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하 문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하 문명은 황하 유역에서 발생한 문명으로, 황토 지대의 비옥한 토양을 기반으로 농업이 발전하면서 성립되었다. 주요 신석기 문화로는 난좡터우 문화, 페이리강 문화, 츠산 문화, 양사오 문화, 룽산 문화 등이 있으며, 이들은 황하 상류, 중류, 하류 및 기타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청동기 시대 초기에는 얼리터우 문화와 얼리강 문화가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하 - 허타오
허타오는 황하가 지나는 지역으로, 비옥한 토지를 바탕으로 다양한 도시가 발달했으며 농업과 자원 생산, 공업이 이루어진다. - 황하 - 중원 (중국)
중원(中原)은 중국 허난성을 중심으로 황허강 중·하류 유역을 지칭하는 지리적, 문화적 개념이며, 중국 문명의 발상지 중 하나로 고대부터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었다. - 아시아의 신석기 문화 - 박선 문화
박선 문화는 오늘날 베트남 북부 지역의 신석기 시대 문화로, 동굴이나 암반에서 거주하며 사냥, 채집, 초기 농업을 했고, 정교한 석기와 도자기, 다양한 재료의 장신구를 사용했다. - 아시아의 신석기 문화 - 다붓 문화
- 중국의 역사 - 연호
연호는 군주의 권위와 통치권을 상징하며, 군주의 즉위와 함께 사용되는 칭호로, 고대 중국에서 시작되어 동아시아 국가들에 영향을 주었고, 현대에는 일본, 중화민국, 북한 등에서 사용된다. - 중국의 역사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황하 문명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위치 | 황하 유역 |
존속 기간 | 기원전 3000년경 ~ 기원전 2000년경 |
주요 유적 | 앙소 문화 용산 문화 하가점하층 문화 |
문화 | |
특징 | 채도 흑도 신석기 시대 농경 문화 발달 계급 사회 발생 |
연대기 | |
앙소 문화 | 기원전 5000년경 ~ 기원전 3000년경 |
용산 문화 | 기원전 3000년경 ~ 기원전 2000년경 |
하가점하층 문화 | 기원전 2200년경 ~ 기원전 1600년경 |
역사적 중요성 | |
영향 | 중국 문명의 기틀을 마련 |
관련 국가 | 중국 |
2. 배경
선사 시대 중국인들은 주로 황하 유역 산기슭의 물이 솟는 지대에 거주했으며, 수해를 피하기 위해 단구(段丘) 위에 살았다. 나일강이나 인더스강 유역에서는 하천의 정기적인 범람으로 비옥해진 흙을 이용한 관개 농업이 발달했지만, 중국의 농업 성립 조건은 이와 달랐다. 황토는 잿빛 황색의 석영(石英)이나 장석(長石) 등 미세한 알갱이의 퇴적물로, 빗물 속 석회질을 모아 토양이 비옥하고 부드러워 농사에 매우 적합했다. 이 황토 지대에서 농업 생산력이 발전하면서 문명이 성립되었다. 장강 유역에서 고대 문명이 발달하지 못한 이유는 고온다습한 기후로 초목이 무성하여 철기 시대 이전에는 개간이 어려웠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왔으나, 최근 장강 중·하류 유역의 문화 유적 발굴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10]
3. 주요 신석기 문화
황하 문명 지역에서는 신석기 시대에 여러 문화가 발달했다. 주요 신석기 문화는 다음과 같다.문화 연대 난좡터우 문화 기원전 10600년~기원전 7500년 (시작과 종료 연도에 대한 다양한 측정) 배리강 문화 기원전 7000년 – 기원전 5000년[2] 츠산 문화 기원전 6500년 – 기원전 5000년 따디완 문화 기원전 6000년 – 기원전 5000년 베이신 문화 기원전 6000년 – 기원전 5000년 양사오 문화 기원전 5000년 – 기원전 3000년 다원커우 문화 기원전 4300년 – 기원전 2400년 룽산 문화 기원전 3000년 – 기원전 1900년 얼리터우 문화 기원전 2000년 – 기원전 1600년 얼리강 문화 기원전 1600년 – 기원전 1400년
3. 1. 황하 상류 지역
황하 상류 지역에서는 여러 신석기 문화가 발달했다. 주요 문화는 다음과 같다.
문화명 | 존속 기간 |
---|---|
난좡터우 문화 | 기원전 10600년 ~ 기원전 7500년 사이 |
배리강 문화 | 기원전 7000년 ~ 기원전 5000년[2] |
츠산 문화 | 기원전 6500년 ~ 기원전 5000년 |
다디완 문화 | 기원전 6000년 ~ 기원전 5000년 |
베이신 문화 | 기원전 6000년 ~ 기원전 5000년 |
양사오 문화 | 기원전 5000년 ~ 기원전 3000년 |
다원커우 문화 | 기원전 4300년 ~ 기원전 2400년 |
룽산 문화 | 기원전 3000년 ~ 기원전 1900년 |
얼리터우 문화 | 기원전 2000년 ~ 기원전 1600년 |
얼리강 문화 | 기원전 1600년 ~ 기원전 1400년 |
3. 1. 1. 라오관타이 문화 (老官台文化, 기원전 6000년? ~ 기원전 5000년?)
라오관타이 문화(老官台文化)의 대표적인 유적은 산시성 화현의 라오관타이 유적이다. 이들은 원형 움집에서 거주하며 조 등을 재배하는 밭농사를 지었다. 암적색 사질 토기를 특징으로 한다.[2]3. 1. 2. 다디완 문화 (大地灣文化, 기원전 6000년 ~ 기원전 5000년)
황하 문명의 신석기 시대 문화 중 하나로, 기원전 6000년에서 기원전 5000년까지 존속했다.3. 2. 황하 중류 지역
황하 중류 지역에서는 신석기 시대부터 여러 문화가 발달했다.
- 난좡터우 문화 (기원전 10600년 ~ 기원전 7500년 사이, 시작과 종료 연대 다양)
- 따디완 문화 (기원전 6000년 ~ 기원전 5000년)
- 베이신 문화 (기원전 6000년 ~ 기원전 5000년)
- 다원커우 문화 (기원전 4300년 ~ 기원전 2400년)
- 얼리터우 문화 (기원전 2000년 ~ 기원전 1600년)
- 얼리강 문화 (기원전 1600년 ~ 기원전 1400년)
이 외에도 배리강 문화(기원전 7000년 ~ 기원전 5000년), 츠산 문화(기원전 6500년 ~ 기원전 5000년), 양사오 문화(기원전 5000년 ~ 기원전 3000년), 룽산 문화(기원전 3000년 ~ 기원전 1900년) 등 다양한 문화들이 황하 중류 지역에서 나타났다.[2]
3. 2. 1. 페이리강 문화 (裴李崗文化, 기원전 7000년? ~ 기원전 5000년?)
페이리강 문화(기원전 7000년? ~ 기원전 5000년?)의 대표 유적은 허난성 화현의 페이리강 유역에 있다. 이들은 원형·방형의 움집에 살았으며, 조 등의 밭농사 농업을 하고 있었다. 홍갈색의 도기나 마제석기 등을 특색으로 한다.[2]3. 2. 2. 츠산 문화 (磁山文化, 기원전 6000년? ~ 기원전 5000년?)
츠산 문화(기원전 6000년? ~ 기원전 5000년?)의 대표적인 유적은 허베이성 우안의 츠산이다. 츠산 문화 사람들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움집에서 살았으며, 조 등의 밭농사를 지었다. 홍갈색의 협사도기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6]3. 2. 3. 양사오 문화 (仰韶文化, 기원전 5000년? ~ 기원전 3000년?)
1921년 허난성 몐츠현 양사오촌에서 발견된 붉은 바탕에 채색한 토기(채도, 칠무늬토기)를 특색으로 하는 문화이다.전기(기원전 4800년 무렵)는 홍도(紅陶)가 주류를 이루며, 대표 유적은 산시성 시안시의 반파이며, 양샤오 반파 유형 문화라고 불린다. 모계 사회였으며 농촌의 계층화가 보인다. 기원전 4000년경에 물레를 사용한 앙소 먀오디거우 유형 문화가 나타났다.
후기(기원전 3500년 이후)에는 반포 후기 유형, 시왕춘 유형, 다쓰콩 유형, 친왕사이 유형의 네 가지 문화로 크게 분류되며, 빈부의 차이가 나타나고 사회 분업, 계층화가 진행되었다.
3. 2. 4. 허우강 문화 (後岡文化, 기원전 5000년? ~ 기원전 4000년?)
허우강 문화(기원전 5000년? ~ 기원전 4000년?)의 대표적인 유적은 허난성 안양시 허우강이다. 베이신 문화를 계승하여 발전했다.3. 2. 5. 룽산 문화 (龍山文化, 기원전 3000년? ~ 기원전 2000년?)
룽산 문화(기원전 2500년? ~ 기원전 2000년?)는 1930년 중국 중앙연구원 역사언어연구소에 의해 산둥성 장추현룽산진에서 발견된 흑도(검은색 토기)와 회도(회색 토기)를 특징으로 하는 문화이다. 흑도는 얇고 정교하게 만들어진 검은색 토기로, 제작에는 물레가 사용되었다. 소성 온도는 1000°C 이상이다.후기에는 청동기 주조도 행해졌다. 중원 룽산 문화(산시 룽산 문화, 진난 위시 룽산 문화, 허난 룽산 문화)와 산둥 룽산 문화로 나뉜다.
중원 룽산 문화는 양사오 문화 후기 문화를 계승하며, 회도가 주류를 이룬다. 뼈를 구워 갈라진 틈을 보는 점복도 이때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산둥 룽산 문화는 다원커우 문화를 계승하며, 흑도가 주류를 이룬다.
3. 3. 황하 하류 지역
황하 하류 지역에서는 다음과 같은 여러 문화들이 나타났다.
문화 | 연대 |
---|---|
난좡터우 문화 | 기원전 10600년~기원전 7500년 (시작과 종료 연도에 대한 다양한 측정) |
배리강 문화 | 기원전 7000년 – 기원전 5000년[2] |
츠산 문화 | 기원전 6500년 – 기원전 5000년 |
따디완 문화 | 기원전 6000년 – 기원전 5000년 |
베이신 문화 | 기원전 6000년 – 기원전 5000년 |
양사오 문화 | 기원전 5000년 – 기원전 3000년 |
다원커우 문화 | 기원전 4300년 – 기원전 2400년 |
룽산 문화 | 기원전 3000년 – 기원전 1900년 |
얼리터우 문화 | 기원전 2000년 – 기원전 1600년 |
얼리강 문화 | 기원전 1600년 – 기원전 1400년 |
3. 3. 1. 베이신 문화 (北辛文化, 기원전 6000년? ~ 기원전 5000년?)
베이신 문화(北辛文化, 기원전 6000년? ~ 기원전 5000년?)의 대표 유적은 산둥성 텅저우시의 베이신이다. 황갈색 토기를 특징으로 한다.[5]3. 3. 2. 다원커우 문화 (大汶口文化, 기원전 4300년? ~ 기원전 2400년?)
1959년 산둥성 닝양현 츠야오진 바오터우촌에서 유적이 처음 발견되었다. 이후 산둥성 타이안시 다원커우에서도 유적이 발견되어 이곳이 대표 유적이 되었다.전기에는 홍도(紅陶)가 주류였지만, 후기에는 흑도(黑陶)・회도(灰陶)가 주류가 되었다. 후기의 난각 흑도(卵殻黑陶)의 높은 손잡이 잔은 정교하고 아름다웠으며, 산둥 룽산 문화로 계승되었다[7]。
3. 4. 기타 지역
- 난좡터우 문화 (기원전 10600년 ~ 기원전 7500년 사이)
- 배리강 문화 (기원전 7000년 – 기원전 5000년)[2]
- 츠산 문화 (기원전 6500년 – 기원전 5000년)
- 따디완 문화 (기원전 6000년 – 기원전 5000년)
- 베이신 문화 (기원전 6000년 – 기원전 5000년)
- 양사오 문화 (기원전 5000년 – 기원전 3000년)
- 다원커우 문화 (기원전 4300년 – 기원전 2400년)
- 룽산 문화 (기원전 3000년 – 기원전 1900년)
- 얼리터우 문화 (기원전 2000년 – 기원전 1600년)
- 얼리강 문화 (기원전 1600년 – 기원전 1400년)
3. 4. 1. 난좡터우 문화 (南莊頭文化, 기원전 9500년 ~ 기원전 9000년 혹은 기원전 8700년 ~ 기원전 7500년)
난좡터우 유적(南莊頭遺址)은 기원전 9500년에서 기원전 9000년 (혹은 기원전 8700년에서 기원전 7500년) 사이의 유적으로, 허베이성 바오딩 시 쉬수이구 바이양 호수 근처에 있다. 이 유적에서는 수십 개 이상의 도자기가 발견되었고, 개를 기르던 흔적도 발견되었다.[2]4. 청동기 시대 초기 문화
황하 문명권에서는 신석기 시대가 끝나갈 무렵, 청동기 시대가 시작되면서 여러 문화들이 나타났다. 주요 문화는 다음과 같다.
- 난좡터우 문화 (시작과 종료에 대한 다양한 연대 측정, 기원전 10600년에서 기원전 7500년 사이)
- 배리강 문화 (기원전 7000년 – 기원전 5000년)[2]
- 츠산 문화 (기원전 6500년 – 기원전 5000년)
- 따디완 문화 (기원전 6000년 – 기원전 5000년)
- 베이신 문화 (기원전 6000년 – 기원전 5000년)
- 양사오 문화 (기원전 5000년 – 기원전 3000년)
- 다원커우 문화 (기원전 4300년 – 기원전 2400년)
- 룽산 문화 (기원전 3000년 – 기원전 1900년)
- 얼리터우 문화 (기원전 2000년 – 기원전 1600년)
- 얼리강 문화 (기원전 1600년 – 기원전 1400년)[2]
4. 1. 얼리터우 문화 (二里頭文化, 기원전 2000년? ~ 기원전 1600년?)
1959년 허난성 옌스 현 얼리터우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유적은 약 2km 사방으로 뻗어있고, 중심부에는 두 개의 궁전 터가 있다. 이 유적의 사람들은 진난 요서 룽산 문화, 허난 룽산 문화를 계승하였으며, 청동 주조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고 여겨진다.4. 2. 얼리강 문화 (二里岡文化, 기원전 1600년 ~ 기원전 1400년)
얼리강 문화는 기원전 1600년에서 기원전 1400년 사이에 존재했다.[2]참조
[1]
서적
The Yellow River and the Yellow River Civilization
https://doi.org/10.1[...]
Springer
2023-04-28
[2]
논문
Early Mixed Farming of Millet and Rice 7800 Years Ago in the Middle Yellow River Region, China
2012-12-17
[3]
웹사이트
考古用語辞典-裴李崗文化
http://abc0120.net/w[...]
[4]
웹사이트
考古用語辞典-老官台文化
http://abc0120.net/w[...]
[5]
웹사이트
考古用語辞典-北辛遺跡
http://abc0120.net/w[...]
[6]
웹사이트
考古用語辞典-磁山文化
http://abc0120.net/w[...]
[7]
웹사이트
考古用語辞典-大汶口文化
http://abc0120.net/w[...]
[8]
웹사이트
考古用語辞典-陝西龍山文化
http://abc0120.net/w[...]
[9]
웹사이트
考古用語辞書-二里頭文化
http://abc0120.net/w[...]
[10]
백과사전
황허문명
http://ko.wikisource[...]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