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상어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흉상어목은 2개의 아목, 9개의 과, 약 300종으로 구성된 상어의 한 목이다. 흉상어과, 족제비상어과, 귀상어과 등을 포함하며, 레몬상어, 뱀상어, 귀상어 등이 대표적인 종이다. 화석 속으로는 Altusmirus, Corysodon 등이 있다. 분자 계통 분석을 통해 분류 체계가 밝혀졌으며, 타이완상어과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흉상어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Carcharhiniformes |
명명자 | Compagno, 1977 |
분류 | |
계 | 동물계 (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 (Chordata) |
강 | 연골어강 (Chondrichthyes) |
상목 | 상어상목 (Galeomorphi) |
시간 범위 | |
화석 범위 | 바토니안절 - 현재 |
하위 분류 | |
과 | 수염상어과 (Hemiscylliidae) 얼룩상어과 (Brachaeluridae) 카펫상어과 (Orectolobidae) 환Column상어과 (Parascylliidae) 양탄자상어과 (Ginglymostomatidae) 모래톱상어과 (Rhincodontidae) 프로실리움상어과 (Proscylliidae) 뱀상어과 (Pseudotriakidae) 두툽상어과 (Leptochariidae) 눈가림상어과 (Scyliorhinidae) 까치상어과 (Sphyrnidae) 흉상어과 (Carcharhinidae) 아이겡상어과 (Hemigaleidae) 실비아나상어과 (Sylvianidae) †Pseudoscyliorhinidae |
참고 문헌 |
2. 분류
흉상어목은 12과 52속, 약 300종의 현존하는 종을 포함한다.[6][7][8][9][10][11] 에슈마이어 물고기 목록은 흉상어목을 2개의 아목과 9개의 과로 분류한다.[4]
다음은 흉상어목에 속하는 과의 목록이다.
과 | 종 수 | 주요 종 | 비고 |
---|---|---|---|
고양이상어과 | 3속 13종 | 고양이상어, 작은코고양이상어, 말고둥상어 | |
점박이상어과 | 3속 40종 | 점박이상어, 칠성상어, 세로줄점박이상어 | |
부채상어과 | 12속 110종 | 부채상어, 도마뱀상어, 나가사키점박이상어, 차이로우리치키상어 | |
Dichichthyidae영어 | 1속 5종 | 심해도마뱀상어 | |
프로실리과 | 3속 6종 | 대만상어, 꼬리지느러미상어 | |
가짜상어과 | 3속 4종 | 가짜상어, 뾰족꼬리상어, 히메치히로상어 | |
렙토카리아과 | 1속 1종 | 아프리카도치상어 | |
도치상어과 | 9속 46종 | 도치상어, 별상어, 에이라쿠부카 | |
반점상어과 | 4속 8종 | 반점상어 | |
환도상어과 | 1속 1종 | 환도상어 | |
귀상어과 | 2속 10종 | 귀상어, 홍살귀상어 |
- 아목 고양이상어아목
- 고양이상어과 (고양이상어)
- 아목 흉상어아목
- 알록고양이상어과 (알록고양이상어)
- 심해고양이상어과 (심해고양이상어)
- 털상어과 (털상어)
- 거짓고양이상어과 (거짓고양이상어)
- 꼬리지느러미고양이상어과 (꼬리지느러미고양이상어)
- 날개줄상어과 (날개줄상어)
- 상어과 (상어)
- 상어아과 (스무스하운드)
- 개상어아과 (개상어)
- 족제비상어과 (족제비상어)
- 호랑이상어과 (호랑이상어)
2. 1. 하위 과
과 | 종 수 | 주요 종 | 비고 |
---|---|---|---|
흉상어과 | 12속 52종 | 레몬상어, 뱀상어, 흉상어 | |
족제비상어과 | 4속 8종 | 헤미갈레우스과 | |
수염개상어과 | 1속 1종 | 렙토카리아스과 | |
표범상어과 | 3속 7종 | ||
프세우도트리아키스과 | 3속 4종 | ||
두툽상어과 | 17속 150여 종 이상 | ||
귀상어과 | 2속 9종 | 귀상어 | |
까치상어과 | 9속 40여 종 |
에슈마이어 물고기 목록은 흉상어목을 2개의 아목과 9개의 과로 분류한다.[4]
- 아목 고양이상어아목
- 고양이상어과 (고양이상어)
- 아목 흉상어아목
- 알록고양이상어과 (알록고양이상어)
- 심해고양이상어과 (심해고양이상어)
- 털상어과 (털상어)
- 거짓고양이상어과 (거짓고양이상어)
- 꼬리지느러미고양이상어과 (꼬리지느러미고양이상어)
- 날개줄상어과 (날개줄상어)
- 상어과 (상어)
- 상어아과 (스무스하운드)
- 개상어아과 (개상어)
- 족제비상어과 (족제비상어)
- 흉상어과 (흉상어)
- 호랑이상어과 (호랑이상어)
- 귀상어과 (귀상어)
12과 52속에 약 300종의 현존하는 종을 포함한다.[6][7][8][9][10][11]
과 | 종 수 | 주요 종 | 비고 |
---|---|---|---|
고양이상어과 | 3속 13종 | 고양이상어, 작은코고양이상어, 말고둥상어 | |
점박이상어과 | 3속 40종 | 점박이상어, 칠성상어, 세로줄점박이상어 | |
부채상어과 | 12속 110종 | 부채상어, 도마뱀상어, 나가사키점박이상어, 차이로우리치키상어 | |
디키크티스과 Dichichthyidae영어 | 1속 5종 | 심해도마뱀상어 | |
프로실리과 | 3속 6종 | 대만상어, 꼬리지느러미상어 | |
가짜상어과 | 3속 4종 | 가짜상어, 뾰족꼬리상어, 히메치히로상어 | |
렙토카리아과 | 1속 1종 | 아프리카도치상어 | |
도치상어과 | 9속 46종 | 도치상어, 별상어, 에이라쿠부카 | |
반점상어과 | 4속 8종 | 반점상어 | |
흉상어과 | 11속 60종 | 흉상어, 황소상어, 청상아리, 간재미 | |
환도상어과 | 1속 1종 | 환도상어 | |
귀상어과 | 2속 10종 | 귀상어, 홍살귀상어 |
2. 2. 화석 속
다음은 흉상어목의 화석 속에 속하는 속(屬)들이다:[5]속 |
---|
†Altusmirus Fuchs, Engelbrecht, Lukeneder & Kriwet, 2017 |
†Corysodon Saint-Seine, 1949 |
†Platyrhizodon Guinot, Underwood, Cappetta & Ward, 2013 |
†Vectiscyllium Duffin & Batchelor, 2024 |
과 |
흉상어과 (Carcharhinidae) |
†Abdounia Cappetta, 1980 |
†Archaeogaleus Guinot, Cappetta & Adnet, 2014 |
†Danogaleus Noubhani & Cappetta, 1997 |
†Eogaleus Cappetta, 1975 |
†Eorhincodon Li, 1997 |
†Fornicatus Fuchs, Engelbrecht, Lukeneder & Kriwet, 2018 |
†Kruckowlamna Laurito Mora, 1999 |
†Misrichthys Case & Cappetta, 1990 |
†Pseudabdounia Ebersole, Cicimurri & Stringer, 2019 |
†Florenceodontidae Cappetta, Morrison & Adnet, 2019 |
†Florenceodon Cappetta, Morrison & Adnet, 2019 |
반점상어과 (Hemigaleidae) |
†Moerigaleus Underwood & Ward, 2011 |
모래상어과 (Galeocerdonidae) |
†Physogaleus Cappetta, 1980 |
†거친가시상어과 (Pseudoscyliorhinidae) Stumpf, Scheer & Kriwet, 2019 |
†Diprosopovenator Stumpf, Scheer & Kriwet, 2019 |
†Pseudoscyliorhinus Müller & Diedrich, 1991 |
고양이상어과 (Pentanchidae) |
†Pseudoapristurus Pollerspöck & Straube, 2017 |
꼬치상어과 (Proscylliidae) |
†Praeproscyllium Underwood & Ward, 2004 |
고양이상어과 (Scyliorhinidae) |
†Bavariscyllium Thies, 2005 |
†Cadiera Guinot, Cappetta & Adnet, 2014 |
†Casieria Noubhani & Cappetta, 1997 |
†Crassescyliorhinus Underwood & Ward, 2008 |
†Cretascyliorhinus Underwood & Mitchell, 1999 |
†Foumtizia Noubhani & Cappetta, 1997 |
†Megascyliorhinus Cappetta & Ward, 1977 |
†Microscyliorhinus Case, 1994 |
†Orthodon Coquand, 1860 |
†Pachyscyllium Reinecke, Moths, Grant & Breitkreuz, 2005 |
†Palaeoscyllium Wagner, 1857 |
†Platyrhizoscyllium Adnet, 2006 |
†Porodermoides Noubhani & Cappetta, 1997 |
†Premontreia Cappetta, 1992 |
†Prohaploblepharus Underwood & Ward, 2008 |
†Protoscyliorhinus Herman, 1977 |
†Pteroscyllium Cappetta, 1980 |
†Scyliorhinotheca Kiel, Peckmann & Simon, 2013 |
†Sigmoscyllium Guinot, Underwood, Cappetta & Ward, 2013 |
†Stenoscyllium Noubhani & Cappetta, 1997 |
†Thiesus Guinot, Cappetta & Adnet, 2014 |
†Tingaleus Cappetta, 1993 |
망상어과 (Triakidae) |
†Archaeotriakis Case, 1978 |
†Gomphogaleus Adnet & Cappetta, 2008 |
†Kallodentis Engelbrecht, Mörs, Reguero & Kriwet, 2017 |
†Khouribgaleus Noubhani & Cappetta, 1997 |
†Meridiogaleus Engelbrecht, Mörs, Reguero & Kriwet, 2017 |
†Pachygaleus Cappetta, 1992 |
†Palaeogaleus Gurr, 1962 |
†Palaeotriakis Guinot, Underwood, Cappetta & Ward, 2013 |
†Rhaibodus Böhm, 1926 |
†Squatigaleus Cappetta, 1989 |
†Xystrogaleus Adnet, 2006 |
분자 계통 분석 결과, 흉상어목의 계통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타이완상어과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12]
3. 계통
3. 1. 분자 계통 분석
분자 계통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계통수가 얻어졌다. 타이완상어과(Dichichthyidaela)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12]
3. 2. 추가 검토
분자 계통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계통수가 얻어졌다. 타이완상어과(Dichichthyidae영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12]
4. 한국의 흉상어목
흉상어목에 속하는 상어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지만, 한국 연안에서도 다양한 종이 발견된다. 한국 해역은 흉상어목 상어에게 중요한 서식지 중 하나이며, 이들은 한국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참조
[1]
논문
A new genus and species of extinct ground shark, †Diprosopovenator hilperti, gen. et sp. nov. (Carcharhiniformes, †Pseudoscyliorhinidae, fam. nov.),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Germany
https://uscholar.uni[...]
2019-03-04
[2]
논문
Climate cooling and clade competition likely drove the decline of lamniform sharks
2019-10-08
[3]
논문
Combining palaeontological and neontological data shows a delayed diversification burst of carcharhiniform sharks likely mediated by environmental change
2022-12-19
[4]
웹사이트
Eschmeyer's Catalog of Fishes Classification
https://www.calacade[...]
California Academy of Sciences
2024-10-24
[5]
웹사이트
Extinct - valid species {{!}} Species {{!}} Shark-References
https://shark-refere[...]
2024-03-06
[6]
서적
サメ-海の王者たち-改訂版
ブックマン社
[7]
웹사이트
IRMNG - Pentanchidae Smith, 1912
https://www.irmng.or[...]
2021-06-16
[8]
서적
SHARKS OF THE WORLD A Compleat Guide
WILD NATURE PRESS
[9]
웹사이트
Combined phylogeny and new classification of catsharks (Chondrichthyes: Elasmobranchii: Carcharhiniformes)
https://academic.oup[...]
2022-05-05
[10]
웹사이트
PhylogeneticSystematicsoftheHoundsharksFamily
https://www2.lib.hok[...]
2022-12-31
[11]
웹사이트
Dichichthyidae, a New Family of Deepwater Sharks (Carcharhiniformes) from the Indo–West Pacific, with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https://www.mdpi.com[...]
2024-03-30
[12]
논문
Elasmobranch phylogeny: A mitochondrial estimate based on 595 species
http://prosper.cofc.[...]
CRC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