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다랭이잡이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다랭이잡이목(Suliformes)은 해조류에 속하는 조류의 한 목으로, 과거에는 펠리컨목으로 분류되었으나, 핵 DNA 분자 계통 분석 결과에 따라 재분류되었다. 군함조과, 가마우지과, 아닝가과, 바다제비과의 4개 과로 구성되며, 이들은 슴새목 또는 가마우지아목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대부분 연안성 해조류이며, 전지발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에서는 가마우지가 가장 흔하게 관찰되며, 2023년 환경부는 가마우지를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가다랭이잡이목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북방가넷
북방가넷 (Morus bassanus)
학명Suliformes
명명자Sharpe, 1891
속하는 종의 계급
하위 분류가다랭이잡이과
군함조과
가마우지과
뱀목가마우지과
†프로토플로테리다에
†플로테리다에
모식종Sula leucogaster
모식종 명명자Boddaert, 1783
발음 (영어)/ˈsjuːlɪfɔrmiːz/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하강신악하강
상목신조상목
미분류 목수조류
가다랭이잡이목
목 학명Suliformes

2. 계통 분류

가다랭이잡이목은 전통적으로 사다새목(Pelecaniformes)에 포함되어 분류되었으나,[18][19] 분자 계통학 연구 결과, 특히 2008년 핵 DNA 분석을 통해[16] 기존 사다새목의 분류가 재검토되었다. 이 연구는 펠리컨과(Pelecanidae)가 백로과, 왜가리과, 저어새과 등과 더 가깝다는 것을 보여주었고,[3][16] 이에 따라 기존 사다새목에서 군함조과(Fregatidae), 가마우지과(Phalacrocoracidae), 바다제비과(Sulidae), 아비과(Anhingidae)가 분리되어 가다랭이잡이목(Suliformes)이라는 새로운 목으로 설정되었다.[7][8]

분자 계통 연구에 따르면, 가다랭이잡이목은 현재의 사다새목과 가장 가까운 자매군 관계를 형성하며,[22][15] 더 넓게는 황새목(Ciconiiformes), 슴새목(Procellariiformes), 펭귄목(Sphenisciformes), 아비목(Gaviiformes) 등 다른 수조류(waterbird) 그룹들과 유연 관계를 가진다.[4][22] 가다랭이잡이목 내에서는 군함조과가 가장 먼저 분기한 것으로 여겨진다.[9][10]

2. 1. 하위 분류

본 목을 구성하는 과는 이전에는 펠리컨목으로 분류되었다. 2008년에 발표된 핵 DNA 분자 계통 분석 결과, 기존 펠리컨목에 속했던 과들 중 펠리컨과를 제외한 나머지 과들이 실제로는 백로과, 왜가리과, 저어새과, 신천옹과 등과 더 가깝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6] 이에 따라 가다랭이잡이목이 새로운 목으로 설정되었다.

다음 분류는 국제조류학회(IOC)의 World Bird List(v10.2)에 따른다.[17]

가다랭이잡이목 내에서는 군함조과가 다른 세 과(아비과, 가마우지과, 부비과)와 자매군 관계를 형성하며, 이러한 관계는 과거 분류 체계에서도 반영되어 별도로 분류되는 경우가 있었다. 전통적인 분류(이들을 펠리컨목으로 간주했을 때)에서는 군함조과를 군함조아목(Fregatae)으로, 나머지 세 과를 가마우지아목(Sulae) 또는 펠리컨과와 함께 펠리컨아목(Pelecani)으로 분류하기도 했다.[18][19] 시블리-알퀴스트 분류에서는 이들을 황새목에 포함시키면서 군함조과는 황새아목으로, 다른 세 과는 가마우지아목으로 분류했다.

2. 2. 분자 계통

분자 계통 연구 결과는 조류 분류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가다랭이잡이목의 분류학적 위치도 재정립되었다. 과거 펠리컨목(Pelecaniformes)으로 분류되었던 과들이 실제로는 펠리컨과보다 다른 그룹과 더 가깝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2008년 발표된 핵 DNA 분자 계통 분석 연구는 펠리컨과(Pelecanidae)가 백로과(Ardeidae), 저어새과(Threskiornithidae), 넓적부리황새과(Balaenicipitidae), 망치머리황새과(Scopidae)와 가깝다는 결과를 제시했다.[16] 이는 기존 펠리컨목에 속했던 다른 과들(현재 가다랭이잡이목을 구성하는 과들)과는 유전적으로 거리가 있음을 의미한다.

Hackett 등이 2008년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아비목(Gaviiformes), 펭귄목(Sphenisciformes), 황새목(Ciconiiformes) 뿐만 아니라 슴새목(Procellariiformes)과 사다새목(Pelecaniformes) 역시 가다랭이잡이목(Suliformes)과 함께 공통 조상에서 진화한 것으로 보인다.[4] 이러한 관계를 바탕으로 '수조류 상목(Higher waterbird)'이라는 분류군이 제안되기도 했다.[4] 수조류 내에서의 계통 관계를 보면, 가다랭이잡이목은 사다새목과 가장 가까운 자매군을 형성하며, 이 두 목은 다시 황새목과 자매군 관계에 있다. 더 나아가 이 그룹은 슴새목과 펭귄목 그룹과, 그리고 가장 먼저 분기한 아비목과 단계적인 유연 관계를 가진다.[22] Burleigh 등이 2015년에 핵 DNA와 미토콘드리아 DNA를 분석한 결과 역시 가다랭이잡이목과 사다새목이 자매군 관계임을 지지한다.[15]

이러한 분자 계통 연구 결과에 따라, 기존 펠리컨목에서 분리된 새로운 목의 이름이 필요하게 되었다. 2008년 오스트레일리아의 조류학자 레스 크리스티디스(Les Christidis)와 월터 E. 볼스(Walter E. Boles)는 가마우지과(Phalacrocoracidae)의 종 수가 바다제비과(Sulidae)보다 훨씬 많다는 이유로 이 그룹에 'Phalacrocoraciformes'라는 이름을 제안했으나[5] 널리 받아들여지지는 않았다. 한편, 1994년 월터 J. 보크(Walter J. Bock)는 두 과를 포함하는 상과명으로 "Suloidea"가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으므로, 이 그룹의 명칭은 "Sulidae"를 기반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6] 최종적으로 2010년 미국 조류 학회(AOU)는 이 분류군에 대해 '''가다랭이잡이목'''(Suliformes)이라는 명칭을 채택했고,[7] 국제조류학회(IOC)가 2011년에 이를 따르면서[8] 현재의 명칭으로 확립되었다.

가다랭이잡이목 내부의 과들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1994년 마틴 케네디(Martyn Kennedy)와 동료들은 조류의 행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계통수를 만들었는데, 이는 유전적 또는 형태학적 데이터 기반의 계통수와 높은 수준의 일치를 보였다. 이 연구는 왜가리과(Anhingidae)가 가마우지과(Phalacrocoracidae)와 자매군이며, 이 그룹은 다시 바다제비과(Sulidae)와 자매군 관계를 형성한다고 제안했다. 군함조과(Fregatidae)는 이 세 과의 그룹보다 더 일찍 분기한 것으로 나타났다.[9] Gibb 등이 2013년에 발표한 분자 계통 연구 결과 역시 군함조과가 가장 먼저 분기하고, 나머지 세 과(바다제비과, 왜가리과, 가마우지과)가 하나의 분기군을 형성하는 것을 지지한다.[10] 즉, 군함조과가 가장 먼저 갈라져 나왔고, 이후 바다제비과가 분기했으며, 마지막으로 왜가리과와 가마우지과가 서로 가장 가까운 자매군을 이루는 것으로 분석된다.

다음은 국제조류학회(IOC) World Bird List (v10.2)에 따른 가다랭이잡이목의 하위 과 목록이다.[17]

전통적인 분류 체계(이들을 펠리컨목의 하위 그룹으로 간주했을 때)에서는 군함조과를 독립적인 군함조아목(Fregatae)으로, 나머지 세 과(바다제비과, 왜가리과, 가마우지과)를 가마우지아목(Sulae) 또는 펠리컨과와 함께 펠리컨아목(Pelecani)으로 분류하기도 했다.[18][19] 시블리-알퀴스트 분류에서는 이들을 황새목에 포함시키면서 군함조과를 황새아목(Ciconii)에, 나머지 세 과를 가마우지아목(Sulae)에 배치했다.

3. 특징

대부분 연안에 서식하는 해조류이며, 가마우지과는 예외적으로 담수에서도 서식한다. 새끼는 반숙성(semi-precocial)이며, 둥지에서 자란다.[14] 암컷과 수컷의 깃털 색깔은 대부분 같지만, 군함조과가마우지과는 다르다.[14]

가장 큰 특징은 거의 대부분 네 개의 발가락이 모두 물갈퀴로 연결된 전지발(totipalmate) 형태를 가진다는 점이다. 이 특징 때문에 과거에는 슴새목을 "전지목(Steganopodes)"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그러나 군함조과는 발가락 사이에 갈라진 틈이 있으며 제4발가락이 앞뒤로 움직일 수 있는 불완전 전지발이다.

참조

[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2-03-01
[2] 논문 The phylogenetic affinities of the Shoebill (Balaeniceps rex)
[3] 논문 Whole-genome analyses resolve early branches in the tree of life of modern birds 2014-12-12
[4] 논문 A Phylogenomic Study of Birds Reveals Their Evolutionary History 2008-06-27
[5] 서적 Systematics and Taxonomy of Australian Birds https://books.google[...] CSIRO Publishing
[6] 논문 History and nomenclature of avian family-group names
[7] 논문 Fifty-First Supplement to the American Ornithologists' Union Check-List of North American Birds http://www.aou.org/c[...] 2010-07-01
[8] 웹사이트 Taxonomy Version 2 http://www.worldbird[...] 2012-07-15
[9] 논문 Hop, step and gape: do the social displays of the Pelecaniformes reflect phylogeny?
[10] 논문 Beyond phylogeny: Pelecaniform and ciconiiform birds, and long-term niche stability
[11] 논문 The osteology of the Steganopodes https://www.biodiver[...]
[12] 논문 Avian higher-level phylogeny: well-supported clades and what we can learn from a phylogenetic analysis of 2954 morphological characters http://www.bio-nica.[...]
[13] 간행물 カツオドリ目 日本鳥学会
[14] 서적 脊椎動物の多様性と系統 裳華房
[15] 논문 Building the avian tree of life using a large-scale, sparse supermatrix
[16] 논문 A Phylogenomic Study of Birds Reveals Their Evolutionary History
[17] 웹사이트 Storks, frigatebirds, boobies, cormorants, darters https://www.worldbir[...] 2020-09-08
[18] 논문 Notes on the phylogeny of the Pelecaniformes http://elibrary.unm.[...]
[19] 서적 バイオディバーシティ・シリーズ 7 脊椎動物の多様性と系統 裳華房
[20] 문서 dubbed "Phalacrocoraciformes" by Christidis & Boles 2008
[21] 웹인용 국제조류학회(International Ornithological Congress) https://web.archive.[...] 2013-08-25
[22] 웹인용 A Phylogenomic Study of Birds Reveals Their Evolutionary History http://www26.atwiki.[...] 2013-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