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힐다 엘리스 데이비드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힐다 엘리스 데이비드슨(1914–2006)은 고대 노르드 및 게르만 신화, 켈트 문화 연구에 기여한 영국의 학자이자 민속학자이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런던 로열 할로웨이 대학교와 버크벡 대학교에서 강사로 활동했으며, 민속학회 이사 및 회장을 역임하며 민속학 연구 발전에 기여했다. 주요 저서로는 《헬로 가는 길: 고대 노르드 문학에서 죽음에 대한 개념 연구》, 《북유럽의 신과 신화》, 《이교 유럽의 신화와 상징》 등이 있다. 데이비드슨은 고고학, 문학, 민속학, 역사학을 결합하는 학제 간 연구를 장려했으며, 신화와 민속학 분야의 많은 학자들을 양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임브리지 대학교 루시 캐번디시 칼리지 교수 - 마거릿 매스터먼
    마거릿 매스터먼은 1963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 케임브리지 언어 연구소를 설립한 영국의 언어학자이자 과학 철학자로, 언어학과 인공지능의 교차점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수행하며 언어의 일관성과 중복성을 중요하게 여겨 텍스트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연구하고 언어 처리에 대한 선구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 켈트학자 - 앤드루 카니
    앤드루 카니는 통사론, 형태론, 음운론을 연구하며 켈트어파 언어를 주로 연구하는 언어학자이다.
  • 켈트학자 - 더글러스 하이드
    아일랜드의 학자이자 언어학자, 작가, 정치인인 더글러스 하이드는 게일어 부흥 운동에 헌신하고 게일어 연맹을 공동 설립하여 아일랜드 문화와 언어 보존에 기여했으며, 아일랜드 초대 대통령을 역임했다.
  • 독일학자 - 칼 피어슨
    칼 피어슨은 통계학, 응용수학, 과학철학 분야에 기여하고 상관 관계, 적률법, 카이제곱 검정 등 현대 통계 방법론의 기초를 다진 영국의 학자이자, 세계 최초의 통계학과 설립과 학술지 창간으로 통계학 발전에 기여했지만 우생학적 관점으로 인종차별주의 비판을 받기도 하는 인물이다.
  • 독일학자 - 요아힘 카이저
    요아힘 카이저는 쥐트도이체 차이퉁의 수석 음악 평론가이자 저술가, 라디오 방송 진행자, 음악학 교수로 활동하며 국내외 콘서트, 오페라, 연극 비평, 텔레비전과 라디오 해설, 그리고 리하르트 바그너 연구와 저술, 강연 활동을 통해 독일 문화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힐다 엘리스 데이비드슨
기본 정보
이름힐다 로더릭 엘리스 데이비슨
출생 이름힐다 로더릭 엘리스
출생일1914년 10월 1일
출생지베빙턴, 체셔, 잉글랜드
사망일2006년 1월 12일
사망지다트퍼드, 켄트, 잉글랜드
국적영국
배우자리처드 로버트슨 데이비슨 (1943년 결혼)
자녀2명
학력
출신 대학뉴넘 칼리지, 케임브리지 (MA, PhD)
박사 학위 논문 제목고대 노르드 문학의 종말론과 점술
박사 학위 논문 년도1940년
지도교수헥터 먼로 채드윅
노라 K. 채드윅
경력
직업민속학자
소속민속학회
루시 캐번디시 칼리지, 케임브리지
연구 분야
주요 관심사고대 켈트 종교
앵글로색슨족, 앵글로색슨족 종교 및 고대 영어 문학
영국 민속
게르만족의 이교주의, 신화, 민속 및 문화
고대 노르드 종교, 신화 및 문학
스칸디나비아 민속
바이킹 시대
영향을 준 인물헥터 먼로 채드윅
노라 K. 채드윅
영향을 받은 인물재클린 심슨
주목할 만한 저서북유럽의 신들과 신화 (1964년)
헬로 가는 길: 고대 노르드 문학에서 죽음에 대한 개념 연구
이교 유럽의 신화와 상징 (1988년)
학문적 영향재클린 심슨
수상
수상 내역캐서린 브리그스 민속학상 (1988년)
기타

2. 생애

힐다 엘리스 데이비드슨은 1914년 10월 1일 영국 체셔주 베빙턴에서 태어났다.[1] 케임브리지 대학교 뉴넘 칼리지에서 영어, 고고학, 인류학을 전공하고 최우등 학위를 받았으며,[2] 1939년 석사 학위, 1940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1] 박사 학위 논문 주제는 고대 노르드 신화였다.[2] 여러 언어에 능통했다.[1]

런던 로열 할로웨이 대학교에서 영어 조교수로 학문 경력을 시작했고(1939–1944),[1] 1945년부터 1955년까지 런던 버크벡 대학교 사회교육부 강사로 일했다.[1] 초기에는 고대 노르드어와 고대 노르드 신화 연구에 고고학적 증거를 활용하는 선구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다.[2]

레드베리 돌은 북유럽 신화의 한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데이비드슨은 고대 노르드 신앙 연구에 이러한 고고학적 증거를 활용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었다.


1968년부터 1971년까지 케임브리지 루시 캐번디시 칼리지 연구 펠로우, 1971년부터 앵글로색슨 연구, 고대 노르드 연구, 켈트 연구 강사, 1974년에 펠로우가 되었다.[1] 1975년부터 1980년까지 루시 캐번디시 부회장을 역임하며, 학교의 확장과 현대화에 기여했다.[2][3]

1949년 민속학회에 가입하여 이사(1956~1986) 및 명예 회원으로 활동하며 민속학 연구를 과학적 학문으로 복원하는 데 힘썼다.[1] 1974년부터 1976년까지 학회 회장을 역임하며 학회 헌법 개정, 학회 저널 ''민속''(Folklore) 발전에 기여했다.[2][3] 런던 골동품 협회 회원이기도 했다.[5]

말년에는 초기 켈트와 게르만 문화의 공통 주제와 신념을 연구했다. 1984년 민속 연구 부문에서 쿠트 레이크 메달, 1988년 캐서린 브리그스 민속상을 받았다.[2] 민속 연구의 역사를 탐구하고, 캐서린 브리그스의 전기를 출판하기도 했다.[1]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힐다 엘리스 데이비드슨은 1914년 10월 1일 영국 체셔주 베빙턴에서 문구상 헨리 로데릭과 밀리 치즈먼 엘리스의 딸로 태어났다.[1]

케임브리지 대학교 뉴넘 칼리지에서 영어, 고고학, 인류학을 전공하고 최우등 학위를 받았다.[2] 1939년 석사 학위, 1940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1] 박사 학위 논문 주제는 고대 노르드 신화였다.[2] 데이비드슨은 고대 노르드어, 노르웨이어, 스웨덴어, 덴마크어, 아이슬란드어, 러시아어, 라틴어, 독일어 등 여러 언어에 능통했다.[1]

2. 2. 초기 경력

데이비드슨은 런던 로열 할로웨이 대학교에서 영어 조교수로 학문 경력을 시작했다(1939–1944).[1] 그녀의 첫 번째 저서인 《헬로 가는 길: 고대 노르드 문학에서 죽음에 대한 개념 연구》(1943)는 처녀 시절 이름인 힐다 엘리스로 출판되었으며, 노르드 신화에서 죽음에 대한 연구에 고고학적 증거를 활용했다. 당시 영국 학계에서 고대 영어고대 노르드어 연구는 엄격하게 문학적, 언어학적 관심사에 국한되었기 때문에 이는 선구적인 접근 방식이었다. 데이비드슨이 고대 노르드 종교 연구에 학제 간 접근 방식을 활용한 것은 그녀 연구의 강력한 특징이 되었다.[2] 1945년부터 1955년까지 그녀는 런던 버크벡 대학교의 사회교육부 강사였다.[1]

데이비드슨은 고대 노르드와 더 넓은 게르만 신화 연구를 위해 고고학적 증거와 인류학적 증거를 결합하려는 시도에 상당한 반대에 직면했지만, 연구를 계속했다. 그 후 《앵글로색슨 잉글랜드의 검》(1962), 《북유럽의 신과 신화》(1964), 《이교도 스칸디나비아》(1967), 《스칸디나비아 신화》(1969)를 포함한 많은 영향력 있는 저서를 출판했다.[3][4] 피터 겔링과 함께 《태양의 전차》(1969)를 출판했다. 이 기간 동안 데이비드슨은 학술지에 많은 논문을 기고했으며, 그곳에서 신화, 전설 및 민속 지식을 활용하여 고고학적 발견을 해석했다.[3] 그녀는 1964년 레버흄 트러스트로부터 소련에서의 연구 업적으로 연구상을 받았다.[1]

2. 3. 케임브리지 복귀



1968년부터 1971년까지 데이비드슨은 케임브리지 루시 캐번디시 칼리지에서 칼루스트 굴벤키안 연구 펠로우였다. 1971년 이후에는 루시 캐번디시에서 앵글로색슨 연구, 고대 노르드 연구, 켈트 연구 강사였으며, 1974년에 펠로우가 되었다.[1] 1975년부터 1980년까지 루시 캐번디시의 부회장을 역임했다.[2] 그녀는 루시 캐번디시의 확장과 현대화에 깊이 관여했다.[3] 이 기간 동안 『비잔티움으로 가는 바이킹의 길』(1976)과 『덴마크의 역사: 삭소 그라마티쿠스』(1979-1980)를 포함한 몇몇 영향력 있는 저서를 출판했다.[4] 케임브리지에서 데이비드슨은 케임브리지 민속 그룹을 운영했으며, 활발하고 생동감 넘치는 연설가로 알려졌다.[2]

2. 4. 민속학회 활동

데이비드슨은 1949년 민속학회에 가입하여 1956년부터 1986년까지 이사(나중에 위원회)의 일원으로 활동했고 이후 명예 회원이 되었다. 민속학 연구 분야를 과학적 학문으로 복원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했으며[1], 학회의 현대화와 민주화를 장려했다. 캐서린 브리그스, 스튜어트 샌더슨과 함께 활동했고, 1967년 캐서린 브리그스가 회장으로, 베네티아 뉴올이 학회 서기로 선출되는데 기여했다. 데이비드슨은 학회 출판 담당관으로서 미슬토우 북스(Mistletoe Books) 시리즈를 감독하고, 컨퍼런스를 조직했으며, 관련 논문을 편집하거나 공동 편집했다.[2]

1974년부터 1976년까지 학회 회장을 역임하면서 학회를 번성시켰다.[2] 학회 헌법을 개정하고, 학회 저널인 ''민속''(Folklore)의 발행량과 품질을 크게 향상시켰다.[3] 데이비드슨의 학회 현대화 노력은 ''민속학회의 변화, 1949–1986''(1987)에 기록되어 있으며, 이 책은 원래 ''민속''(Folklore)에 게재되었다.[2][4] 민속학회 회원 외에도 런던 골동품 협회의 회원이기도 했다.[5]

2. 5. 후기 경력

그녀는 말년에 초기 켈트와 게르만 문화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주제와 신념을 연구하는 데 관심을 가졌다. 그 결과 《이교 유럽의 신화와 상징》(1988), 《북유럽의 잃어버린 신념》(1993), 《북방 여신의 역할》(1998)을 출판했다.[1] 1984년 민속 연구 부문에서 쿠트 레이크 메달을 받았다. 1982년 캐서린 브리그스 민속상 설립에 기여했으며, 1988년 《이교 유럽의 신화와 상징》으로 이 상을 받았다.[2]

데이비드슨은 민속 연구의 역사를 탐구하는 데도 힘썼다. 카르멘 블랙커와 함께 《여성과 전통: 소외된 민속학자 집단》(2000)을 편집했다.[1] 1987년 캐서린 브리그스 다이닝 클럽을 설립했다.[2] 이 클럽의 여러 컨퍼런스를 조직하고, 블랙커, 안나 차우드리와 협력하여 논문을 편집하기도 했다. 1988년 친구 캐서린 브리그스의 전기를 출판했다. 마지막 편집 프로젝트는 차우드리와 함께한 《요정 이야기 동반자》(2003)이다.[1]

3. 개인 생활

데이비드슨은 1943년 12월 27일 연구 과학자인 리처드 로버트슨 데이비드슨과 결혼하여 두 자녀를 두었다.[1][2] 자유당성공회 당원이었다.[2] 교회 감찰 및 요령으로 교회 생활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3]

4. 죽음과 유산

데이비드슨은 2006년 1월 12일에 사망했다. 그녀의 장례식은 2006년 1월 21일 케임브리지의 세인트 베네트 교회에서 거행되었다. 그녀는 자녀, 손자, 증손자를 유족으로 남겼다.[1]

데이비드슨은 사망 당시 수십 년 동안 고대 노르드 종교와 신화 분야에서 매우 뛰어난 학자였다.[1][2] 그녀는 게르만 신화, 켈트 신화와 더불어 노르드 신화 분야에 대한 대중적 관심과 학문적 관심을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그녀는 전후 민속 연구의 부흥과 영국 민속학 연구를 과학적 학문으로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녀의 저서 중 여러 권이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네덜란드어, 일본어 등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고고학, 문학, 민속학, 역사학을 결합하는 학제 간 연구를 장려하려는 그녀의 노력은 매우 중요했다. 그녀는 신화와 민속학 분야의 많은 학자들의 튜터였으며, 특히 재능 있는 여성들의 학문적 경력을 장려하는 데 헌신했다.[3]

5. 주요 저서


  • The Road to Hel: A Study of the Conception of Death in Old Norse Literature|헬로 가는 길: 고대 노르드 문학에서 죽음에 대한 개념 연구영어 (1943)
  • The Sword in Anglo-Saxon England|앵글로색슨 잉글랜드의 검영어 (1962)
  • Gods and Myths of Northern Europe|북유럽의 신과 신화영어 (1964)
  • Pagan Scandinavia|이교도 스칸디나비아영어 (1967)
  • Scandinavian Mythology|스칸디나비아 신화영어 (1969)
  • The Chariot of the Sun|태양의 전차영어 (1969, 피터 겔링과 공동 저술)
  • The Viking Road to Byzantium|비잔티움으로 가는 바이킹의 길영어 (1976)
  • The History of the Danes, Books I-IX : Saxo Grammaticus|덴마크의 역사: 삭소 그라마티쿠스영어 (1979-1980)
  • Myths and Symbols in Pagan Europe|이교 유럽의 신화와 상징영어 (1988)
  • Lost Beliefs of Northern Europe|북유럽의 잃어버린 신념영어 (1993)
  • Roles of the Northern Goddess|북방 여신의 역할영어 (1998)
  • Women and Tradition: a Neglected Group of Folklorists|여성과 전통: 소외된 민속학자 집단영어 (2000, 카르멘 블랙커와 공동 편집)
  • A Companion to the Fairy Tale|요정 이야기 동반자영어 (2003, 안나 차우드리와 공동 편집)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웹사이트 The Coote Lake Medal http://www.folklore-[...] 2009-11-07
[8] 웹사이트 Previous winners of the Katharine Briggs Folklore Award http://www.folklore-[...] 2009-11-07
[9] 서적
[10] 웹사이트 Heathen Gods tribute page http://www.heathengo[...]
[11]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