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라리우스 픽타비엔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힐라리우스 픽타비엔시스는 4세기 로마 제국 시대의 기독교 신학자이자 픽타비움(푸아티에)의 주교였다. 이교도 부모에게서 태어나 훌륭한 교육을 받았으며, 기독교로 개종한 후 아리우스주의에 반대하며 삼위일체 교리를 옹호했다. 아리우스주의를 옹호한 콘스탄티우스 2세 황제에게 이단을 물리칠 것을 간언하다가 추방당하기도 했으며, 유배 기간 동안 《삼위일체론》, 《시노디스에 관하여》 등 주요 저술을 남겼다. 힐라리우스는 성경 주석과 역사 저술에도 기여했으며, 라틴 기독교 찬송가의 초기 작가로도 추정된다. 사후 '교회학자'로 선언되었고, 로마 가톨릭교회와 성공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세기 종말론자 - 마르티누스 투로넨시스
마르티누스 투로넨시스는 4세기 로마 제국 시대의 기독교 성직자이자 투르의 주교로, 군 복무 거부, 리구제 수도원 설립, 사후 유럽 전역에서 숭배받은 인물이다. - 300년 출생 - 서진 민제
서진 민제는 313년 유총에 의해 즉위하여 장안에 임시 정부를 세웠지만, 한나라의 침공에 대응하지 못하고 유요에게 항복하여 살해당함으로써 서진을 멸망시킨 인물이다. - 300년 출생 - 이수 (성한)
이수는 성한의 황족이자 제3대 황제로, 이기를 폐위시키고 황제가 되어 초기에는 관대한 정치를 펼쳤으나 후조의 문화를 모방하며 백성들의 원망을 사 성한 멸망의 요인이 되었다.
힐라리우스 픽타비엔시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성 |
이름 | 힐라리오 포와티에 |
다른 이름 | 아리우스파의 망치 서방의 아타나시우스 |
직함 | 주교 고해자 교회학자 |
출생 | 기원후 310년경 |
출생지 | 포와티에(픽타비움), 갈리아 아퀴타니아, 로마 제국 |
사망 | 기원후 367년경 (세) |
사망지 | 픽타비움, 셉템 프로빈시아에, 로마 제국 |
공경하는 교파 |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성공회 루터교 오리엔트 정교회 |
시성일 | 선(先) 공회 |
주요 성지 | 해당 없음 |
축일 | 1월 13일 1월 14일 (비잔틴 기독교; 일부 지역 달력 및 1970년 이전 보편 로마력) |
상징 | 주교 예복 주교관과 지팡이 보통 흰색이며 종종 긴 수염 |
수호 | 해당 없음 |
영향을 줌 | 오리게네스 아타나시우스 |
신학 | |
관련 주제 | 삼위일체론 아리우스주의 |
라틴어 이름 | |
라틴어 이름 | Hilarius Pictaviensis |
2. 초창기
픽타비움(오늘날의 푸아티에)에서 이교도 부모의 아들로 태어난 힐라리우스는 그리스 철학을 포함한 훌륭한 고등 교육을 받았다.[3][4] 그는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을 공부하면서 기독교에 대한 자신의 신플라톤주의적 생각을 버리고, 아내와 딸(성녀 아브라)과 함께 세례를 받고 그리스도인이 되었다.[5]
힐라리오는 유배 기간 중에도 자신의 교구를 관리 감독하는 일을 계속하였으며, 유배지에서 당시 논쟁거리였던 신학 이론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담은 책을 집필하였다. 동방 교회의 신학을 접한 그는 자신의 신학을 보다 집대성하고 체계화하였으며, 358년 아리우스파의 주장에 어느 정도 기울었던 갈리아와 게르마니아, 브리타니아의 주교들을 위해 《교회회의(De synodis)》 등의 서간을 보내 애매모호한 성경 구절에 대한 동방 주교들의 가르침과 니케아 공의회의 결의문을 자세히 설명해주면서 정통 신앙에 충실하기를 권면하였다. 여기에 더해 아리우스주의에 반대하는 내용으로 《삼위일체론(De Trinitate)》을 저술하여 후대 삼위일체 신학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열두 권 분량의 삼위일체론은 ‘신앙에 관한 연구’와 ‘아리우스의 이론과 주장, 아리우스가 사용한 성경 구절들에 대한 체계적 논박’ 등의 내용으로 이뤄져 있다. 또한 그는 전교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시를 이용하던 동방 교회를 모범 삼아 신자들에게 교리를 가르칠 때 음률을 붙인 찬미가를 활용토록 하는 등 서방 최초로 찬미가를 전교 도구로 사용하는 시도를 하였다.
자신의 교구로 돌아온 힐라리오는 이후에도 아리우스주의에 대한 공세를 계속 이어갔다. 364년에는 갈리아 지역을 넘어서 발렌티니아누스 1세 황제로부터 신임을 받고 있던 아리우스파의 대표자인 밀라노의 아욱센티우스 주교를 이단자라고 비판하였다.[10]
힐라리오는 4세기 중반 암브로시오 이전까지 라틴계 작가들의 명단 첫머리에 이름이 올라왔다. 히포의 아우구스티노는 힐라리오를 가리켜 ‘교회의 뛰어난 학자’라고 칭송하였으며, 힐라리오의 저술들은 이후 수세기에 걸쳐 지속적으로 높은 영향을 끼쳤다.[13] 교황 비오 9세는 1851년 힐라리오를 교회학자로 선언하였다.
힐라리오는 오리게네스와 아타나시우스 같은 알렉산드리아 학자들의 해석과 기독론을 따랐지만, 그의 저술에는 독자적인 사고의 흔적도 많이 나타난다.[25]
비록 기혼자였지만, 힐라리우스는 푸아티에 시민들의 강력한 지지로 약 353년에 만장일치로 주교로 선출되었다.[5] 당시 아리우스주의는 서방 교회를 위협하고 있었고, 힐라리우스는 교회의 분열을 막는 일에 힘썼다. 그는 정통 신앙을 고수하는 갈리아 교회가 아리우스파인 아를의 주교 사투르니누스와 우르사키우스, 발렌스에게 내린 파문을 유지하도록 했다.[5]
힐라리우스는 아리우스파를 옹호한 콘스탄티우스 2세 황제에게 이단을 물리칠 것을 간언했지만, 356년 베지에 시노드에서 황제의 칙령에 따라 툴루즈의 로다누스와 함께 프리기아로 추방되어 4년간 유배 생활을 했다.[7]
3. 신학 저술 활동
한편 힐라리오의 적대자였던 우르사키우스와 발렌스는 힐라리오가 계속해서 아리우스파의 주장에 대하여 공개토론을 열자고 요청하자 부담을 가졌으며, 마침내 힐라리오를 빨리 그의 교구로 돌려보내줄 것을 황제에게 간청하기에 이르렀다.
4. 밀라노에서의 추방과 죽음
이에 아욱센티우스의 고발로 밀라노로 소환당한 힐라리오는 그곳에서 황제를 알현하고 자신과 정통 신앙에 대해 제기된 모든 공격적인 질문에 명쾌한 대답을 함으로써 굴욕감을 안겨 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힐라리오는 밀라노에서 추방당하는 수모를 당하게 되었다.
365년 힐라리오는 이 당시 논쟁과 관련해서 자서전인 《Contra Arianos vel Auxentium Mediolanensem liber》를 집필하였다. 그리고 《Contra Constantium Augustum liber》에서 근래에 사망한 로마 황제를 “하느님에게 반기를 든 반역자”, “그리스도의 적”이라고 노골적으로 비난하였다.
교구장으로서의 재임 기간이 끝나갈 무렵, 힐라리오는 자신의 제자이자 나중에 투르의 주교가 되는 성 마르티노가 자신의 교구에 속한 리귀제에 수도원을 설립한 것을 격려하였다.
힐라리오는 368년에 선종하였다.[11]
5. 사후 평가와 공경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성 힐라리오의 축일을 1월 13일로 지내고 있으며, 1970년대 전례개혁 이전에는 1월 14일이었다.[13] 성공회에서는 1월 13일에 소 축일로 기념된다.[15][16][17]
6. 주요 저작
제목 내용 공의회에 관하여 358년 아리우스파에 동조하던 갈리아, 게르마니아, 브리타니아의 주교들에게 보낸 서간. 니케아 공의회의 결의와 동방 주교들의 가르침을 설명하며 정통 신앙을 따를 것을 권고. 삼위일체론 아리우스주의를 반박하는 내용. ‘신앙에 관한 연구’와 ‘아리우스의 이론과 주장, 그가 사용한 성경 구절에 대한 체계적 논박’ 등으로 구성. 시편 주해[25] 오리게네스의 영향을 받음.
6. 1. 신학 저술
힐라리오는 유배 기간 중에도 자신의 교구를 관리 감독하는 일을 계속하였으며, 유배지에서 당시 논쟁거리였던 신학 이론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담은 책을 집필하였다. 동방 교회의 신학을 접한 그는 자신의 신학을 보다 집대성하고 체계화하였으며, 358년 아리우스파의 주장에 어느 정도 기울었던 갈리아와 게르마니아, 브리타니아의 주교들을 위해 《교회회의(De synodis)》 등의 서간을 보내 애매모호한 성경 구절에 대한 동방 주교들의 가르침과 니케아 공의회의 결의문을 자세히 설명해주면서 정통 신앙에 충실하기를 권면하였다. 여기에 더해 아리우스주의에 반대하는 내용으로 《삼위일체론(De Trinitate)》을 저술하여 후대 삼위일체 신학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열두 권 분량의 삼위일체론은 ‘신앙에 관한 연구’와 ‘아리우스의 이론과 주장, 아리우스가 사용한 성경 구절들에 대한 체계적 논박’ 등의 내용으로 이뤄져 있다. 또한 그는 전교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시를 이용하던 동방 교회를 모범 삼아 신자들에게 교리를 가르칠 때 음률을 붙인 찬미가를 활용토록 하는 등 서방 최초로 찬미가를 전교 도구로 사용하는 시도를 하였다.[25]
힐라리우스의 주요 신학 저작은 현재 《삼위일체에 관하여》(De Trinitate)》로 알려진 12권의 책이다. 이 책은 주로 망명 기간 동안 저술되었으며, 아마도 360년 골(Gaul)로 귀환할 때까지 완성되지 않았을 것이다.[25]
또 다른 중요한 저작은 359년 초에 아리미니움과 셀레우키아 공의회를 준비하면서 쓰인 《시노두스에 관하여》(De synodis)》이다.[25]
그의 주요 저작은 다음과 같다.
6. 2. 성경 주해
힐라리우스는 356년 추방되기 전 어느 시점에 첫 번째 복음서에 대한 비유적 해석인 ''마태오 복음 해설''(Commentarius in Evangelium Matthaei)을 완성했다. 이것은 라틴어로 된 주석 중 마태오 복음서 전체가 온전히 보존되어 있는 최초의 것이다. 힐라리우스의 해설은 테르툴리아누스와 키프리아누스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으며, 키케로, 퀸틸리아누스, 플리니우스, 로마 역사가를 포함한 여러 고전 작가들을 활용했다.[12]
힐라리우스의 시편 해설인 ''시편 해설''(Tractatus super Psalmos)은 대체로 오리게네스를 따랐으며, 360년 추방에서 돌아온 후 어느 시점에 쓰여졌다.[25] 예로니모가 이 작품이 미완성이라고 언급했기 때문에,[12] 힐라리우스가 원래 시편 전체에 대해 해설했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 현재 시편 1, 2, 9, 13, 14, 51–69, 91, 118–150편에 대한 해설이 남아 있다.[12]
힐라리우스가 쓴 세 번째 현존하는 해석학적 저술은 1887년에 처음 출판된 단일 필사본에 보존된 ''신비 해설''(Tractatus mysteriorum)이다.[12]
아우구스티누스가 힐라리우스의 로마서 해설의 일부를 "성 힐라리우스"의 것으로 인용했기 때문에, 다양한 비평가들은 서로 다른 시기에 거의 모든 알려진 힐라리우스에게 이 작품을 귀속시켰다.
6. 3. 역사 저술
힐라리우스의 '역사적' 저술은 다양한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는 ''콘스탄티우스 황제에게 보내는 두 번째 책'', ''콘스탄티우스 황제에게 보내는 책'', ''아리우스파에 반대하는 책 또는 밀라노의 옥센티우스'', 그리고 ''역사 단편''에 수록된 아리우스 논쟁과 관련된 다양한 문서가 포함된다.[12]
6. 4. 찬미가
힐라리우스는 서방 교회 최초로 찬미가를 전교 도구로 사용하는 시도를 하였다. 그는 동방 교회를 본받아 신자들에게 교리를 가르칠 때 음률을 붙인 찬미가를 활용하도록 하였다.[12] 일부 학자들은 힐라리우스를 최초의 라틴 기독교 찬송가 작가로 여기는데, 이는 제롬이 힐라리우스가 ''찬송가집''을 저술했다고 언급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힐라리우스의 작품으로 여겨지는 세 개의 찬송가는 그 진위가 확실하지 않다.
참조
[1]
웹사이트
Saint Hilary: The Iconography
http://www.christian[...]
2015-10-20
[2]
간행물
General Audience
https://www.vatican.[...]
Libreria Editrice Vaticana
[3]
서적
The Later Christian Fathers
OUP
1970
[4]
서적
Introduction to the Life and writings of St Hilary of Poitiers
Library of Nicene and Post Nicene Fathers - Series II N° IX Eerdmans reprint
1983
[5]
문서
2010
[6]
서적
Early Christian Greek and Latin Literature, A Literary History
Peabody Mass
2002
[7]
서적
Clavis Patrum Latinorun
Vienna
1995
[8]
웹사이트
St. Hilary of Poitiers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10-08-14
[9]
문서
Introduction to Hilary of Poitiers
NPNF
[10]
문서
Chronicum
[11]
문서
Vir Ill
[12]
문서
Vir Ill
[13]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UP
1974
[14]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saints
Oxford Univ. Press
[15]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16]
웹사이트
For All the Saints / For All the Saints - A Resource for the Commemorations of the Calendar / Worship Resources/ Karakia/ ANZPB-HKMOA / Resources / Home - Anglican Church in Aotearoa, New Zealand and Polynesia
https://www.anglican[...]
2021-03-27
[17]
웹사이트
Hilary of Poitiers, Bishop, 367
https://www.episcopa[...]
2022-07-19
[18]
웹사이트
"Saint Hilary of Poitiers", St. Hilary's Episcopal Church; Hisperia, California
http://www.sthilary.[...]
2013-06-04
[19]
문서
[20]
서적
Matthew 1-13: New Testament 1A (Ancient Christian Commentary on Scripture)
Intervarsity Pr
2001/09
[21]
문서
[22]
문서
[23]
웹사이트
Greek Orthodox Archdiocese of Australia, WA
http://home.iprimus.[...]
[24]
웹사이트
Hilary of Poitiers - OrthodoxWiki
http://orthodoxwiki.[...]
[25]
문서
니카이아 교부와 니카이아 후 교부: 시리즈 II/제9권/포와티에의 히라리우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