽃피우는 데 이상적인 환경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는 효성이 지극한 인물로도 유명하여, 이십사효의 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2. 1. 초기 생애와 가문

황정견은 명문 황씨 집안의 시인 가문에서 태어났다.[1] 그의 가문은 양자강 남쪽, 오대의 혼란으로부터 강협 건너편에 있는 강남에 정착해 있었다. 정견의 증조부는 그곳에 거대한 도서관과 교육 시스템을 설립했다. 황씨 가문의 남자들은 진사 시험에 합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황정견의 어머니인 이씨 부인은 뛰어난 화가대나무 그림을 잘 그렸고 거문고를 잘 연주했다. 그의 아버지 황서(, 1018-1058)는 1042년에 진사가 되었고, 아들 황정견에게 두보한유의 작품을 소개해 주었다. 황정견이 13세 때 아버지가 죽자[2] 황정견은 그의 고향인 분녕(, 현대 강서성)을 떠났다.[3]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황정견은 안휘로 보내져 그의 삼촌인 이상(李常, 1027-1090)에게 양육되었다. 이 삼촌은 방대한 서재를 소유하고 있었다.

치평 3년(1066년) 23세에 진사에 급제하였다.

2. 2. 관직 생활과 소식과의 만남

치평 3년(1066년), 황정견은 23세에 진사에 급제하였다.[1] 왕안석의 신법에 반대하여 엽현 현위, 북경 국자감 교수, 태화 지현, 덕평 진감 등에 부임하였다.[4] 원풍 8년(1085년) 신종이 죽고 구법파가 권력을 잡자, 황정견은 개경에서 교서랑, 저작좌랑, 기거사인 등 중앙 관료로 활동하였다. 34세 무렵 소식과 알게 되어 진관, 조보지, 장뢰와 함께 '소문사학사'로 불렸다.

2. 3. 신법과 구법의 당쟁과 유배

1072년, 황정견의 외숙부 이창(李昌)과 장인 손결(孫覺)은 신법 반대파 소식(소동파)에게 황정견의 작품을 보였다. 1078년 황정견은 소식에게 편지와 고시 두 편을 보냈고, 소식은 황정견의 운율에 맞춰 시 두 편으로 화답했다. 소동파가 황정견을 극찬하며 명성이 확고해졌고, 두 사람은 평생 친구로 지냈다.[7]

황정견은 정치 문제에 휘말리지 않았고, 초기 관료 생활은 왕안석의 총애 덕에 안정적이었다. 왕안석은 황정견의 시에서 권태와 은퇴를 암시하는 내용을 읽었다.[8] 당시 "개혁파"(신법파, 왕안석)와 "보수파"(사마광, 구양수, 소식 등) 두 당파가 있었다. 황제(미성년일 경우 섭정)가 승리하는 쪽을 결정했다. 황제의 총애를 잃으면 경력 정체, 심하면 죽음에 이를 수 있었다.

신종이 왕안석의 신법을 지지하며 반대파는 고통받았다. 1080년 소식은 항주로 유배되었고(동파 별명 사용), 황제와 정부 비방 글을 썼다는 이유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글을 유포한 사람(심괄)은 공모 혐의 가능성이 있었다. 황정견과 이창은 공모자로 유죄 판결, 벌금(구리 20냥)을 부과받았다.[9] 황정견은 기주구(장시성)와 산동성 덕평진으로 유배되었다. 황정견은 가벼운 세금, 백성에 대한 공감으로 좋은 통치를 했다. 정부의 소금 생산 독점 신정책을 시행하지 않았다.[10]

원우 연호(1086년~1093년)는 송 철종의 첫 치세로, 황정견에게 중요했다. 철종은 미성년, 고황태후가 섭정했다. 고황태후는 신법 지지자가 아니었다. 왕안석 당파는 실각, 왕안석은 은퇴했다. 황정견과 유배자들은 소환되었다. 소식, 황정견 등은 직접 교류했고, 황정견은 학사원 부편수, 선제 신종 시대 공식 기록 편찬관이 되었다.[11] 당파 정치 상황에서 선제 기록 편찬은 황정견에게 위험했다.

중국(현대 지도)의 사천성


1091년 황정견의 어머니가 돌아가셨다. 당시 관례대로 상례 기간 은퇴, 어머니와 사망한 두 아내, 이모의 유해를 모시고 강남 봉녕 가족 묘지로 갔다. 3년 상례 중 고황태후 사망, 철종이 실질적 황제가 되었다. 철종은 개혁파를 편애, 잔존 세력은 복수심을 가졌다. 반대파는 생사 불문 박해받았다. 소식은 강등, 유배되었고, 사마광과 여공주(Lü Gongzhu) 묘는 훼손, 황정견은 채변(Cai Bian)(왕안석 사위) 탄핵을 받았다. 황정견은 전 황제 신종 기록을 풍자적으로 편집한 죄로 유죄 판결, 10년간 사천성(Sichuan) 여러 지역에서 유배 생활을 했다.[12]

치평 3년(1066년) 23세 진사 급제. 황정견은 왕안석 신법파와 대립, 엽현 현위, 북경 국자감 교수, 태화 지현, 덕평 진감 등에 부임했다. 원풍 8년(1085년) 신법파 지지 신종 사망, 구법파 집권, 황정견은 수도 개경에서 교서랑, 저작좌랑, 기거사인 등 중앙 관료로 활동했다. 34세 무렵 소식과 교류, 진관, 조보지(晁補之), 장뢰(張耒)와 소식 문하 '''소문사학사'''가 되었다. 개경에서 많은 문인들과 교류했다.

소성 원년(1094년) 이후 신법파 재집권, 황정견은 좌천, 기주 부주, 첨주, 자주 융주에 폄적되었다. 숭녕 2년(1103년) 참언, 의주 유배, 숭녕 4년(1105년) 병사. 향년 61세.

2. 4. 말년과 죽음

1091년, 황정견의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그는 상례를 치르기 위해 관직에서 물러나 어머니와 두 아내, 이모의 유해를 봉녕(Fenning)의 가족 묘지로 모셨다.[12] 3년 상을 치르는 동안 고황태후가 사망하고 철종이 실권을 잡으면서 개혁파가 복귀했다. 이들은 반대파를 박해했고, 소식은 유배되었으며, 사마광과 여공주(Lü Gongzhu)의 묘는 훼손되었다. 황정견은 채변(Cai Bian)(왕안석의 사위)에게 탄핵받아 전 황제 신종의 기록을 풍자적으로 편집했다는 죄로 유죄 판결을 받고 사천성(Sichuan)으로 유배되었다.[12]

1100년, 철종이 23세로 사망하고 휘종이 즉위하면서 정치 구도가 바뀌었다. 향황후의 주도로 개혁파와 보수파 사이에 대사면령이 내려졌고, 채변 일파는 해임되었다. 황정견은 사면되어 예주(鄂州) 염세 징수 담당 한직을 받았으나, 아들 결혼식 참석을 위해 사천에 머물렀다.[13]

현재 중국 후베이성에 위치한 예주부의 위치


1102년, 황정견은 봉녕을 방문했으나, 정치 상황이 다시 바뀌면서 원유당 관료들이 불이익을 받게 되었다. 황정견은 승진 9일 만에 해임되었고, 100명이 넘는 이단 관료 명단에 포함되었다.[13] 그는 예주로 돌아와 무창 등을 방문하며 "송림정풍"을 지었다.[13] 1103년 말, 황정견은 다시 광시이주(宜州)로 유배되었다.[14] 당시 이주는 한족과 장족이 섞여 사는 작은 마을이었고, 농지고의 반란 등으로 인해 위험한 곳이었다. 58세의 병약한 황정견에게 이 유배는 사형 선고나 다름없었다.[14]

현재 중국 광시


소상(瀟湘)을 통과하는 유배길은 소식의 유배와 비슷했다. 황정견은 소상에서 선종 승려 중인(仲仁)을 만나 친구가 되었고, 함께 문인화풍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15]

소상 지역 지도, 광서(이주 위치)는 하단에 표시됨.


황정견은 휘종의 명으로 가족을 영주(永州)(Hunan)에 남겨두고 홀로 이주로 향했다. 그곳에서 범방(范滂)의 삶에 대한 인용구를 담은 서예 작품을 남겼다.[16]

이주(宜州)(Yizhou District, Hechi): 2007년 롱강(Long River)에서 바라본 풍경


1105년 초겨울, 황정견은 유배지 이주에서 가족과 떨어진 채 홀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장례는 그를 만나러 온 낯선 사람이 치렀다.[17]

치평 3년(1066년) 23세에 진사에 급제한 황정견은 왕안석의 신법파와 의견이 대립하여, 엽현 현위, 북경 국자감 교수, 태화 지현, 덕평 진감 등에 부임하였다. 원풍 8년(1085년) 신종이 죽자 구법파가 권력을 장악하였고, 황정견은 수도 개경에서 교서랑, 저작좌랑, 기거사인 등 중앙 관료로 활동하였다. 34세 무렵 소식과 알게 되어, 진관, 조보지, 장뢰와 함께 소문사학사가 되었다.

소성 원년(1094년) 이후 신법파가 다시 실권을 장악하자 황정견은 좌천되어 기주로의 부주, 첨주, 자주로의 융주에 좌천되었다. 숭녕 2년(1103년)에 참언을 받고 의주로 유배되어, 숭녕 4년(1105년) 그곳에서 병사하였다. 향년 61세. 남송의 도종 때 명예가 회복되어 문절의 시호가 추증되었다.

지방 부임은 자연을 사랑하며 시서화에 탐닉할 시간을 주었고, 불문에 귀의하고 노장사상에 경도되는 등 자유로운 정신 활동을 할 수 있게 했다. 이는 황정견의 혁신적인 예술을 꽃피우는 데 이상적인 환경이었다. 그는 효성이 지극하기로 유명하였으며, 이십사효의 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3. 사상과 신념

황정견은 두보(杜甫)의 시와 한유(韓愈)의 글에 정통했으며, 시문에도 뛰어났다. 특히 아버지 황서(黄庶)가 『벌단집(伐檀集)』 2권을 저술하여 두보의 시를 좋아했던 영향으로, 황정견도 두보의 시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44] 그는 고인의 시문을 바탕으로 창의력을 더해 새로운 작품을 만드는 "환골탈태(換骨奪胎)"라는 시론을 확립했으며,[45] 후대 강서시파(江西詩派)의 개조로 여겨졌다.

황정견은 대표작 『산곡시집(山谷詩集)』을 통해 서도 예술에 대한 중요한 견해를 발표했는데, 뛰어난 전통을 계승하고 개성을 창조하는 것을 강조하며 자신의 작품으로 이를 증명했다.

'''경강정즉사(荊江亭即事)'''
원문(原文)쿠리다시문(書き下し文)의역(意訳)
翰墨場中老伏波翰墨場中の老伏波나는 한림원(翰林院)에 익숙하지 않은 마원(馬援) 장군과 같고
菩提坊裏病維摩菩提坊裏の病維摩병 때문에 석가(釋迦)를 찾아 뵙지 못하는 유마(維摩)와 같다
近人積水無鴎鷺人に近づき積水に鴎鷺無く풍요로운 자연은 있지만 멋진 사람이나 벗은 없고
時有帰牛浮鼻過時に帰牛の鼻を浮かべて過ぐる有り속된 사람들과 함께 무익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


3. 1. 불교와 도교에 대한 관심

황정견은 평생 불교와 도교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 그의 고향인 봉녕에는 선 수행을 하는 사찰이 10개나 있었고, 실제로 강남에는 수백 개의 사찰이 있었다.[21] 황정견은 두 번째 부인이 세상을 떠난 다음 해, 안휘성의 산곡 도교 사찰로 은퇴하여 산곡도인(山谷道人)이라는 법명을 받았다.[21]

3. 2. 정치적 입장

1072년, 황정견의 외숙부인 이창(李昌)과 장인인 손결(孫覺)은 신법 반대파이자 유명한 시인인 소식(소동파)에게 황정견의 작품을 보여주었다. 1078년, 황정견은 소식에게 편지와 정교한 고시체 시 두 편을 보냈고, 소식은 황정견의 운율에 맞춰 시 두 편으로 화답했다. 소동파가 황정견을 극찬하면서 그의 명성은 확고해졌고, 두 사람은 평생 가까운 친구로 지냈다.[7]

황정견은 초기 관료 생활 동안 정치 문제에 휘말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왕안석은 황정견의 시를 읽고 그의 경력에서 느꼈던 권태감을 암시하며 은퇴를 권유했고, 황정견은 왕안석의 총애 덕분에 어느 정도 안정된 생활을 했다.[8] 당시 송나라에는 신법파(왕안석)와 사마광, 구양수, 소식 등 저명한 관리들이 포함된 "보수파"라는 두 개의 주요 당파가 있었다. 황제 제도 하에서 승리하는 쪽은 황제(혹은 황제가 미성년일 경우 황제의 섭정)에 의해 결정되었다. 황제의 총애를 잃으면 죽음에서부터 경력 정체까지 다양한 불이익을 당할 수 있었다.

신종 황제가 왕안석의 신법을 지지함에 따라, 반대파는 정치적으로 고통받았다. 1080년 소식은 항주로 유배되었고, 이때 동파라는 별명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소식이 황제와 정부를 비방하는 글을 썼다는 이유로 유죄 판결을 받았기 때문에, 그의 글을 신고하지 않고 유포한 사람(예: 심괄)은 공모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을 가능성이 높았다. 황정견과 그의 외숙부 이창은 공모자로 유죄 판결을 받고 구리 20냥의 벌금을 부과받았다.[9] 황정견은 기주구 (장시성)와 산동성의 덕평진으로 유배되었다. 소식과 마찬가지로 황정견은 가벼운 세금과 백성들에 대한 공감으로 좋은 통치를 했다고 알려져 있다. 황정견은 정부의 소금 생산 독점이라는 신정책을 시행하지 않았다.[10]

4. 시(詩)

황정견은 방대한 고전 중국시와 문학 지식으로 유명하다.[23] 그는 "송림각(Wind in the Pines Hall)"이라는 작품의 서예와 시 모두로 유명하며, 이 작품은 타이베이 국립고궁박물원에 소장되어 있다.[24]

250px

4. 1. 강서시파(江西詩派)의 개조(開祖)

황정견은 강서시파(江西詩派)의 창시자로 여겨진다.[26] 두보(杜甫)의 시와 한유(韓愈)의 글에 정통했다. 아버지 황서(黄庶)가 『벌단집(伐檀集)』 2권을 저술하여 두보의 시를 좋아했다는 점도 황정견이 두보의 시에 영향을 받은 이유 중 하나로 여겨진다.[44] 황정견은 고인의 시문을 바탕으로 창의력을 더하여 새로운 작품을 만드는 것을 의미하는 "환골탈태(換骨奪胎)"라는 시론을 확립했고,[45] 후대 강서시파의 개조로 여겨졌다.

황정견은 대표작 『산곡시집(山谷詩集)』에서 서도 예술에 대한 중요한 견해를 몇 가지 발표했다. 뛰어난 전통의 계승과 개성의 창조를 강조하며, 자신의 작품으로 그 실증을 보여주었다.

경강정즉사(荊江亭即事)
원문(原文)쿠리다시문(書き下し文)의역(意訳)
翰墨場中老伏波翰墨場中の老伏波나는 한림원(翰林院)에 익숙하지 않은 마원(馬援) 장군과 같고
菩提坊裏病維摩菩提坊裏の病維摩병 때문에 석가(釋迦)를 찾아 뵙지 못하는 유마(維摩)와 같다
近人積水無鴎鷺人に近づき積水に鴎鷺無く풍요로운 자연은 있지만 멋진 사람이나 벗은 없고
時有帰牛浮鼻過時に帰牛の鼻を浮かべて過ぐる有り속된 사람들과 함께 무익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


4. 2. 대표작

황정견은 시문에도 뛰어났으며, 두보(杜甫)의 시와 한유(韓愈)의 글에 정통했다. 두보의 시에 영향을 받은 것은 황정견의 아버지 황서(黄庶)가 『벌단집(伐檀集)』 2권을 저술하여 두보의 시를 좋아했다는 점에서도 알 수 있다.[44] 고인의 시문을 바탕으로, 거기에 창의력을 더하여 새로운 작품을 만드는 것을 의미하는 "환골탈태(換骨奪胎)"라는 말로 알려진 시론을 확립했고,[45] 후대 강서시파(江西詩派)의 개조로 여겨졌다.

대표작 『산곡시집(山谷詩集)』에서도 서도 예술에 대한 중요한 견해를 몇 가지 발표하고 있다. 뛰어난 전통의 계승과 개성의 창조를 강조하여, 자신의 작품으로 그 실증을 보여주고 있다.

'''경강정즉사(荊江亭即事)'''
원문(原文)쿠리다시문(書き下し文)의역(意訳)
翰墨場中老伏波翰墨場中の老伏波나는 한림원(翰林院)에 익숙하지 않은 마원(馬援) 장군과 같고
菩提坊裏病維摩菩提坊裏の病維摩병 때문에 석가(釋迦)를 찾아 뵙지 못하는 유마(維摩)와 같다
近人積水無鴎鷺人に近づき積水に鴎鷺無く풍요로운 자연은 있지만 멋진 사람이나 벗은 없고
時有帰牛浮鼻過時に帰牛の鼻を浮かべて過ぐる有り속된 사람들과 함께 무익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


5. 서예(書)

''廉頗藺相如列傳''


황정견은 송나라의 뛰어난 서예가로 평가받는다. 그의 행서는 날카롭고 공격적인 특징을 보이며, 초서에 능했다. 젊어서는 주월을 스승으로 삼았으나, 이후 안진경, 양응식, 회소 등에게 영향을 받고 독자적인 초서체를 확립했다.[27] 행서는 세련되면서도 힘이 넘치고 독창적인 서법을 가지고 있어 후세에 큰 영향을 주었다. 소식과 더불어 북송 서도계의 뛰어난 존재로 평가되며, 미불, 채양과 함께 송의 사대가로 불린다.

5. 1. 독창적인 서풍

황정견은 송나라의 뛰어나고 창의적인 서예가로 평가받는다. 그의 행서(行書)는 날카롭고 공격적인 특징을 보여주는데, 이는 중국 서예를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즉시 알아볼 수 있다. 황정견의 서예 작품인 ''廉頗藺相如列傳''은 오늘날 "비백(飛白)"으로 알려진 기법의 전형을 보여준다. 비백은 "서예를 쓸 때, 붓놀림 안에서 붓이 완전히 먹을 남기지 못하고 흰 종이 또는 비단의 줄무늬가 나타나는 부분"을 말한다.[25]

황정견은 초서를 가장 잘 썼다. 젊었을 때부터 초서를 좋아하여 처음에는 송대의 주월을 스승으로 삼았으나, 주월에게 배운 후 20년 정도 동안은 고인의 용필의 묘를 깨닫지 못하고 속기(俗氣)에 사로잡혀 그것을 벗어날 수 없었던 시기이다.[27]

그 후 안진경, 양응식, 회소 등의 영향을 받고, 또 윤주의 초산 벼랑에 있는 육조시대의 비문 『매학명』의 서체에서 영감을 얻어, 둥근 글자가 연이어 연결되는 독자적인 초서체를 확립하였다. 분명 회소의 영향을 받았으면서도, 필획의 굴곡은 두텁고 회소의 리듬과는 완전히 다르다.

행서는 세련되면서도 힘이 넘치고, 독특한 창조적인 서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서법은 후세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 때문에 북송 서도계의 뛰어난 존재가 되어, 소식과 나란히 높이 평가받는다. 황정견과 소식, 미불, 채양을 송의 사대가라고 일컫는다.

5. 2. 대표작

황정견의 대표작은 다음과 같다.


  • ''廉頗藺相如列傳'': 황정견의 서예 작품으로, "비백(飛白)" 기법의 전형을 보여준다. "비백"은 붓놀림 안에서 붓이 완전히 먹을 남기지 못하고 흰 종이나 비단의 줄무늬가 나타나는 부분을 말한다.[25]
  • --
  • 『복파신사시권』: 1101년 5월, 형주에서 유우석의 「경복파신사시」를 해서에 가까운 행서로 쓴 것으로, 말년의 걸작으로 꼽힌다. 매행 3~5자, 46행에 이르는 대작이며, 장효상과 문정명 등 많은 사람들의 발문이 있다. 지본 33.6×820.6cm, 영청문고 소장.[28][29][30]
  • 『황주한식시권발』: 1100년 글로, 소식의 『행서황주한식시권』에 황정견이 제발을 쓴 것이다. 소식의 글씨도 그의 역작이지만, 이 제발 또한 황정견의 작품 중 특히 뛰어나다. 행초체로 9행이며, 낙관은 없다. 내용은 소식의 글씨를 안진경, 양응식, 이건중의 필의를 겸비하고 있다고 칭찬하는 것이다.[31][28][34][32]
  • 『송풍각시권』: 1102년 유적 중의 글로, 말년의 작품으로 특히 중시된다. 자작시를 행서로 29행에 걸쳐 적었다. 안진경 외에도 유공권의 필의를 겸비한 필치가 엿보이며, 한층 더 원숙한 경지에 도달해 있다. 지본. 타이베이 국립고궁박물원 소장.[33][28]
  • 『이백억구유시권』(이태백억구유시권): 1094년 이후의 글로, 이백의 「억구유기초군원참군시」를 초서로 쓴 것이다. 지본 37cm×39.2cm, 후지이사이세이유린칸 소장.[33][28][34][31]

6. 번역

黃庭堅중국어의 시 전편에 대한 번역은 2024년 8월 15일에 소명출판에서 출간된 박종훈, 박민정, 이관성 공역의 《황정시집주》(전14권)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Huang Tingjian Song Dynasty, Calligraphy, Poetry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11-23
[2] 서적 Murck
[3] 서적 Murck
[4] 서적 Murck
[5] 서적 Murck
[6] 서적 Murck
[7] 서적 Murck
[8] 서적 Murck
[9] 서적 Murck
[10] 서적 Murck
[11] 서적 Murck
[12] 서적 Murck
[13] 서적 Murck
[14] 서적 Murck
[15] 서적 Murck
[16] 서적 Murck
[17] 서적 Murck
[18] 서적 Murck
[19] 서적 Murck
[20] 서적 Murck
[21] 서적 Murck
[22] 논문 "A Painter's Brush That Also Makes Poems": Contemporary Painting After Northern Song Calligraphy http://ir.lib.uwo.ca[...] Electronic Thesis and Dissertation Repository 2013
[23] 서적 Murck
[24] 서적 Murck
[25] 서적 Looking at Chinese Painting Nigensha Publishing Co. Ltd. 1996
[26] 서적 Murck
[27] 서적 黄山谷の書と書論 二玄社 1977
[28] 서적 書道辞典 東京堂出版 1975
[29] 서적 書道辞典 二玄社 1969
[30] 서적 中国書道辞典 木耳社 1981
[31] 서적 中国書道史事典 普及版 天来書院 2008
[32] 서적 日本と中国の書史 日本書作家協会 1971
[33] 서적 書の歴史 宋~民国 講談社 2008
[34] 서적 五代・宋・金 雄山閣 1992
[35] 서적 改訂新版 世界大百科事典 平凡社 2007
[36] 문화재 大燈国師墨蹟〈看読真詮榜/〉
[37] 문화재 大燈国師墨蹟〈関山字号/(嘉暦己巳仲春)〉
[38] 문화재 大燈国師墨蹟〈印可状/元徳二年仲夏上澣〉
[39] 문화재 大燈国師墨蹟〈元徳二年五月十三日/与宗悟大姉法語〉
[40] 문화재 大燈国師墨蹟〈渓林 南獄偈/〉
[41] 문화재 後醍醐天皇宸翰天長印信(〓牋)
[42] 문화재 後醍醐天皇宸翰御置文〈/元弘三年八月廿四日〉
[43] 문화재 四天王寺縁起〈根本本/後醍醐天皇宸翰本〉
[44] 서적 宋代文人の詩と詩論 創文社 2009-06-27
[45] 서적 書の歴史 宋~民国 講談社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