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불리미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불리미마는 측백나무과 식물의 열매를 뜻하는 라틴어 '갈불루스'와 '흉내내기'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 '미모스'를 어원으로 하며, '측백나무과 식물의 열매를 흉내내는'이라는 뜻이다. 갈불리미마속 식물의 열매가 비늘조각이 통통한 구과를 닮은 것을 가리킨다. 2016년 APG IV 분류 체계에서는 히만탄드라과를 목련군 목련목 아래에 분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갈불리미마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갈불리미마속 | |
![]() | |
분류 정보 | |
학명 | Galbulimima F.M.Bailey |
이명 | Himantandra F.Muell. ex Diels |
속 하위 분류 | Galbulimima baccata F.M.Bailey Galbulimima belgraveana (F.Muell.) Sprague |
갈불리미마속 | |
학명 | Galbulimima belgraveana |
학명 명명자 | (F.Muell.) Sprague, 1922 |
이명 목록 | Eupomatia belgraveana F.Muell. Galbulimima baccata F.M.Bailey Galbulimima nitida (Baker f. & Norman) Sprague Galbulimima parvifolia (Baker f. & Norman) Sprague Himantandra baccata (F.M.Bailey) Diels Himantandra belgraveana (F.Muell.) F.Muell. ex Diels Himantandra nitida Baker f. & C.Norman Himantandra parvifolia Baker f. & C.Norman |
생물학적 분류 | |
계 | 식물계 |
미분류 문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강 | 목련군 |
목 | 목련목 |
과 | 히만탄드라과 Himantandraceae |
과 명명자 | Diels, 1917 |
속 | 갈불리미마속 Galbulimima |
속 명명자 | F.M.Bailey, 1894 |
종 | 갈불리미마 |
2. 이름
속명 "갈불리미마"는 측백나무과 식물의 열매를 뜻하는 라틴어 낱말인 "갈불루스(galbulusla)"와 "흉내내기"라는 뜻인 고대 그리스어 "미모스(μῖμοςgrc)"를 어원으로 두며, "측백나무과 식물의 열매를 흉내내는"이라는 뜻이다. 갈불리미마속 식물의 열매가 비늘조각이 통통한 구과를 닮은 것을 가리킨다. 종소명 "벨그라베아나"는 왕립오스트랄라시아지리학회 회원이었던 의사 토머스 바워먼 벨그레이브의 이름을 따 지어졌다. 히만탄드라의 모식속이던 히만탄드라속의 속명 "히만탄드라"는 고대 그리스어로 "끈"을 뜻하는 "히마스(ἱμᾰ́ςgrc)"와 "남자"를 뜻하는 "안드라스(άνδραςgrc)"를 붙인 말로, 히만탄드라속 식물의 수꽃술이 끈 모양인 것을 일컫는다.[1]
2016년 APG IV 분류 체계에서는 히만탄드라과를 목련군 목련목 아래에 분류하며,[8] 이는 2009년 APG III 분류 체계, 2003년 APG II 분류 체계 및 1998년 APG 분류 체계의 분류와 동일하다.[9][10][11]
[1]
웹사이트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apps.kew.org/[...]
2014-11-12
3. 계통 분류
4. 사진
참조
[2]
웹사이트
"Galbulimima"
http://www.anbg.gov.[...]
Centre for Plant Biodiversity Research, Australian Government
2014-01-04
[3]
웹사이트
"''Himantandraceae''"
https://apps.lucidce[...]
"Centre for Australian National Biodiversity Research (CANBR), [[Australian Government]]"
2021-06-21
[4]
웹사이트
"''Galbulimima baccata''"
https://apps.lucidce[...]
"Centre for Australian National Biodiversity Research (CANBR), [[Australian Government]]"
2021-06-21
[5]
간행물
Botanische Jahrbücher für Systematik, Pflanzengeschichte und Pflanzengeographie 55: 126
[6]
간행물
Botany Bulletin, Department of Agriculture, Brisbane, Queensland 9: 5
[7]
간행물
Journal of Botany, British and Foreign 60: 138
[8]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https://academic.oup[...]
[9]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https://academic.oup[...]
[10]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
https://academic.oup[...]
[11]
저널
An Ordinal Classification for the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http://www.bergian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