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효정현황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정현황후는 만주족 출신으로 함풍제의 황후이자 동치제 시대의 섭정이었다. 함풍제 사후 서태후와 함께 섭정으로 임명되었으나, 문맹으로 인해 정치에는 소극적이었고 서태후에게 정사를 위임했다. 동치제의 혼인을 주관하고 효철의황후를 간택했으며, 광서제 즉위 후에도 섭정을 맡았다.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인해 서태후에 의한 독살설이 돌았으며, 청나라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세기 여자 - 어거스터 리
    어거스터 리는 영국의 귀족 여성으로 시인 조지 바이런의 이복 누이이며, 불행한 결혼 생활과 바이런과의 관계로 근친상간 스캔들에 휘말려 바이런이 영국을 떠나는 계기가 되었고, 셋째 딸 엘리자베스 메드라 리는 바이런과의 관계에서 태어났다는 의혹을 받았다.
  • 류저우시 출신 - 리닝
    중국의 체조 선수 출신 기업인인 리닝은 1982년 체조 월드컵 6관왕,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3관왕을 포함한 6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체조 왕자'라는 별명을 얻었고, 은퇴 후 스포츠 용품 회사 리닝을 설립했으며 국제 체조 연맹 명예의 전당 헌액, 베이징 올림픽 성화 점화 등의 활동을 했다.
  • 류저우시 출신 - 루융
    루융은 중국의 역도 선수로, 올림픽, 세계 선수권,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국제적인 무대에서 활약했다.
  • 서태후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 서태후 - 함풍제
    함풍제는 도광제의 아들이자 청나라의 제9대 황제로, 재위 기간 동안 태평천국의 난과 제2차 아편 전쟁 등의 혼란을 겪으며 러시아와 영국에 영토를 할양하는 불평등 조약을 체결했고, 붕어 후에는 서태후의 수렴청정이 시작되었다.
효정현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자안황태후의 초상화
자안황태후의 초상화
이름자안황태후 (慈安太后)
시호효정현황후 (孝貞顯皇后)
존호효정자안유경화경성정의천조성현황후(孝貞慈安裕慶和敬誠靖儀天祚聖顯皇后)
출생일1837년 8월 12일 (도광 17년 7월 12일)
사망일1881년 4월 8일 (광서 7년 3월 10일)
사망 장소순천부, 자금성 종취궁
묻힌 곳정동릉
씨족니오후루 (鈕祜祿) 씨 (출생)
가문아이신 교로 (결혼)
아버지무양아 (穆揚阿)
어머니강가 (姜佳) 씨
통치 정보
직위청나라 황후
재위 기간1852년 11월/12월 - 1861년 8월 22일
이전효전성황후
이후효철의황후
직위 2황태후
재위 기간 21861년 8월 22일 - 1881년 4월 8일
이전 2효정성황후
이후 2서태후
배우자함풍제
언어별 표기
만주어|Hiyoošungga Jekdun Iletu Hūwangheo}}
만주어 (이름)|Kubuhe Suwayan Gūsai Niyalma}}
중국어 (간체)孝贞显皇后
중국어 (정체)孝貞顯皇后
중국어 병음Xiàozhēnxiǎn Huánghòu
몽골어}}

2. 생애

1852년(함풍 2년) 16세의 나이에 정빈으로 책봉되었고, 정귀비를 거쳐 황후가 되었다.[49] 자식이 없었던 효정현황후는 서태후의 아들인 동치제를 어려서부터 키웠다. 조금만 잘못해도 야단을 치는 서태후와는 달리 효정현황후는 감싸 주었기 때문에 동치제는 생모인 서태후보다 자애로운 효정현황후를 친어머니처럼 여기고 따랐다.[49]

자죽연청도에 그려진 동태후


1861년 동치제가 즉위하자 효정현황후는 서태후와 함께 섭정이 되었다. 그러나 효정현황후는 문맹이었으며[51] 나랏일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지 못했고, 정계에 나설 만한 성격이 아니어서 정치에 관한 것은 서태후에게 일임하고 조용히 지냈다. 1869년, 서태후의 측근 환관 안덕해(安德海)가 백성들에게 폐를 끼치자, 효정현황후는 그를 처형하도록 명했다. 이후 동치제는 효정현황후가 간택한 아로특씨를 황후로 삼고 서태후가 고른 여인은 후궁으로 삼았다.[49] 이 사건을 계기로 서태후와 동치제의 사이는 크게 벌어졌다.

1871년, 둔간 반란이 신장에서 발발했다. 청 제국은 곧 권력을 잃었고 러시아는 일리 분지 지역을 점령했다. 청 정부는 1877년에 신장에 대한 통제권을 되찾았다.[23] 1879년, 러시아는 그 지역에 강력한 영향력을 유지할 것을 제안했지만 청 정부는 동의하지 않았다. 이 분쟁은 1881년 2월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의 서명으로 종결되었다.[23]

효정현황후는 광서제가 즉위한 뒤 7년만인 1881년 4월 8일 갑자기 사망했다. 일설에는 서태후가 효정현황후를 독살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서태후가 효정현황후에게 떡을 건네주었는데 그 떡에 독이 들어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사실이 아닐 확률이 크다.

2. 1. 가계와 초기 생애

만주 양황기 니오후루(鈕祜祿) 씨는 명문가 출신으로, 에이두의 후손이다.[1] 아버지는 광시에서 관직을 지낸 무양아(穆揚阿)이며, 삼등공(三等公)의 작위를 받았다.[1] 증조부 복극경아(福克精阿)는 시닝에서 관리로 근무했으며 자작(子爵)의 작위를 받았다.[1] 할아버지 체부탄(策布坦)은 산시에서 2품 지휘관을 지냈으며 자작(子爵)의 작위를 받았다.[1] 어머니는 기양기야 씨이며,[1] 오빠 광과(廣科)는 항저우에서 장군으로 근무했다.[1] 고모는 함풍제의 측근이었던 단화의 정실 부인이었다.[1]

니오후루 씨는 도광제 치세 17년인 1837년 음력 7월 12일(양력 8월 12일)에 태어났다.[1]

가계


2. 2. 함풍제 시대

1852년(함풍 2년), 16세의 나이로 정빈(貞嬪)에 책봉되었고, 곧 정귀비(貞貴妃)로 승격되었다.[49] 같은 해 6월, 황후로 책봉되어 함풍제의 후궁을 관할하게 되었다. 황후 책봉에는 황제의 양모인 효정성황후의 의향이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황후는 자녀가 없었다.[49] 1856년 4월 27일, 의빈이 함풍제의 아들 재순을 낳았다. 황후는 함풍제의 자녀들을 양육하고 훈육하는 역할을 맡았다. 의빈은 아들의 양육에 대해 거의 발언권이 없었다고 한다.

2. 3. 동치제 시대

1861년 함풍제가 사망하고 아들 동치제가 즉위하면서, 동태후는 서태후와 함께 섭정이 되었다.[49] 동태후는 문맹이었고[51] 정치에 소극적이어서, 서태후에게 정사를 일임했다. 두 황태후는 동치제의 공동 ''사실상'' 섭정으로 임명되었는데, 여성이 조정 회의에 참석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은 어린 황제와 함께 회의에 참석하면서 커튼 뒤에 앉아야 했다. 비록 자안황태후가 서태후보다 원칙적으로 선임이었지만, 실제로는 자기를 드러내지 않는 사람이었고, 실제로 조정을 통제했던 서태후와 달리 정치에 거의 개입하지 않았다.[13]

어린 효정현황후


어떤 칙령이라도 두 섭정의 승인이 필요했다. 자안황태후와 동치제 모두 옥새를 받았지만, 황제가 미성년자였기 때문에 옥새는 그의 어머니인 서태후에게 주어졌다. 자안황태후의 옥새에는 "어상" (御賞, 황실 수여)이 새겨져 있었고, 서태후의 옥새에는 "통도당" (同道堂, 도의 합치)이 새겨져 있었다.[17]

''사실상'' 통치자로서 자안황태후는 정치에 대해 배워야 했고, 그래서 그녀와 서태후는 역사를 공부했다. 1861년 11월, 황실 관례에 따라 그들은 만주족 선조들의 기록을 참고하기 시작했다. 1863년 6월, 그들은 ''통감집람''(通鑑輯覽)[15]의 내용을 설명받았다. 약 1년 전, 한림원 학자들이 편찬한 ''치평보감''(治平寶鑑)은 황태후들이 2년 이상 참석한 일련의 강연의 텍스트가 되었으며, 마지막 강연은 1866년 11월에 열렸다.[16]

1869년, 서태후의 측근 환관 안덕해(安德海)가 백성들에게 폐를 끼치자, 동태후는 그를 처형하도록 명했다. 안덕해는 서태후에게 예쁨을 받아 제멋대로 행동했기 때문에 미움을 받았는데, 동치 8년 (1869년)에 산둥 지방으로 내려갔다. 청나라에는 "환관은 함부로 황성을 나가서는 안 된다"는 법도가 있었지만, 안덕해는 정식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 당시 산둥 순무정보정의 주청을 받은 동태후는 즉시 정보정에게 명하여 그 자리에서 안덕해를 처형하게 했다.

1872년, 동치제의 혼인이 이루어졌고, 동태후는 황후 간택을 주관하여 효철의황후(아로특씨)를 간택했다.[49] 1875년 동치제가 사망하고, 서태후의 조카이자 동생의 아들인 광서제가 즉위하면서 다시 섭정을 맡았다.

2. 4. 광서제 시대

서태후가 간 질환으로 병을 앓게 되자 자안태후가 단독으로 섭정을 해야 했다. 이 기간 동안 자안태후는 러시아 제국과의 일리 지방 분쟁을 처리해야 했다.[23] 1871년, 둔간 반란이 신장에서 발발했다. 청 제국은 곧 권력을 잃었고 러시아는 일리 분지 지역을 점령했다. 청 정부는 1877년에 신장에 대한 통제권을 되찾았다.[23] 1879년, 러시아는 그 지역에 강력한 영향력을 유지할 것을 제안했지만 청 정부는 동의하지 않았다. 이 분쟁은 1881년 2월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의 서명으로 종결되었다.[23]

1880년, 청 동릉에 있는 함풍제의 묘소에서 자안태후와 서태후 사이에 자리 다툼이 일어났다. 사망한 황제의 정실 부인인 자안태후는 중심 자리를 차지했다. 자안태후는 서태후에게 오른쪽에 서라고 말하며 함풍제가 살아있을 때 서태후는 단지 후궁에 불과했다고 상기시켰다. 왼쪽에 비어있는 자리는 상징적으로 함풍제의 첫 번째 부인인 효덕현황후를 위해 남겨져 있었다.[23]

2. 5. 갑작스러운 죽음과 의혹

효정현황후는 1881년 4월 8일 갑자기 사망했다. 공식 사인은 뇌졸중이었으나, 서태후가 효정현황후에게 독이 든 떡을 건네주어 독살했다는 소문이 돌았다.[29][30]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입증된 적이 없으며, 서태후 자신도 병을 앓고 있었기 때문에 효정현황후의 죽음에 연루되었을 가능성은 낮다고 여겨진다.[28]

효정현황후의 죽음은 매우 갑작스러웠다. 옹동화의 기록에 따르면, 효정현황후는 건강했으나 뇌졸중 병력이 있었다. 1863년 3월에 첫 번째 뇌졸중으로 거의 한 달 동안 말을 할 수 없었고, 1870년 1월에 두 번째 뇌졸중이 있었다.[25][26] 공식적인 사망 원인은 오후 9시에서 11시 사이에 발생한 갑작스러운 뇌졸중이었다.[27] 의사들은 그녀가 대규모 뇌출혈로 사망했다고 추정한다.[28]

효정현황후가 죽기 전 비밀 칙서를 써서 서태후를 제거할 권한을 주었으나, 효정현황후가 서태후에게 칙서를 보여주고 소각하여 신뢰를 표시했다는 소문도 있다.

효정현황후의 죽음 이후, 서태후는 단독 섭정을 하게 되었고, 청나라의 권력은 서태후에게 집중되었다.

3. 평가와 영향

동태후는 온화하고 성실한 성품으로 백성과 신하들에게 존경받았다. 동치제광서제 모두 동태후를 서태후보다 더 따랐다고 전해진다.[37][49] 동치제는 생모인 서태후가 엄격했던 것과는 달리, 동태후는 자신을 감싸 주었기 때문에 친어머니처럼 따랐다.[49] 동태후는 남편과 아들을 잘 보필했으며, 정치에 직접 간섭하는 일은 적었다. 동태후에게 양육된 동치제는 생모보다 동태후와의 관계가 더 가까웠다고 한다.

하지만 일부 역사가들은 동태후가 사치스럽고 게으르며, 정치보다는 쾌락을 추구했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반면 서태후는 권력을 얻기 위해 희생을 감수하고 열심히 일했으며, 당시 중국이 직면한 문제들을 해결하려 한 현명하고 지적인 여성이었다고 평가한다.[38] 이러한 평가는 개혁가 강유위와 전기 작가 존 블랜드, 에드먼드 백하우스에 의해 과장된 면이 있다.[38]

캐서린 칼은 동태후를 직접 만난 적은 없지만, 그녀를 "문학 황후"로 묘사하며 뛰어난 문학적 능력을 지닌 여성이라고 평가했다.[40] 또한 동태후와 서태후는 서로의 자질을 높이 평가하며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고 한다.[41]

동태후는 환관 안덕해를 처형한 사건에서 단호한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 안덕해는 서태후의 총애를 받으며 제멋대로 행동했으나, 동태후는 청나라 법도를 어긴 안덕해를 처형하도록 명했다.[49]

동태후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청나라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서태후의 권력 독점을 가속화시켰다.

4. 대중문화에서의 등장


  • 1983년 영화 《화소원명원》, 《수렴청정》에서 찬와가 연기하였다.
  • 1990년 드라마 《청궁흥망》에서 삼삼이 연기하였다.
  • 2006년 드라마 《강희비사》에서 쑹자가 연기하였다.
  • 2006년 드라마 《취부전기》에서 간웨이치가 연기하였다.
  • 2012년 드라마 《대태감》에서 소미기가 연기하였다.

참조

[1] 논문 Cebutan was a descendant of Celge 2016
[2] 서적 Qing Wenzong Shilu
[3] 서적 Genealogy of the Niohuru Clan
[4] 서적 Veritable Records of Emperor Wenzongxian of the Great Qing
[5] 서적 Qing Shi Gao
[6] 서적 Imperial Archives of the Qing Palace and Imperial Genealogy of the Qing Imperial Clan
[7] 서적 1992
[8] 서적 1992
[9] 서적 1911
[10] 서적 2012
[11] 서적 1992
[12] 서적 1983
[13] 서적 1986
[14] 서적 1972
[15] 서적 Yupi Lidai Tongjian Jilan
[16] 서적 1984
[17] 서적 1988
[18] 서적 Qing Shi Gao
[19] 서적 1912
[20] 서적 1974
[21] 서적 1912
[22] 서적 1901
[23] 서적 1912
[24] 서적 1998
[25] 서적 2013
[26] 서적 1998
[27] 서적 Selections from the Veritable Records of Emperor Dezong of Qing 1984
[28] 서적 2013
[29] 서적 1987
[30] 서적 1912
[31] 서적 Qing Shi Gao
[32] 서적 1912
[33] 간행물 Papers relating to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34] 간행물 Papers relating to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35] 간행물 Papers relating to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36] 서적 Rawski (1998)
[37] 서적 Warner (1974)
[38] 서적 Seagrave (1992)
[39] 서적 Seagrave (1992)
[40] 서적 Carl (1907)
[41] 서적 Carl (1907)
[42] 서적 Lim (2006)
[43] 기타 咸豐二年 四月 二十七日
[44] 기타 咸豐二年 五月
[45] 기타 咸豐二年 十月
[46] 기타 咸豐十一年 七月 十七日
[47] 기타 光緒七年 五月
[48] 웹사이트 kesi bukdari jise https://digital.staa[...]
[49] 서적 여왕의 시대 미래의 창 2008
[50] 서적 광기의 제왕학 한스미디어 2006
[51] 서적 세계사 여자를 만나다 아름다운사람들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