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한 명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한 명제는 후한 광무제의 아들로, 57년부터 75년까지 재위했다. 그는 부지런하고 유능한 행정가로서, 아버지의 정책을 계승하고 서역에 대한 적극적인 진출을 재개했다. 명제 시대에 불교가 전래되었다는 설이 있지만, 자세한 내용은 불분명하다. 그의 치세는 안정된 전성기를 이루었으며, 외척 세력을 억제하여 후한의 안정을 도왔다. 75년에 48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의 유언에 따라 사당을 짓지 않고 어머니와 함께 제사를 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8년 출생 - 베레니케 (헤로데 아그립파의 딸)
    베레니케는 헤로데 아그립파 1세의 딸로, 여러 차례 결혼을 거쳤으며 유대-로마 전쟁 시기에 유대인을 위해 노력했으나 실패하고 로마 황제 티투스와 관계를 맺기도 했다.
후한 명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산재도회에 실린 명제의 초상"
유장(劉莊)
자려(子麗)
묘호현종(顯宗)
시호효명황제(孝明皇帝)
존호황제(皇帝)
생년28년 6월 15일
몰년75년 9월 5일 (47세)
아버지광무제
어머니광렬황후
배우자명덕황후 마씨
가귀인
자녀장제
능묘현절릉(顯節陵)
통치
재위 기간57년 3월 29일 ~ 75년 9월 5일
연호영평(永平)
봉호동해공(東海公), 동해왕(東海王)
가계
황후명덕마황후
후궁가귀인
신귀인(辛貴人)
충귀인(充貴人)
황자유강
유보(劉輔)
유언(劉衍)
유병(劉秉)
유장(劉長)
유기(劉奇)
유정(劉政)
유개(劉鍇)
유공(劉恭)
유수(劉壽)
황녀경무공주(敬武公主) 유간(劉簡)
옹안공주(雍安公主) 유중(劉仲)
역향공주(역鄕公主) 유개(劉蓋)
관도공주(館陶公主) 유홀(劉忽)

2. 생애

28년, 광무제와 음귀인 사이에서 유양(劉陽, 훗날의 명제)이 태어났다.[4] 39년, 유양은 동해공(東海公)에 봉해졌고,[4] 41년, 곽황후가 폐위되고 음려화가 황후가 되면서 동해왕(東海王)으로 승격되었다.[4]

이복형 유강은 어머니 곽황후의 폐위로 황태자 자리를 불안하게 여겨 여러 차례 사양했고, 43년 광무제는 이를 허락하여 유강을 동해왕으로 삼고 유양을 황태자로 책봉했다. 이때 유양은 백성들에게 어려움을 줄 수 있다는 이유로 이름이 장(莊)으로 바뀌었다.[4]

57년 광무제가 사망하자 황태자 유장이 30세의 나이로 즉위했다.[5] 명제는 아버지의 시정 방침을 계승했지만, 외교 면에서는 소극적인 정책을 바꾸고 한 무제가 진출한 서역 지방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대외 정책으로 반초가 활약하게 되었다. 명제 시대에 불교가 정식으로 전래되었다고 전해지지만, 자세한 내용은 불분명하다. 불교 전래 전설은 백마사의 창건과 사십이장경의 전래에 관한 전승으로 전해진다.

명제의 치세는 광무제, 장제와 함께 후한의 안정된 전성기로 평가받는다.[1] 마황후의 현명한 내조와 외척 세력 억제는 후한 안정에 기여했다.[1] 그러나 어린 황제가 계속 즉위하면서 외척과 환관의 권력 다툼이 심해졌고, 이는 후한 멸망의 한 원인이 되었다.[1]

75년, 명제는 4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2. 1. 어린 시절과 황태자 책봉

28년, 광무제와 음귀인 사이에서 유양(劉陽, 훗날의 명제)이 태어났다.[4] 그는 10살에 춘추에 능통하여 광무제의 총애를 받았다.

39년, 유양은 동해공(東海公)에 봉해졌다.[4] 41년, 곽황후가 폐위되고 음려화가 황후가 되면서, 유양은 동해왕(東海王)으로 승격되었다.[4]

이복형 유강은 어머니 곽황후의 폐위로 황태자 자리를 불안하게 여겨 여러 차례 사양했고, 43년 광무제는 이를 허락하여 유강을 동해왕으로 삼고 유양을 황태자로 책봉했다. 이때 유양은 백성들에게 어려움을 줄 수 있다는 이유로 이름이 장(莊)으로 바뀌었다.[4] 장(莊)씨 가문 사람들은 이 때문에 이름을 바꿔야 했다.

51년, 훗날 황후가 되는 마원의 막내딸 마부인이 12세의 나이로 23세의 장태자의 후궁이 되었다.[4] 마부인은 아들을 낳지 못했지만, 조카딸 가부인의 아들 유달(劉炟)을 양자로 입양했다.

태자 시절, 장은 광무제에게 중요한 문제에 대한 의견을 자주 요청받았다. 51년에는 흉노와의 관계에서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데 관여하여, 북흉노의 화친 제안을 거절하도록 광무제에게 건의하여 남흉노와의 관계를 돈독하게 했다.

2. 2. 즉위와 통치

57년(건무중원 2년) 광무제가 사망하자 황태자 유장이 30세의 나이로 즉위했다.[5] 명제는 아버지의 시정 방침을 계승했지만, 외교 면에서는 소극적인 정책을 바꾸고 한 무제가 진출한 서역 지방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대외 정책으로 반초가 활약하게 되었다.

명제는 부지런하고 유능한 행정가로서 제국을 다스렸으며, 부패한 관료들을 근절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폐위된 곽황후의 형제들을 공정하게 대우하고, 유교적 의례를 통해 겸손한 모습을 보였다.[5] 58년 그의 형이자 전 황태자였던 강왕이 사망하자, 왕자와 주요 관리들에게 매우 이례적인 영예를 부여하여 강왕의 장례식에 참석하도록 명령했다. 59년 그의 형제인 동평왕 유창의 제안에 따라 황제가 직접 그를 도왔던 관리들에게 경의를 표하는 여러 유교 의례를 제정하여 겸손함을 보였다.

60년, 명제는 가장 총애하는 마씨를 황후로 책봉하고, 마황후의 양아들인 유달을 황태자로 책봉했다.[5] 같은 해, 후한 왕조를 재건하는 데 도움을 준 장군과 관리 28명의 초상화를 궁궐 누각에 그렸는데, 이들을 "운대이십팔장"이라고 부른다.[5] 그러나 마씨 황후의 아버지인 마원은 이 영예를 받지 못했다.

재위 초기에 북흉노는 후한과 동맹국인 남흉노 모두에게 끊임없는 위협이었다. 명제는 북흉노와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군사적, 경제적 전술을 사용했고 대체로 성공적이었다. 65년 북쪽 경계와 남흉노를 보호하기 위해 도요영으로 알려진 영구적인 국경 방위군을 창설했다.[5]

66년, 명제는 낙양에 고위 관리와 제후의 자녀들을 위한 유교 학교를 세웠는데, 이것은 중국 역사상 최초의 황실 대학 중 하나로 발전하게 된다.[5] 남흉노 귀족의 자녀들도 이 학교에 다닐 수 있게 하여, 민족 간 화합을 도모했다.

2. 3. 대외 정책

명제는 아버지 광무제의 소극적인 대외 정책을 바꾸고, 한 무제가 진출했던 서역 지방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기 시작했다.[4] 이러한 대외 정책으로 반초가 활약하게 되었다.

73년, 북흉노가 한나라를 계속 침략하자, 명제는 장군 경병과 두고에게 북흉노에 대한 대규모 원정을 지시했다. 비록 큰 성공은 거두지 못했지만, 한나라가 반격할 수 있다는 것을 북흉노에게 보여주었다.

두고는 원정의 일환으로 그의 부하 반초를 서역(현재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구 소련 중앙 아시아)의 산산 왕국(타클라마칸 사막 동쪽 가장자리에 위치)에 파견했다. 서역 왕국들은 오랫동안 북흉노에 복종하며 과중한 세금을 견디지 못하고, 한나라가 개입하여 한 무제 때부터 시작된 서한 시대의 종주권을 다시 확립해 줄 것을 자주 요청했다. 그러나 한나라가 서역 원정을 수행할 만큼 강하지 않다고 판단한 광무제와 명제는 계속 거부했다. 처음에 산산 왕국의 왕은 매우 기뻐하며 한나라 사절을 존경받는 손님으로 맞이했지만, 환영은 점차 식어갔다. 반초는 북흉노 사절이 도착했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야간 기습으로 흉노 사절을 학살했다. 산산 왕국의 왕은 충격을 받았지만 어느 정도 기뻐하며 다시 한나라의 종주권에 복종했다.

명제는 반초를 승진시키고, 다음으로 우전(호탄)을 방문하도록 지시했다. 우전은 당시 남서역에서 가장 강력한 왕국이었으며 북흉노와 강력한 동맹을 맺고 있었다. 우전의 왕 광덕(廣德)은 그의 수석 주술사를 신뢰했는데, 주술사는 반초의 말을 요구했다. 반초는 그에게 말을 주기로 하고, 주술사가 말을 가지러 왔을 때 즉시 그를 처형하고 그의 머리를 광덕에게 보냈다. 광덕은 감명을 받아 한나라의 종주권에 복종했다. 우전이 복종하자 서역 왕국들은 대체로 모두 복종했다.

74년, 두고와 경병은 북흉노의 주요 잔존 동맹국인 차사 (대략 현대의 창지 후이족 자치주,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대한 대규모 군사 원정을 이끌었다. 차사는 복종했고, 두고의 제안에 따라 서역 도호(都護)의 관청이 재설립되었다. 75년 북흉노의 차사 재탈환 원정은 도호의 부관 중 한 명인 경공에 의해 격퇴되었다.

2. 4. 불교 수용

명제 시대에 불교가 정식으로 전래되었다고 전해지지만, 자세한 내용은 불분명하다. 불교 전래 전설은 백마사의 창건과 『사십이장경』의 전래에 관한 전승으로 전해진다. 또한 이복 형인 초왕 유영이 황로(黃老)와 함께 부도(붓다)를 숭배했다는 기록이 『후한서』에 남아 있다.

2. 5. 논란

명제는 통치 초기에 관대함과 형제에 대한 애정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는 겉으로 보기에 그들 중 일부가 당시 금기시되던 행동을 하도록 유발하여 명제에 의해 엄중한 처벌을 받게 되었고, 명제의 통치에 오점을 남긴 두 번의 대규모 숙청 사건으로 이어졌다.[5]

이 사건 중 첫 번째는 66~67년에 발생했으며 비교적 유혈 사태가 없었다. 야심찬 광림왕 유경(劉荊)은 황제가 되기를 원했고, 반역을 꾀하기 위해 그 휘하의 사람들과 음모를 꾸몄다. 그 사실을 알고 그는 자백했고, 명제는 처음에 그를 살려두어 광림왕의 지위를 유지하도록 했지만, 그의 정치적 권력을 박탈했다. 그러나 나중에 유경은 주술사들을 고용하여 명제를 저주했다. 그가 발각된 후 명제는 처음에는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지만, 67년에 유경에게 자살을 강요했다.[5]

다음 사건은 유혈 사태가 있었다. 70년, 초왕 유영 - 우연히도 광무제의 유일한 아들로, 두 황후가 아닌 서빈에게서 태어났다 - 은 주술사들을 고용하여 황금 거북과 옥 학을 만들고, 그 위에 특이한 축복을 기원하는 글자를 새겼는데, 이는 당시 주요 금기 사항이었다. 또한, 그는 혁명적인 글을 쓴 것이 발각되었다. 명제는 그를 죽이지 않고, 그의 제후국에서 폐위시키고, 유배 보내 일반인으로 만들었다(하지만 500호의 작은 봉토를 받았다). 71년에 유영은 유배지에서 자살했다. 그러나 조사는 끝나지 않았다. 명제의 명령에 따라 유영의 측근들(가족 제외)은 가혹하게 고문받고 심문을 받았으며, 공모자로 지목된 사람은 누구든 체포되어 추가로 고문과 심문을 받았다. 심문자들은 이 기회를 이용하여 다른 많은 사람들을 음모 혐의로 허위 고발했다. 조사 과정에서 수만 명이 고문이나 처형으로 사망했다. 마황후의 중재와 심문자 중 한 명인 한랑(寒朗)의 설득력 있는 청원에 의해서만 심문이 잦아들었다.[5]

비슷한 사건이 73년에 발생했는데, 회양왕 유연(劉延)이 주술사들을 고용하여 명제를 저주하려 했다는 정보가 들어왔다. 유연의 측근 몇 명이 처형되었고, 초나라식 심문이 진행된 후 처형되거나 유배된 다른 사람들도 많았다. 유연 자신은 처형되지 않았지만, 군급 제후국에서 풀림왕으로 강등되었고, 그의 제후국에는 두 개의 현만 있었다.[5]

2. 6. 죽음과 평가

57년 광무제가 붕어하자, 황태자였던 유장이 명제로 즉위했다. 75년, 명제는 4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유언으로 자신을 위한 사당을 짓지 않고, 어머니 음태후와 함께 제사를 지내도록 했다.[1] 명제의 치세는 광무제, 장제와 함께 후한의 안정된 전성기로 평가받는다.[1] 마황후의 현명한 내조와 외척 세력 억제는 후한 안정에 기여했다.[1] 그러나 어린 황제가 계속 즉위하면서 외척과 환관의 권력 다툼이 심해졌고, 이는 후한 멸망의 한 원인이 되었다.[1]

3. 가족 관계

배우자자녀
명덕황후 마씨없음 (유달을 양자로 삼음)
귀인 가씨
귀인 음씨
귀인 진씨(자녀 없음)
귀인 염씨 [1](자녀 없음)
생모 미상자녀
(생모 미상)


4. 연호

연호사용 기간
영평58년 ~ 75년


참조

[1] 서적 wuxu'' day of the 2nd month of the 2nd year of the ''(Jian'wu) Zhong'yuan'' era, per Emperor Ming's biography in ''Book of the Later Han
[2] 서적 Taiping Yulan
[3] 서적 Houhanshu
[4] 뉴스 Chinese Zhuang surname history http://english.peopl[...] People's Daily Online 2005-07-07
[5]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Family Names in Britain and Ireland
[6] 서적 後漢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