훔볼트 해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훔볼트 해류는 남극해에서 발원하여 페루와 칠레 연안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는 한류이다. 무역풍의 영향으로 순환하며, 주변 해역의 표면 수온을 낮추고 높은 생물학적 생산성을 보인다. 용승 현상으로 인해 멸치, 정어리 등 다양한 어종의 서식지이며, 세계적인 어업 자원이다. 엘니뇨와 같은 기후 변화는 어류 개체수와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며, 어업과 생태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칠레의 기후 - 남극순환류
남극 순환류는 남극 대륙을 중심으로 대서양, 태평양, 인도양을 연결하는 해류로, 강력한 편서풍에 의해 구동되며 지구 기후와 해양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칠레의 지리 - 칠레 마토랄
칠레 마토랄은 칠레 중부에 위치한 생태 지역으로, 다양한 식생과 고유종을 포함하며 인구 밀집과 개발로 인해 1.3%만이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 칠레의 지리 - 파타고니아
파타고니아는 남아메리카 남쪽 끝 안데스산맥을 경계로 아르헨티나와 칠레에 걸쳐 있는 지역으로, 원주민과 유럽 이민자 문화가 공존하며 독특한 자연환경과 생태계를 이루고 광업, 축산업, 관광업이 발달했으나 최근 환경 문제와 외국인 토지 매입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 페루의 지리 - 과야킬만
- 페루의 지리 - 파리냐스곶
훔볼트 해류 | |
---|---|
해양 정보 | |
위치 | 태평양 남동부 |
주요 특징 | 한류 |
범위 | 남아메리카 서안, 칠레 남부에서 페루를 거쳐 에콰도르까지 |
해류 폭 | 500 ~ 1,000 km |
수온 | 16 ~ 25°C |
염분 | 비교적 낮음 |
명칭 | |
다른 이름 | 페루 해류 훔볼트 해류(Humboldt Current) |
해양학적 특징 | |
해류의 종류 | 표면 해류 |
해류 시스템의 일부 | 남태평양 환류의 동쪽 경계 해류 |
생태계 영향 | |
영양분 | 풍부한 영양 염류 함유 |
어업 | 세계적인 어장 형성 |
기후 | 연안 지역의 기후에 영향 안개 발생 증가 강수량 감소 |
관련 연구 | |
연구 | 알렉산더 폰 훔볼트의 연구 |
2. 물리적 특성
무역풍은 훔볼트 해류 순환의 주요 동인이다.[1] 이 시스템의 가변성은 북쪽의 열대 수렴대와 무역풍 사이의 위도 변화에 의해 주도된다. 중위도에서 남태평양 고기압 내의 변화뿐만 아니라, 사이클론성 폭풍과 남쪽 편서풍의 남하 이동 또한 시스템 변화에 기여한다. 칠레 중부 해안의 대기 변동성은 해양 경계층과 해안 산맥 사이에 갇힌 해안 저기압 시스템의 악화로 인해 강화된다. 이는 남위 27도에서 남위 42도까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1]
상층 해양을 차지하는 훔볼트 해류는 적도를 향해 흘러 신선하고 차가운 남극 하위 표층수를 북쪽으로 운반하며, 아열대 순환류의 외곽을 따라 흐른다.[1] 해류의 주요 흐름은 페루 남부 해안에서 멀어지며, 더 약한 지류가 적도를 향해 계속 흐른다. 남위 18도 부근에서 신선하고 차가운 물이 따뜻하고 염도가 높은 아열대 표층수와 섞이기 시작한다. 이러한 충돌은 부분적인 침강을 유발한다. 이 지역 내에서 적도 잠류가 적도를 따라 동쪽으로 흐르며, 극쪽으로 이동하는 페루-칠레 잠류에 공급된다.[1]
칠레 중부 해안에서는 높은 에디 운동 에너지를 특징으로 하는 해안 전이대(CTZ)가 있다.[1] 이 에너지는 600-800km 떨어진 중규모 에디를 형성한다. CTZ는 경계 내에 세 개의 뚜렷한 지역을 가지고 있다.
# 페루 해안에서 넓은 지역의 높은 엽록소-a 농도 (10–15°S),
# 칠레 해안에서 넓은 지역의 높은 엽록소-a 농도 (30°S), 및
# 칠레 북부 해안에서 좁은 지역의 높은 엽록소-a 농도. 높은 엽록소-a 농도는 일반적으로 해안에서 50 km 이내에서 발견된다.[1]
페루 해안에서 멀어지는 훔볼트 해류 시스템의 지류는 시스템 내 환기를 감소시킨다.[1] 이러한 환기 부족은 중간 깊이의 하위 표층에서 형성되는 강렬한 최소 산소 구역(OMZ)의 주요 동인이다. 북쪽에서는 EUC가 OMZ를 환기시키고, 남쪽에서는 PCU가 저산소수를 북쪽으로 이류시켜 칠레 북부로 이동시킨다.[1] 이 OMZ는 세계 해양에서 네 번째로 큰 영구적인 저산소 구역이다. 이 구역은 약 2.18 ± 0.66 × 106 km3 면적을 차지한다. 이 구역의 중심은 페루 해안에서 벗어나 있으며, 약 100m에서 600m까지 얕은 상부 경계를 형성한다.[1] OMZ에 기여하는 또 다른 요인은 1차 생산 자원의 침강과 붕괴이다.[3]
결과적으로 OMZ는 많은 유기체가 영양분과 산소를 얻을 수 있는 표면 근처에 머물도록 강요한다.[3] 얕은 OMZ의 존재는 수주 내에서 동물 플랑크톤의 이동을 제한한다. 0m와 600m 사이에서 많은 종의 동물 플랑크톤이 OMZ 내 이 공간을 차지한다. 이것은 유광층과 OMZ 사이의 상당한 탄소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전체 동물 플랑크톤 생물량의 75%가 OMZ 안팎으로 이동한다. OMZ는 또한 저산소 조건에서 살 수 있는 유기체에게 피난처 역할을 한다.[3]
해안 용승은 훔볼트 해류의 높은 생물학적 생산성에 기여하는 주요 요인이다.[1] 해류 내 용승은 전체 시스템에 걸쳐 균일하지 않다. 이 해류에 의해 생성되는 세 개의 주목할 만한 용승 하위 시스템이 있다.
# 1월–3월 기간 동안 아열대 고기압 중심의 변위로 인해 봄과 여름에만 칠레에서 발생하는 계절적 용승,
# 칠레 북부와 페루 남부에서 덜 생산적이지만 여전히 큰 용승 "그림자", 및
# 페루에서 연중 내내 고도로 생산적인 용승.[1] 35°S와 15°S 사이에서 확인된 용승 그림자는 빈영양 아열대 순환류가 해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것은 좁지만 생산성이 높은 용승 구역을 만든다.[1]
폭은 비교적 넓지만, 유속이 작아서 유량은 매초 1000~1500만 톤에 불과하다. 이 해역은 북태평양의 캘리포니아 해류역과 유사하며, 남극해에서 발원하는 한류인데다가, 하층수의 용승이 있기 때문에, 칠레, 페루 연안역의 표면 수온은 동위도의 해수 온도보다 7~8℃나 낮다. 용승은 남쪽에서 부는 탁월풍에 의해 연안역에서 현저하지만, 200m 내외의 비교적 얕은 층에 한정되어 있다. 원해류의 북쪽 한계는 평균적으로 적도의 약간 남쪽에 위치하며, 여기에서 남적도 해류로 이어진다. 하지만 해안에 가까운 해류의 북쪽 한계는 계절이나 연도에 따라 상당히 변동한다. 북반구의 여름에는 적도를 넘어 적도 반류와 접촉하지만, 겨울에는 그다지 북상하지 않고, 적도 반류 계통의 해수가 에콰도르 근해까지 남하하는 경우가 많다. 남하가 심할 때에는 페루의 해안 건조 지대에 이상한 강우가 일어나 홍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연안부에 온수가 밀려와 해황이 일변하기 때문에, 플랑크톤이나 어류가 대량으로 죽고, 해변은 그 잔해로 덮이며, 해수 중에는 황화수소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수색이 변하고, 선박의 페인트가 검게 변하는 '''카야오 페인터'''(Callao Painter)라는 현상이 일어난다. 또한 페루, 칠레 연안의 중층에 남쪽으로 향하는 반류가 해안에서 200km 이내의 범위에 존재한다. 그 중심의 깊이는 적도 부근에서 100m 이하, 남위 35°에서는 300m로 남쪽으로 갈수록 깊어진다. 이 반류는 북상하는 페루 해류보다, 남위 25° 이북에서는 저염분, 이남에서는 고염분이다. 따라서 표층수의 염분에 미치는 용승의 영향은 페루 연안과 칠레 연안에서 반대가 된다.
2. 1. 해류의 흐름과 수온
훔볼트 해류는 폭이 넓고 유속은 느리지만, 남극에서 차고 신선한 물을 북쪽으로 운반하여 페루와 칠레 연안의 수온을 낮춘다.[1] 이 해류는 남극해에서 발원하며, 하층수의 용승이 있기 때문에 칠레와 페루 연안의 표면 수온은 동위도의 해수 온도보다 7~8℃ 정도 낮다.[1]무역풍은 훔볼트 해류 순환의 주요 원동력이며,[1] 이 시스템의 변동성은 북쪽의 적도 수렴대와 무역풍 사이의 위도 변화, 남태평양 고기압의 변화, 사이클론성 폭풍, 편서풍의 남하 이동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1] 칠레 중부 해안의 대기 변동성은 해안 저기압 시스템의 악화로 인해 강화된다.[1]
상층 해양을 차지하는 훔볼트 해류는 적도를 향해 흐르며 신선하고 차가운 남극 하위 표층수를 북쪽으로 운반한다.[1] 해류의 주요 흐름은 페루 남부 해안에서 멀어지고, 약한 지류는 적도를 향해 계속 흐른다.[1] 남위 18도 부근에서 차가운 물이 따뜻하고 염도가 높은 아열대 표층수와 섞이면서 부분적인 침강이 발생한다.[1] 이 지역 내에서 적도 잠류가 동쪽으로 흐르며, 극쪽으로 이동하는 페루-칠레 잠류에 공급된다.[1]
해안 용승은 훔볼트 해류의 높은 생물학적 생산성에 기여하는 주요 요인이다.[1] 해류 내 용승은 칠레에서 계절적으로 발생하거나, 칠레 북부와 페루 남부에서 "그림자" 형태로 나타나거나, 페루에서 연중 내내 발생하기도 한다.[1] 용승은 남쪽에서 부는 탁월풍에 의해 연안역에서 현저하지만, 200m 내외의 비교적 얕은 층에 한정되어 있다.
원해류의 북쪽 한계는 평균적으로 적도 약간 남쪽에 위치하며, 남적도 해류로 이어진다.[1] 하지만 해안에 가까운 해류의 북쪽 한계는 계절이나 연도에 따라 변동한다.[1] 북반구의 여름에는 적도를 넘어 적도 반류와 접촉하지만, 겨울에는 적도 반류 계통의 해수가 에콰도르 근해까지 남하하는 경우가 많다.[1] 남하가 심할 때에는 페루 해안 건조 지대에 이상 강우로 인한 홍수가 발생하고, 플랑크톤이나 어류가 대량으로 죽는 등 해황이 급변한다.[1] 이때문에 해수 중에 황화수소가 발생하여 수색이 변하고 선박 페인트가 검게 변하는 '카야오 페인터'(Callao Painter)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1]
페루, 칠레 연안의 중층에는 남쪽으로 향하는 반류가 해안에서 200km 이내 범위에 존재하며, 그 중심 깊이는 남쪽으로 갈수록 깊어진다.[1] 이 반류는 북상하는 페루 해류보다 염분 농도가 달라, 표층수 염분에 미치는 용승의 영향은 페루 연안과 칠레 연안에서 반대가 된다.[1]
2. 2. 해양 순환과 대기와의 상호작용
무역풍은 훔볼트 해류 순환의 주요 동인이다.[1] 이 시스템의 변동성은 북쪽의 열대 수렴대와 무역풍 사이의 위도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중위도에서 남태평양 고기압의 변화, 사이클론성 폭풍, 남쪽 편서풍의 남하 이동 또한 시스템 변화에 기여한다. 칠레 중부 해안의 대기 변동성은 해안 저기압 시스템의 악화로 인해 강화되며, 이는 남위 27도에서 남위 42도까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1]훔볼트 해류는 상층 해양에서 적도를 향해 흐르며, 신선하고 차가운 남극 하위 표층수를 북쪽으로 운반하여 아열대 순환류의 외곽을 따라 흐른다.[1] 해류의 주요 흐름은 페루 남부 해안에서 멀어지지만, 더 약한 지류는 적도를 향해 계속 흐른다. 남위 18도 부근에서 신선하고 차가운 물은 따뜻하고 염도가 높은 아열대 표층수와 섞이며 부분적인 침강을 일으킨다. 이 지역 내에서 적도 잠류는 동쪽으로 흐르며, 극쪽으로 이동하는 페루-칠레 잠류에 공급된다.[1]
칠레 중부 해안에서는 높은 에디 운동 에너지를 특징으로 하는 해안 전이대(CTZ)가 존재하며,[1] 이 에너지는 600-800km 떨어진 중규모 에디를 형성한다. CTZ는 페루 해안과 칠레 해안에서 넓은 지역, 그리고 칠레 북부 해안에서 좁은 지역에 걸쳐 높은 엽록소-a 농도를 보이는 세 개의 뚜렷한 지역을 포함한다. 높은 엽록소-a 농도는 일반적으로 해안에서 50km 이내에서 발견된다.[1]
훔볼트 해류 시스템의 페루 해안에서 멀어지는 지류는 시스템 내 환기를 감소시킨다.[1] 이러한 환기 부족은 중간 깊이의 하위 표층에서 형성되는 강렬한 최소 산소 구역(OMZ)의 주요 원인이다. 북쪽에서는 EUC가 OMZ를 환기시키고, 남쪽에서는 PCU가 저산소수를 북쪽으로 이류시켜 칠레 북부로 이동시킨다.[1] 이 OMZ는 세계 해양에서 네 번째로 큰 영구적인 저산소 구역으로, 약 2.18 ± 0.66 × 106 km3 면적을 차지하며, 중심은 페루 해안에서 벗어나 있고, 약 100m에서 600m까지 얕은 상부 경계를 형성한다.[1] OMZ는 1차 생산 자원의 침강과 붕괴에도 영향을 받는다.[3]
결과적으로 OMZ는 많은 유기체가 영양분과 산소를 얻기 위해 표면 근처에 머물도록 한다.[3] 얕은 OMZ는 수주 내에서 동물 플랑크톤의 이동을 제한하며, 0m와 600m 사이에서 많은 종의 동물 플랑크톤이 OMZ 내 이 공간을 차지하여 유광층과 OMZ 사이의 상당한 탄소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전체 동물 플랑크톤 생물량의 75%가 OMZ 안팎으로 이동하며, OMZ는 저산소 조건에서 생존 가능한 유기체에게 피난처를 제공한다.[3]
해안 용승은 훔볼트 해류의 높은 생물학적 생산성을 일으키는 주요 요인이다.[1] 해류 내 용승은 전체 시스템에 걸쳐 균일하지 않으며, 세 개의 주목할 만한 용승 하위 시스템이 존재한다:
# 1월–3월 기간 동안 아열대 고기압 중심의 변위로 인해 봄과 여름에만 칠레에서 발생하는 계절적 용승
# 칠레 북부와 페루 남부에서 덜 생산적이지만 여전히 큰 용승 "그림자"
# 페루에서 연중 내내 고도로 생산적인 용승[1]
35°S와 15°S 사이에서 확인된 용승 그림자는 빈영양 아열대 순환류가 해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발생하며, 좁지만 생산성이 높은 용승 구역을 만든다.[1]
훔볼트 해류는 폭이 비교적 넓지만, 유속이 작아 유량은 매초 1000~1500만 톤에 불과하다. 이 해역은 북태평양의 캘리포니아 해류역과 유사하며, 남극해에서 발원하는 한류인데다가, 하층수의 용승이 있기 때문에, 칠레, 페루 연안역의 표면 수온은 동위도의 해수 온도보다 7~8℃나 낮다. 용승은 남쪽에서 부는 탁월풍에 의해 연안역에서 현저하지만, 200m 내외의 비교적 얕은 층에 한정되어 있다. 원해류의 북쪽 한계는 평균적으로 적도의 약간 남쪽에 위치하며, 여기에서 남적도 해류로 이어진다. 하지만 해안에 가까운 해류의 북쪽 한계는 계절이나 연도에 따라 상당히 변동한다. 북반구의 여름에는 적도를 넘어 적도 반류와 접촉하지만, 겨울에는 그다지 북상하지 않고, 적도 반류 계통의 해수가 에콰도르 근해까지 남하하는 경우가 많다. 남하가 심할 때에는 페루의 해안 건조 지대에 이상한 강우가 일어나 홍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연안부에 온수가 밀려와 해황이 일변하기 때문에, 플랑크톤이나 어류가 대량으로 죽고, 해변은 그 잔해로 덮이며, 해수 중에는 황화수소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수색이 변하고, 선박의 페인트가 검게 변하는 '''카야오 페인터'''(Callao Painter)라는 현상이 일어난다. 또한 페루, 칠레 연안의 중층에 남쪽으로 향하는 반류가 해안에서 200km 이내의 범위에 존재한다. 그 중심의 깊이는 적도 부근에서 100m 이하, 남위 35°에서는 300m로 남쪽으로 갈수록 깊어진다. 이 반류는 북상하는 페루 해류보다, 남위 25° 이북에서는 저염분, 이남에서는 고염분이다. 따라서 표층수의 염분에 미치는 용승의 영향은 페루 연안과 칠레 연안에서 반대가 된다.
2. 3. 최소 산소 구역 (OMZ)
훔볼트 해류 시스템은 칠레와 페루 연안의 표면 수온을 동위도 해수 온도보다 7~8℃ 낮추는 용승 현상이 탁월풍에 의해 연안역에서 현저하게 나타난다. 용승은 200m 내외의 얕은 층에 한정되며, 원해류의 북쪽 한계는 평균적으로 적도 약간 남쪽에 위치하고 남적도 해류로 이어진다. 하지만 해안 근처 해류의 북쪽 한계는 계절 및 연도에 따라 변동이 심하다. 북반구 여름에는 적도를 넘어 적도 반류와 접촉하지만, 겨울에는 적도 반류 계통의 해수가 에콰도르 근해까지 남하하는 경우가 많아, 페루 해안 건조 지대에 이상 강우 및 홍수를 유발하기도 한다. 연안에 온수가 밀려오면 플랑크톤 및 어류가 대량으로 죽고, 해변은 잔해로 덮이며, 해수에 황화수소가 발생하여 수색이 변하고 선박 페인트가 검게 변하는 '카야오 페인터' 현상이 발생한다. 페루, 칠레 연안 중층에는 남쪽으로 향하는 반류가 해안에서 200km 이내 범위에 존재하며, 중심 깊이는 적도 부근에서 100m 이하, 남위 35°에서는 300m로 남쪽으로 갈수록 깊어진다. 이 반류는 북상하는 페루 해류보다 남위 25° 이북에서는 저염분, 이남에서는 고염분이기 때문에 표층수 염분에 미치는 용승의 영향은 페루 연안과 칠레 연안에서 반대가 된다.3. 생물학적 생산성
훔볼트 해류는 용승 현상으로 인해 생물 다양성이 매우 높으며, 1등급 생태계(>300 gC/m2/yr)로 간주될 만큼 생산성이 매우 높다.[1] 이 해류는 다양한 플랑크톤, 연체동물, 성게, 갑각류, 어류 및 해양 포유류를 포함한 광범위한 유기체를 품고 있으며,[1] 먹이 사슬은 식물성 플랑크톤에서 시작된다.[1] 훔볼트 해류의 조건은 이러한 유기체가 번성하기에 최적이며, 이는 더 크고 더 많은 유기체가 해당 지역으로 유입되는 연쇄 효과를 유발한다.[1]
남극해에서 발원하는 한류인데다가 하층수의 용승이 있기 때문에 칠레와 페루 연안역의 표면 수온은 동위도의 해수 온도보다 7~8℃ 낮다. 용승은 남쪽에서 부는 탁월풍에 의해 연안역에서 현저하지만, 200m 내외의 비교적 얕은 층에 한정되어 있다.
용승의 영향으로 페루 연안과 칠레 연안의 표층수 염분은 반대 양상을 보인다. 페루, 칠레 연안의 중층에는 남쪽으로 향하는 반류가 해안에서 200km 이내 범위에 존재하며, 그 중심 깊이는 적도 부근에서 100m 이하, 남위 35°에서는 300m로 남쪽으로 갈수록 깊어진다. 이 반류는 북상하는 페루 해류보다 남위 25° 이북에서는 저염분, 이남에서는 고염분이다.
해안에 가까운 해류의 북쪽 한계는 계절이나 연도에 따라 변동하는데, 북반구의 여름에는 적도를 넘어 적도 반류와 접촉하지만, 겨울에는 그다지 북상하지 않는다. 남하가 심할 때는 페루 해안 건조 지대에 이상 강우가 일어나 홍수가 발생하고, 플랑크톤이나 어류가 대량으로 죽어 해변에 잔해가 쌓이며, 해수에 황화수소가 발생하여 수색이 변하고 선박 페인트가 검게 변하는 '''카야오 페인터'''(Callao Painter) 현상이 일어난다.
3. 1. 용승과 생물 생산성
훔볼트 해류는 용승 현상으로 인해 생물 다양성이 매우 높으며, 1등급 생태계(>300 gC/m2/yr)로 간주될 만큼 생산성이 매우 높다.[1] 이 해류는 다양한 플랑크톤, 연체동물, 성게, 갑각류, 어류 및 해양 포유류를 포함한 광범위한 유기체를 품고 있으며,[1] 먹이 사슬은 식물성 플랑크톤에서 시작된다.[1] 훔볼트 해류의 조건은 이러한 유기체가 번성하기에 최적이며, 이는 더 크고 더 많은 유기체가 해당 지역으로 유입되는 연쇄 효과를 유발한다.[1]남극해에서 발원하는 한류인데다가 하층수의 용승이 있기 때문에 칠레와 페루 연안역의 표면 수온은 동위도의 해수 온도보다 7~8℃ 낮다. 용승은 남쪽에서 부는 탁월풍에 의해 연안역에서 현저하지만, 200m 내외의 비교적 얕은 층에 한정되어 있다.
용승의 영향으로 페루 연안과 칠레 연안의 표층수 염분은 반대 양상을 보인다. 페루, 칠레 연안의 중층에는 남쪽으로 향하는 반류가 해안에서 200km 이내 범위에 존재하며, 그 중심 깊이는 적도 부근에서 100m 이하, 남위 35°에서는 300m로 남쪽으로 갈수록 깊어진다. 이 반류는 북상하는 페루 해류보다 남위 25° 이북에서는 저염분, 이남에서는 고염분이다.
해안에 가까운 해류의 북쪽 한계는 계절이나 연도에 따라 변동하는데, 북반구의 여름에는 적도를 넘어 적도 반류와 접촉하지만, 겨울에는 그다지 북상하지 않는다. 남하가 심할 때는 페루 해안 건조 지대에 이상 강우가 일어나 홍수가 발생하고, 플랑크톤이나 어류가 대량으로 죽어 해변에 잔해가 쌓이며, 해수에 황화수소가 발생하여 수색이 변하고 선박 페인트가 검게 변하는 '''카야오 페인터'''(Callao Painter) 현상이 일어난다.
3. 2. 생태계와 먹이 사슬
훔볼트 해류는 용승 지역으로 인해 생물 다양성이 매우 높다. 1등급 생태계(>300 gC/m2/yr)로 간주되며, 플랑크톤, 연체동물, 성게, 갑각류, 어류 및 해양 포유류를 포함한 광범위한 유기체를 품고 있다.[1] 먹이 사슬은 식물성 플랑크톤으로 시작되며, 훔볼트 해류의 조건은 이러한 유기체가 번성하기에 최적이다. 이는 더 크고 더 많은 유기체가 해당 지역으로 끌어들이는 연쇄 효과를 유발한다.[1]폭은 비교적 넓지만, 유속이 작아서 유량은 매초 1000~1500만 톤에 불과하다. 이 해역은 북태평양의 캘리포니아 해류역과 유사하며, 남극해에서 발원하는 한류인데다가, 하층수의 용승이 있기 때문에, 칠레, 페루 연안역의 표면 수온은 동위도의 해수 온도보다 7~8℃나 낮다. 용승은 남쪽에서 부는 탁월풍에 의해 연안역에서 현저하지만, 200m 내외의 비교적 얕은 층에 한정되어 있다. 원해류의 북쪽 한계는 평균적으로 적도의 약간 남쪽에 위치하며, 여기에서 남적도 해류로 이어진다. 하지만 해안에 가까운 해류의 북쪽 한계는 계절이나 연도에 따라 상당히 변동한다. 북반구의 여름에는 적도를 넘어 적도 반류와 접촉하지만, 겨울에는 그다지 북상하지 않고, 적도 반류 계통의 해수가 에콰도르 근해까지 남하하는 경우가 많다. 남하가 심할 때에는 페루의 해안 건조 지대에 이상한 강우가 일어나 홍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연안부에 온수가 밀려와 해황이 일변하기 때문에, 플랑크톤이나 어류가 대량으로 죽고, 해변은 그 잔해로 덮이며, 해수 중에는 황화수소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수색이 변하고, 선박의 페인트가 검게 변하는 '''카야오 페인터'''(Callao Painter)라는 현상이 일어난다. 또한 페루, 칠레 연안의 중층에 남쪽으로 향하는 반류가 해안에서 200km 이내의 범위에 존재한다. 그 중심의 깊이는 적도 부근에서 100m 이하, 남위 35°에서는 300m로 남쪽으로 갈수록 깊어진다. 이 반류는 북상하는 페루 해류보다, 남위 25° 이북에서는 저염분, 이남에서는 고염분이다. 따라서 표층수의 염분에 미치는 용승의 영향은 페루 연안과 칠레 연안에서 반대가 된다.
4. 어업
훔볼트 해류는 세계에서 가장 생산적인 어업 지역 중 하나로, 정어리, 멸치, 고등어, 대구, 오징어 등이 주로 어획된다.[1] 페루와 칠레는 훔볼트 해류에서 멸치와 정어리를 주로 어획하는 국가이다.[1]
페루 북중부 해역에서는 주로 멸치가 잡히며, 페루 남부와 칠레 북부에서는 정어리가 많이 잡힌다.[1] 칠레 중부에서는 멸치, 고등어, 정어리가 주요 어종이다.[1] 멸치는 해안 가까이 용승된 해역에서, 정어리는 먼 해안에서 발견된다.[1] 겨울 말에 산란하는 정어리와 멸치는 완만한 용승으로 인해 알과 유충의 생존율이 높아진다.[1]
고등어(jurel)는 훔볼트 해류 시스템에서 두 번째로 큰 어획량을 보이는 어종이다.[1] 1970년대에 멸치 어군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중요 어종이 되었으나, 1980년대 남획과 부진한 보충으로 개체수가 감소했다.[1] 1998년 어획 제한으로 개체군이 회복되어 2002년 이후 완전한 어획 상태에 있다.[1]
1993년과 2008년 사이 페루의 대구 어업은 남획, 환경 스트레스, 생식 능력 감소로 인해 크게 감소했다.[1] 칠레 중남부의 칠레 대구 어획량은 2007년 40,000톤으로 감소했다.[1]
엘니뇨와 같은 기후 변화는 어종의 서식지 가용성을 변화시켜 개체수와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친다.[1] 멸치와 같은 주요 어종의 개체수 변화는 훔볼트 해류 시스템 내 에너지 처리에 변화를 야기한다.[1]
4. 1. 주요 어종과 어획량
훔볼트 해류는 세계에서 가장 생산적인 어업 지역 중 하나로, 정어리, 멸치, 고등어, 대구, 오징어 등이 주로 어획된다.[1] 페루와 칠레는 훔볼트 해류에서 멸치와 정어리를 주로 어획하는 국가이다.[1]페루 북중부 해역에서는 주로 멸치가 잡히며, 페루 남부와 칠레 북부에서는 정어리가 많이 잡힌다.[1] 칠레 중부에서는 멸치, 고등어, 정어리가 주요 어종이다.[1] 멸치는 해안 가까이 용승된 해역에서, 정어리는 먼 해안에서 발견된다.[1] 겨울 말에 산란하는 정어리와 멸치는 완만한 용승으로 인해 알과 유충의 생존율이 높아진다.[1]
고등어(jurel)는 훔볼트 해류 시스템에서 두 번째로 큰 어획량을 보이는 어종이다.[1] 1970년대에 멸치 어군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중요 어종이 되었으나, 1980년대 남획과 부진한 보충으로 개체수가 감소했다.[1] 1998년 어획 제한으로 개체군이 회복되어 2002년 이후 완전한 어획 상태에 있다.[1]
1993년과 2008년 사이 페루의 대구 어업은 남획, 환경 스트레스, 생식 능력 감소로 인해 크게 감소했다.[1] 칠레 중남부의 칠레 대구 어획량은 2007년 40,000톤으로 감소했다.[1]
엘니뇨와 같은 기후 변화는 어종의 서식지 가용성을 변화시켜 개체수와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친다.[1] 멸치와 같은 주요 어종의 개체수 변화는 훔볼트 해류 시스템 내 에너지 처리에 변화를 야기한다.[1]
4. 2. 어업 관리와 지속 가능성
훔볼트 해류는 세계에서 가장 생산적인 어업 지역 중 하나로, 정어리, 멸치, 고등어, 대구, 오징어 등이 많이 잡힌다.[1] 페루 북중부에서는 주로 멸치가 잡히며, 페루 남부와 칠레 북부에서는 정어리가 많이 잡힌다.[1] 칠레 중부에서는 멸치, 고등어, 정어리가 주요 어종이다.[1]멸치는 해안 가까이 용승된 해역에서, 정어리는 더 먼 해안에서 발견된다.[1] 겨울 말에 산란하는 멸치와 정어리는 알과 유충의 생존율이 높은데, 이는 완만한 용승으로 난류가 감소하고 에크만 표류가 약화되기 때문이다.[1] 엘니뇨와 같은 기후 변화는 이들 어종의 서식지에 영향을 미쳐 개체군 변화를 일으킨다.[1]
고등어(jurel)는 훔볼트 해류에서 두 번째로 많이 잡히는 어종이다.[1] 1970년대에 멸치 어획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중요 어종이 되었으나, 1980년대 남획으로 개체 수가 감소했다.[1] 1998년 어획 제한 조치 이후 개체군이 회복되어 2002년 이후에는 완전한 어획 상태에 있다.[1]
1993년에서 2008년 사이 페루의 대구 어획량은 남획, 환경 스트레스, 생식 능력 감소로 크게 줄었다.[1] 칠레 중남부의 칠레 대구 어획량도 2007년에 40,000톤으로 감소했다.[1]
훔볼트 해류는 남극해에서 발원하는 한류이며, 하층수의 용승으로 인해 칠레와 페루 연안의 표면 수온은 동위도 해수 온도보다 7~8℃ 낮다.[1] 용승은 남풍 탁월풍에 의해 연안에서 현저하지만, 200m 내외의 얕은 층에 한정된다. 훔볼트 해류는 적도 부근에서 남적도 해류로 이어지지만, 해안 근처 해류의 북쪽 한계는 계절과 연도에 따라 변동한다. 북반구 여름에는 적도를 넘어 적도 반류와 접촉하지만, 겨울에는 적도 반류 계통의 해수가 에콰도르 근해까지 남하하여 이상 강우, 홍수, 플랑크톤 및 어류 대량 폐사, 황화수소 발생으로 인한 '''카야오 페인터'''(Callao Painter) 현상을 일으키기도 한다.[1]
5. 엘니뇨의 영향
훔볼트 해류 시스템은 엘니뇨와 라니냐 현상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1] 엘니뇨 현상 동안에는 어류의 개체수와 분포가 크게 영향을 받아 종종 어획량 급감과 연쇄적인 사회적, 경제적 영향을 초래한다. 특히, 1972년에 엘니뇨 현상으로 인해 페루의 멸치 개체수가 급감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1970년 페루의 연간 멸치 어획량은 1,200만 톤을 초과하여 전 세계 어획량의 20%를 차지할 정도로 호황을 누렸으나, 엘니뇨의 영향으로 멸치 개체수가 크게 감소했다.[3]
엘니뇨는 정어리와 멸치가 생태계의 지배적인 종으로서 주기적으로 서로를 대체하는 일련의 변화를 초래하기도 한다.[3] 멸치 개체수가 급감한 이후, 정어리 개체수가 극적으로 증가하여 정어리 어업이 성장하는 "레짐 시프트" 현상이 나타났다.[3]
이러한 종의 변화는 어업과 이 시스템에서 어업을 하는 국가의 경제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엘니뇨 발생 시, 수온 약층과 OMZ의 상층부가 깊어져 질소 손실과 탄소 배출 감소를 유발한다.[1] 엘니뇨가 아닌 해에는 높은 영양분 함량, 탈질산화와 같은 과정을 통한 질소 재활용, 증가된 탄소 배출, 재광물화를 통해 생산성이 매우 높다.[1]
남하가 심할 때에는 페루 해안 건조 지대에 이상 강우로 인한 홍수가 발생하고, 연안에 온수가 밀려와 플랑크톤이나 어류가 대량으로 죽는 '''카야오 페인터'''(Callao Painter)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5. 1. 엘니뇨와 해양 환경 변화
훔볼트 해류 시스템의 생산성은 엘니뇨와 라니냐 현상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1] 엘니뇨 현상 동안에는 수온 약층과 OMZ의 상층부가 깊어져 질소 손실과 탄소 배출 감소가 발생한다.[1] 엘니뇨는 또한 극지 방향으로 흐르는 해류의 속도를 증가시킨다.[1] 엘니뇨가 아닌 해에는 높은 영양분 함량, 탈질산화와 같은 과정을 통한 질소 재활용, 증가된 탄소 배출, 재광물화를 통해 생산성이 매우 높다.[1]엘니뇨 현상 동안에는 어류의 개체수와 분포가 크게 영향을 받아 종종 어획량 급감과 연쇄적인 사회적, 경제적 영향을 초래한다. 이러한 현상은 정어리와 멸치가 생태계의 지배적인 종으로서 주기적으로 서로를 대체하는 일련의 변화를 초래했다. 이러한 종의 변화는 어업과 이 시스템에서 어업을 하는 국가의 경제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페루의 멸치 어업은 1960년대에 호황을 누렸으며,1970년에는 연간 어획량이 1,200만 톤을 초과하여 전 세계 어획량의 20%를 차지했다.[3] 1972년에 엘니뇨 현상이 발생하여 멸치 개체수가 급감했지만, 정어리 개체수는 다음 15~20년 동안 극적으로 증가하여 정어리 어업이 성장했다.[3]
훔볼트 해류는 폭은 비교적 넓지만, 유속이 작아서 유량은 매초 1000~1500만 톤에 불과하다. 칠레, 페루 연안역의 표면 수온은 남극해에서 발원하는 한류인데다가, 하층수의 용승이 있기 때문에 동위도의 해수 온도보다 7~8℃나 낮다. 용승은 남쪽에서 부는 탁월풍에 의해 연안역에서 현저하지만, 200m 내외의 비교적 얕은 층에 한정되어 있다. 원해류의 북쪽 한계는 평균적으로 적도의 약간 남쪽에 위치하며, 여기에서 남적도 해류로 이어진다. 하지만 해안에 가까운 해류의 북쪽 한계는 계절이나 연도에 따라 상당히 변동한다.
북반구의 여름에는 적도를 넘어 적도 반류와 접촉하지만, 겨울에는 그다지 북상하지 않고, 적도 반류 계통의 해수가 에콰도르 근해까지 남하하는 경우가 많다. 남하가 심할 때에는 페루의 해안 건조 지대에 이상한 강우가 일어나 홍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연안부에 온수가 밀려와 해황이 일변하기 때문에, 플랑크톤이나 어류가 대량으로 죽고, 해변은 그 잔해로 덮이며, 해수 중에는 황화수소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수색이 변하고, 선박의 페인트가 검게 변하는 '''카야오 페인터'''(Callao Painter)라는 현상이 일어난다. 페루, 칠레 연안의 중층에 남쪽으로 향하는 반류가 해안에서 200km 이내의 범위에 존재하며, 중심 깊이는 적도 부근에서 100m 이하, 남위 35°에서는 300m로 남쪽으로 갈수록 깊어진다.

5. 2. 어업에 미치는 영향
훔볼트 해류 시스템은 엘니뇨와 라니냐 현상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1] 엘니뇨 현상 동안에는 어류의 개체수와 분포가 크게 영향을 받아 종종 어획량 급감과 연쇄적인 사회적, 경제적 영향을 초래한다. 특히, 1972년에 엘니뇨 현상으로 인해 페루의 멸치 개체수가 급감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1970년 페루의 연간 멸치 어획량은 1,200만 톤을 초과하여 전 세계 어획량의 20%를 차지할 정도로 호황을 누렸으나, 엘니뇨의 영향으로 멸치 개체수가 크게 감소했다.[3]엘니뇨는 정어리와 멸치가 생태계의 지배적인 종으로서 주기적으로 서로를 대체하는 일련의 변화를 초래하기도 한다.[3] 멸치 개체수가 급감한 이후, 정어리 개체수가 극적으로 증가하여 정어리 어업이 성장하는 "레짐 시프트" 현상이 나타났다.[3]
이러한 종의 변화는 어업과 이 시스템에서 어업을 하는 국가의 경제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엘니뇨 발생 시, 수온 약층과 OMZ의 상층부가 깊어져 질소 손실과 탄소 배출 감소를 유발한다.[1] 엘니뇨가 아닌 해에는 높은 영양분 함량, 탈질산화와 같은 과정을 통한 질소 재활용, 증가된 탄소 배출, 재광물화를 통해 생산성이 매우 높다.[1]
남하가 심할 때에는 페루 해안 건조 지대에 이상 강우로 인한 홍수가 발생하고, 연안에 온수가 밀려와 플랑크톤이나 어류가 대량으로 죽는 '''카야오 페인터'''(Callao Painter)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6]
참조
[1]
논문
The Humboldt Current System: Ecosystem components and processes, fisheries, and sediment studies
2009
[2]
서적
Alexander von Humboldt: A Concise Biograph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4
[3]
논문
The northern Humboldt Current System: Brief history, present status and a view towards the future
2008
[4]
논문
Average circulation, seasonal cycle, and mesoscale dynamics of the Peru Current System: A modeling approach
2005
[5]
간행물
Two Unusual Tropical Cyclones in the Southeast Pacific
1991-01
[6]
웹사이트
Sitting at the Top of a Cloud
http://www.eso.org/p[...]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2014-12-08
[7]
서적
海のすべて
ニュートンプレス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