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백로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로과는 펠리컨목에 속하는 조류 과로, 전 세계에 약 72종이 분포하며 강, 호수, 연못, 늪, 습지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한다. 깃털 색깔은 종에 따라 다르며, 꼬리에 기름을 분비하는 대신 분말상의 깃털로 방수 기능을 한다. 식성은 동물성으로 어류, 양서류, 파충류 등을 먹으며, 사냥 시에는 기다리거나 천천히 걸으며 먹이를 찾는다. 백로과는 5개의 아과로 나뉘며, 일부 종은 집단 번식을 한다. 인간과의 관계에서는 시조로 지정되기도 하며, 깃털은 장식품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로과 - 백로 (새)
    백로는 여러 종의 새를 통칭하며 흰색을 포함한 다양한 색상을 가지고 습지 등에서 집단으로 번식하며 문화적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백로과 - 알락해오라기속
    알락해오라기속은 1828년 명명되었으며, 과거 Ixobrychus속으로 분류되었으나 분자 유전학적 연구 결과 현재는 4종을 포함하는 해오라기과의 조류 속으로, 습지 갈대밭을 서식지로 삼고 물고기, 개구리 등을 먹고 산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백로과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사기과
학명Ardeidae
명명자Leach, 1820
영어 이름heron
egret
bittern
분포
사기과의 분포도
사기과의 분포도
생태
서식지전 세계
분류 체계
아과사기아과
산카노고이아과

2. 명칭

"백로"라는 단어는 1300년경 영어에 처음 등장했으며, 이는 고대 프랑스어 'hairon, eron'(12세기), 이전 'hairo'(11세기)에서 유래되었으며, 프랑크어 'haigiro' 또는 원시 게르만어 '*haigrô', '*hraigrô'에서 비롯되었다.[4]

백로는 또한 'shitepokes' shitepokes|샤이트포크스영어 또는 완곡하게 'shikepokes' 또는 'shypokes'로 알려져 있다. 웹스터 사전(Webster's Dictionary)은 백로가 놀라서 배설하는 습관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고 제안한다.[5]

1971년판 옥스퍼드 영어 사전 축약본(Compact Edition of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은 북미의 작은 녹색 백로(Butorides virescens)에 대한 'shitepoke'의 사용이 미국에서 유래되었으며, 1853년의 출판된 예를 인용하고 있다. ''OED''는 또한 'shiterow' 또는 'shederow'가 백로에 사용되는 용어이며, "마르고 약한 사람"을 의미하는 경멸적인 용어로도 사용된다고 언급한다. 백로에 대한 이 이름은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6세(1566–1625)의 왕령에 있는 사냥감 목록에서 발견된다. ''OED''는 'shiterow'가 'shiteheron'의 변형이라고 추측한다.[6]

또 다른 이전 이름은 고대 프랑스어 'heronçeau'에서 파생된 'heronshaw' 또는 'hernshaw'였다. 'handsaw'로 변형된 이 이름은 셰익스피어의 햄릿(Hamlet)에 등장한다.[7] 백로가 종종 'harnser'라고 불리는 노퍽 브로드에서 추가적인 변형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있다.

골리앗 왜가리는 가장 큰 백로 종이다.

3. 형태

백로과는 다리가 길고 목이 긴 중대형 조류이다. 크기에서 성적 이형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가장 작은 종은 왜가리류이고, 가장 큰 종은 골리앗 왜가리이다.

목을 완전히 움츠린 검은댕기해오라기


모든 백로과는 경추가 변형되어 목을 S자 모양으로 접을 수 있으며, 경추는 20개 또는 21개이다. 목은 다른 대부분의 목이 긴 새들과 달리 비행 중에도 움츠러진다. 다리는 길고 튼튼하며, 거의 모든 종에서 정강이 아랫부분부터 깃털이 없다(지그재그 왜가리는 예외). 비행 시 다리와 발은 뒤를 향한다. 발가락은 길고 가늘며 3개는 앞을 향하고 1개는 뒤를 향한다.[8]

숲 공원 안의 부리에 물방울이 있는 흰색 왜가리.


부리는 일반적으로 길고 작살 모양이다. 아감이 왜가리처럼 좁은 것부터 회색 왜가리처럼 넓은 것까지 다양하다. 가장 특이한 부리는 넓고 두꺼운 보트부리 왜가리의 부리이다. 부리와 신체 다른 부분은 보통 노란색, 검은색, 갈색이지만 번식기에는 달라질 수 있다. 날개는 넓고 길며 10개 또는 11개의 제1깃털(보트부리 왜가리는 9개), 15~20개의 제2깃털, 12개의 꼬리 깃털(댕기해오라기는 10개)을 가진다.

3. 1. 깃털

백로과의 깃털은 부드럽고, 주로 파란색, 검은색, 갈색, 회색 또는 흰색을 띠며, 종종 복잡한 무늬를 나타내기도 한다. 낮 왜가리는 깃털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지만(연못 왜가리 제외), 밤 왜가리와 작은 댕기해오라기는 성별에 따라 깃털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많은 종이 다양한 색상 형태를 가지기도 한다.[1] 태평양 암초 왜가리는 어두운 색과 밝은 색, 두 가지 색상 형태를 가지며, 각 형태의 비율은 서식 지역에 따라 달라진다. 흰색 형태는 산호 해변이 있는 지역에서만 관찰된다.[9]

태평양 암초 왜가리는 밝은 색과 어두운 색의 두 가지 색상 형태를 가진다.


가장 작은 종은 쇠백로로, 몸길이는 29cm이다.[22] 흔히 백로하면 흰 깃털을 떠올리지만, 종에 따라 깃털 색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괭이갈매기속(구 · 흰새속)에 속하는 검은댕기해오라기는 흰색형(몸 전체가 흰색 깃털)과 검은색형(몸 전체가 검은색 깃털) 개체가 모두 존재한다.

백로과는 꼬리에 물을 튕겨내는 기름을 분비하는 기관(우지선)이 없다.[22] 대신 분말 형태의 깃털을 온몸에 발라 방수 처리를 한다.[22] 이 분말 형태의 깃털은 가슴 등에 있는 분면우라는 부서지기 쉬운 특수한 깃털에서 만들어진다.[22] 셋째 발가락은 평평해서 분말 형태의 깃털을 묻혀 온몸에 바르기 편리하다.[22]

4. 생태

백로과 새들은 물고기 외에도 가재, 개구리, 곤충 등을 먹는다. 해안 근처의 산림, 습지, 갈대밭 등에서 서식하며, 무리를 지어 번식하지만 먹이를 구할 때는 단독으로 행동한다. 둥지는 나뭇가지를 쌓아 조잡하게 만들고, 청록색 또는 백색의 알을 3-7개 낳는다. 17-28일 정도 알을 품고, 새끼는 어미가 토해 낸 먹이로 자란다. 부화 후 둥지를 떠나기까지 대형종은 60일, 소형종은 20-25일이 걸린다.

용암 해오라기는 갈라파고스 제도 고유종으로, 조간대와 맹그로브 지역에서 물고기와 게를 잡아 먹는다.


비행 시에는 긴 목을 Z자형으로 구부리는 특징이 있는데, 이는 황새목이나 두루미목의 유사한 종들과 구별되는 점이다. (펠리컨목 중에서는 펠리컨과와 황새치과가 같은 방식으로 목을 줄여 비행하지만, 망치머리과따오기과는 목을 뻗어 비행한다.)

4. 1. 분포

해오라기류는 세계적 분포를 보이는 광범위한 과이다. 남극 대륙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 존재하며, 북극의 가장 추운 지역, 극도로 높은 산, 그리고 가장 건조한 사막을 제외한 대부분의 서식지에 분포한다. 거의 모든 종이 물과 관련되어 있으며, 본질적으로 헤엄치지 않는 물새로서 호수, 강, 늪, 연못, 바다의 가장자리에서 먹이를 찾는다. 대부분 저지대에서 발견되지만, 일부 종은 고산 지역에 살며, 대부분의 종은 열대 지역에 서식한다.[1]

해오라기류는 이동성이 매우 높은 과로, 대부분의 종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철새이다. 예를 들어, 회색 왜가리는 영국에서는 주로 텃새이지만, 스칸디나비아에서는 대부분 철새이다. 특히 번식 후, 연례 이동 전에, 종이 집단생활을 할 경우 새로운 먹이 지역을 찾아내고 식민지 근처의 먹이 공간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기 위해 널리 흩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동은 일반적으로 밤에 이루어지며, 보통 개별적으로 또는 소규모 그룹으로 이루어진다.[1]

아프리카 대륙,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북아메리카 대륙, 남아메리카 대륙, 유라시아 대륙, 일본, 필리핀, 뉴질랜드, 마다가스카르에 분포한다.

전 세계에 약 72종이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19종이 확인되었으며, 그 중 16종이 번식한다..

4. 2. 사냥 습성

백로과 새들은 주로 습지와 물가에서 다양한 수생 동물을 먹고 사는 육식동물이다. 물고기, 파충류, 양서류, 갑각류, 연체동물, 수생 곤충 등 다양한 먹이를 먹는다.[1] 검은머리백로처럼 특정 먹이를 전문으로 먹는 종도 있고, 새, 새알, 설치류, 썩은 고기를 먹거나 드물게는 식물성 먹이도 먹는 종도 있다.[1]

큰백로가 도마뱀을 삼키기 전에 먹이를 조작하는 모습


가장 흔한 사냥 방법은 물가에 가만히 있거나 얕은 물에 서서 먹이가 가까이 올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다. 이때 곧게 선 자세나 웅크린 자세를 취하며, 머리를 움직여 물속 먹이의 위치를 파악하고 부리로 찌른다.[1]

사냥하기 위해 날개를 펴서 우산 모양의 캐노피를 형성하는 검은 왜가리


더 적극적으로 먹이를 찾기도 하는데, 천천히 걸으면서 먹이를 찾거나, 발을 저어 숨겨진 먹이를 찾기도 한다.[11] 날개를 사용하여 먹이를 놀라게 하거나 그늘로 유인하기도 하며, 검은 왜가리는 날개로 몸 위에 완전한 캐노피를 형성하기도 한다.[12]

세빛깔왜가리가 물에서 반사를 제거하기 위해 날개를 사용하여 먹이를 시야로 볼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면서 낚시를 하고 있다


쇠백로와 회색 왜가리 같은 일부 종은 미끼를 사용하여 먹이를 유인하기도 한다. 빵과 같은 인공물이나 씨앗, 곤충, 꽃, 잎 등을 물에 떨어뜨려 물고기를 유인한다.[13][14]

검은머리왜가리, 휘파람왜가리, 소백로는 물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먹이를 찾을 수 있다. 특히 소백로는 큰 초식 동물을 따라다니며 쫓겨난 곤충을 잡아 먹이 획득 성공률을 높이기도 한다.[15]

4. 3. 번식

백로류는 일부일처제이며 대부분 집단 번식을 한다. 넓적부리황새와 호랑이 백로는 주로 혼자 둥지를 짓는 반면, 대부분의 낮 백로와 밤 백로는 집단으로 번식하거나 상황에 따라 부분적으로 집단 번식을 한다. 집단 번식지에는 여러 종의 백로뿐만 아니라 다른 종의 물새들도 함께 둥지를 틀 수 있다. 인도의 쇠백로와 소백로 연구에 따르면, 조사된 집단 번식지의 대부분에서 두 종이 모두 발견되었다.[16] 온대 지방 종은 계절에 따라 번식하며, 열대 지방 종은 계절적(주로 우기)이거나 연중 번식한다. 연중 번식하는 종도 번식 강도는 연중 변동한다. 열대 백로는 보통 일 년에 한 번 번식하지만, 다른 열대 조류와 달리 일 년에 최대 세 번 번식하는 경우도 있다.[1]

구애는 보통 새 둥지에서 이루어진다. 수컷이 먼저 둥지를 짓기 시작하고, 암컷을 유인하기 위해 과시 행동을 한다. 수컷은 목을 뻗는 과시를 하며 발기성 목 깃털을 사용하고, 목 부위가 부풀어 오르기도 한다. 암컷은 너무 일찍 접근하면 공격받을 수 있어 최대 4일까지 기다려야 할 수도 있다.[17] 집단 번식 종은 자세를 취하거나 의례적인 과시를 포함한 시각적 신호가 중요한 반면, 고독한 종은 넓적부리황새의 깊은 울림 같은 청각적 신호가 중요하다. 예외적으로 배백로는 둥지에서 떨어진 곳에서 짝을 이룬다. 짝을 이룬 후에는 거의 모든 종에서 둥지 짓기를 계속하지만, 쇠백로와 애기백로는 수컷만 둥지 작업을 한다.[1]

일부 조류학자들은 암컷 백로가 발기 부전 수컷에게 접근한 후 다른 곳에서 성적 만족을 구하는 것을 관찰했다고 보고했다.[1]

백로의 둥지는 보통 물 근처나 물 위에 있다. 몇몇 종은 적절한 나무나 관목이 없는 땅에 둥지를 틀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초목에 위치한다.[1][16] 많은 종이 나무를 사용하며, 이 경우 땅에서 높이 위치할 수 있다. 갈대밭에 사는 종은 땅에 매우 가깝게 둥지를 틀 수 있다.[1] 대부분의 백로 둥지는 물속 또는 물 바로 주변에서 발견되지만, 인간의 박해가 없을 경우 여러 도시에서 집단 번식이 흔히 발생한다.[18]

일반적으로 백로는 3~7개의 알을 낳는다. 작은 넓적부리황새류와 드물게 더 큰 낮 백로류에서 더 많은 알이 보고되며, 일부 호랑이 백로류에서는 한 개의 알만 낳는 경우도 보고된다. 한배 알 수는 종 내에서 위도에 따라 다르며, 온대 기후에 있는 개체가 열대 지방의 개체보다 더 많은 알을 낳는다. 일반적으로 알은 광택이 나는 파란색 또는 흰색이며, 큰 넓적부리황새류는 올리브 갈색 알을 낳는다는 예외가 있다.[1]

5. 분류

큰왜가리


백로과는 두개골 분석 결과에 따르면 주행성 그룹과 땅거미/야행성 그룹(쇠물닭 포함)으로 나눌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었다. 그러나, DNA 연구와 몸통 및 사지 뼈에 더 중점을 둔 골격 분석을 통해 이러한 두 그룹 구분은 부정확한 것으로 밝혀졌다.

오늘날에는 세 개의 주요 그룹을 구별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 황새백로와 보트빌
  • 쇠물닭
  • 낮 백로와 백로, 밤 백로


밤 백로는 낮 백로와 백로에서 분리될 가치가 있을 수 있다(하위과 Nycticoracinae). 그러나 일부 속(예: ''Butorides'' 또는 ''Syrigma'')의 위치는 현재 불분명하며, 분자 연구는 지금까지 소수의 분류군만 연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Ardeinae 아과에서 관계가 매우 부적절하게 해결되었다. 여기에 제시된 배열은 잠정적인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2008년 연구에 따르면 이 과는 펠리컨목에 속한다.[19] 이러한 발견에 따라 국제 조류 학회(IOC)는 Ardeidae와 자매 분류군인 따오기과(Threskiornithidae)를 이전의 황새목 대신 펠리컨목으로 재분류했다.[20]

2024년 8월 현재 IOC는 18개 속으로 나뉜 74종의 백로를 나열하고 있다.[20]

5. 1. 하위 분류

6. 인간과의 관계

수원시진주시의 시조(市鳥)이다.[1]

불교에서 백로는 순수, 변형, 그리고 부처의 지혜를 상징한다. 백로는 땅, 물, 공기 등 요소를 초월하는 새로서, 인식의 확장과 의식의 보편성을 상징하기도 한다.[1]

일부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에서 백로는 갱신, 회춘, 환생을 상징하며, 더 큰 생명과 죽음의 순환의 일부임을 상기시킨다.[1] 깃털은 장식품으로 이용되며, 양식 어류를 해치는 해로운 새로 여겨지거나 해충을 구제하는 이로운 새로 여겨지기도 한다. 서식지 파괴, 수질 오염, 깃털 남획, 유해 조류 구제 등으로 개체수가 감소하는 종도 있다.[1]

일본 명칭에 자주 사용되는 "고이(ゴイ)"는 "오위(五位)"이며, 『헤이케 이야기』에서 다이고 천황이 신센엔에 행차했을 때 날아온 해오라기가 "선지(宣旨)다"라는 어명을 전했기에 공손한 태도를 취하자 천황이 기뻐하며 "정오위" 벼슬을 하사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고이 사기#오위 사기라는 이름에 대하여" 참조)[1]

6. 1. 한국의 왜가리

지역상징
수원시시조
진주시시조


7. 계통 분류

수조류의 계통 분류에서 백로과는 사다새목에 속하며, 저어새과와 왜가리과와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29]

과거에는 두개골 분석을 통해 백로과를 주행성 그룹과 야행성 그룹으로 나누었으나, DNA 연구와 골격 분석 결과 이러한 구분은 부정확한 것으로 밝혀졌다. 두개골 형태의 유사성은 낮과 밤의 먹이 섭취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수렴 진화의 결과로 나타났다.

현재는 백로과를 세 개의 주요 그룹으로 나눈다.


  • 황새백로와 보트빌
  • 쇠물닭
  • 낮 백로, 백로, 밤 백로


밤 백로는 별도의 하위 과(Nycticoracinae)로 분리될 가능성도 있지만, 일부 속의 위치는 아직 불분명하며 분자 연구가 더 필요한 상황이다.

2008년 연구에 따르면 백로과는 황새목이 아닌 펠리컨목에 속한다.[19] 국제 조류 학회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백로과와 자매 분류군인 Threskiornithidae를 펠리컨목으로 재분류했다.[20]

2023년 발표된 분자 계통 발생 연구에 따르면, 백로과의 분기도는 다음과 같다.[21]

이 연구에서는 쇠물닭과 줄무늬쇠물닭이 ''Botaurus'' 속에 포함되었고, 흰등밤백로와 흰귀밤백로는 ''Calherodius'' 속으로 재분류되었다. 서부 쇠백로는 ''Ardea'' 속에 포함되었다. 숲쇠물닭의 분류는 불분명하지만, ''Ardeola'' 속과 더 가까운 관계를 가질 가능성이 제시되었다.[21]

2024년 8월 기준으로, 국제 조류 학회는 백로과를 18개 속, 74종으로 분류한다.[20]

아과종 수 및 특징
Tigriornithinae
CochleariinaeCochlearius
AgamiinaeAgamia
Botaurinae
ArdeinaeZeltornis (화석)
Nycticorax (현존 2종, 멸종 4종)
Nyctanassa (현존 1종, 멸종 1종)
Gorsachius (4종)
Butorides (3종)
Pilherodius
Zonerodius
Ardeola (6종)
Bubulcus (1~2종)
Proardea (화석)



이 외에도 관련성이 불분명한 화석 백로들이 존재한다.

참조

[1] 논문 A fossil heron from the early Oligocene of Belgium – the earliest temporally well-constrained record of the Ardeidae 2018
[2] 서적 The Book of Saint Albans https://www.gutenber[...] 1486
[3] 서적 An Exaltation of Larks https://archive.org/[...] Viking 1991
[4] 문서 OEtymD heron
[5] 서적 '"Shitepoke" and "Shikepoke" entries', Webster's Third International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Unabridged G. and C. Mirriam Company 1971
[6] 서적 "Shitepoke" and "shiterow" entries, Compact Edition of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1971
[7] 서적 The Poetry of Birds https://books.google[...] Penguin 2009
[8]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ume 1: Ostriches to Ducks https://archive.org/[...] Lynx Edicions
[9] 논문 Geographical Variation of the Plumage Polymorphism in the eastern reef heron (Egretta sacra) http://sora.unm.edu/[...]
[10] 논문 Foraging Implications of Food Usage Patterns in yellow-browned night-herons http://sora.unm.edu/[...]
[11] 논문 Additional Observations on "Foot-Stirring" Feeding Behavior in herons http://sora.unm.edu/[...]
[12] 논문 Under-Wing Fishing of the black heron, Melanophoyx ardesiaca http://sora.unm.edu/[...]
[13] 논문 Little egret (Egretta garzetta) and grey heron (Ardea cinerea) Using Bait for Fishing in Kenya
[14] 논문 Use of bait and lures by green-backed herons in Amazonian Peru http://sora.unm.edu/[...]
[15] 논문 Foraging Success of Cattle Egrets, Bubulcus ibis
[16] 논문 Nesting ecology of Cattle Egrets and Little Egrets in Amroha, Uttar Pradesh, India http://www.orientalb[...]
[17] 웹사이트 The terminology of courtship, nesting, feeding and maintenance in herons https://www.heroncon[...] 2019-10-24
[18] 논문 Can you nest where you roost? Waterbirds use different sites but similar cues to locate roosting and breeding sites in a small Indian city https://doi.org/10.1[...] 2024
[19] 논문 A Phylogenomic Study of Birds Reveals Their Evolutionary History
[20] 웹사이트 Ibis, spoonbills, herons, Hamerkop, Shoebill, pelican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3-12
[21] 논문 Ultraconserved elements resolve the phylogeny and corroborate patterns of molecular rate variation in herons (Aves: Ardeidae) 2023
[22] 서적 サギ類 平凡社
[23] 서적 サギ類とはどんな鳥なのか? 文一総合出版 2015-03
[24] 서적 日本鳥類目録 日本鳥学会
[25] 서적 日本鳥類目録 日本鳥学会
[26] 서적 フィールドガイド 日本の野鳥 日本野鳥の会
[27] 웹사이트 State of the World's Birds 2022 https://mobile.wbsj.[...] 日本野鳥の会 2023-05-04
[28] 웹사이트 マダガスカル研究懇談会│Conference/懇談会 https://www.madacom.[...] 2023-05-04
[29] 웹인용 A Phylogenomic Study of Birds Reveals Their Evolutionary History http://www26.atwiki.[...] 2013-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