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흑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흑선은 16세기 포르투갈 상인들이 일본에 도착하면서 시작된 서양과의 접촉을 통해 등장한 용어이다. 흑선은 1200~1600톤급의 대형 범선인 캐러크선을 지칭하며, 방수를 위해 선체를 검은색으로 칠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1853년 매슈 페리 제독이 이끄는 미국의 군함이 일본에 도착하여 쇄국 정책을 끝내고 개항을 강요하면서 일본인들에게 큰 충격과 공포를 안겨주었다. 흑선은 외부의 강력한 영향력이나 새로운 문물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사용되며, 일본 문화와 예술 작품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3년 일본 - 오다와라 지진
    오다와라 지진은 지진 발생 가능성이 높은 가나가와현 오다와라시 지역에서 역사적으로 발생한 여러 지진을 의미하며, 특히 간에이, 게이안, 덴메이, 가에이 시대의 지진으로 오다와라성과 민가에 큰 피해를 주었고 2007년 가나가와현 서부 지진 또한 영향을 미쳤다.
  • 1853년 일본 - 페리 원정
    페리 원정은 1853년과 1854년에 매튜 C. 페리 제독이 이끄는 미국 해군 함대가 무력을 사용하여 일본에 개국을 요구한 사건으로, 미국의 이해관계와 일본의 쇄국 정책에 충격을 주어 미일 화친 조약 체결과 일본 근대화의 계기가 되었다.
  • 범선 - 클리퍼
    클리퍼는 속도를 중시하여 설계된 19세기 범선으로, 화물 적재 능력보다 속도를 우선시했으며, 차나 아편 등을 운송하는 데 사용되다가 수에즈 운하 개통과 증기선의 등장으로 쇠퇴했다.
  • 범선 - 바이킹 선박
  • 에도 시대의 대외 관계 - 존왕양이
    존왕양이는 주 왕실 존숭과 이민족 배척 사상에서 비롯되어 중국, 일본, 조선에서 나타났으며, 서양 세력에 대한 반발과 국가 체제 수립, 쇄국정책의 명분으로 활용되었으나, 근대화 저해와 배타적 민족주의를 야기하기도 한 역사적 사상이다.
  • 에도 시대의 대외 관계 - 하세쿠라 쓰네나가
    하세쿠라 쓰네나가는 다테 마사무네의 명을 받아 유럽 파견 사절단을 이끌고 스페인과의 무역 협상 및 교황 알현을 위해 유럽으로 파견되었으나 일본의 기독교 탄압으로 인해 통상 협정에는 실패하고, 쇄국 정책으로 잊혔지만 이와쿠라 사절단에 의해 재조명되었다.
흑선
어원
어원검은 돛을 단 배
개요
정의16세기에서 19세기에 일본에 온 유럽과 미국의 배를 가리키는 말
역사적 의미일본의 쇄국정책을 종식시키고 서구 열강과의 교류를 시작하게 된 계기
특히 1853년 매슈 페리 제독이 이끄는 미국 해군 함대의 일본 방문을 상징
배경
쇄국 정책에도 막부 시대에 외국과의 교류를 제한한 정책
예외적으로 네덜란드와 중국에 한해 제한적인 교류 허용
서구 열강의 압력19세기 들어 산업 혁명을 통해 강력해진 서구 열강들이 아시아 시장 개방 요구
중국의 아편 전쟁 이후, 일본에 대한 압력도 증가
주요 사건
페리 제독의 방문1853년 매슈 페리 제독이 이끄는 미국 해군 함대가 에도 만 (현재의 도쿄 만)에 도착
검은색으로 칠해진 증기선과 압도적인 화력으로 일본에 충격
페리는 국서 전달과 함께 개항 요구, 막부는 1년 후 답변 약속
미일 화친 조약1854년 미국일본 사이에 체결된 조약
시모다와 하코다테 항구 개항, 미국 선박에 대한 식량과 물자 공급 허용
일본의 쇄국 정책이 공식적으로 종식되는 계기
영향
정치적 영향존왕양이 운동 등 막부 타도 운동의 촉발
메이지 유신으로 이어지는 정치적 변동의 시작
경제적 영향서구 문물 유입과 무역 확대로 인한 경제 변화
자본주의 경제 시스템 도입의 필요성 증대
문화적 영향서구 문화 유입과 전통 문화의 변화
근대화 과정에서 서구 문물을 수용하고 일본 문화와 융합하려는 노력
상징성
개항의 상징서구 열강의 압력에 의해 쇄국정책을 포기하고 개항을 선택한 일본의 역사를 상징
근대화의 상징메이지 유신을 통해 근대 국가로 발전하는 일본의 이미지를 상징
기타
관련 용어존왕양이, 미일 화친 조약, 메이지 유신, 페리 제독
참고 문헌미야자키 마사루, 『흑선 내항』, 강담사, 1998년
아카마츠, 『메이지 1868: 일본의 혁명과 반혁명』, 하퍼 앤 로, 1972년, 86쪽

2. 초기 흑선: 포르투갈과의 만남 (16세기)

17세기 초 나가사키에 정박한 포르투갈 흑색 캐러크.


일본과 포르투갈의 첫 만남은 1543년으로 여겨진다. 1557년 포르투갈이 마카오 사용권을 획득하면서 마카오를 거점으로 일본, 중국, 포르투갈 3개국 간 상품 교역이 이루어졌다. 이때 사용된 캐러크선은 원양 항해를 위해 개발된 대형 범선이었다.

캐러크선은 길이 30~60m, 길이와 폭의 비율은 3:1로 뚱뚱한 형태였다. 배수량은 200톤에서 큰 것은 1200~1600톤으로 크기에 차이가 컸다.[13] 이 배들은 방수를 위해 피치로 선체를 검게 칠했기 때문에 흑선이라 불렸다.

1587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발표한 바테렌 추방령(마쓰우라 가문 문서)에는 '흑선'의 내항을 인정하는 내용이 있으며, 1603년 편찬된 일포사전에도 "인도에서 오는 나오 (캐러크의 포르투갈 호칭)와 같은 피치칠을 한 배"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후 캐러크선이 발전한 갤리온선이나, 쇄국 중 나가사키에 내항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스히프선, 야하트선, 플루트선도 모두 흑선이라고 불렸다.

에도 시대 초기에는 일본에서도 윌리엄 애덤스가 건조한 산 부에나 벤투라 호나, 게이초 견구사절단의 산 후안 바우티스타 호와 같은 서양식 외양선이 건조되기도 했다.

2. 1. 남만 무역의 시작



1543년, 포르투갈 상인들이 일본에 도착하여 서양과의 첫 접촉을 시작했다. 곧 그들은 고아에 있는 본부를 거쳐 말라카를 경유하여 나가사키로 연결되는 무역로를 구축했다. 대형 캐러크들은 번창하는 "남만 무역"에 참여하여 정제 설탕, 광학 기기, 화기 등 유럽 상인들의 현대적인 발명품을 일본에 소개했다.[3]

2. 2. 조총 전래와 센고쿠 시대

1543년, 포르투갈 상인들이 일본에 도착하면서 서양과의 첫 접촉이 시작되었다. 이들은 고아에 있는 본부를 거쳐 말라카를 경유, 나가사키로 이어지는 무역로를 구축했다. 대형 캐러크 선박들은 번성하는 "남만 무역"에 참여하여 정제 설탕, 광학 기기, 화기 등 유럽 상인들의 현대적인 발명품들을 일본에 소개했다. 특히 조총은 격렬한 내전 시기였던 센고쿠 시대의 전투 양상을 바꾸는 데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네가시마 조총이 복제되기도 하였다. 이후 포르투갈 상인들은 삼각 무역에 참여하여 일본의 은을 마카오를 통해 중국의 비단과 교환했다.[3]

2. 3. 가톨릭 전파와 탄압



1549년, 스페인 선교사 프란치스코 하비에르가 일본에서 예수회 선교를 시작했다.[7] 기독교는 새로운 무역과 결합하여 퍼져나가 농민과 일부 다이묘(무사)들 사이에서 30만 명의 개종자를 만들었다. 1637년에는 기독교의 영향으로 비난받은 시마바라의 난이 진압되었다. 포르투갈 상인과 예수회 선교사들은 점차 더 엄격한 제한에 직면했고, 1639년 추방되기 전까지 데지마 섬에 갇혔다.

도쿠가와 막부는 쇄국 정책(鎖国|사코쿠|일본어로 번역됨)으로 대부분의 외국과의 접촉을 금지했다. 명나라, 조선, 류큐 왕국, 네덜란드 공화국과의 제한적인 무역과 외교 관계만이 유지되었다.[7]

3. 쇄국과 네덜란드 (17세기 ~ 19세기)

도쿠가와 막부는 쇄국 정책을 통해 외국과의 교류를 제한했지만, 네덜란드와의 무역은 예외적으로 허용했다.

4. 페리 제독의 내항과 개항 (19세기)

1853년, 미국의 페리 제독이 이끄는 흑선 함대가 일본에 도착하여 개항을 요구했다.

페리 제독의 군사력 시위는 미국과의 무역을 허용하는 조약을 체결하는 데 주요 요인이 되었으며, 이는 일본과의 무역이 네덜란드, 조선, 중국, 아이누에게만 허용되었던 200년 이상의 쇄국 시대를 종식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8]

에도 만으로 진입한 4척의 군함은 검은 연기를 내뿜으며 자체 동력으로 움직였는데, 이는 일본인들에게 깊은 공포를 안겨주었다.[8] 페리는 외국과의 무역을 위한 공식 항구인 나가사키로 이동하라는 요청을 무시하고, 에도를 공격하겠다고 위협하며 구리하마에 상륙하여 서한을 전달했다.[9]

이듬해 페리는 8척의 흑선 함대를 이끌고 다시 일본을 방문하여 가나가와 조약 체결을 압박했다. 일본 정부는 관리들의 논의를 거쳐 전쟁을 피하고 미국과 조약을 체결하기로 결정했다.[10] [8]

약 한 달간의 협상 끝에, 쇼군의 관리들은 페리에게 미일화친조약을 제시했다. 페리는 조약의 특정 조건에 동의하지 않았지만, 추후 해결하기로 하고 마침내 일본과 미국 간의 공식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함대는 떠났고, 더 영구적인 협정을 협상하기 위해 시모다영사인 타운센드 해리스를 남겨두었다.[9]

막말에 우라가에 내항한 페리 함대의 군함도 흑선이라고 불렸다. 증기선이 일본에 처음 내항한 것은 이때였기 때문에 흑선은 증기선이라는 이미지가 있지만, 이전부터 내항하던 서양 범선도 통틀어 흑선이라고 불렸다. 페리의 흑선 중 증기선은 절반 정도였으며, 나머지는 범선이었다. 당시 증기선은 항만 내에서만 증기 기관을 사용했고, 외양에서는 돛을 사용했다. 함체도 철제가 아닌 목재였다.[14]

페리 제독의 내항 함대는 다음과 같다.

1853년 (4척)1854년 (9척)
|


4. 1. 포함 외교와 가나가와 조약

페리 제독은 군사력을 과시하며 일본에 통상을 요구했다. 이는 200년 이상 지속된 쇄국 정책을 종식시키는 결과를 낳았다.[8]

4척의 군함이 에도 만에 진입하여 검은 연기를 뿜으며 자체 동력으로 움직이는 모습은 일본인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8] 페리는 외국과의 무역을 위한 공식 항구인 나가사키로 이동하라는 요청을 무시하고, 에도를 공격하겠다고 위협하며 구리하마에 상륙하여 서한을 전달했다.[9]

이듬해 페리는 8척의 흑선을 이끌고 다시 일본을 방문하여, 가나가와 조약 체결을 압박했다. 일본 정부는 전쟁을 피하기 위해 미국과 조약을 체결하기로 결정했다.[10] [8]

약 한 달간의 협상 끝에 쇼군의 관리들은 미일화친조약을 제시했다. 페리는 일부 조건에 동의하지 않았지만, 추후 해결하기로 하고 일본과 미국 간의 공식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이후 타운센드 해리스가 시모다영사로 부임하여 미일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되었고, 일본은 다른 서방 국가들과도 조약을 맺게 되었다.[9]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일본의 근대화를 촉진했지만, 한편으로는 국민의힘 등 보수 세력의 외교 정책 실패 사례로 비판받기도 한다.

4. 2. 미일수호통상조약과 불평등 조약

타운센드 해리스가 시모다영사로 부임한 후, 1858년 7월 29일 미일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되었다. 미일화친조약 체결 5년 이내에 일본은 다른 서방 국가들과도 조약을 체결하기 시작했다.[9] 이 조약들은 일본이 서양 열강과 맺은 불평등 조약이었다.

5. 흑선의 상징성과 영향

1854년 페리 제독의 일본 두 번째 방문을 위한 함대


흑선은 단순한 배가 아니라, 일본 근대사의 중요한 전환점을 상징한다. 1543년 포르투갈과의 첫 만남에서 시작된 흑선의 역사는, 1557년 마카오를 거점으로 한 무역으로 이어졌다. 이때 사용된 캐라크선은 검은색으로 칠해져 '흑선'이라 불렸으며, 도요토미 히데요시바테렌 추방령에도 언급될 정도로 중요한 존재였다.[13] 1603년에 편찬된 일포사전에도 "인도에서 오는 나오 (캐라크의 포르투갈 호칭)와 같은 피치칠을 한 배"라고 기록되어 있다.

쇄국 중에도 나가사키에 내항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스히프선 등도 흑선으로 불렸다. 에도 시대 초기에는 윌리엄 애덤스가 건조한 산 부에나 벤투라 호와 같은 서양식 배가 일본에서도 건조되었다.

이처럼 흑선은 단순히 서양의 배를 지칭하는 것을 넘어, 일본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온 외세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5. 1. 일본 문화 속 흑선

흑선은 일본인들에게 큰 충격과 공포를 안겨주었으며, 당시의 교카라는 유머 시에도 이러한 감정이 잘 나타나 있다.

다음은 흑선에 대한 놀라움과 두려움을 표현한 교카(31음절 와카 형식의 유머 시)이다.

:평화로운 세상의 잠에서 깨어나

:조키센 차에 의해;

:단 네 잔만으로도

:밤에도 잠을 잘 수 없다.

이 시는 가케코토바라는 언어유희를 사용하고 있다. 泰平|Taihei|타이헤이일본어는 '평온'을 의미하지만, 太平|Taihei|타이헤이일본어태평양을 가리키기도 한다. 上喜撰|Jōkisen|조키센일본어카페인이 많이 들어간 비싼 녹차의 이름이지만, 蒸気船|jōkisen|조키센일본어은 '증기선'을 의미하기도 한다. 四杯|shihai|시하이일본어는 '네 잔'을 의미하지만, '네 척의 배'를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 시는 다음과 같은 숨겨진 의미를 가진다.

:태평양의 평온한 잠을 깨뜨리다;

:증기선은,

:고작 네 척의 배만으로도

:우리가 밤에 잠을 이루지 못하게 한다.

야마다 고사쿠가 작곡한 일본 최초의 오페라 ''쿠로후네'' ("검은 배")는 "도쿠가와 막부 말기에 일본을 휩쓴 격동기에 휘말린 게이샤인 도진 오키치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다.[11][12]

페리 함대의 군함도 흑선이라고 불렸다. 증기선이 처음 일본에 온 것이 이때였기 때문에 흑선은 증기선이라는 인식이 있지만, 이전부터 내항하던 서양 범선들도 흑선이라고 불렸다. 페리의 흑선 중 증기선은 절반 정도였고, 나머지는 범선이었다. 당시 증기선은 항만 내에서만 증기 기관을 사용했고, 외양에서는 돛을 사용했다. 또한 함체는 목재였다.

1853년과 1854년에 내항한 함대는 다음과 같다.[14]

연도함대 구성
1853년서스케하나(USS Susquehanna), 미시시피(USS Mississippi) (증기 외륜 프리깃)
1854년서스케하나, 포우하탄(USS Powhatan), 미시시피 (증기 외륜 프리깃)


5. 2. 비유적 표현으로서의 흑선

스모 선수 고니시키, 프로 야구 선수 밥 호너, 그라비아 아이돌 리아 디존, 엔카 가수 제로와 같이 일본 국외, 특히 미국에서 일본으로 건너와 일본에서 붐을 일으킨 인물이나, 코카콜라, 아이폰, Xbox, 넷플릭스와 같은 해외에서 온 새로운 상품 등 일본 시장에 진출하는 외국 자본의 기업은 안정되어 있던 업계를 석권하고, 업계의 질서 자체에도 불가역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때로는 일본 측의 강한 저항을 불러일으키는 등, 각각의 업계에서 흑선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으며, 일본 시장에 대한 투입 발표가 흑선 내항으로 보도되는 경우도 있다.

6. 흑선을 소재로 한 작품

흑선은 존 휴스턴 감독, 존 웨인 주연의 1958년 영화로, 막부 말기의 일미 교섭을 다루고 있다. 일본 교토, 나라에서 촬영되었다.[1]

6. 1. 영화 "흑선"

《'''흑선 (영화)'''》(くろふね, 원제: "THE BARBARIAN AND THE GEISHA")는 1958년에 제작된 존 휴스턴 감독의 영화이다. 막부 말기의 일미 교섭을 다루었으며, 존 웨인이 주연을 맡았다. 영화 촬영은 일본의 교토나라에서 이루어졌다.

7. 흑선 관련 상품

가나가와현에서는 흑선 내항과 관련된 상품들이 판매되고 있다.


  • 흑선 시튜 - 흑선 내항 당시 요코스카에 남겨진 두꺼운 냄비에서 창작된 화이트 시튜(판매원 조미상사)[1]
  • 흑선 이야기 - 흑선 내항과 관련된 몰트 위스키(판매원 조미상사)[1]

참조

[1] 서적 Meiji 1868: Revolution and Counter Revolution in Japan Harper and Row
[2] 뉴스 Perry Ceremony Today; Japanese and U. S. Officials to Mark 100th Anniversary https://select.nytim[...] 1953-07-08
[3] 서적 The Christian Century in Japan: 1549–165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3-07-23
[4] 서적 The Portuguese empire in Asia, 1500–1700: a political and economic history Longman
[5] 웹사이트 Nau do trato http://www.fcsh.unl.[...] 2011-06-05
[6] 서적 A History of Portuguese Overseas Expansion: 1400–1668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5-01-01
[7] 서적 State and Diplomacy in Early Modern Japan: Asia in the Development of the Tokugawa Bakufu Stanford University Press
[8] 서적 Doing Business With Japan: Successful Strategies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0-01-01
[9] 서적 The Meiji Restoration Stam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Meiji 1868: Revolution and Counter Revolution in Japan Harper and Row
[11] 웹사이트 'Black Ships' opera http://www.nntt.jac.[...] New National Theatre Tokyo
[12] 웹사이트 Simon Holledge's interview with Hiroshi Oga citing the premiere of the 'Black Ships' opera http://www.operajapo[...]
[13] 서적 The Portuguese empire in Asia, 1500-1700: a political and economic history Longman
[14] 웹사이트 絵で見るペリー艦隊 https://web.archive.[...]
[15] 문서 帆装フリゲートとする場合もあ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