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은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별의 한 종류이다. 1890년대에 구상 성단 내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짧은 주기와 은하 내 위치, 화학적 차이로 인해 고전 세페이드와 구별된다.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은 금속이 부족한 제2세대 별로, 일반적으로 RRab, RRc, RRd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우리 은하의 헤일로와 두꺼운 원반을 추적하는 데 사용되며, 물리적으로는 수평가지에 속하며 질량은 태양의 절반 정도이다. 세페이드 변광성과 유사하게 맥동하지만, 헬륨의 불투명도 변화에 의해 펄스가 발생한다.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은 적외선 K대에서 주기-광도 관계를 따르며, 표준 촛불로 사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데 활용되기도 한다. 최근 연구에서는 허블 우주 망원경, 케플러 우주 망원경, 가이아 임무를 통해 새로운 현상이 발견되고, 더 많은 변광성이 지도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주 거리 사다리 - 세페이드 변광성
    세페이드 변광성은 주기적인 밝기 변화와 주기-광도 관계를 통해 우주 거리 측정에 활용되는 별로, 고전 세페이드와 II형 세페이드로 나뉘며 헬륨 이온화에 의한 맥동 현상을 보인다.
  • 우주 거리 사다리 - 초신성
    초신성은 항성의 폭발적 최후 단계로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며 중원소를 우주에 퍼뜨리는 현상으로,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고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최근 초기 우주에서 발생한 초신성 발견으로 항성 진화 및 우주론 연구에 기여하고 있다.
  • 항성물리학 - CNO 순환
    CNO 순환은 별 내부에서 탄소, 질소, 산소를 촉매로 사용하여 수소를 헬륨으로 변환하는 핵융합 과정으로, 높은 온도에서 대질량별의 주요 에너지원으로 작용하며, 온도에 민감하고 여러 변형이 존재하며 항성 진화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항성물리학 -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은 태양과 같은 저질량 항성의 주요 에너지원인 핵융합 과정으로, 여러 단계를 거쳐 양성자가 헬륨으로 변환되며 감마선과 중성미자를 방출한다.
  • 변광성 - 세페이드 변광성
    세페이드 변광성은 주기적인 밝기 변화와 주기-광도 관계를 통해 우주 거리 측정에 활용되는 별로, 고전 세페이드와 II형 세페이드로 나뉘며 헬륨 이온화에 의한 맥동 현상을 보인다.
  • 변광성 - 마차부자리 SU
    마차부자리 SU는 추가 정보가 필요한 천체로, 구체적인 특성 및 분류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학계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다.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
특징
유형변광성
하위 유형맥동 변광성
별자리모든 별자리
광도 변화0.2 ~ 1.2 등급
스펙트럼형A ~ F
물리적 특징
질량태양 질량의 0.8 ~ 1.0배
명칭
다른 이름단주기 세페이드 변광성
무리형 변광성
명명 유래거문고자리 RR

2. 발견과 인지

구상 성단 M5의 H-R도. 노란색으로 수평 가지를 표시하고, 녹색으로 알려진 RR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을 표시함


1890년대 중반, E. C. 피커링을 중심으로 구상 성단을 조사하면서 "성단형" 변광성들이 빠르게 확인되었다. 성단 밖에서 발견된 최초의 확실한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은 1890년 J. 카프테인이 발견한 U 토끼자리로 추정된다. 전형적인 별인 거문고자리 RR는 1899년 이전에 윌리미나 플레밍이 발견했으며, 1900년 피커링은 "성단형 변광성과 구별할 수 없다"고 보고했다.[6]

1915년부터 1930년대까지,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은 짧은 주기, 은하 내의 다른 위치, 화학적 차이 때문에 고전 세페이드와 구별되는 별의 한 종류로 점차 받아들여졌다.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은 금속이 부족한 제2세대 별이다.[6]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은 본질적으로 희미하여 외부 은하에서 관측하기 어려웠다. 월터 바데가 안드로메다 은하에서 이들을 찾지 못하면서, 그는 은하가 예측보다 훨씬 멀리 떨어져 있다고 의심했고, 세페이드 변광성 보정을 재검토하여 별의 집단 개념을 제안하게 되었다.[6] 1980년대 캐나다-프랑스-하와이 망원경을 사용하여 프리체트와 반 덴 베르흐는 안드로메다 은하 헤일로에서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을 발견했고,[1] 더 최근에는 구상 성단에서도 발견되었다.[2]

3. 분류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은 솔론 어빙 베일리가 별 밝기 곡선 모양에 따라 분류한 것을 기준으로, 보통 세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뉜다.[6] 변광성 종합 목록에서는 거문고자리 RR형을 RRab, RRc, RR(B)의 세 가지 하위 분류로 분류한다.[6]


  • RRab
  • RRc
  • RRd (RR(B))

3. 1. RRab

RRab는 가장 흔한 유형으로, 관측된 모든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의 91%를 차지하며,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의 특징인 급격한 밝기 증가를 보인다.[6] 비대칭형 광도 곡선을 가지며, 변광 주기는 0.3 ~ 1.2일, 광도 진폭은 가시광선 영역에서 0.5 ~ 2등급 정도이다.[6]

3. 2. RRc

RRc는 덜 흔한 유형으로, 관측된 모든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의 9%를 차지한다. 이들은 짧은 주기와 더 사인파적인 변화를 보인다.[6] 거의 대칭형이며, 때로는 정현파와 같은 광도 곡선을 갖는다. 변광 주기는 0.2 ~ 0.5일, 광도 진폭은 가시광선 영역에서 0.8등급을 넘지 않는다.[6] 큰곰자리 SX별이 대표적인 예시이다.[6]

3. 3. RRd (RR(B))

변광성 종합 목록에서는 거문고자리 RR형을 RRab, RRc, RR(B)의 세 가지 하위 분류로 분류한다.[6] RRd라고도 불리는 RR(B)는 드문 유형으로, 한 항성계에서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의 1% 미만에서 30% 정도를 차지한다.[3] RRab 및 RRc와 달리 이중 모드 맥동 변광성이다. 동시에 두 개의 진동 모드가 혼재되어 나타나는데, 기본 모드는 P0, 제1 배음 모드는 P1이라 불리며, P1/P0은 대략 0.745이다.[6] 사자자리 AQ별이 대표적인 예시이다.[6]

4. 분포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은 과거 구상 성단과의 강한 연관성 때문에 "성단 변광성"이라고 불렸다. 구상 성단에서 알려진 변광성의 80% 이상이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이다.[4] 이들은 은하 평면과 강하게 연관된 고전 세페이드 변광성과 달리 모든 은하 위도에서 발견된다.

나이가 많기 때문에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은 우리 은하의 헤일로와 두꺼운 원반을 포함한 특정 별 무리를 추적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5]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의 수는 모든 세페이드를 합친 것보다 몇 배나 많으며, 1980년대에는 구상 성단에서 약 1900개가 알려졌다. 일부 추정에서는 우리 은하에 약 85,000개가 있다고 본다.[6]

쌍성계는 일반적인 별들에게 흔하지만,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은 쌍성에서 관측되는 경우가 매우 드물다.[7]

5. 물리적 특징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은 수평가지에 속하는 별들로, 질량은 대략 태양의 절반 수준이다. 이들은 변광성이 되는 과정에서 질량을 방출하는데, 이를 통해 한때 태양 질량의 0.8배 정도였거나 거의 같은 별이었음을 알 수 있다.

세페이드 변광성과 비슷하게 밝기가 변하지만, 거문고자리 RR형 항성들은 나이가 많고 질량이 작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들은 세페이드 변광성보다 훨씬 흔하지만, 밝기는 덜 밝다. 거문고자리 RR형 별들의 절대 등급은 평균 0.75등급으로, 태양 밝기의 40~50배 수준이다.[8] 변광 주기는 1일 이하로 짧으며, 때로는 7시간 정도까지 짧아지기도 한다.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은 W 처녀자리 변광성과 BL 헤르쿨리스 변광성과 마찬가지로 늙고 비교적 질량이 작은 제II족 별이며, 이들은 II형 세페이드 변광성이다. 고전 세페이드 변광성은 질량이 더 큰 제I족 별이다. 이들은 세페이드 불안정 띠에 있는 모든 변광성과 마찬가지로, 이온화된 헬륨의 불투명도가 온도에 따라 달라질 때 κ-메커니즘에 의해 펄스가 발생한다.

거문고자리 RR형 항성들은 세 가지 종류로 분류된다.


  • RRab
  • RRc: 변광 주기가 짧다.
  • RRd: 이중 방식으로 밝기가 변한다.


일부 RRab형 변광성들은 주기와 진폭이 변하는 블라슈코 효과를 보이기도 한다.[9]

5. 1. 블라슈코 효과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의 약 20%는 변광 주기와 진폭이 수십 일에서 수백 일의 주기로 변화한다. 이 현상은 1907년에 용자리 RW별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발견한 러시아 제국의 천문학자 세르게이 니콜라예비치 브라츠코를 기려 "브라츠코 효과"라고 불린다. 이 현상이 일어나는 메커니즘은 한 세기가 지난 2021년 현재에도 미해결 상태이며, 항성물리학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6. 주기-광도 관계

세페이드 변광성과는 달리,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은 시각 파장에서 엄격한 주기-광도 관계를 따르지 않지만, 적외선 K대에서는 따른다.[10] 일반적으로 주기-색 관계를 사용하여 분석하며, 예를 들어 Wesenheit 함수를 사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표준 촛불로 사용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지만, 금속 함량, 희미함, 혼합의 영향에 대한 어려움이 있다. 혼합의 영향은 구상 성단의 중심 근처에서 표본 추출된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구상 성단은 밀도가 매우 높아서 저해상도 관측에서는 여러 (해결되지 않은) 별이 단일 목표로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단일 별 (예: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에 대해 측정된 밝기는 부정확하게 너무 밝으며, 해당 해결되지 않은 별들이 결정된 밝기에 기여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계산된 거리는 잘못되며, 특정 연구자들은 혼합 효과가 우주 거리 사다리에 체계적인 불확실성을 도입할 수 있으며, 우주의 나이와 허블 상수의 추정치를 편향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11][12][13]

7. 최근 연구 동향

허블 우주 망원경은 안드로메다 은하의 구상 성단에서 여러 개의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 후보를 확인했으며, 원형 별인 거문고자리 RR까지의 거리를 측정했다.[14]

케플러 우주 망원경은 장기간에 걸쳐 정기적으로 단일 영역에 대한 정확한 광도 측정 정보를 제공했다. 케플러 영역 내에는 거문고자리 RR 자체를 포함하여 37개의 알려진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이 있으며, 주기 배증과 같은 새로운 현상이 감지되었다.[15]

가이아 임무는 140,784개의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을 지도화했으며, 이 중 50,220개는 이전에 변광성으로 알려지지 않았고, 54,272개의 성간 흡수 추정치가 제공되었다.[16]

참조

[1] 논문 Observations of RR Lyrae stars in the halo of M31
[2] 논문 RR Lyrae Variables in the Globular Clusters of M31: A First Detection of Likely Candidates
[3] 논문 Stellar Pulsations: Impact of New Instrumentation and New Insights https://books.google[...] 2012-10-20
[4] 논문 Variable Stars in Galactic Globular Clusters
[5] 논문 RR Lyrae variables: visual and infrared luminosities, intrinsic colours and kinematics https://academic.oup[...] 2013-11-11
[6] 서적 RR Lyrae Star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논문 New RR Lyrae variables in binary systems
[8] 논문 The Absolute Magnitude and Kinematics of RR Lyrae Stars via Statistical Parallax 1996-08
[9] 논문 Does Kepler unveil the mystery of the Blazhko effect? First detection of period doubling in Kepler Blazhko RR Lyrae stars
[10] 논문 The RR Lyrae Period-Luminosity Relation. I. Theoretical Calibration
[11] 논문 The Impact of Contaminated RR Lyrae/Globular Cluster Photometry on the Distance Scale
[12] 논문 Towar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istance Scale from RR Lyrae Variable Stars: A Case Study for the Inner Halo Globular Cluster NGC 6723
[13] 논문 On the Distance of the Globular Cluster M4 (NGC 6121) Using RR Lyrae Stars. II. Mid-infrared Period-luminosity Relations
[14] 논문 Astrometry with the Hubble Space Telescope: A Parallax of the Fundamental Distance Calibrator RR Lyrae 2002-01
[15] 논문 RR Lyrae Research with the Kepler Mission
[16] 논문 Gaia Data Release 2 - Specific characterisation and validation of all-sky Cepheids and RR Lyrae stars 2019-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