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히스테리 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스테리 연구는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요제프 브로이어가 1895년에 발표한 책으로, 히스테리 환자들의 사례를 분석하여 억압된 기억과 증상의 연관성을 제시한다. 이 책은 '말하기 치료'의 가능성을 제시하며 정신분석학 발전에 기여했으나, 프로이트의 치료 방식과 베르타 파펜하임(안나 O.) 사례의 성공 여부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출판 당시 의학계에서 다양한 평가를 받았으며, 프로이트의 후기 연구와 이론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5년 책 - 서유견문
    《서유견문》은 유길준이 저술한 근대 한국 최초의 서양 소개서로, 유학 경험을 바탕으로 세계 지리와 서양 문물을 소개하며 갑오개혁에 영향을 미쳤고, 근대 계몽기에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작품 - 꿈의 해석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은 꿈을 억압된 욕망의 충족 시도로 보고 꿈의 내용이 왜곡되어 나타난다고 주장하며 인간의 무의식을 탐구하는 정신분석학의 핵심 이론을 담은 저서이다.
  •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작품 - 정신분석 입문
    《정신분석 입문》은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핵심 내용을 담아 꿈의 해석, 신경증, 초자아의 역할 등을 다루며, 정신분석학의 기본 원리를 제시하고 한국에 정신분석학을 소개하는 데 기여한 저서이다.
  • 오스트리아의 책 - 확실성에 관하여
    《확실성에 관하여》는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이 G.E. 무어의 논문에 대한 오랜 관심을 바탕으로 앎의 근거와 확실성에 대한 철학적 논의를 전개한 단상 모음집이다.
  • 오스트리아의 책 - 꿈의 해석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은 꿈을 억압된 욕망의 충족 시도로 보고 꿈의 내용이 왜곡되어 나타난다고 주장하며 인간의 무의식을 탐구하는 정신분석학의 핵심 이론을 담은 저서이다.
히스테리 연구
개요
'《히스테리 연구》 표지'
원제Studien über Hysterie
저자지그문트 프로이트
공저자요제프 브로이어
언어독일어
출판년도1895년
주제히스테리

2. 주요 내용 및 구성

프로이트는 증상을 지층처럼 여러 겹으로 쌓인 것으로 보았다. 가장 바깥층의 기억은 쉽게 떠올리고 받아들일 수 있지만, "더 깊이 들어갈수록 드러나는 기억들을 인식하기는 더 어려워진다."[4]

브로이어의 환자 안나 O.는 정신분석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22] 1893년의 보고서에서 프로이트와 브로이어는 히스테리 환자가 초기부터 고통받고 있다고 지적했다.[23] 그러나 『히스테리 연구』 출판 이후, 프로이트는 브로이어와 달리 최면 치료에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히스테리의 원인이 되는 성적인 측면에 더 집중했다.[24]

프로이트가 이 책에서 사용한 상징, 퇴행 등의 여러 관점은 훗날 그의 저작에도 계속 사용되었다. 또한, 이 책에 실린 브로이어의 논고는 1920년 프로이트가 집필한 『쾌락원리 너머』에 큰 영향을 주었다.

2. 1. 사례 연구

브로이어와 프로이트는 안나 O., 엠마 폰 N., 루시 R., 카타리나, 엘리자베스 폰 R. 등 5명의 히스테리 환자 사례를 분석하여, 이들의 증상이 억압된 기억과 관련되어 있음을 밝혔다.[6] 특히 브로이어가 치료한 안나 O. (본명: 베르타 파펜하임(Bertha Pappenheim)) 사례는 '말하기 치료'의 가능성을 보여주며 정신분석학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5][22]

프로이트는 안나 폰 리벤 부인의 사례를 통해 정신분석 치료의 한계 또한 보여주었다. 그는 6년간 모르핀 주사로 그녀를 치료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15] 후대 비평가들은 프로이트가 그녀의 불치병을 알면서도 돈벌이 수단으로 이용했다고 비판한다.[14]

미켈 보르크-야콥센(Mikkel Borch-Jacobsen)과 소누 샴다사니(Sonu Shamdasani)는 『히스테리 연구』가 프로이트에게 "특정한 국내외 악명"을 안겨주었다고 평가한다. 이들은 프로이트와 브로이어의 주장과 달리, 프로이트는 "베르타 파펜하임(Bertha Pappenheim)의 치료가 완전히 성공적이지 않았다는 것을 항상 알고 있었다"고 주장한다.[16]

2. 2. 이론적 고찰

프로이트는 히스테리 증상을 지층처럼 여러 겹으로 쌓인 것으로 보았다. 가장 바깥층의 기억은 쉽게 떠올리고 받아들일 수 있지만, "더 깊이 들어갈수록 드러나는 기억들을 인식하기는 더 어려워진다."[4]

브로이어의 환자 안나 O.는 정신분석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22] 1893년의 보고서에서 프로이트와 브로이어는 히스테리 환자가 초기부터 고통받고 있다고 지적했다.[23] 그러나 『히스테리 연구』 출판 이후, 프로이트는 브로이어와 달리 최면 치료에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히스테리의 원인이 되는 성적인 측면에 더 집중했다.[24]

프로이트가 이 책에서 사용한 상징, 퇴행 등의 여러 관점은 훗날 그의 저작에도 계속 사용되었다. 또한, 이 책에 실린 브로이어의 논고는 1920년 프로이트가 집필한 『쾌락원리 너머』에 큰 영향을 주었다.

3. 히스테리 연구의 영향 및 평가

'히스테리 연구'는 출판 당시 의학계 안팎에서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12][20] 해블록 엘리스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지만, 빈 의학계에서는 "시를 이용한 심리학"이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13][21] 외겐 블로이러는 긍정적 평가를 내리면서도, 프로이트와 브로이어가 보고한 결과는 암시의 결과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 책은 정신분석학의 탄생을 알리는 중요한 저작으로 평가받으며, 이후 정신의학, 심리학, 문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브로이어는 베르타 파펜하임과의 연구를 통해 정신분석학의 기초를 마련했으며, 프로이트 자신도 이를 인정했다.[5] 프로이트는 히스테리 발생에 있어 성적 요인의 역할을 더 강조했고, 치료 수단으로서 브로이어의 최면 사용을 점차 부정하게 되었다.[7]

"히스테리 연구"의 이론적 토대 중 일부("억압된 정동", 최면 상태)[8]는 정신분석학이 독립적인 기법으로 확립되면서 버려졌다. 그러나 프로이트의 많은 임상적 관찰(기억 흔적 기호[9] 또는 지연 작용)[10]은 그의 후기 연구에서 계속 확인되었다. 브로이어의 이론적 논문은 항상성 원리에 대한 검토와 결합된 유동적인 카테시스[11] 구분을 통해 1920년대 후반, "쾌락원칙 너머" 집필까지 프로이트의 사고에 영향을 주었다.

3. 1. 비판적 시각

일부 비평가들은 프로이트가 안나 폰 리벤 부인의 치료 불가능성을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녀를 경제적 이득을 위해 이용했다고 주장한다.[14] 프로이트는 6년 동안 모르핀 주사로 그녀를 지속적으로 치료했지만, 성공적인 결과는 없었다.[15]

미켈 보르크-야콥센(Mikkel Borch-Jacobsen)과 소누 샴다사니(Sonu Shamdasani)는 프로이트가 베르타 파펜하임(Bertha Pappenheim)(안나 O.)의 치료가 완전히 성공적이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고 주장한다.[16]

4. 한국어 번역본

한국에서는 '히스테리 연구'가 여러 차례 번역되어 출간되었다. 다음은 출판된 한국어 번역본 목록이다.

출판 연도제목번역자출판사
1930년프로이트 정신분석 체계 히스테리 연구안다 도쿠타로알스
1955년프로이트 선집 제9권 히스테리 연구겐다 가쓰미, 요시다 마사미 (공역)일본교문사
1974년프로이트 저작집 제7권 히스테리 연구오고키 케이고, 겐다 가쓰미 (공역)인문서원
2004년히스테리 연구 (상하)긴미즈 다케시지쿠마 학예문고
2008년프로이트 전집 제2권 히스테리 연구:1895년시바 신타로이와나미 쇼텐
2013년히스테리 연구 초판긴미즈 다케시추코 클래식스


참조

[1] 서적 The life and Work of Sigmund Freud
[2] 서적 Beyond the Unconscious: Essays of Henri F. Ellenberger in the History of Psychiatry https://muse.jhu.edu[...] Princeton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life and Work of Sigmund Freud
[4] 서적 Studies in Hysteria London
[5] 서적 Freud
[6] 서적 Freud
[7] 서적 Freud
[8] 서적 Five Lectures on Psycho-Analysis
[9] 서적 On Psychopathology
[10] 서적 Case Histories II
[11] 서적 On Metapsychology
[12] 서적 The life and Work of Sigmund Freud
[13] 서적 The life and Work of Sigmund Freud
[14] 서적 Ingenious Nonsense
[15] 서적 Les patients de Freud. Destins. Éditions Sciences Humaines
[16] 서적 The Freud Files: An Inquiry into the History of Psycho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서적 Une histoire des représentations. Contribution à une archéologie de la société de la connaissance L'Harmattan
[18] 서적 Let Me Continue to Speak the Truth: Bertha Pappenheim as Author and Activist Hebrew Union College Press
[19] 서적 The Trauma of Freud: Controversies in Psychoanalysis Transaction
[20] 서적 The life and Work of Sigmund Freud
[21] 서적 The life and Work of Sigmund Freud
[22] 서적 Freud
[23] 서적 Freud
[24] 서적 Freud
[25] 서적 The life and Work of Sigmund Freud
[26] 서적 Beyond the Unconscious: Essays of Henri F. Ellenberger in the History of Psychiatry https://muse.jhu.edu[...] Princeton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