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통 바랭기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스통 바랭기앵은 에스페란토 문학에 기여한 작가이자 번역가이다. 그는 컬로처이 칼만과 공동으로 《시예 가이드북》, 《에스페란토 문법》 등을 저술했으며, 프랑스어판 《초보 에스페란토》를 집필했다. 또한 라 로슈푸코의 격언, 오마르 카얌의 시, 샤를 보들레르의 《악의 꽃》 등 다양한 작품을 에스페란토로 번역 및 편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스페란토 사전 편찬자 - 외젠 랑티
외젠 랑티는 프랑스의 에스페란티스트이자 작가로, 좌익 에스페란토 단체인 세계무민족성협회를 설립하고 지도했으며, 다양한 직업을 거쳐 제1차 세계 대전 중 구급차 운전병으로 복무했고, 1947년 멕시코에서 자살했다. - 프랑스의 사전 편찬자 - 외젠 랑티
외젠 랑티는 프랑스의 에스페란티스트이자 작가로, 좌익 에스페란토 단체인 세계무민족성협회를 설립하고 지도했으며, 다양한 직업을 거쳐 제1차 세계 대전 중 구급차 운전병으로 복무했고, 1947년 멕시코에서 자살했다. - 프랑스의 사전 편찬자 - 펠릭스클레르 리델
펠릭스 클레르 리델은 프랑스 출신 로마 가톨릭 사제로서 조선에 선교사로 활동하며 한불자전과 한불문전을 편찬했고 병인박해를 겪었으며 추방된 인물이다. - 프랑스의 에스페란티스토 - 앙리 바르뷔스
프랑스 소설가이자 시인, 언론인, 평화 운동가, 공산주의 운동가인 앙리 바르뷔스는 자연주의와 염세주의에 기반한 초기 작품 활동 후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반전주의와 평화주의를 옹호하며 《화염 속으로》를 발표, 공산주의 운동에 참여하고 소련을 지지했으나 프롤레타리아 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 프랑스의 에스페란티스토 - 레몽 슈바르츠
레몽 슈바르츠는 프랑스의 에스페란토 작가이자 카바레 운영자로, 언어 유희와 풍자를 활용한 독특한 스타일로 에스페란토 문학에 기여했으며 파리에서 에스페란토 카바레를 운영하며 에스페란토 사용자들의 교류를 활성화하는 데 힘썼다.
가스통 바랭기앵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가스통 바랭기앵 |
원어 이름 | Gaston Waringhien |
로마자 표기 | Gaston Waringhien |
출생 | |
출생일 | 1901년 7월 20일 |
출생지 | 프랑스 릴 |
사망 | |
사망일 | 1991년 12월 20일 |
사망지 | 프랑스 사르트주 에녜 |
국적 | |
국적 | 프랑스 |
직업 | |
직업 | 언어학자 사전 편찬가 에스페란티스토 |
2. 주요 저서
바랭기앵이 직접 저술한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Parnasa Gvidlibroeo》(파르나사 기브드로, 컬로처이 칼만과 공저, 1932년)
- 《Plena Analiza Gramatikoeo》(에스페란토 문법, 컬로처이 칼만과 공저, 1935년, 1938년, 1981년)
- 《A.B.C. d’ Espéranto프랑스어》(초보 에스페란토, 1945년, 1967년)
- 《Eseoj I: Beletroeo》(에세이집 제1권: 문학, 1956년)
- 《Lingvo kaj vivoeo》(언어와 삶, 1969년)
- 《Ni kaj ĝieo》(우리와 그것, 1972년)
- 《1887 kaj la sekvoeo》(1887년 이래, 1980년)
- 《Kaj la ceter’ — nur literaturoeo》(등등: 오직 문학만을, 1983년)
- 《Duonvoĉeeo》(절반의 목소리로, 조르주 마우라(Georges E. Maŭra)라는 가명으로 출판, 1939년, 1963년)
바랭기앵은 이 외에도 ''플레나 보르타로''(1930), ''플레나 일루스트리타 보르타로''(1970) 등 여러 책을 에스페란토로 번역하거나 편집했다.
2. 0. 1. 플레나 보르타로 (1930)
플레나 보르타로(1930)2. 0. 2. 플레나 일루스트리타 보르타로 (1970)
Plena Ilustrita Vortaro|에스페란토 완역 삽화 사전eo (1970)2. 0. 3. 플레나 (분석) 문법 (1935, 1938, 1981)
컬만 칼로차이와 함께 쓴 책으로, 1935년에 처음 출판되었고 1938년과 1981년에 다시 출판되었다.2. 0. 4. 에세이 I: 문학 (1956)
Eseoj I: Literaturo|에세이 I: 문학eo (1956)은 에스페란토 문학에 대한 바랭기앵의 견해를 담고 있다.2. 0. 5. 언어와 삶 (1969)
《언어와 삶》은 1969년에 출판된 에세이집이다.2. 0. 6. 우리와 그것 (1972)
Ni kaj Ĝi|우리와 그것eo은 1972년에 출간된 에세이이다.2. 0. 7. 1887년과 그 이후 (1980)
1887년과 그 이후|1887년과 그 이후eo는 1980년에 출판된 에세이로, 에스페란토가 창시된 1887년을 다룬다.2. 0. 8. 그리고 나머지는 - 단지 문학 (1983)
''그리고 나머지는 - 단지 문학''은 1983년에 출간된 가스통 바랭기앵의 에세이이다.2. 0. 9. 두어 번의 목소리로 (1939, 1963)
Duonvoĉeeo (1939, 1963)는 조르주 마우라(Georges E. Maŭra)라는 가명으로 출판되었다.2. 0. 10. 시예(詩藝) 가이드북 (1932)
Parnasa Gvidlibroeo(파르나사 기드브로)는 컬로처이 칼만과 공동으로 저술한 책으로, 1932년에 출판되었다.2. 0. 11. 초보 에스페란토 (1945, 1967)
A.B.C. d’ Espéranto프랑스어라는 원제의 프랑스어판 서적이다. 1945년에 초판이 출판되었고, 1967년에 2판이 출판되었다.3. 번역 및 편집
바랭기앵은 여러 책을 에스페란토로 번역하거나 편집하였다.
제목 | 원제 | 종류 | 출판 연도 | 비고 |
---|---|---|---|---|
《시예(詩藝) 가이드북》 | Parnasa Gvidlibroeo | 1932년 | 컬로처이 칼만과 공저 | |
《에스페란토 문법》 | Plena Analiza Gramatikoeo | 1935년, 1938년, 1981년 | 컬로처이 칼만과 공저 | |
《초보 에스페란토》 | A.B.C. d’ Espéranto프랑스어 | 1945년, 1967년 | ||
《에세이집 제1권: 문학》 | Eseoj I: Beletroeo | 에세이 | 1956년 | |
《언어와 삶》 | Lingvo kaj vivoeo | 에세이 | 1969년 | |
《우리와 그것》 | Ni kaj ĝieo | 에세이 | 1972년 | |
《1887년 이래》 | 1887 kaj la sekvoeo | 에세이 | 1980년 | |
《등등: 오직 문학만을》 | Kaj la ceter’ — nur literaturoeo | 에세이 | 1983년 | |
《절반의 목소리로》 | Duonvoĉeeo | 시집 | 1939년, 1963년 | 조르주 마우라(Georges E. Maŭra)라는 가명으로 출판 |
《파실라이 에스페란타이 레가호이》 | 1935년 | |||
《시집에의 기여 12인의 시인》 | 1934년 | |||
《L.L. 자멘호프의 편지》 | 1948년 |
3. 0. 1. 라 로슈푸코의 격언 (1935)
프랑수아 드 라 로슈푸코의 격언집을 에스페란토로 번역하였다. (1935)3. 0. 2. 오마르 카얌의 시 (1953)
Omar Kajam-poemoj|오마르 카얌의 시eo (번역, 1953)3. 0. 3. 악의 꽃 (1957)
샤를 보들레르의 "Les fleurs du mal"을 번역하고 편집했다.3. 0. 4. 칸토이 카이 로만초이
컬만 칼로차이와 공저한 작품이다.제목 |
---|
칸토이 카이 로만초이 |
3. 0. 5. 라 트로페오이 (1977)
가스통 바랭기앵은 1977년에 La trofeoj|라 트로페오이eo를 번역하였다.3. 0. 6. 프랑스 시의 공원을 지나며: 르네상스 시대 / 고전 시대 (1977/1980)
가스통 바랭기앵이 1977년과 1980년에 걸쳐 번역한 "프랑스 시의 공원을 지나며: 르네상스 시대 / 고전 시대"는 프랑스 시를 에스페란토로 소개한 작품이다.3. 0. 7. 라 키메로이 (1976)
La Kímeroi|라 키메로이eo는 1976년에 번역된 작품이다.3. 0. 8. 파실라이 에스페란타이 레가호이 (1935)
바랭기앵이 1935년에 편집한 책이다.3. 0. 9. 시집에의 기여 12인의 시인 (1934)
''시집에의 기여 12인의 시인''은 1934년에 출판되었다.3. 0. 10. L.L. 자멘호프의 편지 (1948)
L.L. Zamenhof|L.L. 자멘호프eo의 편지 (편집, 194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