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페이드 변광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페이드 변광성은 주기적인 밝기 변화를 보이는 변광성의 일종이다. 1784년 처음 발견되었으며, 1900년대 초 헨리에타 스완 리빗의 연구를 통해 주기와 광도 사이의 관계가 밝혀졌다. 세페이드 변광성은 고전 세페이드와 II형 세페이드로 구분되며, 이들은 질량, 나이, 금속 함량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세페이드 변광성은 우주의 거리를 측정하는 데 중요한 표준 광원으로 활용되며, 허블 법칙을 발견하고 은하의 크기를 측정하는 데 기여했다. 세페이드 변광성의 밝기 변화는 항성 대기 내 헬륨의 이온화와 탈이온화 과정에 의해 발생하며, 이온화된 헬륨의 불투명도가 진동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맥동변광성 - 장주기 변광성
    장주기 변광성은 수백 일에서 수천 일의 주기로 밝기가 변하는 차갑고 붉은 거성 또는 초거성으로, 미라형, 반규칙형 등으로 분류되며 열적 맥동 점근 거성으로 태양보다 수백 배 밝다.
  • 우주 거리 사다리 - 초신성
    초신성은 항성의 폭발적 최후 단계로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며 중원소를 우주에 퍼뜨리는 현상으로,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고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최근 초기 우주에서 발생한 초신성 발견으로 항성 진화 및 우주론 연구에 기여하고 있다.
  • 우주 거리 사다리 -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은 태양 질량의 4배에서 20배에 이르는 거성 또는 저광도 초거성 맥동 변광성으로, 밝을수록 주기가 길고 온도가 낮으며 크기가 크고, 주기-광도 관계를 통해 우주 거리 측정에 활용된다.
  • 위치천문학 - 극운동
    극운동은 지구 자전축의 불규칙한 운동으로 챈들러 요동, 연주기 진동, 불규칙적 표류로 구성되며 지구 핵-맨틀 운동, 해수면 재분포, 지각균형 재조정 등으로 발생하고 우주측지학 방법으로 관측되며 IERS에서 데이터를 제공한다.
  • 위치천문학 - 천체역학
    천체역학은 중력에 의해 지배되는 천체의 운동을 다루는 학문으로, 케플러 운동 법칙, 섭동 이론, 다체 문제 등을 포함하며,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과 해석역학을 기반으로 발전하여 우주 탐사 및 행성 형성 연구에 기여한다.
세페이드 변광성
개요
유형맥동변광성
맥동 방식항성의 반지름 방향 맥동
특징
광도 변화며칠에서 몇 달에 걸쳐 밝기가 변함
주기-광도 관계맥동 주기와 절대 광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
거리 측정천문학에서 거리 측정에 중요한 역할
역사
발견1784년 존 구드릭에 의해 세페우스자리 델타 최초 발견
명칭세페우스자리 델타에서 유래
물리적 특성
질량태양의 4~20배
광도태양의 100~30,000배
스펙트럼형F~K형의 초거성 또는 거성
맥동 메커니즘항성 내 헬륨의 이온화와 재결합으로 인한 불투명도 변화
분류
세페이드 변광성고전 세페이드 변광성 (제1형 세페이드 변광성)
제2형 세페이드 변광성
고전 세페이드 변광성 (제1형 세페이드 변광성)
특징밝고 맥동 주기가 규칙적
은하 원반에 주로 존재
질량이 크고 젊은 별
주기-광도 관계맥동 주기가 길수록 광도 증가
제2형 세페이드 변광성
특징밝기가 고전 세페이드 변광성보다 약하고 맥동 주기가 불규칙적
은하 헤일로나 구상성단에 주로 존재
질량이 작고 늙은 별
하위 분류BL 헤르쿨리스형 변광성
W 처녀자리형 변광성
RV 황소자리형 변광성
주기-광도 관계고전 세페이드 변광성과 다른 형태의 주기-광도 관계를 가짐
거리 측정
원리세페이드 변광성의 주기-광도 관계를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
활용우리은하 내외의 거리 측정
허블 상수 결정에 중요한 역할
추가 정보
로마자 표기법Sep'eideu byeon'gwangseong

2. 역사

1784년 9월 10일, 에드워드 피곳은 독수리자리 에타(이타 아퀼레(η Aql))의 변광성을 발견했는데, 이는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의 첫 번째 사례였다.[2] 몇 달 후, 존 구드릭은 세페우스자리 델타(세페이드(δ Cep))를 발견했고, 이 별은 세페이드 변광성의 대표적인 별이 되었다.[3] 19세기 말까지 수십 개의 유사한 변광성이 발견되어 세페이드 변광성으로 분류되었다.[4]

1908년 헨리에타 스완 리빗은 마젤란 은하의 변광성들을 조사하며 주기-광도 관계를 발견했고,[6] 1912년에 발표했다.[7] 1913년 에이나르 헤르츠스프룽은 세페이드 변광성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려 시도했으나,[10] 우주 먼지를 고려하지 않아 수정이 필요했다. 1914년 할로우 섀플리는 세페이드 변광성이 쌍성계의 일부라는 기존 이론을 반박했다.[8] 1918년 할로우 섀플리는 세페이드 변광성을 이용하여 은하수의 크기와 모양, 태양의 위치에 대한 초기 제약 조건을 설정했다.[11]

1924년 에드윈 허블안드로메다 은하의 세페이드 변광성을 통해 외부 은하의 존재를 입증하고, "위대한 논쟁"을 종식시켰다.[12] 1929년 허블과 밀턴 험머슨은 세페이드 변광성 거리와 베스토 슬라이퍼의 후퇴 속도 측정값을 결합하여 허블 법칙을 공식화하고 우주 팽창을 발견했다.[13]

1940년대 발터 바데는 세페이드 변광성을 고전 세페이드 변광성과 II형 세페이드 변광성으로 구분하여 천문학적 거리 척도 문제를 해결했다.[27] 1953년 세르게이 제바킨은 이온화된 헬륨이 세페이드 변광성의 진동 메커니즘(κ-메커니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혀냈다.[20] 1968년 앨런 샌디지와 구스타브 탐맨은 새로운 주기-광도 관계값을 계산하여 갱신했다.[66] 1997년 마이클 피스트와 로빈 캐치폴은 히파르코스 위성의 자료를 이용하여 주기-광도 관계식을 더욱 정확하게 계산했다.[67][68]

3. 종류

세페이드 변광성은 질량, 나이, 진화 역사에 따라 크게 고전 세페이드와 II형 세페이드로 나뉜다.[21] 델타 세페이드 변광성은 불안정대 하단에 위치한 A형 주계열성 또는 주계열 근처의 별들이고, RR 라이라 변광성은 주기가 짧고, 불안정대가 수평가지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한다. 델타 세페이드 변광성과 RR 라이라 변광성은 진동이 헬륨 이온화 κ 기구에서 비롯되었음에도 불구, 세페이드 변광성과 함께 다루어지지는 않는다.

세페이드 변광성(CEP형)은 종족 I의 세페이드형(DCEP)과 종족 II의 II형 세페이드(CW)로 세분되며, 절대등급이 비교적 크고, 스펙트럼형이 F~K형인 황색 초거성에 속하는 주기적인 맥동 변광성이다. 변광 범위는 1~2등급, 주기는 2~50일 정도이다. 이 유형의 변광성은 변광 주기가 긴 별일수록 절대등급이 밝다는 주기-광도 관계를 가지며, 이를 통해 겉보기 등급과 변광 주기를 측정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는 우주의 등대와 같으며, 연주시차 등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수천 광년 이상의 거리 측정에 사용된다. CEP형에는 매우 밝은 것도 있어, 다른 은하 내에서도 식별 가능하므로, CEP형 맥동 변광성을 이용하여 그 은하까지의 거리를 정밀하게 구할 수 있다.

;주요 세페이드형 변광성


  • 케페우스자리 δ별 -- 5.366일의 주기로 3.48등성~4.37등성의 범위를 변광한다.
  • 외뿔소자리 T별 -- 27.025일의 주기로 5.58등성~6.62등성의 범위를 변광한다.

3. 1. 고전 세페이드 변광성 (Classical Cepheids)

고전 세페이드 변광성(Population I 세페이드, I형 세페이드 또는 델타 세페이드 변광성으로도 알려짐)은 수일에서 수개월에 이르는 매우 규칙적인 주기로 진동하는 항성종족 I 변광성이다. 이들은 태양보다 4~20배 더 무겁고,[21] 최대 10만 배 더 밝다.[22] 분광형은 F6~K2의 노란색 밝은 거성초거성이며, 진동 주기 동안 반지름이 수백만 킬로미터 변화한다(장주기 카리나 I의 경우 ~25%).[23]

고전 세페이드 변광성의 원형인 δ 세페이드의 빛곡선. 항성의 내부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규칙적인 변화를 보여준다


고전 세페이드는 주기-광도 관계를 통해 국부 은하군 내부 및 그 너머의 은하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며, 허블 상수를 설정하는 수단이 된다.[24][38][25][39][49] 또한 우리 은하에서 태양의 은하 평면 위 높이와 국부 나선 구조와 같은 특성을 명확히 하는 데 사용되었다.[26]

진폭이 작고 사인파 빛곡선을 가진 고전 세페이드 그룹은 종종 소진폭 세페이드 또는 s-세페이드로 분류되며, 이 중 많은 수가 제1배음으로 진동한다.

3. 2. II형 세페이드 변광성 (Type II Cepheids)

NASA의 계외행성 탐색 위성(TESS)이 기록한 II형 세페이드 변광성인 κ 파보니스의 광도곡선


II형 세페이드 변광성(또는 2종 세페이드 변광성, Population II Cepheids)은 주기가 일반적으로 1일에서 50일 사이인 항성종족 II 변광성이다.[27][28] II형 세페이드 변광성은 일반적으로 금속이 부족하고, 나이가 많으며(~100억 년), 질량이 낮은(~태양 질량의 절반) 천체이다.

II형 세페이드 변광성은 주기에 따라 여러 하위 그룹으로 나뉜다. 주기가 1일에서 4일 사이인 별은 BL Her 하위 유형에 속하고, 10일~20일인 별은 W 처녀자리 하위 유형에 속하며, 주기가 20일보다 긴 별은 RV 황소자리 하위 유형에 속한다.[27][28]

II형 세페이드 변광성은 은하 중심, 구상 성단 및 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26][29][30][31][40][32][33]

;주요 II형 세페이드 변광성

  • 처녀자리 W별 -- 17.234일의 주기로 9.46등성~10.75등성의 범위를 변광한다.
  • 헤라클레스자리 BL별 -- 1.307일의 주기로 9.70등성~10.62등성의 범위를 변광한다.

3. 3. 특이 세페이드 변광성 (Anomalous Cepheids)

불안정대에 있는 맥동 변광성 중에는 주기가 2일 미만인 것들이 있는데, 이들은 RR 라이라 변광성과 비슷하지만 광도가 더 높다. 특이 세페이드 변광성(Anomalous Cepheid variables)은 II형 세페이드 변광성, RR 라이라 변광성보다 질량이 더 크며, 태양보다도 무겁다. 이 별들이 "되돌아온" 수평 가지(horizontal branch)에 있는 젊은 별인지, 쌍성계 질량 이동을 통해 형성된 청색 지연성인지, 아니면 두 경우 모두에 해당되는지는 아직 불확실하다.[34][35]

3. 4. 이중 모드 세페이드 변광성 (Double-mode Cepheids)

일부 세페이드 변광성은 두 가지 모드로 동시에 진동하는 것으로 관측되었는데, 일반적으로 기본 모드와 첫 번째 배음 모드이며, 때로는 두 번째 배음 모드이기도 하다.[36] 매우 소수의 별들은 세 가지 모드 또는 더 높은 배음을 포함한 특이한 모드 조합으로 진동한다.[37]

4. 물리적 특징

세페이드는 보통 항성종족 I에 속하는 황색 거성으로, 수축과 팽창을 통해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한다. 세페이드 변광성들의 광도는 태양의 1000~10,000배이다. 세페이드들이 항성종족 I에 속하기 때문에 이들은 가끔 I형 세페이드로 불린다. 태양의 4~20배 정도 질량을 가지고 있다[63]. 반면 항성종족 II에 속한 처녀자리 W형 변광성들은 II형 세페이드로 불리며, 질량은 태양의 절반 정도이다.

세페이드 변광성의 밝기 변화 주기는 짧게는 1일에서 길게는 50일까지 다양하다. 개개의 별들 사이에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다수의 세페이드 변광성은 빠른 속도로 밝아졌다가 천천히 어두워진다.[64]

광도의 변화는 항성 대기에 있는 헬륨이 이온화되기 때문에 일어나며, 이에 이어 항성 대기의 팽창과 탈이온화가 진행된다. 이온화가 되는 과정에서 항성의 대기는 빛에 대하여 더욱 불투명해진다. 이 이온화-탈이온화 주기는 해당 항성의 동역학적 시간척도와 일치하므로 그 별의 광도에 대한 자료와 마찬가지로 평균 밀도에 관한 정보도 제공한다.

5. 주기-광도 관계

세페이드 변광성의 광도와 변광 주기 사이에는 매우 정확한 관계가 있다. 1912년 헨리에타 스완 리빗은 수백 개에 이르는 세페이드 변광성의 광도를 측정했고 여기서 독특한 주기-광도 관계를 발견했다. 3일 주기를 갖는 세페이드의 광도는 태양의 800배이다. 30일 주기를 갖는 세페이드의 광도는 태양의 1만 배이다.[7]

세페이드 변광성의 주기-광도 관계 그래프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과 II형 세페이드 변광성)


이 관계는 표준 광원으로 사용되어 왔고, 외부은하 거리척도에 기여하고 있다. 지구에 가까우면서 거리를 정확하게 알고 있는 세페이드 변광성들을 통해 그 세페이드 변광성이 있는 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매우 밝은데다 거리를 정확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세페이드 변광성들은 외부 은하 혹은 성단까지의 거리를 재는 데 사용되는 이상적인 표준광원의 역할을 하고 있다.

1997년 마이클 피스트와 로빈 캐치폴은 히파르코스 위성의 자료를 통해, 삼각시차를 이용하여 많은 외부은하의 세페이드 변광성까지의 거리를 계산했다. 이를 통해 나온 주기-광도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 M_v = -2.81 \log(P) - (1.43 \pm 0.1) \,

여기서 P(날)로 계산한다.[67][68]

고전 세페이드 변광성의 주기와 광도 사이의 관계는 1908년 헨리에타 스완 리빗이 마젤란 은하의 수천 개의 변광성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발견했다.[6] 그녀는 1912년에 추가 증거와 함께 이를 발표했다.[7]

1913년, 에이나르 헤르츠스프룽은 하늘을 가로지르는 운동을 이용하여 13개의 세페이드 변광성까지의 거리를 구하려고 시도했다.[10] 1918년, 하로우 섀플리는 세페이드 변광성을 사용하여 은하수의 크기와 모양, 그리고 태양의 위치에 대한 초기 제약 조건을 설정했다.[11]

처녀자리 W형 변광성은 II형 세페이드 변광성의 세분화 중 하나이다. 세페이드 변광성은 변광 주기가 긴 별일수록 절대등급이 밝다는 성질이 있으며, 이를 주기-광도 관계라고 한다. 이 관계를 이용하면, 그 겉보기 등급과 변광 주기를 측정함으로써 거리 측정에 사용할 수 있다.

6. 표준 광원

세페이드 변광성은 1세기 이상 표준 광원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외부은하 거리척도에 기여하고 있다. 1912년 헨리에타 스완 리빗은 세페이드 변광성의 주기-광도 관계를 발견했다. 주기-광도 관계에 따르면, 3일 주기를 갖는 세페이드 변광성의 광도는 태양의 800배이고, 30일 주기를 갖는 세페이드 변광성의 광도는 태양의 1만 배이다.[6][7]

지구에 가까운 세페이드 변광성을 이용해 해당 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세페이드 변광성은 매우 밝고 거리를 정확하게 알 수 있어 외부 은하 또는 성단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데 이상적인 표준 광원 역할을 한다. 다만, 세페이드 변광성의 정확한 위치를 모르기 때문에 약간의 오차는 존재할 수 있지만, 관측 결과에 큰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다.

에드윈 허블안드로메다 은하에서 세페이드 변광성을 발견하여 외부은하의 존재를 입증했다. 당시에는 외부은하에 대한 개념이 없었지만, 허블의 발견은 "위대한 논쟁"에서 제기된 문제를 해결했다.[12] 최근 허블 우주 망원경은 6천만 광년 떨어진 처녀자리 은하단에서 세페이드 변광성을 발견했다.

7. 불확실성

고전 세페이드 변광성과 II형 세페이드 변광성을 이용한 거리 측정에는 여러 불확실성이 존재한다.[38] 이러한 불확실성의 요인으로는 다양한 통과대에서 주기-광도 관계의 본질, 주기-광도 관계의 영점과 기울기에 대한 금속함량의 영향, 광도 오염(다른 별과의 혼합), 그리고 변하는(일반적으로 알 수 없는) 소광 법칙 등이 있다.[22][39][40][41][42][43][44][45][46][47][48]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허블 상수 값은 60km/s/Mpc에서 80km/s/Mpc 사이로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24][38][25][39][49] 허블 상수의 정확한 값에 따라 우주의 여러 변수들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불일치를 해결하는 것은 천문학의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25][49]

8. 진동 모델

세페이드 변광성의 진동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에딩턴 밸브[54][55] 또는 "κ-기구"라고 불리는데, 여기서 κ(카파)는 기체 불투명도의 일반적인 기호를 나타낸다.

이 과정에서 헬륨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체로 여겨진다. 이중으로 이온화된 헬륨(전자를 두 개 모두 잃은 헬륨)은 단일 이온화된 헬륨보다 불투명하다. 헬륨이 가열되면 온도가 상승하여 이중 이온화가 자발적으로 발생하고, 형광등이 켜지는 것과 유사하게 층 전체에서 유지되는 지점에 도달한다. 세페이드 변광성의 주기 중 가장 어두운 부분에서, 항성 외층의 이온화된 기체는 상대적으로 불투명하여 항성의 복사에 의해 가열되고,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팽창하기 시작한다. 팽창하면서 냉각되지만, 이중 이온화가 유지될 수 없는 임계값에 도달할 때까지 이온화 상태를 유지하며, 이 시점에서 층은 단일 이온화되어 더 투명해지므로 복사가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그러면 팽창이 멈추고 항성의 중력으로 인해 다시 수축한다. 항성의 상태는 이중 이온화된 헬륨에 의해 생성된 히스테리시스[56]에 의해 팽창하거나 수축하는 상태로 유지되며, 상한 또는 하한 임계값을 초과할 때마다 두 상태 사이를 무한히 반복한다. 이 과정은 전자 공학에서 발견되는 완화 발진기와 매우 유사하다.

1879년, 아우구스트 리터(1826-1908)는 균질 구의 단열 방사형 진동 주기가 표면 중력 및 반지름과 다음과 같은 관계를 통해 관련되어 있음을 보였다.

: T = k \,\sqrt \frac R g

여기서 k는 비례 상수이다. 표면 중력은 구의 질량 및 반지름과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 g = k' \frac M {R^2} = k' \frac {RM} {R^3} = k' R\rho

최종적으로 다음을 얻는다.

: T \sqrt \rho = Q

여기서 ''Q''는 진동 상수라고 하는 상수이다.[57]

9. 주요 세페이드 변광성 (예시)

다음은 주요 세페이드 변광성의 예시이다.


  • 고전 세페이드 변광성

  • 처녀자리 W별[58]
  • 공작자리 κ별[58]
  • 헤라클레스자리 BL별[58]
  • 특이 세페이드 변광성

  • 고래자리 XZ별[59]
  • 목동자리 BL별

참조

[1] 서적 Physics, formation and evolution of rotating stars https://archive.org/[...] Springer 2009
[2] 학술지 Observations of a new variable star
[3] 학술지 A series of observations on, and a discovery of, the period of the variation of the light of the star marked δ by Bayer, near the head of Cepheus. In a letter from John Goodricke, Esq. to Nevil Maskelyne, D.D.F.R.S. and Astronomer Royal https://books.google[...]
[4] 서적 Problems in Astrophysics https://books.google[...] Adam & Charles Black 1903
[5] 논문 The Secret Lives of Cepheids: A Multi-Wavelength Study of the Atmospheres and Real-Time Evolution of Classical Cepheids
[6] 학술지 1777 variables in the Magellanic Clouds https://babel.hathit[...] 1908
[7] 학술지 Periods of 25 variable stars in the Small Magellanic Cloud 1912
[8] 학술지 On the Nature and Cause of Cepheid Variation 1914-12
[9] 학술지 The variations in spectral type of twenty Cepheid variables
[10] 학술지 Über die räumliche Verteilung der Veränderlichen vom δ Cephei-Typus 1913
[11] 학술지 Globular Clusters and the Structure of the Galactic System
[12] 학술지 Cepheids in spiral nebulae 1925
[13] 학술지 Un Univers homogène de masse constante et de rayon croissant rendant compte de la vitesse radiale des nébuleuses extra-galactiques
[14] 웹사이트 VISTA Discovers New Component of Milky Way http://www.eso.org/p[...] 2015-10-29
[15] 학술지 Problems in the determination of the distance of galaxies
[16] 웹사이트 Section 2: The Great Debate and the Great Mistake: Shapley, Hubble, Baade http://www.institute[...]
[17] 학술지 No. 153. Studies based on the colors and magnitudes in stellar clusters. Eighth paper: The luminosities and distances of 139 Cepheid variables
[18] 학술지 Studies based on the colors and magnitudes in stellar clusters. Eighth paper: The luminosities and distances of 139 Cepheid variables 1918
[19] 학술지 The pulsation theory of Cepheid variables 1917
[20] 학술지 К Теории Цефеид. I
[21] 학술지 The Progenitors of Classical Cepheid Variables 1996
[22] 학술지 The PL calibration for Milky Way Cepheids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distance scale 2010
[23] 학술지 Radius variation and population type of cepheid variables 1957
[24] 학술지 Final Results from the Hubble Space Telescope Key Project to Measure the Hubble Constant 2001
[25] 학술지 The Hubble Constant 2010
[26] 학술지 Characteristics of the Galaxy according to Cepheids 2009
[27] 학술지 The Cepheids of Population II and Related Stars 2002
[28] 학술지 The Optical Gravitational Lensing Experiment. The OGLE-III Catalog of Variable Stars. II.Type II Cepheids and Anomalous Cepheids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2008
[29] 학술지 The Optical Gravitational Lensing Experiment. Population II Cepheids in the Galactic Bulge 2003
[30] 학술지 The period-luminosity relation for type II Cepheids in globular clusters 2006
[31] 학술지 The luminosities and distance scales of type II Cepheid and RR Lyrae variables 2008
[32] 학술지 RR Lyrae and Type II Cepheid Variables Adhere to a Common Distance Relation 2010
[33] 학술지 Period-luminosity relations for type II Cepheids and their application 2009
[34] 학술지 Bright metal-poor variables: Why Anomalous Cepheids?
[35] 학술지 The Optical Gravitational Lensing Experiment. The OGLE-III Catalog of Variable Stars. II.Type II Cepheids and Anomalous Cepheids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36] 논문 Double-Mode Classical Cepheid Models, Revisited
[37] 논문 The Optical Gravitational Lensing Experiment. Triple-Mode and 1O/3O Double-Mode Cepheids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38] 논문 The expansion field: the value of H 0 2008
[39] 논문 The Hubble Constant from Type Ia Supernovae Calibrated with the Linear and Nonlinear Cepheid Period-Luminosity Relations 2006
[40] 논문 Type II Cepheids as Extragalactic Distance Candles 2009
[41] 논문 Hubble Space Telescope Fine Guidance Sensor Parallaxes of Galactic Cepheid Variable Stars: Period-Luminosity Relations
[42] 논문 The Optical Gravitational Lensing Experiment.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Blending on the Cepheid Distance Scale with Cepheids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1999
[43] 논문 The Optical Gravitational Lensing Experiment. Cepheids in the Galaxy IC1613: No Dependence of the Period-Luminosity Relation on Metallicity 2001
[44] 논문 A New Cepheid Distance to the Maser-Host Galaxy NGC 4258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Hubble Constant 2006
[45] 논문 Cepheids in External Galaxies. I. The Maser-Host Galaxy NGC 4258 and the Metallicity Dependence of Period-Luminosity and Period-Wesenheit Relations 2008
[46] 논문 Concerning the Slope of the Cepheid Period-Luminosity Relation 2009
[47] 논문 The effect of metallicity on Cepheid magnitudes and the distance to M33 2009
[48] 논문 The Cepheids of Centaurus A (NGC 5128) and Implications for H0 2010
[49] 학회발표 AIP Conference Proceedings 2009
[50] 논문 A HIPPARCOS Census of the Nearby OB Associations
[51] 논문 New Evidence Supporting Cluster Membership for the Keystone Calibrator Delta Cephei
[52] 논문 Astrometry with the Hubble Space Telescope: A Parallax of the Fundamental Distance Calibrator δ Cephei
[53] 논문 Parallax beyond a Kiloparsec from Spatially Scanning the Wide Field Camera 3 on the Hubble Space Telescope
[54] 논문 Eddington's Valve and Cepheid Pulsations
[55] 서적 The Encyclopedia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
[56] 논문 On the existence of hysteresis effects in pulsating stars https://ui.adsabs.ha[...] 1981-12-01
[57] 서적 Evolution of Stars and Stellar Population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5-12-13
[58] 논문 A spectroscopic study of the pulsating star BL Her
[59] 논문 The anomalous Cepheid XZ Ceti
[60] 논문 TESS observations of Cepheid stars: first light results
[61] 논문 1777 Variables in the Magellanic Clouds
[62] 논문 Periods of 25 Variable Stars in the Small Magellanic Cloud
[63] 논문 The Progenitors of Classical Cepheid Variables
[64] 웹인용 엔싸이버: 세페이드 변광성 http://logencyber.en[...] 2009-03-30
[65] 논문 Uber die raumliche Verteilung der Verlandlichen vom Delta Cephei – typus
[66] 논문 A composite period-luminosity relation for Cepheids at mean and maximum light
[67] 논문 The Cepheid period-luminosity zero-point from Hipparcos trigonometrical parallaxes
[68] 웹사이트 The Cepheid Distance Scale: A History http://www.institute[...] 2005-08
[69] 웹사이트 Light echoes whisper the distance to a star http://www.eso.org/p[...]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