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감벨라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감벨라주는 에티오피아 서부에 위치한 주로, 오로미아주, 남서 에티오피아 인민족주, 남수단과 국경을 접한다. 행정 구역은 여러 차례 개편되었으며, 현재는 안와, 마장, 누에르 구역과 이탕 특별 워레다로 구성되어 있다. 200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는 307,096명이며, 누에르족이 가장 많은 민족 집단을 차지한다. 개신교가 다수를 차지하며, 에티오피아 정교회, 이슬람교도 거주한다. 커피 생산과 석유 자원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남수단 난민 수용으로 사회적 문제도 겪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티오피아의 주 - 셰와
    셰와는 에티오피아의 역사적 지역으로, 이슬람 국가로 건국되었으나 고고학적 유적은 이전 이파트 술탄국과의 연관성을 보여주며, 메리다즈마치와 네구스는 셰와의 중요한 통치 직책이었다.
  • 에티오피아의 주 - 오로미아주
    오로미아주는 에티오피아에서 가장 큰 주로서 오로모족의 고향이며 에티오피아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소말리주와의 경계 분쟁과 오로모 해방군의 활동으로 치안이 불안정한 상황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감벨라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감벨라주 깃발
깃발
감벨라주 문장
문장
공식 명칭감벨라 인민 지역
현지 명칭ጋምቤላ ሕዝቦች ክልል
현지 명칭 언어암하라어
유형지역 주
국가에티오피아
주도감벨라
면적29,782.82 km²
면적 순위9위
인구 (2017년)525,000명
인구 밀도auto
인구 순위10위
HDI (2019년)0.566
HDI 순위4/11
정치
지도자 정당번영당
지도자 직함최고 행정관
지도자 이름알레미투 오모드 (2024년 8월 15일 – 현재)
행정 구역
기타 정보
ISO 코드ET-GA
추가 정보

2. 지리

감벨라주는 에티오피아 서부에 위치하며, 북동쪽으로는 오로미아 주, 남동쪽으로는 남서 에티오피아 인민족 주와 접한다. 남쪽으로는 남수단 피보르 행정 구역, 남서쪽으로는 남수단 존글레이 주, 서쪽과 북쪽으로는 남수단 상나일 주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3. 행정 구역

감벨라는 에티오피아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행정 구역과 워레다로 세분화되어 있지만, 이 지역은 이러한 세분화에서 다른 어떤 지역보다 가장 많은 변화를 겪어 그 발전 과정을 추적하는 사람들을 혼란스럽게 할 수 있다. 원래 감벨라는 적절한 명칭 없이 4개의 행정 구역(1, 2, 3, 4)과 1개의 특별 워레다(고데레 특별 워레다)로 세분화되었다. 2001년 CSA가 ''농업 표본조사''를 발표했을 때, 이 4개의 구역은 2개로 통합되었고 고데레는 두 번째 행정 구역으로 병합되었다.

200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감벨라는 3개의 구역(3개의 가장 큰 민족 그룹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으로 재분할되었고, 이탕 마을 주변 지역은 특별 워레다가 되었다. 기존 워레다의 경계는 구역 내에 여러 개의 새로운 워레다를 만들기 위해 이동되었다. 이 구역은 다음과 같다.


  • 안와 구역
  • 마장 구역
  • 누에르 구역
  • 이탕


안와 구역은 감벨라 지역에서 가장 큰 구역이며 수도인 감벨라를 포함한다. 지형은 해발 400m~550m 사이의 고도로 주로 평평하지만, 안와 구역의 동쪽 가장자리와 특히 동쪽의 마장 구역은 일부 고지대에 위치하여 동쪽 경계 근처에서 해발 약 2000m까지 솟아 있다.

4. 인구

에티오피아 중앙 통계청(CSA)이 2007년에 실시한 인구 조사에 따르면, 감벨라 지역의 총 인구는 307,096명(남자 159,787명, 여자 147,309명)이었다. 이 중 도시 거주자는 77,925명으로 전체 인구의 25.37%를 차지했다. 감벨라 지역의 추정 면적은 29,782.82제곱킬로미터이며, 인구 밀도는 1제곱킬로미터당 10명이다. 지역 전체적으로 66,467가구가 집계되었으며, 가구당 평균 인구는 4.6명(도시 가구 3.8명, 농촌 가구 4.9명)이었다.[4][5]

1994년 전국 인구 조사에서는 인구가 181,862명(남자 92,902명, 여자 88,960명)이었고, 도시 거주자는 27,424명(전체의 15.08%)이었다.[6] 2017년 예상 인구는 435,999명,[2] 2023년 7월 기준 인구는 525,000명이다.[20]

감벨라주 인구 변화
연도인구
1994년 10월 11일181,862명
2007년 5월 28일307,096명
2015년 7월 1일409,000명
2023년 7월525,000명[20]



2005년 기준, 누에르 지역 거주자의 44%가 최저 소득 계층에 속한다. 남성 성인 문맹률은 57.5%, 여성은 22.8%이며, 지역의 영아 사망률은 출생 1,000명당 92명으로 전국 평균(77명)보다 높다. 영아 사망의 최소 절반은 생후 첫 달에 발생했다.[7]

4. 1. 민족 구성

감벨라주에는 다양한 나일계 민족들이 거주하고 있다. 200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주요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4][5]

민족인구 비율 (%)
누에르인46.65
아누와크인21.17
암하라족8.42
카피초인5
오로모인4.83
마장인4
샤카초인2.27
캄바타인1.4
티그레인1.32
기타4.94



이 지역은 민족 간의 대립이 심하여 분리 독립 운동이나 민족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남수단의 반정부 세력과 연계가 깊은 다수파인 누에르인과 주의 실권을 잡고 있는 아누와크인 간의 대립이 격화되었으며, 마장인 등 다른 민족도 휩쓸리면서 분쟁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4. 2. 종교



200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감벨라 주민들의 종교 분포는 다음과 같다.[9]

종교비율
개신교70%
에티오피아 정교16.8%
이슬람교4.9%
전통 종교3.8%
가톨릭3.4%
기타1.1%



위 자료는 영어 위키백과와 일본어 위키백과의 자료가 서로 다르므로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5. 경제

에티오피아 통계청(CSA)은 2004-2005년에 감벨라에서 3,734톤의 커피가 생산되었다고 보고했는데, 이는 에티오피아 커피 및 차 당국의 검사 기록에 따른 것이다. 이는 에티오피아 전체 생산량의 1.64%를 차지한다.[12]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는 2000년 5월 26일 보고서에서 당시 트리파노소마증이 이 지역의 소에게 심각한 문제라고 언급했다.[13] 1970년에는 이 지역에 이 질병의 유행이 있었다.[14]

감벨라는 주요 석유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2003년 6월, 에티오피아 정부는 감벨라 지역의 석유 자원 공동 탐사 및 개발을 위해 말레이시아페트로나스(Petronas)와 계약을 체결했다. 페트로나스는 그 해 10월 중국의 중위안 석유 탐사국(ZPEB)에 지진 데이터 획득 계약을 수주했다.[15]

감벨라의 물 및 광물 자원 개발국은 2007년 1월 13개의 새로운 수동 작동 우물, 54개의 새로운 깊은 물 우물을 시추하고 4개의 샘을 개발하는 프로그램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26,000명의 주민에게 식수를 제공하여 주 전체의 보급률을 기존 27%에서 42%로 높일 것이며, 그 비용은 600만에티오피아 비르가 될 것이다.[16] 2008년에는 감벨라 시와 이탕을 거쳐 지카워를 연결하는 길이 102km의 아스팔트 도로 건설이 4.46억에티오피아 비르 이상의 예산으로 시작되었다.[17]

2015년 현재 인도 투자자들은 중앙 정부로부터 농지를 확보하기 위해 다른 투자자들을 따라 감벨라 지역에서 6000km2의 토지를 확보했다. 이로 인해 지역 정부 관리 및 지역 사회와의 갈등이 발생했다. 계약에 따라 모든 토지가 실제로 경작되는 것은 아니며, 감벨라 국립 공원에서 투자자들이 불법적으로 나무를 베어낸다는 비난이 블로그에 제기되었다.[18]

6. 사회 문제

2016년 8월 기준으로 감벨라주에는 남수단에서 온 약 26만 8천 명의 난민이 거주하는 여러 개의 난민 캠프가 위치해 있다.[10]

응구엔니에피니두티에르키디아쿨라자위레이추어오쿠고
2016년 인원약 62,800약 54,750약 49,410약 42,570약 4,480
2018년 인원약 83,660약 66,400약 71,100약 53,340약 60,060약 13,630



2016년 8월부터 2018년 8월까지 난민 수는 26만 8천 명에서 40만 2천 명으로 증가하여 감벨라 지역 원주민 인구와 거의 비슷해졌다.[11] 이는 감벨라 지역 사회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

생활 수준에 대한 보고된 일반적인 지표는 다음과 같다. 거주자의 44%가 최저 부의 5분위에 속한다. 남성의 성인 문맹률은 57.5%이고 여성은 22.8%이며, 지역의 영아 사망률은 출생 1,000명당 92명의 영아 사망으로, 전국 평균 77명보다 높으며, 이러한 사망의 최소 절반은 영아의 첫 달에 발생했다.[7]

7. 역대 주지사

감벨라주 주지사 및 집권당 의장 (1991년-현재)
이름정당재임 기간
아그와 알레무GPLM1991년 – 1992년
오켈로 오우만GPLM1992년 – 1997년
오켈로 그니젤로GPDF1997년 8월 – 2003년
오켈로 아크웨이2003년 – 2004년
키앗 투아치 비토우 (대행)2004년 1월 – 2005년
오모드 오봉GPDM2005년 9월 29일 – 2013년 4월
가트루악 툿 코트GPDM2013년 4월 – 2018년 10월
오무드 오줄루 오부브번영당2018년 10월 – 현재
알레미투 오모드GPDM2024년 8월 15일 – 현재



참조

[1] 간행물 2011 National Statistics http://www.csa.gov.e[...] 2013-03-30
[2] 서적 Population Projection of Ethiopia for All Regions At Wereda Level from 2014 – 2017 https://web.archive.[...] Federal Democratic Republic of Ethiopia Central Statistical Agency 2018-06-04
[3]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4] 웹사이트 Anuak https://minorityrigh[...] 2015-06-19
[5] 웹사이트 The 2007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Ethiopia: Statistical Report for Gambella Region http://www.statsethi[...] 2023-04-28
[6] 간행물 "1994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Ethiopia: Results for Gambela Region, Vol. 1" http://www.csa.gov.e[...] 2008-11-19
[7] 간행물 "2008. Ethiopia Atlas of Key Demographic and Health Indicators, 2005." http://pdf.usaid.gov[...] Macro International Inc. 2017-05-17
[8] 간행물 Population date http://catalog.ihsn.[...] 2016-03-04
[9] 간행물 Census 2007 Tables: Nuer Region http://www.csa.gov.e[...] 2010-11-14
[10] 웹사이트 Situation South Sudan https://web.archive.[...] 2018-04-20
[11] 웹사이트 Total refugees from South Sudan https://data2.unhcr.[...] 2018-10-28
[12] 간행물 CSA 2005 National Statistics, Table D.2.
[13] 간행물 "Special Report FAO/WFP Crop and Food Supply Assessment Mission to Ethiopia" http://www.fao.org/d[...] 2006-06-21
[14] 간행물 "Local History in Ethiopia" http://130.238.24.99[...] 2008-02-27
[15] 간행물 "Seismic Survey Project in Ethiopia Put into Operation" http://www.zpebint.c[...] 2007-09-29
[16] 간행물 "Bureau launches 71 water projects in Gambella State" http://www.waltainfo[...] Walta Information Center 2007-09-27
[17] 간행물 "Construction of Gambella-Etang-Jikawo asphalt road well in progress" http://www.ena.gov.e[...] Ethiopian News Agency 2009-05-30
[18] 논문 The lesser known story of India's role in Ethiopian land grabs http://www.theecolog[...] 2015-06-15
[19] 간행물 "Targeting the Anuak: Human Rights Violations and Crimes against Humanity in Ethiopia's Gambella Region"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14-07-25
[20] 웹사이트 Population Size by Sex Zone and Wereda July 2023 http://www.statsethi[...] エチオピア統計局 2023-09-11
[21] 웹사이트 Ethiopia: Administrative units http://www.geohive.c[...] GeoHive.com 2023-09-11
[22] 문서 マジャンギール(Majangir)とも。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