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들바위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건들바위역은 대구광역시의 사적 2호인 건들바위에서 유래된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역이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2013년 10월 2일 역명이 결정되었으며, 2015년 4월 23일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역 주변에는 건들바위네거리, 서봉사, 대구불교방송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남구의 전철역 - 대명역
대명역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지하철역으로, 대명역 사거리에 위치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곡선 지하역이며, 역명은 두사충이 붙인 지명에서 유래되었다. - 대구 남구의 전철역 - 현충로역
현충로역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으로, 1997년 개통되었으며 앞산네거리에 위치해 있고, 역명은 인근 현충로에서 유래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역 - 원대역
원대역은 대구광역시 북구 원대동에 위치한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고가역으로, 조선 시대 대로원 터를 원대라고 부르던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역 - 명덕역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인 명덕역은 1호선이 지하에, 3호선이 지상에 위치하며 2·28민주운동기념회관이 부역명으로, 1호선은 1997년 개통 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로 운행이 중단된 적 있으며 2015년 3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원대역
원대역은 대구광역시 북구 원대동에 위치한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고가역으로, 조선 시대 대로원 터를 원대라고 부르던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명덕역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인 명덕역은 1호선이 지하에, 3호선이 지상에 위치하며 2·28민주운동기념회관이 부역명으로, 1호선은 1997년 개통 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로 운행이 중단된 적 있으며 2015년 3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건들바위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주소 | 대구광역시 남구 이천동 |
운영 정보 | |
노선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역 구조 | 고가역 |
승강장 | 2면 2선 |
개업일 | 2015년 4월 23일 |
역 번호 | 332 |
운영 기관 | 대구교통공사 |
역 정보 | |
이전 역 | 명덕 |
다음 역 | 대봉교 |
역간 거리 | 명덕역 0.9km, 대봉교역 0.7km |
노선 거리 | 칠곡경대병원 기점 15.7km |
2. 역명의 유래
인근에 있는 대구광역시의 사적 2호 '''건들바위'''에서 유래되었다.
(내용 없음 - 하위 섹션 '승강장'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주어진 원본 소스에서 해당 섹션에 추가할 고유 정보가 없음)
3. 역 구조
3. 1.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며, 난간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대합실을 통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이 가능하다. 승강장 번호는 별도로 지정되어 있지 않다.
방향 | 노선 | 행선지 |
---|---|---|
상행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명덕 · 남산 · 칠곡경대병원역 방면 |
하행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대봉교역 · 수성시장역 · 용지 방면 |
4. 역사
- 2013년 10월 2일 : '''건들바위역'''으로 역명이 결정되었다.
- 2015년 4월 23일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5. 역 주변
건들바위네거리 동쪽에 있으며, 육교 형태로 지어진 역으로 출구는 4개가 설치되어 있다. 교차로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역 주변에 군사 시설이 있어 이용객은 적은 편이며, 출구는 대봉동과 이천동에 걸쳐 있다.
역 인근의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 건들바위
- 대봉성당
- 대봉교회
- 대구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 대구불교방송
- 대구영선초등학교
- 이천동 고미술품 거리
- 남구청
- 의밀심인당
- 회당빌딩
- 서봉사
- 대봉동 화성파크드림
- 대봉동 더샵리비테르
- 이천동 주민센터
- 대봉2동 주민센터
- 상아맨션
- 봉덕119안전센터
- 대구삼영초등학교
대봉교회 시내버스 정류장에서는 남구 봉덕동, 봉덕맛길 방면으로 운행하는 730번 시내버스로 환승할 수 있다.
6. 승차량 변동
wikitext
노선 | 승차 인원 | 주석 | ||||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3호선 | 1,191 | 1,325 | - | [1] |
7. 사진
8. 인접한 역
(칠곡경대병원 방면)
(용지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