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지모토 히데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지모토 히데오는 일제강점기 부산에서 태어나 일본으로 이주한 야구 선수로, 시모노세키 상업고등학교와 메이지 대학을 졸업했다. 1942년 도쿄 교진군에 입단하여 1943년에는 투수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하고, 1944년에는 선수 겸 감독을 맡았다. 주니치 드래건스에서 1947년 한 시즌을 보낸 후 요미우리 자이언츠로 복귀하여 1950년 일본 프로 야구 사상 최초의 퍼펙트 게임을 달성했으며, 1951년부터 1953년까지 팀의 일본 시리즈 3연패에 기여했다. 1955년 은퇴 후에는 다이와 증권 감독, 해설가, 로스앤젤레스 특파원으로 활동했으며, 1976년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그는 뛰어난 체력과 타격 능력, 슬라이더를 구사하는 투수로 평가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프로 야구 퍼펙트 게임 달성자 - 사사키 로키
    사사키 로키는 2001년 이와테현 출신의 일본 프로 야구 선수로, 고교 시절 최고 구속 163km/h를 기록하고, 2019년 지바 롯데 마린스에 입단하여, 2022년 일본 프로야구 최연소 완봉승 기록을 세웠으며, 202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일본 대표팀으로 우승에 기여했고, 2024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도전을 승인받았다.
  • 일본 프로 야구 퍼펙트 게임 달성자 - 가네다 마사이치
    가네다 마사이치는 1950년부터 1969년까지 선수 생활을 하며 통산 400승을 기록하고, 롯데 오리온스 감독을 역임하며 1974년 일본 시리즈 우승을 이끈 일본 프로 야구의 전설적인 투수이다.
  • 재일 한국인 야구 선수 - 송재박
    송재박은 일본과 한국 프로 야구에서 선수와 코치로 활동하며, 일본에서는 세이부 라이온스와 요코하마 다이요 훼일스에서, 한국에서는 OB 베어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고, 은퇴 후 두산 베어스 코치로 활동하며 우수 코치상을 수상했다.
  • 재일 한국인 야구 선수 - 장훈
    장훈은 일본 히로시마 출신의 재일 한국인 야구 선수이자 해설가로, 일본 프로야구에서 최다 안타 기록과 3,000안타-500홈런-300도루라는 이례적인 기록을 보유했으며, 은퇴 후에는 해설가로 활동하며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지만 대한민국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 출신 일본 프로 야구 선수 - 조성민 (야구인)
    조성민은 일본 프로 야구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투수로 활동했으나 부상 후 한국 프로 야구 한화 이글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고, 은퇴 후 야구 해설가와 코치로 활동했으며, 배우 최진실과의 결혼과 이혼, 사망 후 사회적 논란을 겪다 사망했다.
  • 대한민국 출신 일본 프로 야구 선수 - 박찬호
    박찬호는 한국인 최초로 메이저 리그에 진출하여 아시아 출신 투수 최다승 기록을 세운 전직 야구 선수로, 메이저 리그와 KBO 리그에서 활약했으며 국가대표로도 금메달을 획득했다.
후지모토 히데오
기본 정보
후지모토 히데오
이름후지모토 히데오
원어 이름藤本 英雄
로마자 표기Hideo Fujimoto
선수 정보
포지션투수, 외야수
등번호23
던지는 팔우투
치는 팔우타
출신지부산
사망일1997년 4월 26일
사망 장소일본
프로 입단 정보
데뷔 리그JBL
데뷔 연도1942년
데뷔 팀도쿄 교진
마지막 리그NPB
마지막 연도1955년
마지막 팀요미우리 자이언츠
통계 (JBL/NPB 경력 투구)
승-패200승 87패
평균 자책점1.90
완봉63
투구 이닝2,628.1
탈삼진1,177
승률0.697
통계 (타격)
타율0.245
안타312
홈런15
타점151
소속 팀 (선수)
소속 팀 (감독)
수상 내역
명예의 전당
종류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
헌액 연도1976년

2. 프로 입단 전

후지모토 히데오는 본명이 이팔룡으로, 당시 일본 제국의 일부였던 부산에서 태어나 8세에 일본 시모노세키시의 히코시마로 이주하여 초등학교 4학년 때 야구를 시작했다.[1] 시모노세키 상업고등학교(현 시모노세키 시립 시모노세키 상업고등학교) 시절 1935년 봄과 1937년 봄에 고시엔 대회에 출전했다.[5] 이때는 매일 히코시마에서 연락선을 타고 통학했는데, 같은 배를 탔던 코구레 미치요가 후지모토의 팬이었다고 한다.[6]

시모노세키 상업고등학교는 호세이 대학 계열이었지만, 메이지 대학 출신 사코바타 마사미에게 코치를 받은 것을 계기로 메이지 대학에 진학한다.[7] 졸업할 때 긴샤치군의 오카다 겐자부로로부터 제안을 받았지만, 진학을 이유로 거절했다.[7] 대학 동기로는 하야시 기이치가 있다. 후지모토의 직구 구위로 인해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포수는 투구 연습 때도 레가드와 프로텍터를 착용했다고 한다.[8] 시미즈 히데오가 중퇴하고 프로 야구에 입단하자, 후지모토가 메이지 대학의 에이스가 되어 추계 리그에서 4승 무패, 방어율 0.62를 기록하며 우승에 기여했다. 춘계 리그에서도 9승 1패(그 중 노히트노런 포함 3완봉), 타격에서도 0.310으로 베스트 10에 드는 등 맹활약하며 다시 우승에 기여했다.[9] 그러나 같은 해 9월 문부성의 조치로 인해 조기 졸업하게 되었다. 메이지 대학 시대에는 통산 34승 9패(승리 수는 6대학 역대 10위, 메이지대 투수 중 현재도 최다)를 기록했다.[10]

3. 프로 선수 경력

도쿄 교진군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경력을 시작한[1] 후지모토 히데오는 1943년에 34승, 평균자책점 0.73, 253탈삼진으로 투수 3관왕을 달성했고, 19완봉승은 일본 프로 야구 기록이다. 같은 해 5월에는 노히트 노런을 기록하기도 했다.[12] 1944년에는 선수 겸 감독으로 활동했다.

1946년 일본 야구 리그에서 평균자책점 2.11로 1위를 차지했고, 1947년 주니치 드래건스로 이적하여 17승, 평균자책점 1.83, 27완투를 기록했다.[1] 1948년 요미우리에 복귀했고, 1949년에는 24승, 평균자책점 1.94, 29완투를 기록하며 평균자책점 타이틀과 사와무라 에이지상을 수상했다. 1950년에는 NPB 역사상 최초로 퍼펙트 게임을 달성했다.

1951년 일본 시리즈, 1952년 일본 시리즈, 1953년 일본 시리즈에서 승리하며 팀의 3년 연속 우승에 기여했다. 1955년 은퇴할 때까지 통산 200승을 거두었으며, 통산 승률 0.697은 2000이닝 이상 투구한 투수 중 역대 1위 기록이다.

3. 1. 요미우리 자이언츠 (1942~1944)

후지모토 히데오|藤本 英雄일본어는 1942년 가을에 메이지 대학을 졸업하고[48] 같은 해 시즌 도중 도쿄 교진군에 입단했다. 메이지 대학 시절 개인 통산 34승(역대 9위, 메이지 대학 투수 중 최다 기록)을 올리며 우승 투수로 활약한 도쿄 6대학 리그의 강속구 투수가 프로에 입단하면서, 당시 주장이었던 미즈하라 시게루가 소집된 직후였다. 9월 17일 첫 등판 시에는 요미우리 신문에 선발 예고가 게재되어 대대적으로 선전되었고, 당시 도쿄 교진군 주최 경기 동원 관중 신기록(16,942명)을 세웠다.[11] 그러나 이때 후지모토 히데오|藤本 英雄일본어는 한 달 정도 연습을 하지 못해 컨디션이 최악이었고, 노구치 아키라나 사토 타케오에게 홈런을 맞아 3실점, 8회부터는 스타루힌의 구원을 받아 겨우 승리 투수가 되었다.

입단 첫 해인 1942년 시즌에는 별다른 부상 없이 10연승을 기록했다. 10월 6일 아사히군전에서 2승째를 완봉으로 장식했고, 이후 폐막까지 무패로 10연승을 달성했다.

2년째인 1943년에는 시즌 34승(32선발승으로 1940년 빅토르 스타루힌과 역대 최다 선발승 타이 기록[49]), 평균자책점 0.73, 탈삼진 253개를 기록하며 다승왕, 최고 평균자책점, 최다 탈삼진을 모두 석권하는 등 투수 부문 3관왕을 달성했다. 동시에 7할 5푼 6리의 최고 승률을 기록했고 리그 1위인 19차례의 완봉승도 기록해 투수 부문 5관왕을 석권했다. 그 해의 평균자책점은 0.73, 시즌 19차례의 완봉승은 현재도 일본 프로 야구의 기록으로 남아있다. 같은 해 5월 22일의 나고야군전(고라쿠엔 구장)에서 노히트 노런을 달성했다.[12]

이듬해 1944년에는 투수로서 3번 타자로 활약했고 그 해 감독까지 겸임했다. 중일 전쟁으로 일부 선수들이 징병되어 인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팀을 이끌었는데, 25세의 감독 취임은 일본 프로 야구 역사상 최연소 기록이다.

3. 2. 도쿄 교진군 감독 (1944~1946)

에는 투수이면서 3번 타자를 맡았고, 감독과 주장을 겸임했다. 인원 부족의 전시 중 팀을 지탱했다. '''25세의 감독 취임은 일본 프로 야구 사상 최연소 기록'''이며, 이는 아직 갱신되지 않았다. 선수들은 도시바 후추 공장에서 오전에는 산업 전사로서 일하고 오후에는 야구 연습을 허가받았지만, 그라운드는 어디든 고구마밭이 되어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가끔이었지만 후지모토의 연줄로 시다바시에 있던 메이지 대학 그라운드를 빌려 연습했다고 한다.[14] 이 상황 속에서 그해 춘계 시리즈에서는 11승 3패의 승률.786으로 한신과 동률 선두를 기록했다. 후지모토는 선수로서도 스다 히로시(스타루힌)의 6승에 이은 5승(2패), 타율.320을 기록하며 진두 지휘로 팀을 이끌었다. 그러나 하계 시리즈에서는 국적을 이유로 스다가 출전할 수 없게 되었고, 부담이 커진 후지모토는 컨디션을 떨어뜨려 5승 6패로 끝났다. 팀도 8승 11패로 패했고, 주력 선수가 거의 남아 있던 한신에게 우승을 빼앗겨 자이언츠는 7연패를 놓쳤다.[15]

1946년 시즌 도중 나카지마 하루야스가 겸임 감독으로서 도쿄 교진군에 복귀하여 후지모토는 다시 선수로 복귀했다. 그러나 6월에 준비금 3만 엔을 받은 가와카미 데쓰하루가 도쿄 교진군으로 복귀하게 되었을 때 먼저 도쿄 교진군으로부터 준비금 1만 엔을 받고 있었던 후지모토는 도쿄 교진군에게 반환해줄 것을 요구했다. 구단 측은 다른 선수에게 준비금이 파급되는 것을 두려워하고 가와카미만의 특별 취급으로 하기 위해서 후지모토에게 반환을 요구했지만 이 일로 인해서 구단에 불신감을 느낀 후지모토는 1946년에 도쿄 교진군을 탈퇴했다.[16]

3. 3. 주니치 드래건스 (1947)

1947년 주니치 드래건스에서 한 시즌 동안 뛰면서 17승, 방어율 1.83, 27완투를 기록했다.[1] 미하라 오사무요미우리의 총감독으로서 지휘를 맡고 있던 당시, 후지모토에게 복귀를 요청했고, 주부니혼은 후지모토를 전력으로 계산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그를 방출하였다. 그 결과 후지모토는 어깨 부상으로 시즌 후반을 험난하게 보냈다.

3. 4. 요미우리 자이언츠 복귀 (1948~1955)

친정팀인 요미우리에 다시 복귀했지만 전년도에 어깨 부상으로 인해 시즌 초에는 주로 외야수로서 출전했다. 그러나 이번에는 다리에 부상당하면서 투수로 완전하게 돌아오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다행히도 외야수로 전향하고 있는 동안에 투구를 할 수 있을 정도의 어깨는 회복되고 있어 투수 복귀를 위해 연습을 하고 있었을 무렵에 밥 펠러의 투구 방법에 관한 책을 참고로 슬라이더를 습득했다.

어깨 부상으로 구위력은 떨어졌지만 래빗볼 도입으로 리그 전체의 투수 성적이 악화되고 있던 와중에 리그에서 단독으로 1점대(1.94)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면서 통산 세 번째의 최고 평균자책점 타이틀을 차지하였고 승수도 24승(2위)(모두 선발)(빅토르 스타루힌이 27승으로 최다승을 기록했지만 6구원승이 포함되어 있어 선발승으로 치자면 후지모토가 선발로만 24승으로 최다)을 기록하는 등 안정된 성적을 남겼다.[1]

1949년부터 1953년까지 매년 15승 이상을 기록해 벳쇼 다케히코, 오토모 다쿠미와 함께 요미우리 제2기 황금 시대의 투수진으로서 활약했다.

1954년에는 손가락 부상에 의해 1승에만 그쳤고, 이듬해 1955년에는 개막 이후부터 팀 전력에서 빠져 있었다. 그 해의 유일한 등판이 된 시즌 폐막 직전인 10월 11일의 히로시마 카프(와카야마 구장)전에서 경기 도중 5회부터 등판하여 피안타 1개로 막아내 승리 투수가 되었고 개인 통산 200승(통산 200선발승 아님)을 달성했다. 같은 해 마지막으로 은퇴했다.

매우 안정되어 있던 투수이면서도 통산 승률 6할 9푼 7리는 통산 2000투구 횟수 이상을 기록한 투수 중에서는 역대 1위의 기록이다. 그리고 통산 200승 이상으로 유일하게 통산 100패를 기록하지 않았던 투수이다(그 외에 통산 150승 이상에서도 사이토 마사키가 있다).

4. 은퇴 후

1956년부터 1957년까지 요미우리의 코치와 2군 감독을 맡았지만, 1957년 시즌 종료 후 시나가와 가즈에 구단 사장과 미즈하라 시게루 감독 간의 갈등에 휘말려 사임했다.[1] 이후 다이와 증권의 감독으로 발탁되었고, 요미우리 신문 로스앤젤레스 지국 주재원도 역임했다. 1976년에는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1997년 4월 26일 심근 경색으로 사망했다(향년 78세).[1]

5. 선수로서의 특징

후지모토 히데오는 뛰어난 제구력과 빠른 공을 가진 투수였다. 1943년에는 34승, 평균자책점 0.73(일본 프로 야구 기록), 19완봉(일본 프로 야구 기록)을 기록하며 투수 부문 3관왕을 차지했고, 1949년에는 24승, 평균자책점 1.94를 기록하며 사와무라 에이지상을 수상했다.[1] 1950년 6월 28일에는 일본 프로 야구 역사상 최초로 퍼펙트 게임을 달성했다.

1943년 5월에는 나고야를 상대로 첫 노히트 노런을 기록했고, 8월과 9월 사이에는 6경기 연속 완봉승을 거두며 이닝 동안 무실점, 100이닝 동안 자책점을 허용하지 않는 기록을 세웠다. 1944년에는 투수와 감독을 겸임하는 것 외에도 가끔 외야수로 출전했다. 그는 주로 투수로 활약한 선수 치고는 훌륭한 타자였으며, 통산 타율 0.245에 15개의 홈런(1950년에 7개)을 기록했다.[1]

다음은 후지모토 히데오의 투수로서의 특징과 주요 기록을 정리한 표이다.

특징내용
뛰어난 제구력
빠른 공
다양한 변화구
뛰어난 탈삼진 능력1943년 253탈삼진(당시 리그 1위)
완투 능력1943년 39완투, 1946년 21완투, 1947년 27완투, 1949년 29완투, 1950년 33완투
완봉 능력1943년 19완봉(일본 프로 야구 기록)
주요 기록내용
퍼펙트 게임1950년 6월 28일(일본 프로 야구 최초)
노히트 노런1943년 5월
6경기 연속 완봉승1943년 8월~9월
이닝 연속 무실점1943년 8월~9월
100이닝 연속 무자책점1943년



다음은 후지모토 히데오의 시즌별 주요 기록을 정리한 표이다.

연도소속팀경기선발완투완봉무4구승리패배세이브홀드승률타자투구 이닝피안타피홈런볼넷고의4구사구탈삼진폭투보크실점자책점평균자책점WHIP
1942요미우리1412942100----1.000433111.064236--0530015100.810.90
19435646391933411----.7561664432.22123168--12539057350.730.88
194421191751108----.556693169.2132362--11132054301.591.14
194631252191216----.778870217.1171681--0831063512.111.16
1947주니치353127411715----.5311062275.0220752--5771067561.830.99
1948요미우리221290185----.615517131.0104324--3512133251.720.98
194939312955247----.7741137288.02381455--61371072621.941.02
1950493433682614----.6501442360.13072570--215610117982.441.05
195131251633157----.682822206.1189741--3881189723.131.11
195234251453166----.727830213.21691138--2890068562.360.97
195329251337176----.739777198.2166930--1730060462.080.99
19545500012----.3338319.22134--140015135.851.27
19551000010----1.000165.010000000000.000.20
통산: 13년367290227633520087----.697103462628.119949366102511771827105541.901.01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빨간색 굵은 글씨'''는 NPB 기록 (통산 성적은 2000 이닝 이상)

6. 인물

후지모토 히데오는 본명이 이팔룡으로, 당시 일본 제국의 일부였던 부산에서 태어나 8세에 일본으로 이주했다. 시모노세키 상업고등학교와 메이지 대학을 졸업했다.[1]

대학 졸업을 앞두고 도쿄 교진군 외에도 아사히군, 난카이군, 한큐로부터 입단 권유를 받았다. 시모노세키 상업의 선배인 히라야마 키쿠지의 권유를 받아 자이언츠 대표 이치오카 타다오와 만나 입단을 결심했고, 시즌 중인 9월 25일 도쿄 교진군에 입단했다.

1944년에는 투수이면서 3번 타자를 맡았고, 감독과 주장을 겸임했다. 인원 부족의 전시 중 팀을 지탱했다. '''25세의 감독 취임은 일본 프로 야구 사상 최연소 기록'''이며, 이는 아직 갱신되지 않았다.

선수 생활 은퇴 후, 그는 자이언츠에서 코치를 역임했고, 일본 마이너 리그와 산업 리그에서 감독을 맡았다. 또한 ''요미우리 신문''의 로스앤젤레스 특파원으로도 활동했다.

1976년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7. 상세 정보

후지모토 히데오는 본명이 이팔룡으로, 부산에서 태어나 8세에 일본으로 이주했다. 시모노세키 상업고등학교와 메이지 대학을 졸업했다.[1]

1943년 일본 프로 야구 역사상 최고의 시즌 중 하나를 보내며 투수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 교진에서 34승을 거두며 리그 승리, 완투(39), 이닝() 및 탈삼진(253)에서 1위를 차지했다. 19개의 완봉승으로 일본 기록을 세웠고, 평균자책점 0.73으로 단일 시즌 기록을 세웠다. 5월에는 나고야를 상대로 첫 노히트 노런을 기록했고, 8월과 9월 사이에는 6경기 연속 완봉승을 거두며 이닝 무실점, 100이닝 동안 자책점을 허용하지 않는 기록을 세웠다.

1944년, 투수와 감독을 겸임하며 가끔 외야수로도 출전했다. 통산 타율 0.245에 15개의 홈런을 기록할 정도로 타격에도 재능을 보였다.[1] 1946년에는 평균자책점 2.11로 리그 1위를 차지했다. 1947년 주니치 드래건스에서 뛰며 17승, 평균자책점 1.83, 27완투를 기록했다. 1949년에는 24승 7패, 평균자책점 1.94, 29완투로 평균자책점 타이틀과 사와무라 에이지상을 수상했다.

1950년 아오모리 현립 야구장에서 NPB 역사상 최초로 퍼펙트 게임을 달성했다. 1951년 일본 시리즈 1차전과 5차전에서 승리 투수가 되어 자이언츠가 난카이 호크스를 꺾고 우승하는 데 기여했다. 1952년 일본 시리즈에서도 승리(홈런 기록)하며 자이언츠의 우승에 기여했고, 1953년 일본 시리즈에서도 승리하여 3년 연속 우승을 이끌었다.

은퇴 후 자이언츠 코치, 일본 마이너 리그 감독, 산업 리그 감독을 역임했다. ''요미우리 신문'' 로스앤젤레스 특파원으로도 활동했다. 1976년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대학 졸업을 앞두고 여러 팀의 입단 제의를 받았으나, 도쿄 교진군에 입단했다. 프로 첫 등판은 대대적으로 홍보되었으나, 컨디션 난조로 고전했다. 그러나 곧 컨디션을 회복하여 10연승을 달성했다.

1943년에는 스타루힌 등이 전력에서 이탈한 가운데 에이스로 활약하며 노히트 노런을 달성하고, 11연승, 100이닝 2자책점[12], 62이닝 무실점[13] 등의 기록을 세웠다. 다승왕, 최우수 평균 자책점, 최다 탈삼진 3관왕과 최고 승률을 수상했고, 19완봉으로 일본 프로 야구 기록을 세웠다.

1944년에는 투수 겸 3번 타자, 감독, 주장을 겸임하며 팀을 이끌었다. '''25세의 감독 취임은 일본 프로 야구 사상 최연소 기록'''이다.[14] 전시 상황 속에서 팀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후지모토는 춘계 시리즈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그러나 하계 시리즈에서는 국적 문제로 스다가 출전하지 못하게 되면서 어려움을 겪었다.[15]

1944년과 1946년의 감독 성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순위경기승리패배승률게임차
홈런

타율

방어율
나이
1944년요미우리2위3519142.57685.2361.9226세
1946년2위10564392.621124.2572.5928세



※1946년은 6월 10일자로 나카지마 하루야스와 교체[16]

후지모토 히데오의 등번호는 다음과 같다.


  • '''35''' (1942년 ~ 1943년)
  • '''23''' (1946년)
  • '''3''' (1947년)
  • '''17''' (1948년 ~ 1956년)
  • '''31''' (1957년)[11]


1944년 시즌은 전체 6개 구단에서 등번호가 폐지되었다.[11]

7. 1. 수상·타이틀 경력

후지모토 히데오는 선수 시절 뛰어난 활약으로 사와무라 에이지상(1949년), 베스트 나인(1949년)에 선정되었고,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1976년)되었다.

7. 1. 1. 타이틀

타이틀횟수연도
최다 승리1회1943년
최다 선발승2회1943년, 1949년
최고 승률3회1943년, 1946년, 1949년
최우수 방어율3회1943년, 1946년, 1949년
최다 탈삼진2회1943년, 1944년


  • 최다 탈삼진은 당시 연맹 표창은 없었음.
  • 최고 승률 3회는 역대 3위 타이 기록.

7. 1. 2. 수상


  • 사와무라 에이지상 : 1회(1949년)[1]
  • 베스트 나인 : 1회(1949년)[2]
  •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1976년)[3]
  • 최다 승리 : 1회 (1943년)[8]
  • 최우수 방어율 : 3회 (1943년, 1946년, 1949년)[9]
  • 최다 탈삼진 : 2회 (1943년, 1944년) ※당시 연맹 표창 없음[10]
  • 최고 승률 : 3회 (1943년, 1946년, 1949년) ※3회는 역대 3위 타이기록[11]
  • 야구 명예의 전당 경기자 표창 (1976년)[14]

7. 2. 주요 기록

기록명횟수달성일 및 구장, 상대팀
퍼펙트 게임1회1950년 6월 28일, 아오모리 시영 야구장, 대 니시니폰 파이레츠 전 ※사상 최초[41]
노히트 노런2회1943년 5월 22일, 고라쿠엔 구장, 대 나고야 전
1950년 6월 28일, 퍼펙트 게임(상동)
매덕스(100구 미만 완봉)1회1950년 6월 28일 (상기의 "퍼펙트 게임"과 동일 경기)
200승1회1955년 10월 11일 ※ 사상 6번째[41]
완투 경기 최소 투구 수1회75구, 1946년 10월 27일, 대 한큐군전[45]
2일 연속 완봉 승리2회1943년 8월 16일 - 17일, 9월 18일 - 19일 ※ 2회는 NPB 기록[46]
올스타전 출장2회



기록명기록 내용비고
통산 승률.6972000 투구회 이상 역대 1위[41]
통산 평균자책점1.902000 투구회 이상 역대 1위[41]
시즌 최고 평균자책점0.731943년, 프로 야구 기록[41]
시즌 최다 완봉 승리19승1943년, 노구치 지로와 대등한 프로 야구 타이 기록[41]
6경기 연속 완봉 승리6경기1943년 8월 2일 ~ 9월 12일, 프로 야구 타이 기록[44]
62이닝 연속 무실점62이닝1943년 8월 1일 ~ 9월 15일, 1리그 시대 기록
투수 시즌 최다 홈런7개1950년, 센트럴 리그 기록[47] (2014년에 오타니 쇼헤이가 10홈런으로 갱신)
시즌 최다 선발 승리321943년, 스다 히로시, 노구치 지로와 동률[42]
신인 최다 연승101942년, 1리그 시대 기록[43]


7. 3. 연도별 투수 성적


넷승리패전세이브홀드승률타자투

회피

타피

볼넷고의사구사구탈삼진폭투보크실점자책점평균자책점WHIP1942년도쿄 교진군1412942100----1.000433111.064236--0530015100.810.901943년5646391933411----7561664432.22123168--12539057350.730.881944년21191751108----.556693169.2132362--11132054301.591.141946년31252191216----778870217.1171681--0831063512.111.161947년주부니혼353127411715----.5311062275.0220752--5771067561.830.991948년요미우리221290185----.615517131.0104324--3512133251.720.981949년39312955247----7741137288.02381455--61371072621.941.021950년493433682614----.6501442360.13072570--215610117982.441.051951년31251633157----.682822206.1189741--3881189723.131.111952년34251453166----.727830213.21691138--2890068562.360.971953년29251337176----.739777198.2166930--1730060462.080.991954년5500012----.3338319.22134--140015135.851.271955년1000010----1.000165.010000000000.000.20통산 : 13년367290227633520087----.697103462628.119949366102511771827105541.901.01



1943년에는 팀 84경기 중 46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34승, 평균자책점 0.73, 253탈삼진으로 다승왕, 최우수 평균 자책점, 최다 탈삼진 3관왕을 기록했다.[12][13] 승률.756으로 최고 승률을 수상했고, 19완봉은 리그 1위로, 사와무라 에이지(1937년 봄), 스타루힌(1938년 가을)에 이어 일본 프로 야구 사상 3번째 투수 5관왕을 달성했다. 방어율 0.73, 19완봉은 현재도 일본 프로 야구 기록이다.

1949년에는 래빗볼 도입으로 리그 전체 투수 성적이 악화되는 가운데, 리그에서 유일하게 방어율 1점대(1.94)를 기록하며 3번째 최우수 평균 자책점 타이틀을 획득했고, 24승(리그 2위)을 거두는 등 안정적인 성적을 남겼다.

1950년 6월 28일 니시닛폰전 (아오모리)에서 일본 프로 야구 사상 최초 퍼펙트 게임을 달성했다.[22]

1955년에는 구위가 급격히 감소하여 10월 11일 히로시마전 (와카야마)에서 유일하게 등판하여 200승을 달성하고[29] 그 해를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7. 4. 연도별 타격 성적

홈런팀
타율팀
방어율나이요미우리2위3519142.57685.2361.9226세2위10564392.621124.2572.5928세※1946년은 6월 10일자로 나카지마 하루야스와 교체


7. 5. 연도별 감독 성적

연도순위경기승리패배승률게임차팀 홈런팀 타율팀 방어율나이
1944년요미우리2위3519142.57685.2361.9226세
1946년2위10564392.621124.2572.5928세



※1946년은 6월 10일자로 나카지마 하루야스와 교체[16]

7. 6. 등번호



1944년 시즌은 전체 6개 구단에서 등번호가 폐지되었다.[11]

참조

[1] 웹사이트 Hideo Fujimoto, https://www.baseball[...] 2015-04-02
[2] 웹사이트 藤本英雄 https://sp.baseball.[...] 2024-10-26
[3] 웹사이트 殿堂入りリスト 中上英雄(なかがみひでお)|財団法人野球体育博物館 http://www.baseball-[...]
[4] 웹사이트 http://www.baseball-[...]
[5] 웹사이트 藤本英雄選手の残した偉大な記録とは?【球史に名を残した偉人達】(1/1) https://spaia.jp/col[...] 2019-12-07
[6] 서적 巨人軍の男たち
[7] 서적 魔球伝説-プロ野球不滅のヒーローたち
[8] 서적 魔球伝説-プロ野球不滅のヒーローたち
[9] 웹사이트 黄金時代と戦争時代 史上初の4連覇(12.13年)の偉業、18年に突如リーグ戦中止命令 http://meiji-bbc.net[...]
[10] 서적 魔球伝説-プロ野球不滅のヒーローたち
[11] 서적 사무라이達의 프로야구
[12] 서적 프로야구기록대감
[13] 서적 프로야구기록대감
[14] 서적 魔球伝説-プロ野球不滅のヒーローたち
[15] 서적 宇佐美徹也의 기록 巨人軍65年
[16] 서적 完全試合
[17] 서적 魔球伝説-プロ野球不滅のヒーローたち
[18] 서적 猛牛一代
[19] 서적 日本プロ野球トレード大鑑
[20] 서적 사무라이達의 프로야구
[21] 서적 프로야구기록대감
[22] 웹사이트 【あの日のスタメン】プロ野球史上初の完全試合 1950年6月28日に巨人の藤本英雄が達成 https://news.ntv.co.[...] 2024-10-26
[23] 웹사이트 【記録の泉】史上初の完全試合は50年の巨人・藤本英雄 先発予定・多田文久三の腹痛で急きょ登板〝徹マン明け〟で偉業 https://www.sanspo.c[...] 2024-08-03
[24] 웹사이트 その14 藤本英雄 完全試合記念楯 https://baseball-mus[...] 2024-08-03
[25] 뉴스 6月29日付読売新聞 読売新聞
[26] 서적 사무라이達의 프로야구
[27] 간행물 週刊ベースボール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10-04-05
[28] 서적 剛球唸る!
[29] 서적 日本プロ野球 歴代名選手名鑑
[30] 웹사이트 PDFをダウンロードする - 野球殿堂博物館 https://baseball-mus[...]
[31] 간행물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2020年9月号、東映フライヤーズ暴れん坊伝説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別冊夏祭号)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32] 논문 完全試合第一号 中上英雄投手 https://hdl.handle.n[...] 明治大学大学史料委員会
[33] 웹사이트 【週ベ60周年記念企画110】『特集 巨人を支える二人の1年生〜堀本と青木 特別レポート 新監督三人男の功罪』【1960年5月18日増大号】 https://column.sp.ba[...]
[34] 웹사이트 蛭間豊章記者の「Baseball inside」 : 大谷7号は藤本英雄以来10勝投手最多タイ https://weblog.hochi[...] 蛭間豊章
[35] 웹사이트 蛭間豊章記者の「Baseball inside」 : 野球殿堂記者投票への考察⑰(1975、76年度)規約改正で投票発表は年明けに変更。ために75年度は空白。76年は初の完全男と志ん生と縁の深かった慶大塾長を選出 https://weblog.hochi[...] 蛭間豊章
[36] 서적 報知グラフ 別冊 巨人軍栄光の40年
[37] 서적 サムライ達のプロ野球
[38] 서적 ジャイアンツ栄光の70年
[39] 서적 青バットのポンちゃん大下弘―伝説に彩られた天才打者の実像
[40] 서적 サムライ達のプロ野球
[41] 서적 プロ野球記録大鑑
[42] 서적 プロ野球記録大鑑
[43] 서적 プロ野球記録大鑑
[44] 서적 プロ野球記録大鑑
[45] 서적 プロ野球記録大鑑
[46] 서적 プロ野球記録大鑑
[47] 서적 プロ野球記録大鑑
[48] 문서 당시 태평양 전쟁의 영향으로 대학 졸업 시기가 앞당겨졌다.
[49] 뉴스 日대지진, 巨人 역사도 바꿨다…개막 연기 확정 https://sports.news.[...] 이데일리 2019-08-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