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광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흡광도는 물질을 통과하는 빛의 양을 나타내는 척도로, 입사 복사선 세기에 대한 투과 복사선 세기의 비의 상용로그로 정의된다. 비어-람베르트 법칙을 따르며, 물질의 종류, 농도, 빛의 파장 등에 따라 달라진다.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며,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흡광도는 감쇠율과 관련이 있으며, 차광 번호로 표시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학 필터 - 필터 (사진술)
필터는 사진술에서 이미지의 색상, 대비, 특수 효과를 조절하기 위해 특정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는 장치이며, 렌즈 보호, 색온도 조절, 빛의 양 조절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 광학 필터 - ND 필터
ND 필터는 사진, 레이저 실험, 천체 관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빛의 양을 줄이는 데 사용되며, 셔터 속도 및 조리개 조절, 레이저 출력 감쇠, 밝기 감소 및 대비 증가 등의 효과를 내기 위해 그라데이션, 휠, 가변, 익스트림 ND 필터 등 다양한 종류로 활용되고, 사용 시 색수차 발생 가능성,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 여부 등을 고려해야 한다. - 분광학 - 에너지 준위
에너지 준위는 양자 역학적 계에서 입자가 가질 수 있는 특정 에너지 값으로, 원자 내 전자의 양자화된 에너지 상태를 나타내며 분자에서는 전자, 진동, 회전 에너지 준위가 존재하고, 에너지 준위 간 전이는 광자의 흡수 또는 방출을 수반한다. - 분광학 - 아인슈타인 계수
아인슈타인 계수는 원자의 자발 방출(A21), 유도 방출(B21), 광자 흡수(B12) 세 가지 광-물질 상호작용을 기술하는 확률 계수로서, 원자 스펙트럼선의 형태와 세기를 결정하고 분광학, 레이저 물리학에서 활용된다.
흡광도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유형 | 정량적 표현 |
정의 | 시료를 통과하는 복사 에너지의 입사 대 투과 비율의 로그 |
기호 | A |
단위 | 단위 없음 |
관련 용어 | 투과율, 감쇠 |
상세 정보 | |
정의 | 광학 밀도라고도 하는 흡광도는 물질을 통과하는 빛의 양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
측정 방법 |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
투과율과의 관계 | 흡광도(A)는 투과율(T)의 역수의 상용 로그와 같다. (A = −log₁₀T = log₁₀(1/T)) |
응용 분야 | 화학 분석 재료 과학 환경 과학 |
흡수와 구별 | 흡수는 물질이 빛 에너지를 흡수하는 과정이며, 흡광도는 이 흡수의 정도를 정량화한 값이다. |
맥락 | 빛이 물질을 통과할 때 얼마나 많은 빛이 흡수되는지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
기타 명칭 | 광학 밀도라고도 불린다. |
수식 및 계산 | |
흡광도 공식 | A = log₁₀(I₀/I) |
I₀ | 시료에 입사하는 빛의 강도 |
I | 시료를 투과한 빛의 강도 |
투과율 공식 | T = I / I₀ |
관계식 | A = -log₁₀(T) |
람베르트-베어 법칙 | 단색광의 경우 흡광도는 시료의 농도와 광경로 길이에 비례한다. (A=εbc) |
흡광도의 특징 | |
측정 범위 | 흡광도는 0에서 무한대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지만, 실제 측정에서는 특정 범위로 제한된다. |
무차원 | 흡광도는 단위가 없는 값이다. |
분광학적 특성 | 흡광도는 파장에 따라 다르며, 이를 이용하여 물질의 분광학적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
분광광도계 | 흡광도는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
용어 | |
흡광도 | 빛이 물질을 통과할 때 흡수되는 양을 나타내는 값 |
광학 밀도 | 흡광도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용어 |
투과율 | 빛이 물질을 통과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 |
감쇠 | 빛의 강도가 감소하는 현상 |
흡광도 측정 | |
시료 준비 | 액체 시료는 큐벳에 담아 측정하고, 고체 시료는 투과 가능한 형태로 준비한다. |
기준 용액 | 측정 전에 기준 용액을 사용하여 분광광도계를 보정한다. |
파장 설정 | 특정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기 위해 분광광도계의 파장을 설정한다. |
측정 |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시료의 투과율 또는 흡광도를 측정한다. |
결과 분석 | 측정된 흡광도 값을 이용하여 물질의 농도 또는 특성을 분석한다. |
응용 | |
화학 | 용액의 농도 측정, 화학 반응 속도 연구 |
재료 과학 | 박막의 두께 측정, 재료의 광학적 특성 연구 |
생화학 | 단백질, DNA 등의 농도 측정, 효소 활성도 분석 |
환경 과학 | 대기 중 오염 물질 농도 측정, 수질 분석 |
2. 역사 및 용어
흡광도라는 용어는 비어-람베르트 법칙에서 유래되었다.
2. 1. 비어-람베르트 법칙
비어-람베르트 법칙은 빛이 매질을 통과할 때 빛의 세기가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하는 현상을 설명하는 법칙이다.[2] 투과율()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여기서 는 이동 시작 시 빛의 세기, 는 거리 를 이동한 후 검출된 빛의 세기, 는 감쇠 상수이다. 위 식에 자연로그를 취하면 다음과 같다.
:
균질 매질(예: 용액)에서는 산란이 발생하지 않는다. 아우구스트 베어가 연구한 이 경우, 흡수종의 농도는 경로 길이와 마찬가지로 흡광도에 선형적으로 기여한다. 베어-람베르트 법칙의 일반적인 표현은 재료 내의 빛 감쇠를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여기서 는 흡광도, 는 몰흡광계수, 는 광학 경로 길이, 는 감쇠종의 농도이다.
2. 2. 산란 시료의 흡광도
산란하는 시료의 경우, 흡광도는 "균일한 시료에서 측정한 흡광률(흡수율: )의 1에서 뺀 값의 음의 로그"로 정의된다.[1] 10을 밑으로 하는 흡광도의 경우,[3] 이것은 로 표현할 수 있다. 시료가 빛을 투과하고 반사하며, 루미네선스(luminescence)가 없는 경우, 흡수된 빛의 비율(), 반사된 빛의 비율(), 그리고 투과된 빛의 비율()의 합은 1이다. 즉, 이다. 이므로, 공식은 로 쓸 수 있다. 산란하지 않는 시료의 경우, 이고 이다.이 흡광도 함수는 산란 시료에서 매우 유용하지만, 비산란 시료에서와 같은 바람직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이러한 시료에 대해 흡수력이라는 특성을 추정할 수 있다. 산란 시료를 구성하는 단위 두께의 물질의 흡수력은 산란이 없는 경우 동일한 두께의 물질의 흡광도와 같다.[4]
2. 3. 광학에서의 흡광도
광학에서 '''흡광도''' 또는 '''십진 흡광도'''는 물질을 통과하는 입사 복사선 세기 대 투과 복사선 세기의 비의 상용로그이며, '''분광 흡광도''' 또는 '''분광 십진 흡광도'''는 물질을 통과하는 입사 분광 복사선 세기 대 투과 분광 복사선 세기의 비의 상용로그이다.[1] 흡광도는 무차원량이며, 특히 길이가 아니지만, 경로 길이의 단조 증가 함수이고, 경로 길이가 0에 가까워짐에 따라 0에 가까워진다.3. 수학적 정의
흡광도는 물질을 통과하는 입사 복사속과 투과 복사속의 비를 상용로그로 나타낸 값이다.[5] 재료의 흡광도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5]
:
여기서
- 는 해당 재료를 통해 투과된 복사속이다.
- 는 해당 재료에 입사된 복사속이다.
- 는 해당 재료의 투과율이다.
흡광도는 광학적 깊이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
여기서 τ는 광학적 깊이이다.
비어-람베르트 법칙의 일반적인 표현은 재료 내의 빛 감쇠를 로 나타낸다. 여기서 는 흡광도, 는 몰흡광계수, 는 광학 경로 길이, 는 감쇠종의 농도이다.
산란하는 시료의 경우, 흡광도는 "균일한 시료에서 측정한 흡광률(흡수율: )의 1에서 뺀 값의 음의 로그"로 정의된다.[1] 10을 밑으로 하는 흡광도의 경우,[3] 로 표현할 수 있다.
3. 1. 흡광도 (Absorbance, A)
광학에서 '''흡광도'''(Absorbance, A)는 물질을 통과하는 입사 복사선 세기 대 투과 복사선 세기의 비의 상용로그이다.[5] 흡광도는 무차원이며, 특히 길이가 아니지만, 경로 길이의 단조 증가 함수이고, 경로 길이가 0에 가까워짐에 따라 0에 가까워진다.재료의 흡광도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5]
여기서
- 는 해당 재료를 통해 투과된 복사속이다.
- 는 해당 재료에 입사된 복사속이다.
- 는 해당 재료의 투과율이다.
흡광도는 무차원량이지만, '''흡광도 단위''' 또는 '''AU'''는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과 그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응용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종종 밀리흡광도 단위(mAU) 또는 밀리흡광도 단위-분(mAU×min)과 같은 유도 단위로 사용된다.[6] 밀리흡광도 단위-분은 시간에 따라 적분된 흡광도의 단위이다.
흡광도는 광학적 깊이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여기서 τ는 광학적 깊이이다.
비어-람베르트 법칙의 일반적인 표현은 재료 내의 빛 감쇠를 로 나타낸다. 여기서 는 흡광도, 는 몰흡광계수, 는 광학 경로 길이, 는 감쇠종의 농도이다.
산란하는 시료의 경우, 흡광도는 "균일한 시료에서 측정한 흡광률(흡수율: )의 1에서 뺀 값의 음의 로그"로 정의된다.[1] 10을 밑으로 하는 흡광도의 경우,[3] 로 표현할 수 있다.
3. 2. 분광 흡광도 (Spectral Absorbance)
분광 흡광도 또는 분광 십진 흡광도는 물질을 통과하는 입사 분광 복사선 세기 대 투과 분광 복사선 세기의 비의 상용로그이다.[5]재료의 주파수에 따른 분광 흡광도 및 파장에 따른 분광 흡광도는 각각 ''A}} 및 ''A}}로 표시되며,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5]
:
여기서,
- 는 해당 재료를 통해 투과된 주파수에 따른 분광 복사속이다.
- 는 해당 재료가 받은 주파수에 따른 분광 복사속이다.
- 는 해당 재료의 주파수에 따른 분광 투과율이다.
- 는 해당 재료를 통해 투과된 파장에 따른 분광 복사속이다.
- 는 해당 재료가 받은 파장에 따른 분광 복사속이다.
- 는 해당 재료의 파장에 따른 분광 투과율이다.
분광 흡광도는 분광 광학적 깊이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
여기서,
- τ는 주파수에 따른 분광 광학적 깊이이고,
- τ는 파장에 따른 분광 광학적 깊이이다.
흡광도는 단위가 없는 값이지만, 때때로 "흡광도 단위" 또는 AU로 보고되기도 한다.[7]
4. 감쇠와의 관계
흡광도는 물질의 감쇠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흡광도와 관련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비어-람베르트 법칙에 따르면, 투과율(T)은 T = 10-A (A는 흡광도)이다.
- 흡광도는 물질을 통과하는 빛의 세기가 감소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며, 감쇠 계수(μ)로 표현된다.
- 흡수 분광법에서는 흡광도(A) 또는 십진 흡광도(A10 = μ10d)를 사용한다.
- 균질 매질에서 흡광도는 흡수종의 농도(c)와 경로 길이(ℓ)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하며, 베어-람베르트 법칙(A = εℓc, ε는 몰흡광계수)으로 나타낸다.
- 흡광도는 물질의 십진 감쇠 계수와 관련이 있다. (A = ∫0l a(z)dz, l은 빛이 통과하는 물질의 두께, a(z)는 z에서 물질의 십진 감쇠 계수)
- 몰 농도로 나눈 감쇠 계수를 몰 감쇠 계수라고 한다. (A = ∫0l εc(z)dz, ε는 몰 감쇠 계수, c(z)는 z에서 물질의 몰 농도)
- '몰 흡광 계수'라는 용어는 몰 감쇠 계수에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다.[5]
4. 1. 감쇠율 (Attenuance)
흡광도는 물질을 통과하는 빛의 세기가 줄어드는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이러한 감쇠는 흡수뿐만 아니라 반사, 산란 등 다양한 물리적 과정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물질의 흡광도가 1보다 매우 작고, 방출률(emission)이 흡광도보다 훨씬 작을 때, 감쇠율(attenuance)은 흡광도에 자연로그 10을 곱한 값과 거의 같아진다.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Φei : 물질에 입사되는 복사력
- Φet : 물질을 투과하는 복사력
- Φeatt : 물질에 의해 감쇠되는 복사력
- Φee : 물질에서 방출되는 복사력
위의 변수들을 사용하여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Φet + Φeatt = Φei + Φee
여기서,
- T = Φet / Φei : 물질의 투과율(transmittance)
- ATT = Φeatt / Φei : 물질의 감쇠율
- E = Φee / Φei : 물질의 방출률
위의 식들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T + ATT = 1 + E
비어-람베르트 법칙에 따르면, T = 10-A 이므로,
ATT = 1 - 10-A + E ≈ A ln 10 + E (if A << 1)
마지막으로, E << A 이면,
ATT ≈ A ln 10
4. 2. 감쇠 계수 (Attenuation coefficient)
흡광도는 비어-람베르트 법칙에 따라 물질을 통과하는 빛의 세기가 감소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빛이 매질을 통과할 때, 빛의 세기는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하며, 이때 감쇠 계수(Attenuation coefficient) μ로 표현된다.[2]:
여기서,
- 는 빛이 매질에 들어가기 전의 세기
- 는 매질을 통과한 후의 세기
- 는 빛이 통과한 거리
- 는 투과율
산란 매질의 경우, 감쇠 상수 μ는 산란 계수 와 흡수 계수 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2]
:
흡수 분광법에서는 주로 흡수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흡광도()를 사용하며, 십진 흡광도 를 사용하기도 한다. (보통 첨자 10은 표시하지 않음)
균질 매질(예: 용액)에서는 흡수종의 농도와 경로 길이에 따라 흡광도가 선형적으로 변하며, 이를 베어-람베르트 법칙으로 나타낸다.
:
여기서,
- 는 흡광도
- 는 몰흡광계수
- 는 광학 경로 길이
- 는 감쇠종의 농도
흡광도는 물질의 십진 감쇠 계수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
여기서,
- 은 빛이 통과하는 물질의 두께
- 는 에서의 물질의 십진 감쇠 계수
감쇠가 선형 감쇠일 경우, 즉 가 경로를 따라 균일하면,
:
와 같이 간단하게 표현된다.
몰 농도로 나눈 감쇠 계수를 몰 감쇠 계수라고 하며,
:
여기서,
- 는 해당 물질의 몰 감쇠 계수
- 는 에서 해당 물질의 몰 농도
가 경로를 따라 균일하면,
:
로 나타낼 수 있다.
"몰 흡광 계수"라는 용어는 몰 감쇠 계수에 사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5]
5. 측정
흡광도는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측정하는 빛의 파장대에 따라 광원과 검출기가 다른 측정 장치가 사용된다.[7] 액체 시료의 흡광도를 측정할 때는 주로 석영 셀에 시료를 넣어 측정하며, 빈 셀을 통과한 빛의 세기를 ''I''0, 시료가 담긴 셀을 통과한 빛의 세기를 ''I''로 하여 흡광도를 계산한다.[8]
5. 1. 측정 방법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한다. 측정하는 빛의 파장대에 따라 광원과 검출기가 다른 측정 장치가 사용된다.[7]액체 시료의 흡광도를 측정할 때는 주로 석영 셀에 시료를 넣어 측정한다. 이 경우, 빈 셀을 통과한 빛의 세기를 ''I''0, 시료가 담긴 셀을 통과한 빛의 세기를 ''I''로 하여 흡광도를 계산한다.[8]
일반적으로 용액 속 물질의 흡광도는 흡광 분광법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용액에 빛을 통과시킨 후 검출기에 도달한 빛의 양과 파장을 기록하여 흡수된 파장을 파악한다. 먼저, 용매만을 사용하여 "블랭크" 측정을 수행하여 용매의 흡광도를 확인한다. 그 후, 전체 용액을 측정하여 용질에 의한 흡광도 변화를 측정한다. 용액 샘플을 통과한 투과된 분광 복사속과 입사된 분광 복사속을 비교하여 주어진 파장에서의 분광 흡광도를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9]
:
흡광 스펙트럼은 흡광도를 파장에 따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자외선 가시광선 분광법#자외선-가시광선 분광 광도계는 이 모든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용액을 작은 큐벳에 넣고 기기 홀더에 삽입한 후, 컴퓨터를 통해 제어하여 "블랭킹"을 수행하면 파장에 따른 흡광도가 자동으로 표시된다. 용액의 흡광 스펙트럼은 맥주-람베르트 법칙을 사용하여 용액의 농도를 결정하는 데 유용하며,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사용된다.
5. 2. 측정 범위
측정 기기는 흡광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많은 기기는 약 2 AU (투과율 ~1%)부터 비선형성을 나타내며 정확한 측정이 어려워진다.[1] 또한, 시판되는 화학 분석용 기기로는 매우 작은 흡광도 값(10-4 미만)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다.[1] 이러한 경우, 레이저 기반 흡수 기술을 사용하면 더 높은 검출 한계를 보여줄 수 있다(5 x 10-13까지 검출이 입증됨).[1] 대부분 시판되는 비레이저 기반 기기의 이론적으로 최상의 정확도는 약 1 AU 범위에서 달성된다.[1] 따라서 가능하면 이 범위에 가까운 측정값을 얻도록 경로 길이 또는 농도를 조정해야 한다.[1]5. 3. 흡광도와 투과율의 관계
재료의 흡광도는 Absorbance|어브소번스영어 ()로 표시되며,[5]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Phi_\text{e}^\text{t}} = -\log_{10} T|block=true}}
여기서
- 해당 재료를 통해 투과된 복사속이고,
- 해당 재료에 입사된 복사속이고,
- 해당 재료의 투과율이다.
흡광도는 무차원량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흡광도 단위 (AU)는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과 그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응용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종종 밀리흡광도 단위 (mAU) 또는 밀리흡광도 단위-분 (mAU×min)과 같은 유도 단위로 사용된다. 밀리흡광도 단위-분은 시간에 따라 적분된 흡광도의 단위이다.[6]
흡광도는 광학적 깊이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frac{\tau}{\ln 10} = \tau \log_{10} e|block=true}}
여기서 는 광학적 깊이이다.
물질을 통과하는 빛의 양은 지수적으로 감소하는데, 이는 맥주-램버트 법칙에 따른다. 시료의 흡광도는 로그로 측정되므로, 시료의 두께와 시료 내 흡광 물질의 농도에 정비례한다. 투과율과 같이 흡광과 관련된 다른 몇몇 측정값은 단순한 비율로 측정되므로, 물질의 두께와 농도에 따라 지수적으로 변한다.
흡광도: | 투과율: |
---|---|
0 | 1 |
0.1 | 0.79 |
0.25 | 0.56 |
0.5 | 0.32 |
0.75 | 0.18 |
0.9 | 0.13 |
1 | 0.1 |
2 | 0.01 |
3 | 0.001 |
일반적으로 용액 속 물질의 흡광도는 흡광 분광법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이는 용액에 빛을 통과시키고 얼마나 많은 빛과 어떤 파장이 검출기에 전달되었는지 기록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정보를 사용하여 흡수된 파장을 결정할 수 있다.[8] 먼저, 참조 목적으로 용매만 사용하여 "블랭크"에 대한 측정을 수행한다. 이는 용매의 흡광도를 알기 위함이며, 그런 다음 전체 용액을 측정할 때 흡광도의 변화는 관심 있는 용질에 의해서만 발생한다. 그런 다음 용액의 측정을 수행한다. 용액 샘플을 통과하는 투과된 분광 복사속을 측정하고 입사된 분광 복사속과 비교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어진 파장에서의 분광 흡광도는 다음과 같다.
:{\Phi_{\mathrm{e},\lambda}^\mathrm{t}}\right)\!.|block=true}}
흡광 스펙트럼은 흡광도 대 파장의 그래프에 표시된다.[9]
자외선 가시광선 분광법#자외선-가시광선 분광 광도계는 이 모든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이 기기를 사용하려면 용액을 작은 큐벳에 넣고 홀더에 삽입한다. 이 기기는 컴퓨터를 통해 제어되며, 일단 "블랭킹"되면 파장에 따라 플롯된 흡광도를 자동으로 표시한다. 용액의 흡광 스펙트럼을 얻는 것은 맥주-람베르트 법칙을 사용하여 해당 용액의 농도를 결정하는 데 유용하며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사용된다.
6. 차광 번호 (Shade number)
일부 필터, 특히 용접용 유리는 흡광도의 7/3배에 1을 더한 차광 번호(Shade Number, SN)로 등급이 매겨진다.[10]
:
예를 들어, 필터의 투과율이 0.1%(투과율 0.001, 흡광도 3)이라면 차광 번호는 8이 된다.
참조
[1]
GoldBook
decadic absorbance
[2]
서적
Light Scattering by Small Particles
John Wiley and Sons
[3]
서적
Handbook of Vibrational Spectroscopy
[4]
서적
Interpreting Diffuse Reflectance and Transmittance: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Absorption Spectroscopy of Scattering Materials
[5]
GoldBook
Absorbance
2015-03-15
[6]
웹사이트
ÄKTA Laboratory-Scale Chromatography Systems - Instrument Management Handbook
https://cdn.gelifesc[...]
GE Healthcare Bio-Sciences AB
2015
[7]
학술지
How to Make Your Next Paper Scientifically Effective
2013
[8]
웹사이트
Visible and Ultraviolet Spectroscopy
https://www2.chemist[...]
2014-10-29
[9]
웹사이트
Empirical Rules for Absorption Wavelengths of Conjugated Systems
https://www2.chemist[...]
2014-10-29
[10]
웹사이트
How Many? A Dictionary of Units of Measurement
https://web.archive.[...]
Unc.edu
2004-09-01
[11]
GoldBook
optical density
[12]
서적
The Laser Guidebook
http://books.google.[...]
[13]
웹사이트
UV-Visible Spectroscopy- Derivation of Beer-Lambert Law
http://pharmaxchange[...]
[14]
웹인용
Dictionary — Definition of absorptance
https://web.archive.[...]
Websters-online-dictionary.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