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개구리 왕눈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구리 왕눈이는 1973년 다쓰노코 프로덕션에서 제작된 일본 애니메이션으로, 총 39화로 구성되어 후지 TV에서 방영되었다. 주인공 왕눈이와 무지개 연못 주민들이 겪는 다양한 사건들을 다루며, 한국에서는 1980년대에 방영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 왕눈이, 아롬이, 투투 등 다양한 등장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민주화에 대한 열망과 희망을 상징하며, 주제가 또한 많은 사랑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3년 시작한 일본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신조인간 캐산
    1973년 타츠노코 프로덕션에서 제작된 TV 애니메이션 신조인간 캐산은 공해 처리 로봇이 자아를 얻어 인류에 반기를 들자, 아즈마 코타로 박사의 아들 테츠야가 신조인간 캐산으로 변신하여 로봇 군단에 맞서 싸우는 내용으로, 공해 문제를 반영한 스토리가 특징이며 이후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었다.
  • 1973년 시작한 일본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바벨 2세
    요코야마 미쓰테루의 만화 바벨 2세는 외계인 바벨의 후예인 소년 야마노 고이치가 바벨탑과 세 부하의 도움으로 악의 초능력자 요미에 맞서 싸우는 이야기로,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었다.
  • 개구리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 - 명랑 개구리 뽕키치
    명랑 개구리 뽕키치는 요시자와 야스미가 그린 만화로, 평면 개구리가 된 뽕키치와 주변 인물들이 겪는 사건을 다루며, TV 애니메이션 등으로 제작되어 한국에서도 인기를 얻었다.
  • 개구리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 - 프로거
    프로거는 코나미에서 개발하고 세가를 통해 출시된 아케이드 게임으로, 플레이어가 개구리를 조작하여 도로와 강을 건너 개구리 집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 1973년 애니메이션 - 사자에상
    하세가와 마치코가 1946년부터 1974년까지 연재한 만화 사자에상은 전후 일본 사회를 배경으로 이소노 가족의 일상을 그린 작품이자, 장기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며, "최장수 애니메이션 TV 시리즈"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될 정도로 일본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1973년 애니메이션 - 신조인간 캐산
    1973년 타츠노코 프로덕션에서 제작된 TV 애니메이션 신조인간 캐산은 공해 처리 로봇이 자아를 얻어 인류에 반기를 들자, 아즈마 코타로 박사의 아들 테츠야가 신조인간 캐산으로 변신하여 로봇 군단에 맞서 싸우는 내용으로, 공해 문제를 반영한 스토리가 특징이며 이후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었다.
개구리 왕눈이 - [영화]에 관한 문서
개구리 왕눈이 정보
개구리 왕눈이 표지 그림
프랑스 DVD 6번째 권 표지 그림
원제けろっこデメタン (Kerokko Demetan)
장르코미디
드라마
어드벤처
로맨스
판타지
감독사사가와 히로시
제작쿠리 잇페이, 요시다 겐지
작가도리우미 진조
편집사치코 미키
음악노시유베 코시베
제작사다쓰노코 프로덕션
방송사FNS (후지 TV)
첫 방송1973년 1월 2일
마지막 방송1973년 9월 25일
에피소드 수39
주제가 정보
오프닝 테마"Kerokko Dementan" - 호리에 미쓰코
엔딩 테마"Makeru na Dementan" - 호리에 미쓰코

2. 등장인물

등장인물의 이름은 한국/일본 순이며, 성우는 일본/한국(KBS, EBS)/한국(SBS) 순이다. EBS 방영판 성우는 KBS판과 동일하다.

이름설명성우(일본)성우(한국-KBS, EBS)성우(한국-SBS)
왕눈이(데메탄)이 작품의 주인공. 청개구리.히사마쓰 유코박영남배정미
아롬이(라나탄)투투의 딸, 참개구리.오카모토 마리홍영란박인선
투투(기야타)아롬이의 아버지, 무지개 연못의 지주(地主) 참개구리.도미타 고세이유만준이윤연
왕눈이의 아빠
(청구리/아메타로)
청개구리.기타무라 고이치김규식김관진
왕눈이의 엄마
(아마코)
청개구리.쇼지 미요코이향숙신상숙
가재(자리)투투의 충실한 최측근.타나카 야스오백진김환진
메기무지개 연못을 지배했던 권위적이고 강한 존재.미즈시마 스스무김규식한상혁
얌술이(갸루)투투의 부하인 참개구리.야시로 슌강미형한호웅
심술이(이보키치)험상궂은 두꺼비.오오타케 히로시안장혁
청발이투투의 참모. 청개구리.김규식이인성
두꺼비 아저씨심술이의 아버지.백진
사와고로가토 세이자
내레이션기타하마 하루코


2. 1. 왕눈이 가족

왕눈이는 이 작품의 주인공으로, 청개구리이다.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개구리들 중에서 덩치가 가장 작다. 아버지와 어머니를 따라 무지개 연못으로 이사를 오게 된다. 성격은 따뜻하고 온순하며, 아롬이라는 여자아이를 만나 매우 친해진다. 그러나 이 때문에 항상 투투에게 미움과 구박을 받고, 부모님까지 덩달아 고생하게 된다. 게다가 투투에게 반항하지 못하는 주변 사람들의 따돌림으로 온 가족이 가슴 아픈 일을 많이 겪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포기하지 않으며, 마지막에는 메기를 물리쳐 많은 주민들에게 인정받게 된다. 왕눈이는 항상 피리를 가지고 다닌다.[9] 원래 살던 연못이 도롱뇽들의 습격을 받아 도망치는 과정에서 일어난 산사태로 형제들을 모두 잃었다.

이름설명성우(일본)성우(한국-KBS, EBS)성우(한국-SBS)
왕눈이
(데메탄)
청개구리. 주인공.히사마쓰 유코박영남배정미
왕눈이의 아빠
(청구리/아메타로)
청개구리. 왕눈이의 아버지. 완구 제작의 명인으로, 왕눈이의 피리를 만들었다. 원래 살던 연못이 도롱뇽들의 습격을 받아 데메탄(왕눈이)과 아메코(왕눈이 엄마)를 데리고 무지개 연못으로 이사 온다.기타무라 고이치김규식김관진
왕눈이의 엄마
(아마코)
청개구리. 왕눈이의 어머니.쇼지 미요코이향숙신상숙
왕눈이의 형제올챙이. 도롱뇽들의 습격과 산사태로 데메탄(왕눈이)을 제외하고 모두 사망.


2. 2. 아롬이 가족과 부하

ラナタン일본어

: 성우 - 오카모토 마리/홍영란/박인선

: 투투(기야타)의 딸, 참개구리. 왕눈이와 만난 이후 무지개 연못에서 친하게 지낸다. 어렸을 때 어머니와 사별하여 아버지와 단둘이 산다. 포악한 아버지와는 달리 상냥하며, 주변 사람들이 아버지 때문에 마음 고생이 심해 외롭게 지냈지만 왕눈이 덕분에 밝아졌다. 아버지를 개심시켜 무지개 연못을 개방하려 노력한다.[9]

; 투투(기야타)

: 성우 - 도미타 고세이/유만준/이윤연

: 아롬이의 아버지이자, 무지개 연못의 지주(地主) 참개구리. 다른 사람들에게 못할 짓을 서슴지 않고, 딸 아롬이와 친한 왕눈이를 못마땅히 여기는 폭군이다. 하지만 아롬이에게는 상냥하며, 아롬이를 위해서라면 비뚤어진 마음으로 아롬이를 외롭게 한다. 메기가재(자리)의 꼭두각시였으며, 메기의 횡포에 못 이겨 앞잡이 노릇을 해온 허수아비였다. 종반부에 개과천선하여 왕눈이와 연못 주민들과 화해한다.

; 가재(자리)

: 성우 - 타나카 야스오/백진/김환진

: 투투(기야타)의 최측근. 강력한 집게발로 폭력과 권력을 행사한다. 잔인한 성격으로, 마을 동물들로부터 세금을 거두어들인다. 심술이와 얌술이를 부하로 삼았다. 중반부에 투투의 상사인 메기의 존재를 알고 투투를 배신하고 메기의 최측근이 된다. 약자에게 강하고 강자에게 약한 전형적인 악역이다. 기야타가 개심하자 메기의 부하로 돌아서 전기뱀장어 엘레키치를 동굴에 가두었지만, 엘레키치가 탈출할 때 암반 붕괴로 깔려 죽는다.

; 얌술이(갸루)

: 성우 - 야시로 슌/강미형/한호웅

: 기야타(투투)의 부하인 참개구리. 힘은 없지만, 꾀가 많아 간사하다. 기타를 지닌다. 심술이(이보키치)의 절친. 린치나 처형 장면에서는 참여하지 않고 겁에 질려 지켜본다.

; 심술이(이보키치)

: 성우 - 오오타케 히로시/안장혁(SBS)

: 험상궂은 두꺼비로 왕눈이, 아롬이 또래이지만 왕눈이를 놀리는 것을 재미삼고 있다. 하지만 메기 앞에서 계략을 짜낸 왕눈이 앞에서 그의 용기에 감복하게 된다. 얌술이(켄)의 절친. 조금 얼빠진 구석이 있다. 항상 캬루와 함께 행동한다.

2. 3. 그 외 등장인물


  • '''왕눈이의 아빠'''(アメタロウ|청구리일본어): 성우 - 기타무라 고이치/김규식/김관진. 왕눈이의 아버지로, 청개구리이다. 완구 제작의 명인으로, 왕눈이의 피리도 직접 만들었다.
  • '''왕눈이의 엄마'''(アマコ|일본어): 성우 - 쇼지 미요코/이향숙/신상숙. 마음씨 착한 왕눈이의 어머니로, 청개구리이다. 어머니가 없는 아롬이에게도 신경을 써 준다.
  • '''가재'''(ザリ|일본어): 성우 - 다나카 야스오/백진/김환진. 투투의 충실한 최측근이자 부하들 중 리더 격이다.[9] 강력한 집게발로 폭력과 권력을 행사하는 무력 대행자이다. 얌술이와 심술이를 부하로 삼고 있으며, 투투에게 뒤통수를 친 뒤에는 메기의 최측근이 된다. 약자에게 강하고 강자에게 약한 전형적인 악역이다. 마지막에 전기뱀장어 엘레키치를 동굴에 가두지만 엘레키치가 탈출할 때 암반 붕괴로 깔려 죽는다.
  • '''메기'''(メギ入道|일본어): 성우 - 미즈시마 스스무/김규식/한상혁. 무지개 연못을 지배하는 권위적이고 강한 존재.[9] 투투보다 더 강하며, 온갖 횡포를 일삼는다. 무지개 연못 주민들의 저항과 비난을 받다가 왕눈이의 계략으로 인간들에게 낚이는 최후를 맞는다. 평소에는 "지옥 정글"이라 불리는 깊숙한 동굴에 숨어 지낸다. 유일한 약점은 전격 공격이며, 바다로 도망쳤지만 바다 물고기들과 함께 인간에게 잡힌다.
  • '''얌술이'''(キャル|일본어): 성우 - 야시로 슌/강미형/한호웅. 투투의 부하인 참개구리.[9] 힘은 없지만 꾀가 많고 간사하며, 기타를 가지고 다닌다. 심술이와 절친이다.
  • '''심술이'''(イボ吉|일본어): 성우 - 오오타케 히로시/안장혁(SBS). 험상궂은 두꺼비로 왕눈이와 아롬이 또래이지만 왕눈이를 괴롭힌다. 얌술이와 절친이다.
  • '''청발이''': 성우 - 김규식/이인성. 투투의 참모. 청개구리이며, 교사이자 점술가이다.
  • '''두꺼비 아저씨''': 성우 - 백진. 심술이의 아버지. 세계 여행을 다니는 두꺼비로, 투투의 명령으로 왕눈이를 살해하려다 실패하고 메기에게 잡아먹힌다.
  • '''사와고로''': 성우 - 가토 세이자
  • '''내레이션''': 성우 - 기타하마 하루코

3. 제작 정보

역할담당
원작鳥海尽三|토리우미 진조일본어
기획요시다 타츠오
구성酒井あきよし|사카이 아키요시일본어
미술 감독中村光毅|나카무라 코키일본어
음악越部信義|코시베 노부요시일본어
총감독笹川ひろし|사사카와 히로시일본어
캐릭터 디자인요시다 타츠오, 아마노 요시타카, 하야시 마사유키
작화 감독하야시 마사유키, 가와바타 히로시
원화타지마 미노루, 마에다 히데미 외
동화나카무라 미노루, 마츠모토 키요시 외
배경타다 키쿠코, 아라이 토라오, 애플즈, 오누마 토시타카, 요시하라 잇스케, 프로덕션 와토, 야마구치 사치코
배경 설정오누마 토시타카, 타다 키쿠코, 나카무라 코키
색 지정카네하라 에미 외
마무리노무라 치에코, 아사카미 마리코 외
특수 효과아사누마 키요라 외
검사무라카미 아츠미 외
촬영텐페이 필름 외
편집미키 사치코
진행요네즈 카즈히코 외
제작 담당토치히라 요시카즈(타츠노코 프로), 츠다 요시오(요미우리 광고사)
효과이시다 사운드 프로
녹음 디렉터水本完|미즈모토 칸일본어
녹음타나오카 하지메(요미히로 스튜디오)
현상도쿄 현상소
프로듀서요시다 켄지, 쿠리 이페이
제작 협력후지 TV
제작다쓰노코 프로덕션
각본酒井あきよし|사카이 아키요시일본어, 토리우미 진조
연출笹川ひろし|사사가와 히로시일본어
스토리보드토미노 요시유키



방송사방송 시간
후지 TV(제작국)화요일 19:00 - 19:30
홋카이도 문화 방송화요일 19:00 - 19:30[10]
아키타 TV화요일 19:00 - 19:30[11]
야마가타 TV화요일 19:00 - 19:30[11]
센다이 방송화요일 19:00 - 19:30[12]
후쿠시마 중앙 TV (1983년에 방송)일요일 7:00 - 7:30[13]
니가타 종합 TV화요일 18:00 - 18:30[14]
도야마 TV화요일 19:00 - 19:30[15]
이시카와 TV화요일 19:00 - 19:30[15]
후쿠이 TV화요일 19:00 - 19:30[15]
나가노 방송화요일 19:00 - 19:30[16]
TV 시즈오카화요일 19:00 - 19:30[17]
도카이 TV화요일 19:00 - 19:30[18]
칸사이 TV화요일 19:00 - 19:30[19]
산인 중앙 TV화요일 19:00 - 19:30[20]
TV 오카야마화요일 19:00 - 19:30[21]
히로시마 TV화요일 19:00 - 19:30[21]
TV 에히메화요일 19:00 - 19:30[22]
TV 니시닛폰화요일 19:00 - 19:30[23]
사가 TV화요일 19:00 - 19:30[23]
TV 나가사키화요일 19:00 - 19:30[24]
TV 구마모토화요일 19:00 - 19:30[25]
TV 오이타화요일 19:00 - 19:30[26]
TV 미야자키화요일 19:00 - 19:30[25]
가고시마 TV화요일 19:00 - 19:30
오키나와 TV화요일 19:00 - 19:30[27]

4. 에피소드 목록

화수방송일부제각본연출
11973년 1월 2일튀어라 데메탄토리우미 진조요시다 타츠오, 하라 세이타로
21월 9일용기다! 아빠사카이 아키요시타카하시 시스케
31월 16일지지마! 세단뛰기토리우미 진조오카자키 쿠니히코
41월 23일지켜라! 사랑의 알사카이 아키요시토미노 요시유키
51월 30일울지마! 데메탄나가타 토시오타카하시 시스케
62월 6일둘만의 케로케로 피리토리우미 진조하라 세이타로
72월 13일진심으로 사라진 증오…시바타 나츠요토미노 요시유키
82월 20일안녕 작은 여행자스야마 사토시오카자키 쿠니히코
92월 27일무지개 연못의 지옥 정글토리우미 진조하라 세이타로
103월 6일우정은 바다 건너에사카이 아키요시타나하시 카즈노리
113월 13일수재 개구리가 나타났다나가타 토시오타카하시 시스케
123월 20일갸타의 책략사카이 아키요시타나하시 카즈노리
133월 27일살아라 넓은 세상에서토미노 요시유키
144월 3일말괄량이 개구리가 찾아왔다토리우미 진조카시마 츠네야스
154월 10일생명의 강을 되찾아라나가타 토시오타카하시 시스케
164월 17일구해라 녹색의 생명스야마 사토시오카자키 쿠니히코
174월 24일무지개 연못의 마신토리우미 진조하라 세이타로
185월 1일날아라 대공으로미야케 나오코토미노 요시유키
195월 8일열어라 희망의 등사카이 아키요시타카하시 시스케
205월 15일비눗방울은 바다로미야케 나오코토미노 요시유키
215월 22일울지마 우정의 케로케로 피리코야마 타카오하라 세이타로
225월 29일데메탄 바다에서 돌아오다토리우미 진조
236월 5일버리지 마 용기사사카와 히로시타카하시 시스케
246월 12일배꼽 개구리 군 안녕사카이 아키요시토미노 요시유키
256월 19일지우지 마 생명의 불꽃나가타 토시오카시마 츠네야스
266월 26일지지마 말라깽이 개구리토리우미 진조타카하시 시스케
277월 3일메기 스님 대소동토미노 요시유키
287월 10일울려라! 사랑의 케로케로 피리코야마 타카오
297월 17일건네줘라 우정의 다리사카이 아키요시타카하시 시스케
307월 24일안녕 게 아이들쿠보타 케이지하야시 마사유키
317월 31일불꽃에 지지 마라스야마 사토시토미노 요시유키
328월 7일작은 연못의 왕님나가타 토시오하라 세이타로
338월 14일무지개 연못이 마를 때와카마츠 하지메스즈키 야스히코
348월 21일힘내라 데메탄토리우미 진조미츠노베 히로요시
358월 28일싸워라! 데메탄사카이 아키요시토미노 요시유키
369월 4일메기 스님에게 지지 마라토리우미 진조하라 세이타로
379월 11일공포의 지옥 정글토미노 요시유키
389월 18일메기 스님을 물리쳐라사카이 아키요시하라 세이타로
399월 25일울려라 평화의 케로케로 피리토리우미 진조


5. 주제가

한국어판 주제가는 일본어판 주제가의 일부를 개작한 것이다. 호리에 미츠코가 부른 일본어판은 빠른 템포에 화려한 편곡을 배경으로 하는 반면, 당시 10세였던 정여진이 부른 한국어판은 비교적 절제된 템포와 편곡을 배경으로 노래하고 있다.

5. 1. 일본판

레코드는 일본 콜롬비아에서 발매되었다.

; 오프닝 테마 「개구리 왕눈이」

: 작사 - 오카 토시오 / 작곡·편곡 - 코시베 노부요시 / 노래 - 호리에 미츠코

; 엔딩 테마 「지지마 왕눈이」

: 작사 - 오카 토시오 / 작곡·편곡 - 코시베 노부요시 / 노래 - 호리에 미츠코

: 인트로 부분은 다음 예고 BGM으로 사용되고 있다.

5. 2. 한국판

한국어판 주제가 '개구리 왕눈이'(번역: 박준영 (작곡가)|박준영일본어, 보조 작곡: 정민섭|정민섭일본어, 노래: 정여진|정여진일본어)는 일본어판 주제가의 일부를 개작한 것이다. 호리에 미츠코가 부르는 일본어판은 빠른 템포에 화려한 편곡을 배경으로 하는 반면, 당시 10세였던 정여진(정민섭의 딸)이 부른 한국어판은 비교적 절제된 템포와 편곡을 배경으로 노래하고 있다.[1]

6.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1980년대에 대한민국에서 방송되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28] 당시 한국 사회는 권위주의적인 독재 정권 하에 있었고, 민주화에 대한 열망이 높았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개구리 왕눈이'는 단순한 어린이 만화영화를 넘어 사회적인 의미를 지닌 작품으로 받아들여졌다.

가난하고 힘없는 개구리 왕눈이는 억압받는 민중을 상징했고, 무지개 연못의 권력자 투투는 권위적인 독재 정권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왕눈이의 용기와 희생, 그리고 투투의 개과천선은 민주화에 대한 열망과 희망을 상징하며, 당시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왕눈이가 항상 지니고 다니는 피리는 저항과 희망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2020년대에도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에서 주인공이 언급하는 등 뿌리 깊은 인기를 유지하고 있다.[28]

참조

[1] 웹사이트 作品データベース http://www.tatsunoko[...] Tatsunoko.co.jp 2012-03-04
[2] 웹사이트 Tatsunoko Pro http://www.tatsunoko[...] Tatsunoko.co.jp 2012-07-26
[3] 웹사이트 Adventures on Rainbow Pond - Catalog - Harmony Gold USA http://harmonygold.c[...] 2024-08-16
[4] 웹사이트 Amazon.ca https://www.amazon.c[...] 2017-06-17
[5] 웹사이트 Il mondo dei doppiatori (in Italian) https://www.antoniog[...] 2019-04-15
[6] 웹사이트 الضفدع الشجاع https://www.youtube.[...] 2024-08-29
[7] 웹사이트 La rana valiente (Tatsunoko Pro film) https://archive.org/[...] 2024-08-01
[8] 웹사이트 タツノコ世界遺産 タツノコ作品と視聴率 https://web.archive.[...]
[9] 서적 読売新聞 読売新聞社 1972-12-14
[10] 뉴스 北海道新聞 1973-09
[11] 뉴스 河北新報 1973-01-01
[12] 뉴스 河北新報 1973-01-01
[13] 뉴스 福島民報 1983-10-02
[14] 뉴스 新潟日報 1973-07
[15] 뉴스 北國新聞 1973-01-09
[16] 뉴스 信濃毎日新聞 1973-09-11
[17] 뉴스 山梨日日新聞 1973-02
[18] 뉴스 中日新聞 1973-02
[19] 뉴스 京都新聞 1973-02
[20] 뉴스 島根新聞 1973-02
[21] 뉴스 山陽新聞 1973-02
[22] 뉴스 愛媛新聞 1973-02
[23] 뉴스 西日本新聞 1973-02
[24] 뉴스 熊本日日新聞 1973-02
[25] 뉴스 南日本新聞 1973-05-01
[26] 뉴스 大分合同新聞 1973-02
[27] 뉴스 沖縄タイムス 1973-02
[28] 뉴스 “삘릴리~” 부활하는 개구리 왕눈이 https://www.seoul.co[...] ソウル新聞 2009-08-12
[29] 간행물 애니원
[30] 뉴스 매일경제신문 http://dna.naver.com[...] 1982-10-29
[31] 뉴스 경향신문 http://dna.naver.com[...] 1983-03-24
[32] 뉴스 경향신문 http://dna.naver.com[...] 1986-08-11
[3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mandong.pe.kr[...] 2011-0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