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힐포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힐포트는 늦은 청동기 시대와 초기 철기 시대에 중앙 및 서유럽의 켈트족 지역에서 널리 사용된 요새로, 로마 정복 이전까지 발전했다. 힐포트는 언덕이나 자연적으로 방어하기 쉬운 곳에 위치하며, 청동기 시대부터 철기 시대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존재했다. 힐포트는 켈트족의 정착지, 방어 시설, 그리고 때로는 종교적, 사회적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켈트족이 로마에 정복된 이후에는 쇠퇴하거나 다른 용도로 재사용되기도 했다. 힐포트는 입지 조건, 규모, 벽과 해자, 입구 등 다양한 특징을 가지며, 유럽 외에도 아시아 등 세계 각지에서 유사한 형태의 구조물을 찾아볼 수 있다.

2. 역사적 배경

켈트 힐포트는 대략 기원전 1천년 초, 늦은 청동기 시대와 초기 철기 시대에 발전했으며, 로마 정복 이전까지 중앙서유럽의 많은 켈트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후기 시대에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5]


  • 원시 켈트 움프필드 문화와 대서양 청동기 시대 (청동기 시대, 기원전 1300년경 – 기원전 750년경)
  • 할슈타트 문화 (초기 철기 시대, 기원전 1200년경 – 기원전 500년경)
  • 라텐 문화 (후기 철기 시대, 기원전 600년경 – 서기 50년)


할슈타트 문화라텐 문화는 현재의 남부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슬로바키아 및 체코에서 시작되었다. 주로 사용된 성벽 건설 방식은 ''pfostenschlitzmauer'', 즉 ''켈하임 스타일''이었다. 할슈타트 C기에는 언덕 요새가 헝가리 서부에서 지배적인 정착 형태가 되었다.[6] 율리우스 카이사르갈리아 원정 중에 마주친 후기 철기 시대의 거대한 언덕 요새를 오피둠이라고 묘사했다. 이 시점에 더 큰 요새들은 요새라기보다는 도시와 같았고, 많은 곳이 로마 도시로 흡수되었다.

일부 힐포트는 신석기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지지만, 많은 힐포트는 다음과 같은 더 후대의 시대에 만들어졌다.

힐포트는 로마 제국에 정복될 때까지 켈트족이 살았던 중앙 유럽 및 서유럽에서 사용되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갈리아 원정에서 조우한 후기 철기 시대의 대형 힐포트를 오피둠이라고 칭하여 기록했다. 그 무렵에는 대형 힐포트는 요새라기보다는 도시에 가까운 것이 되었고, 로마에 의한 정복과 함께 로마 도시로 동화되어 갔다.

잉글랜드의 힐포트 일부는 로마 제국 후에 재사용되었으며, 특히 앵글로색슨 시대에는 조폐소로 재사용되었다.

2. 1. 청동기 시대

기원전 1300년경부터 기원전 750년경까지 켈트 원주민의 움프필드 문화와 대서양 청동기 시대에 힐포트가 등장하기 시작했다.[23] 이베리아 반도에서는 이미 대서양 청동기 시대에 카스트로라고 불리는 힐포트가 세워졌다. 카스트로는 보통 언덕이나 자연적으로 방어하기 쉬운 곳에 위치하며, 주변 시골을 전술적으로 제어하고 자연적인 방어를 제공했다.[23] 샘이나 작은 시냇물에서 물을 공급받았고, 일부는 포위 공격에 대비한 대형 저수지도 갖추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1~5개의 돌과 흙으로 된 벽을 가지고 있었으며, 내부는 대부분 원형 건물이고 일부는 직사각형 건물이었다. 주요 oppida에는 규칙적인 거리가 있었는데, 이는 중앙 조직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카스트로는 면적이 1헥타르 미만에서 50헥타르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대부분은 로마가 이 지역을 정복한 후 버려졌다.[23]

코아냐의 힐포트, 아스투리아스, 스페인


갈리시아의 힐포트


많은 카스트로가 할슈타트 문화보다 앞선 대서양 청동기 시대에 이미 세워졌다.[23] 갈리시아, 아스투리아스, 칸타브리아, 바스크, 아빌라주 및 북부 포르투갈에서 발견된다. 청동기 시대의 많은 거석 기념물인 메니르와 돌멘은 카스트로 근처에 자주 위치하며, 이는 켈트족보다 앞선 시기의 유물이다. 이 거석 기념물은 켈트족 드루이드에 의해 혼합 의식에서 재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켈트 이베리아 민족은 누만티아를 포함한 언덕 요새, 요새화된 언덕 꼭대기 마을, oppida를 건설했다.

2. 2. 철기 시대

허리퍼셔에 있는 다층벽 영국 캠프의 성벽


영국에서 힐포트가 등장한 이유와 목적은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힐포트는 유럽 대륙으로부터의 침략에 대응하기 위해 건설된 군사 기지이거나, 침략자에 의해 건설된 기지이거나, 인구 증가와 그에 따른 농업 압력으로 인한 사회적 긴장에 대한 군사적 반응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7] 1960년대 이후 지배적인 견해는 철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영국 사회에 변화가 생겼다는 것이다. 철광석 매장지는 청동을 만드는 데 필요한 주석과 구리 광석과는 다른 곳에 위치해 있었고, 그 결과 무역 패턴이 바뀌고 이전 엘리트들이 경제적, 사회적 지위를 잃었다. 권력은 새로운 집단에게 넘어갔다.[7] 고고학자 배리 컨리프는 인구 증가가 여전히 역할을 했다고 믿으며 "요새는 [인구 증가]의 스트레스가 공개적인 전쟁으로 터져 나올 때 그 공동체에 방어적 가능성을 제공했다. 그러나 나는 그들이 전쟁 상태 때문에 건설되었다고 생각하지 않을 것이다. 그들은 긴장이 있을 때 방어 거점으로 기능했을 것이고 의심할 여지 없이 그들 중 일부가 공격받고 파괴되었지만, 이것은 그들의 건설에 있어서 유일하거나 가장 중요한 요인은 아니었다"라고 말했다.[8]

영국 힐포트는 청동기 시대부터 알려져 있지만, 힐포트 건설의 가장 큰 시기는 기원전 700년에서 기원후 43년 영국의 로마 정복 사이의 켈트 철기 시대였다. 로마인들은 호드 힐의 군사 주둔지와 브레안 다운의 사원과 같은 일부 요새를 점령했지만, 다른 요새는 파괴되고 버려졌다.

도싯에 있는 메이든 성은 잉글랜드에서 가장 큰 힐포트이다. 로마의 영향력이 덜 강했던 곳, 예를 들어 침략받지 않은 아일랜드와 정복되지 않은 북부 스코틀랜드에서는 힐포트가 여러 세기 동안 계속 건설되고 사용되었다.

영국에는 2,000개 이상의 철기 시대 힐포트가 있으며, 그 중 거의 600개가 웨일스에 있다.[12] 햄프셔의 데인버리는 영국에서 가장 철저하게 조사된 철기 시대 힐포트이자 가장 광범위하게 출판된 힐포트이다.[13]

2. 3. 중세 시대

3. 지역별 힐포트

라자스탄 힐포트와 같이 전 세계 다른 지역에서도 힐포트와 유사한 구조를 발견할 수 있다.
유럽켈트족은 기원전 1천년 초, 늦은 청동기 시대와 초기 철기 시대에 걸쳐 중앙유럽서유럽의 많은 지역에서 힐포트를 건설했다.[5] 이들은 원시 켈트 움프필드 문화와 대서양 청동기 시대, 할슈타트 문화, 라텐 문화 시기에 발전했다.[5] 할슈타트 문화라텐 문화는 현재의 남부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슬로바키아, 체코에서 시작되었으며, 주로 사용된 성벽 건설 방식은 ''pfostenschlitzmauer''(켈하임 스타일)이었다.[6] 할슈타트 C기에는 언덕 요새가 헝가리 서부에서 지배적인 정착 형태가 되었다.[6] 율리우스 카이사르갈리아 원정 중 마주친 후기 철기 시대의 거대한 언덕 요새를 오피둠이라고 묘사했는데, 이 시점의 요새들은 도시와 같았으며, 많은 곳이 로마 도시로 흡수되었다.

영국에서 힐포트가 등장한 이유와 목적은 논쟁의 대상이지만, 1960년대 이후 지배적인 견해는 철의 사용 증가로 인한 사회 변화이다.[7] 고고학자 배리 컨리프는 인구 증가가 여전히 역할을 했다고 보았다.[8] 영국 힐포트는 청동기 시대부터 알려져 있지만, 힐포트 건설의 가장 큰 시기는 기원전 700년에서 기원후 43년 영국의 로마 정복 사이의 켈트 철기 시대였다. 로마인들은 일부 요새를 점령했지만, 다른 요새는 파괴되고 버려졌다. 메이든 성은 잉글랜드에서 가장 큰 힐포트이다. 영국에는 2,000개 이상의 철기 시대 힐포트가 있으며, 그 중 거의 600개가 웨일스에 있다.[12] 데인버리는 영국에서 가장 철저하게 조사된 철기 시대 힐포트이다.[13]

갈리시아, 아스투리아스, 칸타브리아, 바스크, 아빌라주, 북부 포르투갈에서 ''카스트로''는 요새화된 로마 이전 철기 시대 마을이며, 일반적으로 언덕이나 자연적으로 방어하기 쉬운 곳에 위치해 있다.[23] 더 큰 힐포트는 citaniasla, cividadesla 또는 cidásla (영어: ''cities', 도시)라고도 불린다. 카스트로는 주변 시골을 전술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자연적인 방어를 제공하는 언덕 꼭대기에 위치해 있었으며, 샘이나 작은 시냇물에 접근하여 물을 공급받았다. 전형적으로, 카스트로는 1~5개의 돌과 흙으로 된 벽을 가지고 있었다. 내부 건물은 대부분 원형이고 일부는 직사각형이며, 건물 중앙에 있는 나무 기둥에 지붕을 얹은 돌로 만들어졌다. 주요 oppida에는 규칙적인 거리가 있었는데, 이는 어떤 형태의 중앙 조직을 암시한다.

아일랜드에는 약 40개의 힐포트가 알려져 있으며,[19][20] 그중 일부는 다중 제방 구조를 가지고 있다.

스웨덴에는 1,100개의 힐포트가 알려져 있으며, 주로 북서 해안과 동부 스베알란드에 집중되어 있다. 세데르만란드에는 300개, 우플란드에는 150개, 외스테르예틀란드에는 130개, 보후슬렌과 고틀란드에는 각각 90개에서 100개가 있다.

핀란드 얀나칼라에 있는 우니콘린나 힐포트 유적


핀란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등 발트해 연안 국가에도 힐포트가 존재한다. 핀란드에는 발굴을 통해 확인된 100여 개의 힐포트와 200여 개의 의심되는 유적이 있다.

에스토니아의 바르볼라 언덕 요새 유적


테르베테 힐포트. 후기 철기 시대 주요 셈갈리아 중심지


라트비아에는 총 470개 정도의 힐포트가 있다.[25][26]

케르나베 언덕 단지, 케르나베, 세계유산의 일부


마제이키아이 구의 다우바리아이 필리아칼니스/Daubarių piliakalnislt


리투아니아에는 기원전 1천 년의 청동기 시대부터 언덕 요새가 존재하며, 5세기에서 15세기 사이에 건설되거나 확장되었다.

코스톨레츠(Kostolec), 피에슈타니(Piešťany) (슬로바키아)


동유럽에서는 고드라고 불리는 성채가 철기 시대와 초기 중세 시대에 건설되었다.
아시아필리핀의 바타네스 제도에 거주하는 이바탄족은 해안가 근처의 자연적인 언덕과 솟아 있는 지형 꼭대기에 요새화된 마을인 ''이장''을 건설했다. 이곳은 접근 지점이 제한된 방어용 성벽으로 계단식으로 만들어졌다.[28] 이장은 1687년 이부호스 섬을 방문한 영국 해적 윌리엄 댐피어 선장에 의해 처음 묘사되었다.[31] 이러한 높은 암석 지형은 공격하는 적에 대한 피난처 역할을 했다.[29][30]

마오리족 모형이 에 위치해 있으며, 계단식 구조와 나무 울타리를 보여준다.


마오리족 사이에서, 라고 불리는 마을들은 종종 화산 언덕, 곶, 작은 섬(심지어 인공 섬 포함)과 같은 높은 지대에 세워졌다. 경사면은 일반적으로 울타리로 더욱 보호되는 방어용 둔덕으로 계단식으로 만들어졌다. 마오리 파는 음식 저장 구덩이를 두드러지게 통합하고 종종 수원지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유럽의 언덕 요새와 달랐다.[32][33]

3. 1. 유럽

켈트족은 기원전 1천년 초, 늦은 청동기 시대와 초기 철기 시대에 걸쳐 중앙유럽서유럽의 많은 지역에서 힐포트를 건설했다.[5] 이들은 원시 켈트 움프필드 문화와 대서양 청동기 시대, 할슈타트 문화, 라텐 문화 시기에 발전했다.[5] 할슈타트 문화라텐 문화는 현재의 남부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슬로바키아, 체코에서 시작되었으며, 주로 사용된 성벽 건설 방식은 ''pfostenschlitzmauer''(켈하임 스타일)이었다.[6] 할슈타트 C기에는 언덕 요새가 헝가리 서부에서 지배적인 정착 형태가 되었다.[6] 율리우스 카이사르갈리아 원정 중 마주친 후기 철기 시대의 거대한 언덕 요새를 오피둠이라고 묘사했는데, 이 시점의 요새들은 도시와 같았으며, 많은 곳이 로마 도시로 흡수되었다.

영국에서 힐포트가 등장한 이유와 목적은 논쟁의 대상이지만, 1960년대 이후 지배적인 견해는 철의 사용 증가로 인한 사회 변화이다.[7] 고고학자 배리 컨리프는 인구 증가가 여전히 역할을 했다고 보았다.[8] 영국 힐포트는 청동기 시대부터 알려져 있지만, 힐포트 건설의 가장 큰 시기는 기원전 700년에서 기원후 43년 영국의 로마 정복 사이의 켈트 철기 시대였다. 로마인들은 일부 요새를 점령했지만, 다른 요새는 파괴되고 버려졌다. 메이든 성은 잉글랜드에서 가장 큰 힐포트이다. 영국에는 2,000개 이상의 철기 시대 힐포트가 있으며, 그 중 거의 600개가 웨일스에 있다.[12] 데인버리는 영국에서 가장 철저하게 조사된 철기 시대 힐포트이다.[13]

갈리시아, 아스투리아스, 칸타브리아, 바스크, 아빌라주, 북부 포르투갈에서 ''카스트로''는 요새화된 로마 이전 철기 시대 마을이며, 일반적으로 언덕이나 자연적으로 방어하기 쉬운 곳에 위치해 있다.[23] 더 큰 힐포트는 citaniasla, cividadesla 또는 cidásla (영어: ''cities', 도시)라고도 불린다. 카스트로는 주변 시골을 전술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자연적인 방어를 제공하는 언덕 꼭대기에 위치해 있었으며, 샘이나 작은 시냇물에 접근하여 물을 공급받았다. 전형적으로, 카스트로는 1~5개의 돌과 흙으로 된 벽을 가지고 있었다. 내부 건물은 대부분 원형이고 일부는 직사각형이며, 건물 중앙에 있는 나무 기둥에 지붕을 얹은 돌로 만들어졌다. 주요 oppida에는 규칙적인 거리가 있었는데, 이는 어떤 형태의 중앙 조직을 암시한다.

아일랜드에는 약 40개의 힐포트가 알려져 있으며,[19][20] 그중 일부는 다중 제방 구조를 가지고 있다.

스웨덴에는 1,100개의 힐포트가 알려져 있으며, 주로 북서 해안과 동부 스베알란드에 집중되어 있다. 세데르만란드에는 300개, 우플란드에는 150개, 외스테르예틀란드에는 130개, 보후슬렌과 고틀란드에는 각각 90개에서 100개가 있다.

핀란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등 발트해 연안 국가에도 힐포트가 존재한다. 핀란드에는 발굴을 통해 확인된 100여 개의 힐포트와 200여 개의 의심되는 유적이 있다.

라트비아에는 총 470개 정도의 힐포트가 있다.[25][26]

리투아니아에는 기원전 1천 년의 청동기 시대부터 언덕 요새가 존재하며, 5세기에서 15세기 사이에 건설되거나 확장되었다.

동유럽에서는 고드라고 불리는 성채가 철기 시대와 초기 중세 시대에 건설되었다.

3. 2. 아시아

유사한 구조는 라자스탄 힐포트와 같이 전 세계 다른 지역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필리핀의 바타네스 제도에 거주하는 이바탄족은 해안가 근처의 자연적인 언덕과 솟아 있는 지형 꼭대기에 요새화된 마을인 ''이장''을 건설했다. 이곳은 접근 지점이 제한된 방어용 성벽으로 계단식으로 만들어졌다.[28] 이장은 1687년 이부호스 섬을 방문한 영국 해적 윌리엄 댐피어 선장에 의해 처음 묘사되었다.[31] 이러한 높은 암석 지형은 공격하는 적에 대한 피난처 역할을 했다.[29][30]

마오리족 사이에서, 라고 불리는 마을들은 종종 화산 언덕, 곶, 작은 섬(심지어 인공 섬 포함)과 같은 높은 지대에 세워졌다. 경사면은 일반적으로 울타리로 더욱 보호되는 방어용 둔덕으로 계단식으로 만들어졌다. 마오리 파는 음식 저장 구덩이를 두드러지게 통합하고 종종 수원지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유럽의 언덕 요새와 달랐다.[32][33]

4. 힐포트의 종류와 특징

힐포트의 정의는 단순하지만, 그 종류나 연대는 다양하다. 발굴로 밝혀진 외형이나 구조상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 입지
  • Hilltop Contour(언덕 정상의 윤곽): 전형적인 힐포트이다. 내륙에 위치하며, 인공적인 성벽 또는 급경사의 자연 경사면으로 둘러싸여 언덕 정상을 지키고 있다. 브렌트 놀, 마운트 이프 등이 있다.
  • Inland Promontory(내륙의 곶): 내륙의 능선 위에 있으며, 2방 또는 3방이 급경사로 되어 있고, 그 외 수평 방향에 인공적인 성벽을 가지고 있다. 램버트 성 등이 있다.
  • Interfluvial(하간 지대): 2개의 강이 합류하는 지점이나 강의 사행으로 주위가 강으로 둘러싸인 장소이다. 켈하임 등이 있다.
  • Lowland(저지): 어떤 방어상의 이점이 있는 내륙의 장소(아마 습지 제외)이지만, 인공적인 방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대형 오피둠에 많다. 메이든 성, 스토니아 캠프 등이 있다.
  • Sea Cliff(해안의 단애): 바다에 면한 단애에 위치하며, 육지 측을 반원형의 방벽으로 둘러싸고 있다. 바위가 많은 대서양 연안에 많으며, 아일랜드에서도 자주 발견된다. 다우스 성, 디나스 딘레, 둔 앵거스 등이 있다.
  • Sea Promontory(해안의 곶):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 모양의 땅의 지협 부분을 방벽으로 막은 것이다. 아일랜드, 콘월, 브르타뉴 반도, 웨일스 서부 등의 대서양 연안에서 자주 보인다. 더 럼프스, 휘엘고 등이 있다.
  • Sloping Enclosure(사면의 울타리): 언덕의 완만한 경사면에 만들어진 작은 방벽으로, 방어상의 최중요 지점은 아니다. 트렌들 링, 플레인스필드 캠프 등이 있다.
  • 면적
  • 20 ha 이상: 매우 크며, 방어 거점으로는 너무 크다. 아마 가축의 방목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 1 - 20 ha: 내부에 정주지가 있으며, 그것을 방어하고 있는 대형 힐포트이다.
  • 1 ha 미만: 작은 힐포트이다. 개인의 농장이나 목장에 가깝다.
  • 벽과 해자(도랑)
  • Univallate(단루벽): 하나의 방벽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이다. 솔즈버리 언덕 등이 있다.
  • Multivallate(복루벽): 여러 개의 방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외측은 완전히 닫혀 있지 않은 경우도 있지만, 방어상의 약점 부분을 특히 지키고 있다. 일반적으로, 안쪽의 방벽이 처음부터 있고, 나중에 바깥쪽 방벽을 추가하고 있다. 캐드버리 성 등이 있다.
  • 입구
  • Simple opening(단순 개구부): 방어 거점이 아니라, 단순한 울타리임을 나타내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개구부 부근에서 방벽이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향해 있거나, 높고 폭이 넓어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 다우즈버러 등이 있다.
  • Linear holloway(곧은 길): 방벽이 입구로 이어지는 길을 둘러싸듯이 평행으로 뻗어 있다. 노턴 캠프 등이 있다.
  • Complex(복합형): 방벽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모양으로, 투석기를 설치하는 대를 그 탄도를 고려하여 배치하고 있다. 메이든 성 등이 있다.


힐포트는 거류지를 겸하고 있는 경우도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것은 특정 계절에 사용하거나 분쟁 발생 시에만 사용했다. 주위를 둘러싸는 방벽의 양식에는 무루스 갈리쿠스나 포스텐슐리츠마우어가 있다. 힐포트 내에는, 주거로서 원형 가옥이나 롱하우스가 있으며, 그 외에도 곡창의 기둥의 흔적, 지하실로 보이는 구멍, 도자기, 동전, 보석 등이 출토되고 있다. 또한, 신전의 기초와 무덤도 발견되고 있다. 요새로서 슬링샷, 방패, 갑옷, 검, , 화살 등의 무기도 발견되었다.

전장이 된 힐포트에는, 그 흔적으로서 포위 측이 사용한 발리스타의 부품, 회층, 유리화된 돌, 불에 탄 구멍이 있는 기둥 등이 발견되고 있다. 또한, 승리한 측이 전투에서 죽은 적을 한꺼번에 매장한 묘혈도 발견되고 있다.

힐포트는 적군에게 점령되는 경우가 많고, 때로는 파괴되는 경우도 있으며, 원주민은 강제로 이주당하고, 요새는 폐기되었다. 예를 들어 기원전 1세기에 벨가에인이 그레이트브리튼 섬 남부를 침략했을 때, 솔즈버리 언덕은 약탈당하고 폐기되었다. 폐기된 힐포트는, 후에 새로운 침략의 위협이 다가왔을 때 재건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있었다. 재이용의 예로는, 리투아니아 대공국 성립 시의 전쟁, 그레이트브리튼 섬에 대한 로마인, 색슨인, 바이킹 침공 시 등이 있다.

4. 1. 입지 조건

힐포트의 정의는 단순하지만, 그 종류나 연대는 다양하다. 발굴로 밝혀진 외형이나 구조상 분류는 다음과 같다.

  • Hilltop Contour(언덕 정상의 윤곽): 전형적인 힐포트로, 내륙에 위치하며 인공적인 성벽 또는 급경사의 자연 경사면으로 둘러싸여 언덕 정상을 지키고 있다. 브렌트 놀, 마운트 이프 등이 있다.
  • Inland Promontory(내륙의 곶): 내륙의 능선 위에 있으며, 2방 또는 3방이 급경사로 되어 있고, 그 외 수평 방향에 인공적인 성벽을 가지고 있다. 램버트 성 등이 있다.
  • Interfluvial(하간 지대): 2개의 강이 합류하는 지점이나 강의 사행으로 주위가 강으로 둘러싸인 장소이다. 켈하임 등이 있다.
  • Lowland(저지): 어떤 방어상의 이점이 있는 내륙의 장소(아마 습지 제외)이지만, 인공적인 방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대형 오피둠에 많다. 메이든 성, 스토니아 캠프 등이 있다.
  • Sea Cliff(해안의 단애): 바다에 면한 단애에 위치하며, 육지 측을 반원형의 방벽으로 둘러싸고 있다. 바위가 많은 대서양 연안에 많으며, 아일랜드에서도 자주 발견된다. 다우스 성, 디나스 딘레, 둔 앵거스 등이 있다.
  • Sea Promontory(해안의 곶):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 모양의 땅의 지협 부분을 방벽으로 막은 것이다. 아일랜드, 콘월, 브르타뉴 반도, 웨일스 서부 등의 대서양 연안에서 자주 보인다. 더 럼프스, 휘엘고 등이 있다.
  • Sloping Enclosure(사면의 울타리): 언덕의 완만한 경사면에 만들어진 작은 방벽으로, 방어상의 최중요 지점은 아니다. 트렌들 링, 플레인스필드 캠프 등이 있다.

4. 2. 규모

힐포트의 정의는 단순하지만, 그 종류나 연대는 다양하다. 발굴로 밝혀진 외형이나 구조상 분류는 다음과 같다.

  • 입지
  • Hilltop Contour(언덕 정상의 윤곽): 전형적인 힐포트로, 내륙에 위치하며 인공적인 성벽 또는 급경사의 자연 경사면으로 둘러싸여 언덕 정상을 지킨다. 브렌트 놀, 마운트 이프 등이 이에 해당한다.
  • Inland Promontory(내륙의 곶): 내륙의 능선 위에 있으며, 2방 또는 3방이 급경사로 되어 있고, 그 외 수평 방향에 인공적인 성벽을 가지고 있다. 램버트 성 등이 있다.
  • Interfluvial(하간 지대): 2개의 강이 합류하는 지점이나 강의 사행으로 주위가 강으로 둘러싸인 장소이다. 켈하임 등이 있다.
  • Lowland(저지): 어떤 방어상의 이점이 있는 내륙의 장소(아마 습지 제외)이지만, 인공적인 방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대형 오피둠에 많다. 메이든 성, 스토니아 캠프 등이 있다.
  • Sea Cliff(해안의 단애): 바다에 면한 단애에 위치하며, 육지 측을 반원형의 방벽으로 둘러싸고 있다. 바위가 많은 대서양 연안에 많으며, 아일랜드에서도 자주 발견된다. 다우스 성, 디나스 딘레, 둔 앵거스 등이 있다.
  • Sea Promontory(해안의 곶):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 모양의 땅의 지협 부분을 방벽으로 막은 것이다. 아일랜드, 콘월, 브르타뉴 반도, 웨일스 서부 등의 대서양 연안에서 자주 보인다. 더 럼프스, 휘엘고 등이 있다.
  • Sloping Enclosure(사면의 울타리): 언덕의 완만한 경사면에 만들어진 작은 방벽으로, 방어상의 최중요 지점은 아니다. 트렌들 링, 플레인스필드 캠프 등이 있다.
  • 면적
  • 20 ha 이상: 매우 크며, 방어 거점으로는 너무 크다. 아마 가축의 방목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 1 - 20 ha: 내부에 정주지가 있으며, 그것을 방어하고 있는 대형 힐포트.
  • 1 ha 미만: 작은 힐포트. 개인의 농장이나 목장에 가깝다.
  • 벽과 해자(도랑)
  • Univallate(단루벽): 하나의 방벽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이다. 솔즈버리 언덕 등이 있다.
  • Multivallate(복루벽): 여러 개의 방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외측은 완전히 닫혀 있지 않은 경우도 있지만, 방어상의 약점 부분을 특히 지키고 있다. 일반적으로, 안쪽의 방벽이 처음부터 있고, 나중에 바깥쪽 방벽을 추가하고 있다. 캐드버리 성 등이 있다.
  • 입구
  • Simple opening(단순 개구부): 방어 거점이 아니라, 단순한 울타리임을 나타내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개구부 부근에서 방벽이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향해 있거나, 높고 폭이 넓어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 다우즈버러 등이 있다.
  • Linear holloway(곧은 길): 방벽이 입구로 이어지는 길을 둘러싸듯이 평행으로 뻗어 있다. 노턴 캠프 등이 있다.
  • Complex(복합형): 방벽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모양으로, 투석기를 설치하는 대를 그 탄도를 고려하여 배치하고 있다. 메이든 성 등이 있다.

4. 3. 방어 시설

힐포트의 정의는 단순하지만, 그 종류나 연대는 다양하다. 발굴로 밝혀진 외형이나 구조상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 입지
  • Hilltop Contour(언덕 정상의 윤곽): 전형적인 힐포트. 내륙에 위치하며, 인공적인 성벽 또는 급경사의 자연 경사면으로 둘러싸여 언덕 정상을 지키고 있다. 브렌트 놀, 마운트 이프 등이 있다.
  • Inland Promontory(내륙의 곶): 내륙의 능선 위에 있으며, 2방 또는 3방이 급경사로 되어 있고, 그 외 수평 방향에 인공적인 성벽을 가지고 있다. 램버트 성 등이 있다.
  • Interfluvial(하간 지대): 2개의 강이 합류하는 지점이나 강의 사행으로 주위가 강으로 둘러싸인 장소. 켈하임 등이 있다.
  • Lowland(저지): 어떤 방어상의 이점이 있는 내륙의 장소(아마 습지 제외)이지만, 인공적인 방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대형 오피둠에 많다. 메이든 성, 스토니아 캠프 등이 있다.
  • Sea Cliff(해안의 단애): 바다에 면한 단애에 위치하며, 육지 측을 반원형의 방벽으로 둘러싸고 있다. 바위가 많은 대서양 연안에 많으며, 아일랜드에서도 자주 발견된다. 다우스 성, 디나스 딘레, 둔 앵거스 등이 있다.
  • Sea Promontory(해안의 곶):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 모양의 땅의 지협 부분을 방벽으로 막은 것. 아일랜드, 콘월, 브르타뉴 반도, 웨일스 서부 등의 대서양 연안에서 자주 보인다. 더 럼프스, 휘엘고 등이 있다.
  • Sloping Enclosure(사면의 울타리): 언덕의 완만한 경사면에 만들어진 작은 방벽. 방어상의 최중요 지점은 아니다. 트렌들 링, 플레인스필드 캠프 등이 있다.
  • 면적
  • 20 ha 이상: 매우 크며, 방어 거점으로는 너무 크다. 아마 가축의 방목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 1 - 20 ha: 내부에 정주지가 있으며, 그것을 방어하고 있는 대형 힐포트.
  • 1 ha 미만: 작은 힐포트. 개인의 농장이나 목장에 가깝다.
  • 벽과 해자(도랑)
  • Univallate(단루벽): 하나의 방벽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 솔즈버리 언덕 등이 있다.
  • Multivallate(복루벽): 여러 개의 방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외측은 완전히 닫혀 있지 않은 경우도 있지만, 방어상의 약점 부분을 특히 지키고 있다. 일반적으로, 안쪽의 방벽이 처음부터 있고, 나중에 바깥쪽 방벽을 추가하고 있다. 캐드버리 성 등이 있다.
  • 입구
  • Simple opening(단순 개구부): 방어 거점이 아니라, 단순한 울타리임을 나타내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개구부 부근에서 방벽이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향해 있거나, 높고 폭이 넓어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 다우즈버러 등이 있다.
  • Linear holloway(곧은 길): 방벽이 입구로 이어지는 길을 둘러싸듯이 평행으로 뻗어 있다. 노턴 캠프 등이 있다.
  • Complex(복합형): 방벽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모양으로, 투석기를 설치하는 대를 그 탄도를 고려하여 배치하고 있다. 메이든 성 등이 있다.


힐포트는 거류지를 겸하고 있는 경우도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것은 특정 계절에 사용하거나 분쟁 발생 시에만 사용했다. 주위를 둘러싸는 방벽의 양식에는 갈리아 벽(무루스 갈리쿠스)이나 포스텐슐리츠마우어가 있다. 힐포트 내에는 주거로서 원형 가옥이나 롱하우스가 있으며, 그 외에도 곡창의 기둥 흔적, 지하실로 보이는 구멍, 도자기, 동전, 보석 등이 출토되고 있다. 또한, 신전의 기초와 무덤도 발견되고 있다. 요새로서 슬링샷, 방패, 갑옷, 검, , 화살 등의 무기도 발견되었으며, 전장이 된 힐포트에는 포위 측이 사용한 발리스타 부품, 회층, 유리화된 돌, 불에 탄 구멍이 있는 기둥 등이 발견되고 있다. 또한, 승리한 측이 전투에서 죽은 적을 한꺼번에 매장한 묘혈도 발견되고 있다.

힐포트는 적군에게 점령되는 경우가 많고, 때로는 파괴되는 경우도 있으며, 원주민은 강제로 이주당하고, 요새는 폐기되었다. 예를 들어 기원전 1세기에 벨가에인이 그레이트브리튼 섬 남부를 침략했을 때, 솔즈버리 언덕은 약탈당하고 폐기되었다. 폐기된 힐포트는, 후에 새로운 침략의 위협이 다가왔을 때 재건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있었다. 재이용의 예로는, 리투아니아 대공국 성립 시의 전쟁, 그레이트브리튼 섬에 대한 로마인, 색슨인, 바이킹 침공 시 등이 있다.

4. 4. 내부 구조

힐포트의 정의는 단순하지만, 그 종류나 연대는 다양하다. 발굴을 통해 밝혀진 외형이나 구조상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 입지
  • Hilltop Contour (언덕 정상의 윤곽): 전형적인 힐포트. 내륙에 위치하며, 인공적인 성벽 또는 급경사의 자연 경사면으로 둘러싸여 언덕 정상을 지키고 있다. 브렌트 놀, 마운트 이프 등이 있다.
  • Inland Promontory (내륙의 곶): 내륙의 능선 위에 있으며, 2방 또는 3방이 급경사로 되어 있고, 그 외 수평 방향에 인공적인 성벽을 가지고 있다. 램버트 성 등이 있다.
  • Interfluvial (하간 지대): 2개의 강이 합류하는 지점이나 강의 사행으로 주위가 강으로 둘러싸인 장소. 켈하임 등이 있다.
  • Lowland (저지): 어떤 방어상의 이점이 있는 내륙의 장소(아마 습지 제외)이지만, 인공적인 방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대형 오피둠에 많다. 메이든 성, 스토니아 캠프 등이 있다.
  • Sea Cliff (해안의 단애): 바다에 면한 단애에 위치하며, 육지 측을 반원형의 방벽으로 둘러싸고 있다. 바위가 많은 대서양 연안에 많으며, 아일랜드에서도 자주 발견된다. 다우스 성, 디나스 딘레, 둔 앵거스 등이 있다.
  • Sea Promontory (해안의 곶):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 모양의 땅의 지협 부분을 방벽으로 막은 것. 아일랜드, 콘월, 브르타뉴 반도, 웨일스 서부 등의 대서양 연안에서 자주 보인다. 더 럼프스, 휘엘고 등이 있다.
  • Sloping Enclosure (사면의 울타리): 언덕의 완만한 경사면에 만들어진 작은 방벽. 방어상의 최중요 지점은 아니다. 트렌들 링, 플레인스필드 캠프 등이 있다.
  • 면적
  • 20 ha 이상: 매우 크며, 방어 거점으로는 너무 크다. 아마 가축의 방목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 1 - 20 ha: 내부에 정주지가 있으며, 그것을 방어하고 있는 대형 힐포트.
  • 1 ha 미만: 작은 힐포트. 개인의 농장이나 목장에 가깝다.
  • 벽과 해자(도랑)
  • Univallate (단루벽): 하나의 방벽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 솔즈버리 언덕 등이 있다.
  • Multivallate (복루벽): 여러 개의 방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외측은 완전히 닫혀 있지 않은 경우도 있지만, 방어상의 약점 부분을 특히 지키고 있다. 일반적으로, 안쪽의 방벽이 처음부터 있고, 나중에 바깥쪽 방벽을 추가하고 있다. 캐드버리 성 등이 있다.
  • 입구
  • Simple opening (단순 개구부): 방어 거점이 아니라, 단순한 울타리임을 나타내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개구부 부근에서 방벽이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향해 있거나, 높고 폭이 넓어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 다우즈버러 등이 있다.
  • Linear holloway (곧은 길): 방벽이 입구로 이어지는 길을 둘러싸듯이 평행으로 뻗어 있다. 노턴 캠프 등이 있다.
  • Complex (복합형): 방벽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모양으로, 투석기를 설치하는 대를 그 탄도를 고려하여 배치하고 있다. 메이든 성 등이 있다.


힐포트는 거류지를 겸하고 있는 경우도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것은 특정 계절에 사용하거나, 분쟁 발생 시에만 사용했다. 주위를 둘러싸는 방벽의 양식에는 무루스 갈리쿠스나 포스텐슐리츠마우어가 있다. 힐포트 내에는, 주거로서 원형 가옥이나 롱하우스가 있으며, 그 외에도 곡창의 기둥의 흔적, 지하실로 보이는 구멍, 도자기, 동전, 보석 등이 출토되고 있다. 또한, 신전의 기초와 무덤도 발견되고 있다. 요새로서 슬링샷, 방패, 갑옷, 검, , 화살 등의 무기도 발견되었다.

전장이 된 힐포트에는, 그 흔적으로서 포위 측이 사용한 발리스타의 부품, 회층, 유리화된 돌, 불에 탄 구멍이 있는 기둥 등이 발견되고 있다. 또한, 승리한 측이 전투에서 죽은 적을 한꺼번에 매장한 묘혈도 발견되고 있다.

힐포트는 적군에게 점령되는 경우가 많고, 때로는 파괴되는 경우도 있으며, 원주민은 강제로 이주당하고, 요새는 폐기되었다. 예를 들어 기원전 1세기에 벨가에인이 그레이트브리튼 섬 남부를 침략했을 때, 솔즈버리 언덕은 약탈당하고 폐기되었다. 폐기된 힐포트는, 후에 새로운 침략의 위협이 다가왔을 때 재건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있었다. 재이용의 예로는, 리투아니아 대공국 성립 시의 전쟁, 그레이트브리튼 섬에 대한 로마인, 색슨인, 바이킹 침공 시 등이 있다.

5. 한국의 산성과 힐포트

6. 힐포트의 쇠퇴와 재사용

참조

[1] 웹사이트 Maiden Castle http://www.english-h[...] English Heritage 2009-05-31
[2] PastScape 2009-05-27
[3] harvnb
[4] harvnb
[5] harvnb
[6] harvnb
[7] harvnb
[8] citation Time Team: Swords, skulls and strongholds http://www.channel4.[...] Channel 4 2008-05-19
[9] harvnb
[10] harvnb
[11] harvnb
[12] Webarchive The Iron Age https://web.archive.[...] smr.herefordshire.gov.uk 2009-02-07
[13] harvnb
[14] Citation Dinas Powys: An Iron Age, Dark Age and Early Medieval Settlement in Glamorgan University of Wales Press 1963
[15] citation Two Castles in Northern Powys: Dinas Bran and Caergwrle
[16] Coflein 2021-10-01
[17] Citation English Heritage page 'History of Old Oswestry Hillfort' https://www.english-[...]
[18] 간행물 'The Irish hillfort', in Lock, G. and Ralston, I. (eds.) Hillforts: Britain, Ireland and the Nearer Continent - Papers from the Atlas of Hillforts of Britain and Ireland Conference, June 2017 https://hdl.handle.n[...] Archaeopress 2019
[19] harvnb
[20] 웹사이트 The Baltinglass landscape and the hillforts of Bronze Age Ireland https://cora.ucc.ie/[...] University College Cork 2016
[21] 웹사이트 Ringforts http://www.culturalh[...] 2023-08-08
[22] 웹사이트 The Mystery of Ancient, Irish Ringforts — Part I http://www.markfishe[...] 2016-05-29
[23] 웹사이트 Castrenor http://www.castrenor[...] Castrenor 2010-06-21
[24] 웹사이트 Ancient History of Latvia (11 000 BC – 1200) ← National History Museum of Latvia http://lnvm.lv/en/?p[...]
[25] harvnb
[26] harvnb
[27] 문서 Lietuvos piliakalniai. Atlasas http://lad.lt/wp-con[...] 2017
[28] Citation The Batanes Islands, Their First Observers, and Previous Archaeology https://www.jstor.or[...] ANU Press 2021-01-25
[29] 간행물 Archaeological Explorations in Batanes Province https://www.jstor.or[...] 1996
[30] 간행물 Archaeology of Batanes Province, Northern Philippines: The 1996-1997 Status Report. https://journals.lib[...] 1997
[31] 간행물 The Eastern Passage and Its Impact on Spanish Policy in the Philippines, 1758–1790 http://www.philippin[...] 1985
[32] 서적 The Penguin History of New Zealand https://books.google[...] Penguin Random House New Zealand Limited 2020-09-18
[33] cite Q
[34] 웹사이트 The Capture of Rua-pekapeka https://nzetc.victor[...] R.E. Owen, Wellington 2010-11-11
[35] 문서 Notes and Queries: a Medium of Inter-communication for Literary Men, Artists Oxford University Press
[36] 서적 Foundations of Indo-European comparative philology 1800-1850 https://www.google.c[...]
[37] 웹사이트 The Iron Age http://www.smr.heref[...]
[38] 웹사이트 castrenor http://www.castren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