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女는 일본 초등학교에서 배우는 한자 중 하나로, 한국에서는 '계집 녀 부'라고 불린다. 이 글자는 앉아있는 여자의 모습을 본떠 만들어졌으며, 여성과 관련된 의미를 나타내는 부수로 사용되어 다양한 한자를 구성한다. 일부 페미니스트들은 女 부수가 들어간 한자 중 비하적인 의미를 가진 예시들을 들어 여성 혐오를 조장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개혁을 제안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수 -
    '靑'은 푸른색을 의미하는 한자이며,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등에서 자형이 다르게 사용되고, 시대와 지역에 따라 변형되어 왔으며, 다양한 의미를 가진 한자들의 구성 요소로도 쓰인다.
  • 부수 -
    金은 한자 부수 중 하나로 쇠, 금속, 성씨 등을 나타내며, 針, 銅, 銀, 鐵 등 다양한 한자에 사용된다.
한자 정보
부수녀부
부수 번호38
한국어 정보
명칭계집 녀
순서38
획수3
이전 부수대부
다음 부수자부
중국어 정보
병음
주음부호ㄋㄩˇ
광운女御切
반절如與
성모
운모
개합
등급
성조
음운/ɲɨoʔ/
중국어 간체女字旁 (좌측), 女字底 (하단)
중국어 병음nǚzìpáng (좌측), nǚzìdǐ (하단)
일본어 정보
음독조 (jo)
훈독おんな (onna)
일본어 명칭女偏/おんなへん (onnahen)
한국어 정보
훈음계집 녀
로마자 표기nyeo (여)
음가녀 (여)
영어 정보
의미woman, female

2. 명칭

일본 초등학교에서 가르치는 학습 한자 중 하나로, 1학년 한자이다.[7] 일본에서는 여자(おんな, 온나) 또는 여자변(おんなへん, 온나헨)이라고 부른다.[7] 중국에서는 女字旁 (nǚ zì páng, 뉘쯔팡)이라고 부른다. 한국에서는 계집 녀 부 (gyejip nyeo bu)라고 부른다. 영어로는 Radical woman이라고 부른다.

3. 글자 형태의 변화

갑골문


금문


소전


女는 앉아있는 여자를 본따 만들었다.

3. 1. 갑골문



女는 앉아있는 여자를 본따 만들었다.

  • 광운 - 尼呂반절
  • 시운 - 어운, 상성
  • 36자모 - 娘母
  • 일본어 - 음독/女일본어:조(한음)・뇨(오음) 훈독/女일본어:온나・무스메
  • 중국어 - 병음/女중국어:nǚ 주음 부호/女중국어:ㄋㄩˇ 웨이드-자일스/女중국어:nü 3
  • 한국어 - 훈음/女한국어:계집(gyejip, 여자) 딸(ttal, 여자) 녀(여)

3. 2. 금문


3. 3. 대전



대전체 문자이다.

3. 4. 소전



광운 - 尼呂반절

시운 - 어운, 상성

36자모 - 娘母

일본어 - :조(한음)・뇨(오음) :온나・무스메

중국어 - : :ㄋㄩˇ중국어

한국어 - :계집한국어(gyejip, 여자) 딸한국어(ttal, 여자) 녀(여)한국어(nyeo)

4. 女 부수 한자

nǚ/女중국어 부수는 한자에서 여성과 관련된 의미를 나타내는 부수로, 일반적으로 글자의 왼쪽이나 아래쪽에 위치한다.

0획의 를 비롯하여, 2획의 노, 내, 3획의 간, 타, 호, 여, 비, 망, 부, 마, 4획의 부, 기, 요, 묘, 뉴, 비, 타, 방, 5획의 매, 처, 첩, 자, 고, 사, 성, 위, 6획의 연, 요, 강, 모, 간, 이, 희, 인, 자, 위, 아, 7획의 빙, 낭, 오, 나, 연, 아, 오, 8획의 취, 파, 완, 혼, 부, 람, 9획의 미, 오, 10획의 식, 미, 마, 가, 질, 11획의 눈, 12획의 한, 13획의 선, 14획의 마, 영, 17획의 상 등 다양한 한자들이 nǚ/女중국어 부수에 포함된다.

5. 성차별 논란

일부 페미니스트들은 '여(女)' 부수가 들어간 많은 한자가 비하적이며, 奴(노예), 妖(요괴), 姦(간통, 강간, 배신자), 嫌(혐오) 등이 그 예시이며, 이러한 한자를 배우고 사용하는 것은 무의식적으로 여성 혐오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1] 이러한 한자의 개혁을 제안하기도 했다.[2]

2010년 중국에서는 한 남성 변호사가 '여(女)' 부수가 들어간 16개 한자(娱(오락), 耍(놀다), 婪(탐욕), 嫉(질투), 妒(질투), 嫌(혐오), 佞(아첨), 妄(방자함), 妖(요괴), 奴(노예), 妓(기생), 娼(창녀), 奸(간통), 姘(간통), 婊(계집), 嫖(기생집을 방문하다))가 성차별적 함축성을 지니고 있다고 비판하며 개혁을 제안했다.[3] 그는 奸(간)을 犭(개 견)과 行(행동)을 합친 새로운 한자로 대체하여 강간이 끔찍한 행동임을 암시하는 방식으로 바꾸면 강간 사건을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반대론자들은 새로운 한자가 역사적으로 근거가 없고, 여성의 사회적 지위 개선에 효과적이지 않을 것이며, 법적, 사회 문화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3][4]

2015년 베이징에서는 성폭력 피해의 문화적 상징을 다룬 전시회가 취소되었으나, 이 전시회는 국제 언론에 알려졌다.[5] 전시회의 학술 책임자인 퉁위지에는 "왜 한 명의 여자가 셋이 되었으며, 전통적인 중국 사회와 정치 이론에서 정치적, 도덕적 상상력과 적대감의 대상이 되었는가?"라고 질문했다.[5]

2014년 안후이 대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여(女)' 부수가 들어간 한자 중 부정적인 의미는 56개, 긍정적인 의미는 70개, 중립적인 의미는 184개였다.[6]

이러한 논란은 남성형과 여성형 구분이 있는 유럽 언어의 언어적 성차별주의와 유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6. 참고 문헌


  • Edoardo Fazzioli, Rebecca Hon Ko 공저, Chinese calligraphy : from pictograph to ideogram : the history of 214 essential Chinese/Japanese characters영어, 애비빌 출판사, New York, 1987, 0-89659-774-1
  • Leyi Li, 978-7-5619-0204-2/Tracing the Roots of Chinese Characters: 500 Cases}}, Beijing, 1993, {{ISBN영어
  • Edoardo Fazzioli, Rebecca Hon Ko 공저, 중국 서예: 상형문자에서 표의문자로: 214개의 필수적인 중국/일본 문자의 역사한국어, 애비빌 출판사, New York, 1987, 0-89659-774-1
  • Ken Lunde, CJKV Information Processing: Chinese, Japanese, Korean & Vietnamese Computing영어, Second Edition, O'Reilly Media, 세바스토폴, 캘리포니아, 2009년 1월 5일, 978-0-596-51447-1, 부록 J: 일본 문자 집합

참조

[1] 웹사이트 漢字歧視女性 《經濟學人》認應重新造字 https://anntw.com/ar[...] 台灣醒報 2018-09-10
[2] 웹사이트 汉字里的性别歧视 http://www.confuchin[...] 1994-03-04
[3] 웹사이트 律师认为16个汉字歧视女性 建议奸改为犭行 http://news.sina.com[...] 现代快报 2010-01-21
[4] 웹사이트 "奸"改为"犭行"可减少强奸犯罪为何很傻很天真 https://www.zaobao.c[...] 联合早报 2010-01-22
[5] 뉴스 Enduring Prejudices of Gender Woven Into Chinese Language http://nytimes.com/2[...] 2015-12-02
[6] 간행물 浅谈汉语中的女部字与中国文化的性别歧视 https://www.ixueshu.[...]
[7] 웹사이트 The Kyoiku Kanji (教育漢字) - Kanshudo https://www.kanshudo[...] 2023-05-06
[8] 웹사이트 ことばに潜む「性差別」を浮き彫りにする「新しい漢字」 https://wired.jp/201[...] 2022-06-24
[9] 웹사이트 漢字歧視女性 《經濟學人》認應重新造字 - 台灣醒報 Awakening News Networks https://anntw.com/ar[...] 2022-06-24
[10] 뉴스 "婦人→女性」お役所言葉のトレンド 都では条例改正も 読売新聞 1991-07-11
[11] 간행물 「ことば・文字・女の解放」論壇をめぐって (特集 ことば・文字・女の解放) https://doi.org/10.1[...] 成蹊大学アジア太平洋研究センター 201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