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구광역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광역시는 한반도 남동부 내륙에 위치한 광역시로, 약 2만 년 전부터 사람이 거주한 것으로 추정된다. 신라 시대 대구현으로 개칭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경상도 북부 지역의 중심 도시로 성장했다. 1981년 대구직할시로 승격, 1995년 대구광역시로 개칭되었으며, 같은 해 달성군을 편입하여 현재의 행정 구역을 갖추었다. 팔공산, 비슬산 등 산지로 둘러싸인 분지 지형이며, 여름철 고온 현상으로 '대프리카'라는 별칭을 얻기도 한다. 7개의 구와 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3년 군위군을 편입하였다. 주요 산업은 섬유, 금속, 기계 산업이며, 최근에는 미래형 자동차, 의료, 스마트시티, 청정에너지 분야를 육성하고 있다. 문화적으로는 보수적인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축제와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대구는 KBO의 삼성 라이온즈, K리그1의 대구 FC, KBL의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등 프로 스포츠 구단을 가지고 있으며, 201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를 개최한 바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옛 임시 수도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옛 임시 수도 -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는 대한민국 중부에 위치한 광역시로, 철도 개통과 충남도청 이전으로 교통 및 행정의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대덕연구개발특구 조성과 대전 엑스포 개최를 통해 과학기술 중심 도시로 성장하여 현재는 정부대전청사 등 주요 기관이 위치하고 KTX 개통으로 접근성이 향상된 높은 삶의 질을 자랑하는 도시이다.
  • 대구광역시의 행정 구역 - 달성군
    대구광역시의 군인 달성군은 1914년 대구부와 현풍군이 통합되어 형성되었고, 1995년 대구광역시에 편입되었으며, 2010년대 이후 인구 증가와 함께 2021년 26만 명을 넘어 6읍 3면으로 구성, 비슬산맥과 낙동강을 중심으로 지형이 나뉜다.
  • 대구광역시의 행정 구역 - 군위군
    군위군은 경상북도에 속했던 군으로, 2023년 7월 대구광역시에 편입되었으며, 팔공산의 산악 지형과 위천, 사창천 유역의 농경지를 가진 중생대 백악기 경상 분지에 위치하고, 삼국 시대부터 이어진 역사와 대구경북신공항 건설 논란 끝에 편입되었으며, 1읍 7면으로 구성, 일연 스님의 삼국유사 완성지인 인각사가 있는 '삼국유사의 고장'으로 알려져 있다.
  • 대구광역시 - 한국가스공사
    한국가스공사는 도시가스 제조 및 공급, 천연가스 개발, 수송, 수출입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대한민국 공기업이며, 1983년 설립되어 천연가스 도입, 공급망 구축, 신재생에너지 사업 등을 수행하고, 1999년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고, 2007년 시장형 공기업으로 지정되었다.
  • 대구광역시 - 한국부동산원
    한국부동산원은 부동산 시장 안정과 소비자 권익 보호를 위해 설립된 공공기관으로, 부동산 감정 평가에서 부동산 가격 공시 및 시장 관리 등으로 업무를 확대하여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대구광역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대구 위치
대구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대구광역시
로마자 표기Daegu-gwangyeoksi
한자 표기大邱廣域市
위치영남 지방
국가대한민국
행정 구역 종류광역시
하위 행정 구역9개 구
면적1,499.51 km²
해발 고도106m
인구2,365,523명 (2024년 9월 기준)
인구 밀도자동 계산
지역 방언경상 방언
ISO 코드KR-27
전화 지역 번호+82-53
시 상징 꽃목련
시 상징 나무전나무
시 상징 새까치
공식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영어)
정부 및 정치
정치 체제시장-의회제
시장홍준표 (국민의힘)
의회대구광역시의회
경제
총 GDP63조 (2022년)
총 GDP (미국 달러)500억 달러 (2022년)
추가 정보
대구광역시 주요 이미지
위쪽: 범어 교차로, 두 번째: 방천 시장 김광석 거리, 대구 83 타워, 강정고령보의 디아크 문화관, 아래쪽: 대구제일교회와 주변 지역, 관암사 갓바위
대구광역시 깃발
대구광역시 깃발
대구광역시 휘장
대구광역시 휘장

2. 역사

달서구 월성동에서 구석기 시대 유물인 세석기가 포함된 유적이 발굴됨으로써 약 2만 년에서 1만 년 전부터 대구에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대구의 옛 이름으로는 다벌(多伐), 달벌(達伐), 달불성(達弗城), 달구벌(達句伐), 달구화(達句火), 대구(大邱)가 있다. 그중 달구벌(達句伐)과 대구(大邱)가 유명하다. 이들은 고대 한국어의 음사로, 대체로 "큰 들판"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위화군은 수창군으로, 달구화현(達句火縣), 달구벌이라 불리던 곳은 대구현으로 개칭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수성군이라 불렸고, 1143년(고려 인종 21년), 대구현은 현령관으로 승격되었고, 하빈현, 화원현이 이에 속했다.

조선 시대부터 대구는 경상도 북부 지역의 행정적, 경제적, 문화적 중심 도시로 발전해 나갔다.

18세기에 대구에서 현재의 한자 표기인 대구로 바뀌었다. 이는 "丘"가 유학의 시조인 공자이기 때문에 이를 배려하여 "邱"로 바꾼 것으로 여겨진다(휘피). 오랫동안 경상도 감영의 중심적인 위치를 누려 온 대구는 1895년(조선 고종 32년) 경상감영이 폐지됨과 함께 대구군으로 개편되어 부청 소재지가 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10년에 대구군은 대구부(大邱府)로 개칭되었고[69], 1914년에 대구부와 달성군이 분리되었으며, 광복 후 1949년에 대구부는 대구시가 되었다.

패전 후, 대구는 해외 귀환 동포의 정착으로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여 대한민국의 대도시로 성장했다. 1950년 7월 16일, 한국 전쟁으로 인해 8월 17일까지 대한민국의 임시 수도가 되었고, 1981년 7월 1일, 경상북도 대구시는 대구직할시로 승격했다. 1988년 1월 1일, 서구 및 남구의 일부를 가지고 달서구가 설치되었고, 1995년 1월 1일, 지방자치제가 시행됨과 함께 대구광역시로 개칭되었다. 또한 1995년 3월 1일, 달성군 전역을 경상북도로부터 편입하여 현재의 대구광역시는 883.56 km²로 확장되었다.

또한 대구는 2002년 FIFA 월드컵 본선, 200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를 개최한 경험을 바탕으로 2011년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2012년 제93회 전국체육대회, 2013년 대구세계에너지총회를 개최했다. 이후 2015년 제7회 세계물포럼을 개최한 대구시는 물 산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1910년 10월 1일 - 대구군이 '''대구부'''로 개칭.
  • 1911년 11월 14일 - 대구부 동상면·서상면이 합병하여 대구면이 발족.
  • 1914년 4월 1일 - 대구부를 분할하여, 도시 지역인 대구면의 대부분이 새로운 '''대구부'''로 승격. 대구부의 농촌 지역과 현풍군달성군으로 개편.
  • 1917년 4월 1일 - 달성군 수성면의 일부를 편입.
  • 1938년 10월 1일 - 달성군 수성면 및 달서면·성북면의 각 일부를 편입.
  • 1949년 8월 15일 - 대구부가 '''대구시'''로 개칭.
  • 1957년 11월 6일 - 달성군 동촌면·월배면·성서면·가창면·공산면을 편입.
  • 1963년 1월 1일 - 중구·동구·서구·남구·북구 설치.(5구)
  • * 일부를 달성군에 반환.
  • ** 공산출장소 관할 지역의 대부분 → 공산면.
  • ** 가창출장소 관할 지역 부분 → 가창면.
  • ** 성서출장소 관할 지역 → 성서면.
  • ** 월배출장소 관할 지역 → 월배면.
  • 1980년 4월 1일 - 동구의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수성구 설치.(6구)
  • 1981년 7월 1일 - 경상북도 대구시가 '''대구직할시'''로 승격. 경상북도로부터 주변 지역을 편입하여 다음과 같이 시역을 확장.(6구)
  • * 달성군 중
  • ** 월배읍이 남구에 편입.
  • ** 성서읍이 서구에 편입.
  • ** 공산면·경산군 안심읍이 동구에 편입.
  • * 칠곡군 칠곡읍이 북구에 편입.
  • * 경산군 고산면이 수성구에 편입.
  • 1988년 1월 1일 - 서구·남구의 각 일부를 가지고 달서구 설치.(7구)
  • 1995년
  • * 1월 1일 - 대구직할시가 '''대구광역시'''로 개칭.(7구)
  • * 3월 1일 - 달성군을 경상북도로부터 이관.(7구 1군)
  • 2023년 7월 1일 - 군위군을 경상북도로부터 이관[70].(7구 2군)
  • 1998년5월 2일 - 지하철 1호선 개통.
  • 2002년축구 월드컵 경기장 중 하나. 3·4위 결정전이 열림.
  • 2003년2월 18일 - 지하철 1호선 차량이 중앙로역에서 방화 사건 발생.
  • 2003년8월 21일 - 200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 개최 (북한도 참가).
  • 2005년10월 18일 - 지하철 2호선 개통.
  • 2011년8월 27일 - 9월 4일 - 201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개최.
  • 2012년10월 11일 - 10월 17일 - 제93회 대한민국 전국체육대회 개최.
  • 2015년4월 12일 - 4월 17일 - 제7회 세계 물 포럼 개최.
  • 2015년4월 23일 - 지하철 3호선 개통.

2. 1. 선사시대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에서 구석기시대 유물인 좀돌날 석기가 포함된 유적이 발굴되어, 대략 2만~1만 년 전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77] 대구의 옛 이름으로는 다벌(多伐), 달벌(達伐), 달불성(達弗城), 달구벌(達句伐), 달구화(達句火), 대구(大邱) 등이 있으며, 이 가운데 달구벌과 대구(大邱)가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77] 이 명칭들은 고대 한국어의 음차로, 대체로 "크고 넓은 벌판"을 의미한다. '달구'의 '달'은 "높다", "크다"는 의미를 가지며, 신라계림사상에서 기원된 새로움 혹은 철기 문화의 상징인 '닭'에서 유래하였다는 연구 자료도 있다.

청동기 시대에는 부족 국가가 형성되었다. 대구광역시 일대에서 무문토기 시대(기원전 1500년경~기원전 300년경)의 많은 유적과 매장지가 발굴되었는데,[8] 특히 사지동과 서변동에서는 경상도 지역 초기 무문토기 문화 유적이 발굴되었다.[8] 동천동 유적은 중기 무문토기 시대(기원전 850년경~기원전 550년경)의 농촌 유적으로, 선사시대 움집과 농경지 흔적을 포함한다.[9] 대구에서는 거석묘(돌멘)도 다수 발견되었다.

원삼국 시대(마한, 진한, 변한) 동안 대구는 달구벌로 알려진 읍락 또는 성곽 도시 국가의 중심지였다. 신라는 5세기 이전에 달구벌을 편입하였으며, 현재 달성공원에서 성곽의 흔적과 유물이 발굴되었다.

2. 2. 신라

108년 신라에 병합되었다. 261년(신라 첨해이사금 15년) 달벌성이 축조되었다.(244년 축성 시작) 5세기말 - 6세기초 달구벌을 '''달구화현'''(達句火縣, 達弗城)이라 칭하였다. 689년(신라 신문왕 9년) 신라의 수도를 서라벌에서 달구벌로 천도하려 하였으나 귀족들의 반대로 좌절되었다.[10][11] 이는 고려 시대 역사가 김부식이 저술한 한국 고대사의 가장 중요한 기록인 ''삼국사기''에 한 줄로만 언급되어 있지만, 신라 왕이 왕권을 강화하려는 시도와 경주 정치 엘리트들의 뿌리 깊은 저항(이것이 이전 시도가 실패한 원인일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추정된다.[11]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위화군(喟火郡)을 수창군(壽昌郡)으로, 달구화현(達句火縣, 達句伐)이라 칭하던 것을 '''대구현'''으로 개칭하였다. 양주 관하에 두었다. 1990년대 후반, 고고학자들은 북구 동천동에서 대규모 신라 시대 요새 유적을 발굴하였다.[12] 2지점 유적은 견고한 해자와 울타리 시스템으로 둘러싸인 39개의 높은 바닥 건물 유적들로 구성되어 있다. 발굴팀은 이 요새 유적이 상설 군영 또는 병영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고고학자들은 또한 시지동에서 6세기부터 7세기까지의 신라 마을 유적을 발굴하였다.[8]

8세기 신라의 사리장치, 대구국립박물관

2. 3. 고려

940년(고려 태조 23년) 수창군을 수성군으로 개칭하였다.[13] 1018년(고려 현종 9년)에는 수성군·장산군·해안현(解顔縣)과 대구현·화원현·팔리현·하빈현으로 행정 계통이 양분되었으며, 대구현 등은 성주군 관하에 있었다.[13] 1143년(고려 인종 21년) 대구현이 현령관으로 승격하여 하빈현, 화원현을 영속하였다.[13]

1203년(고려 신종 6년) 무신정권기에 부인사 승려의 반무신란이 있었다.[13] 1232년(고려 고종 19년) 몽골 제국의 침입으로 팔공산 부인사의 초조대장경이 소실되었다.[14] 1255년(고려 고종 42년) 공산성에서 항몽 투쟁이 있었다.[13]

후삼국 시대(892~936) 동안 대구는 처음에는 후백제와 연합했다.[13] 927년, 대구 북부에서는 왕건이 이끄는 고려군과 견훤이 이끄는 후백제군 사이에 공산 전투가 벌어졌다.[13] 이 전투에서 고려군은 대패했고, 왕건은 신숭겸 장군의 활약으로 간신히 목숨을 건졌다.[13] 그러나 이때 후백제군의 잔혹 행위로 인해 지역 주민들의 여론이 왕건에게 기울었고, 그는 후에 고려의 왕이 되었다.[13]

이 지역의 많은 지명과 전설들은 927년의 역사적인 전투를 증명한다.[13] 그중에는 왕건이 전투에서 도망친 후 처음으로 멈춰섰다고 전해지는 "안심(安心, 안심역)"과 그가 고려로 돌아가기 전 달을 바라보며 멈춰섰다고 전해지는 "반월(半月, 안산 반월동)"이 있다.[13] 대구 북부에는 이 전투를 기념하는 조각상과 신숭겸 장군을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13]

2. 4. 조선

대구는 조선 시대에 서울과 부산을 잇는 영남대로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고, 이 대로와 경주 및 진주로 향하는 도로의 교차점에 자리 잡아 중요한 교통 중심지 역할을 했다. 1394년(태조 3년) 대구현이 수성현·해안현·하빈현을 영속하였다.[78] 1419년(세종 원년) 5월 대구현·수성현·해안현·하빈현 이상 4개 현을 통합하여 '''대구군'''으로 승격하였다. 1466년(세조 12년) 대구군을 '''대구도호부'''로 승격하였다. 1590년(조선 선조 23년) 대구읍성이 토성으로 축성되었다. 1592년(조선 선조 25년) 임진왜란 중 대구읍성은 파괴되었다.[79]

1601년(조선 선조 34년) 경상도 감영을 대구부로 이전, 설치하였다. 이 무렵부터 대구는 주요 도시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화원현·경산현·하양현을 편입하였다. 1607년(조선 선조 40년) 경산현·하양현은 대구도호부 관할에서 분리되었다. 1684년(조선 숙종 10년) 풍각현의 각북면·각현내면·각초동면·각이동면 이상 4개 면이 대구도호부에 편입되었다. 1658년(효종 9년) 약령시가 경상감영 안의 객사 주변에서 처음 열리기 시작하였다. 약령시는 조선 시대 한약재 거래의 중심지였으며, 인근 국가의 구매자들까지 끌어들였다. 낙동강 유역을 벗어날 수 없었던 일본 상인들은 대신 사자를 고용하여 약령시를 방문했다.[80]

1736년(조선 영조 12년) 대구읍성이 석성으로 4월에 축조에 들어가 이듬해 6월 완공하고, 11월 선화당에서 준공식을 가졌다. 1750년(조선 영조 26년) 유생 이양채가 '구(丘)'자가 대성 공자의 휘자에 저촉되므로 피해야 한다며, 대구(大丘)를 대구(大邱)로 개칭할 것을 상소하였다. 정조·헌종 때는 대구(大丘)와 대구(大邱)로 혼용하다가 철종 이후에는 대구('''大邱''')만 사용하였다.

1895년 6월 23일(고종 32년 음력 윤5월 1일) 8도(道)제가 폐지되고 23부제가 실시되어, '''대구도호부'''가''' '''대구부''' 대구군으로 강등되었다. 1896년(건양 원년) 8월 4일 13도제가 실시되어, 경상북도 '''대구군'''이 되었다.

18세기 대구


2. 5. 대한제국

1895년(조선 고종 32년) 경상감영이 폐지됨과 함께 대구군으로 개편되어 부청 소재지가 되었다.[15] 1898년 대구에 독립협회 지부가 설립된 이후로 제국주의 침략에 대한 독립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16]

1899년(광무 3년) 7월 대구 최초 근대 중등교육기관 달성학교(현 경운중학교의 전신)가 설립되었다. 1902년(광무 6년)에는 애덤스 선교사에 의해 여성교육기관인 신명여자소학교가 처음 문을 열었다. 1905년(광무 9년)에는 달성공원이 조성되었다.

1906년(광무 10년) 9월 24일 대구군 소속 4개 면이 청도군으로 이속되었고,[81] 10월에는 대구읍성 성벽이 박중양에 의해 황제의 윤허없이 철거되었다.[82] 이와 함께 경상감영의 선화당 정남쪽에 위치했던 포정문(布政門)의 문루인 관풍루를 지금의 달성공원으로 옮겼다.[83] 같은 해 일제 통감부 이사청이 설치되었다.

1907년(광무 11년) 2월, 대구에서 김광제, 서상돈 등이 중심이 되어 국채보상운동을 전개하여 전국적으로 큰 호응을 얻었다.[17] 같은 해 대구 첫 영화관 금좌(錦座)가 현재 태평로2가에 문을 열었고, 애덤스 선교사의 부인 부르엔(Marda Bruen)에 의해 여자중등학교인 신명여학교가 문을 열었다.[84] 1908년(융희 2년) 경상감영의 객사와 주요 건물이 파괴되었고, 약령시를 현재 남성로로 이전하였다. 1909년 경상북도관찰사로 부임한 박중양은 십자도로를 개통하였으며, 공사비는 국고에서 지원됐다.[82]

2. 6. 일제강점기

1910년 8월 29일 일본 제국대한제국을 병합하면서[85] 일제강점기에 대구는 일본어로 다이큐(大邱, たいきゅうJa)라고 불렀다. 같은 해 10월 1일 대구군을 '''대구부'''로 개칭하였다.[85] 1911년 11월 14일에는 동상면과 서상면을 통합해 대구면을 설치하였다. 1913년 대구역이 건립되고 322호에 전기가 들어왔다.

1914년 4월 1일 대구부를 분해하여, 도시 지역인 대구면만 '''대구부'''로 남기고,[86] 대구면을 제외한 대구부의 나머지 면과 현풍군달성군으로 개편되었다.[87] 1915년 1월 15일 서상일 등 영남지역 인사들은 조선국권회복단 중앙총부라는 비밀결사를 조직하였는데, 이는 3.1만세운동에서 대구지역 운동을 주도하였다.

1917년 4월 1일 달성군 수성면 대명동과 봉덕동의 각일부를 대구부에 편입해 대봉정을 신설하였다.[88] 1919년 3월 8일 독립만세운동이 일어났다. 19세기 후반부터 일본 제국주의는 한국 시장을 강제로 개방하기 시작했고, 1895년 대구에는 한국 최초의 근대 우체국 중 하나가 설립되었다.[15] 1898년 대구에 독립협회 지부가 설립된 이후로 제국주의 침략에 대한 독립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16] 1907년 대한제국이 멸망해 가는 시점에 서상돈을 중심으로 한 지역 주민들은 국채보상운동을 조직했다. 1919년 3·1 운동 당시 대구에서는 약 2만 3천 명의 시민이 참여한 4차례의 대규모 시위가 있었다.[17]

1920년 7월 1일 시내버스가 운행되었는데, 대구역을 기점으로 시내 각 방향은 물론 팔달교 및 동촌까지 운행하였다. 1923년 서문시장이 현재의 자리로 이동하였고, 같은 해 경북도립 대구의원이 설립되었는데, 이것이 경북대병원의 전신이다. 1927년 10월 16일 장진홍조선은행 대구지점에 폭탄을 투척하였고, 신간회 대구지회가 조직되었다. 1932년 대구 최초의 백화점 이비시야 백화점이 등장하였다.

1938년 10월 1일 달성군 수성면, 달서면 일부(감삼동 제외), 성북면 일부(동변동·서변동·연경동 제외)을 대구부에 편입하였고,[89] 11월 2일 옛 수성면, 옛 달서면, 옛 성북면 지역에 대구부 동부출장소·서부출장소·북부출장소가 각각 설치되었다.[90] 1941년 대구 약령시가 폐쇄되었다. 1942년 대구공립상업고등학교 학생들 중심으로 태극단 학생독립운동이 일어났다.

2. 7. 미군정기

1945년 9월 29일 대구역에서 열차 충돌 사고로 73명이 사망하고 120여명이 중상을 입었다. 1946년 10월 1일에는 대한민국 건국 이후 가장 심각한 사회적 혼란 중 하나인 대구 10·1 사건이 발생하여, 경찰이 시위대 3명을 사살하고 많은 부상자를 냈다.[18][19] 1947년 4월 1일 일본식 동명이 한국식 동명으로 개정되었다.

동의명칭변경에관한규정
구 행정구역 (법정동)신 행정구역
대구부 명치정1·2정목, 본정1·2정목, 서성정1·2정목, 경정1·2정목, 원정1·2정목, 금정1·2정목, 동성정1~3정목대구부 계산동1·2가, 서문로1·2가, 서성로1·2가·종로1·2가·북성로1·2가·태평로2·3가·동성로1~3가
대구부 팔운정, 수정(壽), 시장정, 북내정, 횡정, 시장북통, 서내정, 남성정, 수정(竪), 달성정, 팔중원정, 덕산정, 대화정, 동천대전정, 서천대전정, 동운정, 행정, 궁정, 삼립정, 남용강정, 북용강정, 남정, 동본정, 남욱정, 북욱정, 전정(田), 전정(前), 영정, 봉산정, 촌상정, 칠성정, 상정, 동문정, 상서정, 하서정, 신정, 남산정, 대봉정대구부 수창동, 수동, 동산동, 북내동, 서야동, 시장북로, 서내동, 남성로, 인교동, 달성동, 도원동, 덕산동, 대안동, 동일동, 장관동, 동인동, 태평로1가, 사일동, 삼덕동, 공평동, 완전동, 남일동, 교동, 문화동, 상덕동, 화전동, 전동, 용덕동, 봉산동, 향촌동, 칠성동, 포정동, 동문동, 상서동, 하서동, 대신동, 남산동, 대봉동



1940년대 후반, 대구와 경상북도 전역에서는 수천 명의 피난민이 전라도의 전투를 피해 대구로 피난을 오면서 게릴라 활동이 심했다.[21] 1948년 11월에는 대구의 한 부대가 여수에서 시작된 반란에 가담했다.[22] 한국 전쟁 중에는 낙동강을 따라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으나, 대구는 부산 주변 지역 안에 있었기 때문에 전쟁 내내 대한민국 수중에 남았다. 북한군의 낙동강 도하를 막은 전투는 대구 전투로 알려지게 되었다.

2. 8. 대한민국

1949년 8월 15일 대구부에서 '''대구시'''로 개칭하였다.[91] 1950년 7월 16일 6.25전쟁으로 인해 8월 17일까지 대한민국의 임시 수도가 되었으며, 대한민국 육군본부 주한 미8군 사령부가 이전 설치되었다. 1960년 2월 28일 대구지역 고등학생들은 2.28학생의거를 일으켰고, 이는 4.19의거로 연결되었다.[20]

1981년 7월 1일 경상북도 대구시, 달성군 월배읍·성서읍·공산면칠곡군 칠곡읍, 경산군 안심읍·고산면 일원을 편입하여 '''대구직할시'''가 설치되었다.[100] 1983년 11월 15일 어린이회관을 개관하였고, 1984년 6월 27일 88올림픽고속도로가 개통되었다. 1984년 7월 중순에는 대구 인구가 200만 명을 돌파하였다. 1991년 3월 26일에는 성서 초등학생 5명이 실종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1991년 7월 8일 지방자치제도의 부활로 대구직할시의회가 개원하였다.

1995년 1월 1일 지방자치제가 실시되면서 '''대구광역시'''로 개칭하였다.[102] 1995년 3월 1일 달성군 전역을 경상북도로부터 편입하였다. (7구 1군) 1995년 4월 28일 대구 상인동 가스 폭발 사고가 일어나 101명이 사망하였다. 1996년 12월 대구 인구는 250만 명을 돌파하였다.

2003년 2월 18일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의 발생으로 192명의 사망자와 148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다. 2003년 8월 21일부터 8월 31일까지 200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가 개최되었다. 2011년 8월 27일부터 9월 4일까지 2011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가 개최되었으며, 이는 대한민국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스웨덴, 일본, 독일에 이어 FIFA 월드컵, 하계 올림픽,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등 국제 스포츠 3대 이벤트를 모두 개최하는 7번째 국가가 되는 계기가 되었다.

대구 2011 세계육상선수권대회 개막식


2013년 10월 13일부터 10월 17일까지 세계에너지총회가, 2015년 4월 12일부터 4월 17일까지 제7차 세계 물 포럼이 열렸다. 2023년 7월 1일 군위군 전역을 경상북도로부터 편입하였다. (7구 2군)

3. 지리

대구광역시한반도 동남부 내륙에 위치한 광역시이다. 대구는 영남 지방 내륙 지방의 중앙에 위치한다. 동쪽으로 경상북도 경산시, 영천시, 서쪽으로 고령군, 성주군, 북쪽으로 의성군, 칠곡군, 남쪽으로 청도군, 경상남도 창녕군과 경계를 접한다.

동성로와 중앙로를 중심으로 도심을 형성하고 있다.

== 지형 ==

대구는 높고 규모가 큰 산줄기로 둘러싸인 분지 지형이다. 북쪽에는 팔공산(1,193m)의 산줄기가 이어져 있고, 남쪽으로는 비슬산(1,084m)의 높은 산줄기가 이어져 있다. 서쪽에는 와룡산, 동쪽에는 일련의 작은 언덕들이 있다. 하천으로는 신천이 남에서 북으로 흐르고 북쪽에서 금호강과 합쳐진다. 대구 시가지는 신천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넓게 펼쳐져 있다. 금호강은 도시의 북쪽과 동쪽 가장자리를 따라 흐르며, 도시 서쪽에서 낙동강으로 유입된다.

대구시 전경, 지산동범물동


대구 수성구 고산 지역 전경


== 기후 ==

대구는 전체적인 강수량이 적은 소우지이다.[103] 최고기록기온은 40.0℃(1942년 8월 1일), 최저기록기온은 -20.2℃(1923년 1월 19일)를 기록한 바 있다. 대구는 대한민국에서 여름 평균 기온이 높은 편으로, 1942년에 기록한 40.0℃는 대한민국에서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최고 기온이었다.(2018년 홍천군에서 41.0℃ 기록)[29] 이러한 기후 특성으로 인해 지리적 기후 구분으로는 남부 내륙 중에서도 '대구 특수형 기후'에 속한다.[103]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대구의 기후는 온대 하우 기후(Cwa)를 띄고 있다.[103]

분지 지형은 덥고 습한 공기를 가두고, 겨울에는 차가운 공기가 분지에 고여 있게 만든다. 대구는 여름 우기 외에는 강수량이 적고 일 년 내내 햇볕이 많다. 1961년 이후 자료에 따르면 대구에서 가장 추운 달인 1월의 평균 기온은 0.6°C이고, 가장 더운 달인 8월의 평균 기온은 26.4°C이다.

2014년에는 고온으로 인해 인터넷 커뮤니티를 시작으로 '대프리카'(대구+아프리카)라는 새로운 용어가 등장하여 언론, 방송 등에서 사용되었다.[30] 2015년에는 대구에서 교통 원뿔이 폭염으로 녹았으며,[31] 2023년 7월 31일과 8월 3일[36]에는 대구 같은 구의 여러 지역에서 중앙분리대가 폭염을 견디지 못하고 녹았다.

대구의 북쪽 지역이며 2023년 7월 경상북도에서 대구로 편입된 군위군의 기후는 대구 대부분 지역과 상당히 다르다. 군위는 온대 대륙성 기후(''Dwa'')와 온대 습윤 기후(''Cwa'')의 경계에 걸쳐 있으며, 대구의 다른 지역보다 겨울이 더 춥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저 기온(°C)-2.9-1.13.38.814.118.822.823.118.011.44.8-1.2
평균 최고 기온(°C)5.98.814.220.625.728.730.831.327.022.014.97.9
강수량(mm)18.625.449.070.677.9129.2223.9245.3142.450.129.718.7

[71][72]

== 지질 ==

대구광역시의 지질은 경상 분지에 속한다.

3. 1. 지형

대구는 높고 규모가 큰 산줄기로 둘러싸인 분지 지형이다. 북쪽에는 팔공산(1,193m)의 산줄기가 이어져 있고, 남쪽으로는 비슬산(1,084m)의 높은 산줄기가 이어져 있다. 서쪽에는 와룡산, 동쪽에는 일련의 작은 언덕들이 있다. 하천으로는 신천이 남에서 북으로 흐르고 북쪽에서 금호강과 합쳐진다. 대구 시가지는 신천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넓게 펼쳐져 있다. 금호강은 도시의 북쪽과 동쪽 가장자리를 따라 흐르며, 도시 서쪽에서 낙동강으로 유입된다.

3. 2. 기후

대구는 전체적인 강수량이 적은 소우지이다.[103] 최고기록기온은 40.0℃(1942년 8월 1일), 최저기록기온은 -20.2℃(1923년 1월 19일)를 기록한 바 있다. 대구는 대한민국에서 여름 평균 기온이 높은 편으로, 1942년에 기록한 40.0℃는 대한민국에서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최고 기온이었다.(2018년 홍천군에서 41.0℃ 기록)[29] 이러한 기후 특성으로 인해 지리적 기후 구분으로는 남부 내륙 중에서도 '대구 특수형 기후'에 속한다.[103]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대구의 기후는 온대 하우 기후(Cwa)를 띄고 있다.[103]

분지 지형은 덥고 습한 공기를 가두고, 겨울에는 차가운 공기가 분지에 고여 있게 만든다. 대구는 여름 우기 외에는 강수량이 적고 일 년 내내 햇볕이 많다. 1961년 이후 자료에 따르면 대구에서 가장 추운 달인 1월의 평균 기온은 0.6°C이고, 가장 더운 달인 8월의 평균 기온은 26.4°C이다.

2014년에는 고온으로 인해 인터넷 커뮤니티를 시작으로 '대프리카'(대구+아프리카)라는 새로운 용어가 등장하여 언론, 방송 등에서 사용되었다.[30] 2015년에는 대구에서 교통 원뿔이 폭염으로 녹았으며,[31] 2023년 7월 31일과 8월 3일[36]에는 대구 같은 구의 여러 지역에서 중앙분리대가 폭염을 견디지 못하고 녹았다.

대구의 북쪽 지역이며 2023년 7월 경상북도에서 대구로 편입된 군위군의 기후는 대구 대부분 지역과 상당히 다르다. 군위는 온대 대륙성 기후(''Dwa'')와 온대 습윤 기후(''Cwa'')의 경계에 걸쳐 있으며, 대구의 다른 지역보다 겨울이 더 춥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저 기온(°C)-2.9-1.13.38.814.118.822.823.118.011.44.8-1.2
평균 최고 기온(°C)5.98.814.220.625.728.730.831.327.022.014.97.9
강수량(mm)18.625.449.070.677.9129.2223.9245.3142.450.129.718.7

[71][72]

3. 3. 지질

대구광역시의 지질은 경상 분지에 속한다.

4. 행정

대구광역시청 동인청사


대구광역시의 행정구역


대구광역시는 7개 구와 2개 군으로 이루어져 있다. 2022년 12월 31일 주민등록 인구는 1,070,873세대 2,417,055명이다.[107]

자치구·군한자세대인구 (명)면적 (km2)
중구中區40,74980,9657.06
동구東區159,422341,326182.15
서구西區81,116159,82717.32
남구南區76,401141,51917.43
북구北區192,697436,17393.99
수성구壽城區171,480413,18076.53
달서구達西區235,883547,38762.37
달성군達城郡113,125268,788428.36
군위군軍威郡13,69323,796614.31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1,084,5662,412,9611,499.52
2023년 기준[108]



행정 구역


대구광역시는 7개 구와 2개 군으로 나뉜다.

  • 중구
  • 동구
  • 서구
  • 남구
  • 북구
  • 수성구
  • 달서구
  • 달성군
  • 군위군

4. 1. 경북권

대도시권 교통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에 의하여 대구광역시, 경상북도구미시, 영천시, 경산시, 의성군, 청도군, 고령군, 성주군, 칠곡군, 경상남도창녕군이 경북권으로 규정되어 있다. 2026년 7월 대구경북이 통합될 예정이다.

4. 2. 주거 지구

범물지구


택지개발사업은 대구도시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등에서 공영개발 방식으로 추진하고 있다. 무주택 시민에게 양질의 택지를 저렴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도로·수도·전기·통신·도시가스·난방 등 생활기반 시설을 모두 갖추고 있고, 공원·학교·녹지·운동장 등 공공시설과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대구도시공사 시행대한주택공사 시행한국토지공사 시행한국토지주택공사 시행
지산지구 (1992년), 범물지구 (1993년), 상인지구 (1994년), 노변지구 (1995년), 시지지구 (1997년), 용산지구 (1998년), 장기지구 (1999년), 동서변지구 (2002년), 죽곡1지구 (2007년), 죽곡2지구 (2010년), 등촌지구 (2014년), 각산지구 (2015년)불로지구 (1986년), 송현지구 (1987년), 월배지구 (1987년), 안심1지구 (1987년), 천내1지구 (1988년), 천내2지구 (1990년), 월성지구 (1992년), 칠곡1지구 (1993년), 칠곡2지구 (1994년), 안심2지구 (1994년)성서지구 (1997년), 대곡지구 (1997년), 칠곡3지구 (2000년), 명곡1지구 (2001년), 동호지구 (2002년), 명곡2지구 (2002년), 본리지구 (2004년), 칠곡4지구 (2005년), 율하1지구 (2008년), 매천지구 (2008년)율하2지구 (2009년), 금호지구, 신서지구, 옥포지구 (2016년), 연경지구 (2018년)


4. 3. 비전

대구광역시의 일반행정은 대구광역시청이, 유·초·중등교육행정은 대구광역시교육청이 담당한다. 시청은 동인청사와 산격청사로 나눠져 있는데, 동인청사의 소재지는 중구 동인동 1가이고, 산격청사는 산격동의 옛 경상북도청 건물을 사용하고 있다.

4. 4. 치안

대구경찰청은 대구시민들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서 경찰 치안대를 가동시키기로 했다. 2021년 대한민국 치안률 순위 1위 도시에 지정되었다.[109]

4. 5. 환경지수

2020년 기준 세계 공기질 지수에서 대구광역시가 전국에서 가장 공기질이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도시임에도 녹지 조성을 활발히 한 공로로 친환경 도시가 조성된 결과이다. 대구는 1996년부터 이어온 ‘도시 식히기’ 정책으로 여름 기온을 관리해왔다. 대표적인 사업이 바로 문희갑 시장 시절 시작된 ‘푸른대구 가꾸기’다. 대구시는 1996년부터 지난해까지 도심에 나무 3677만 3958그루를 심었다. 사업비로 현금 1조 2142억원을 들인 장기 프로젝트를 진행해 2016년에 성사시켰다.

4. 6. 첨단기술

wikitable

대구광역시 미래비전 2030
비전World Smart Leader, DAEGU
목표Again! 대한민국 대도약의 심장, 첨단기술과 휴머니즘의 도시, 글로벌 Top 30 도시
추진방향글로벌 미래산업 허브월드클래스 대도시권의 중심시민이 행복한 도시 공동체
핵심사업


5. 인구

대구광역시의 인구는 1925년 76,534명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990년에는 2,229,040명에 달했다.[112][113] 1981년에는 대구직할시로 승격되었으며,[112][113] 1981년 7월 1일 달성군 성서읍·월배읍·공산면, 경산군 안심읍·고산면, 칠곡군 칠곡읍이 대구직할시로 편입되면서 인구가 크게 증가했다.[112][113] 1995년에는 경상북도 달성군이 편입되었다.[112][113]

2000년대 들어서 인구는 250만 명 선에서 증감을 반복하다가, 2010년대 후반부터 감소세로 돌아섰다. 2024년 10월 기준 대구광역시의 인구는 2,364,892명이다.

연도총인구비고
1925년76,534명
1930년93,319명
1935년107,414명
1940년178,923명1938년 달성군 수성면·달서면·성북면이 대구부로 편입
1944년206,638명
1949년313,705명
1955년487,252명
1960년676,692명1958년 달성군 동촌면·성서면·월배면·가창면·공산면이 대구시로 편입
1966년845,189명1963년달성군 성서면·월배면·가창면·공산면에 해당하는 법정동이 달성군으로 환원 (가창면 파동 제외)
1970년1,063,553명
1975년1,310,768명
1980년1,604,934명1981년 대구직할시로 승격
1985년2,029,853명1981년 7월 1일 달성군 성서읍·월배읍·공산면, 경산군 안심읍·고산면, 칠곡군 칠곡읍이 대구직할시로 편입
1990년2,229,040명
1991년2,238,146명1990년까지는 상주인구조사 결과, 1991년 이후는 주민등록인구통계(외국인 포함)
1992년2,286,305명
1993년2,315,353명
1994년2,346,956명
1995년2,485,977명경상북도 달성군 편입
1996년2,490,960명
1998년2,504,645명
1999년2,517,203명
2000년2,538,212명
2001년2,539,587명
2002년2,540,647명
2003년2,544,811명
2004년2,539,738명
2005년2,525,836명
2006년2,513,219명
2007년2,512,670명
2008년2,512,601명
2009년2,509,187명
2010년2,532,077명
2011년2,529,285명
2012년2,527,566명
2013년2,524,890명
2014년2,518,467명
2015년2,513,970명
2016년2,511,050명
2017년2,501,673명
2018년2,489,802명
2019년2,468,222명
2020년2,446,144명
2021년2,412,642명

[112][113]

2015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대구광역시 인구의 23.8%가 불교를, 19.7%가 기독교(프로테스탄티즘 12%, 가톨릭 7.7%)를 믿는다고 한다. 55.8%의 인구는 무종교이다.[50]

6. 교육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계명대학교 본관

계명대학교 본관


대구광역시와 위성 도시들은 한국에서 사립 고등교육기관이 가장 많은 지역 중 하나이다. 이들 대학교의 많은 본캠퍼스는 대구 지역을 대학 도시로서 지원하는 인근 경산시에 위치해 있다. 경북대학교(KNU)는 한국에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잘 조직된 국립대학교 중 하나이다. 경북대학교는 많은 학문 분야에서 대구광역시 및 그 주변 지역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영어은 한국 최고의 과학기술 분야 대학으로 인정받고 있다. DGIST는 KAIST, UNIST, GIST와 함께 한국의 4개 과학기술원 중 하나이다. 2003년 12월 11일 제정된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법률 제699호)'에 따라 설립되었다. 2019년 DGIST는 https://www.natureindex.com/supplements/nature-index-2019-young-universities/tables/rising '급성장하는 젊은 대학 25선'에 선정되었다.[54] 대구에는 서울을 제외하고 가장 권위 있는 사립대학인 영남대학교(YU)와 계명대학교가 있다. 대구가톨릭대학교와 대구대학교와 같은 규모가 더 작은 사립대학들도 있다. 대구교육대학교는 초등교육을 담당한다.

다른 대학교 및 대학으로는 대구예술대학교, 대구사이버대학교, 대구한의대학교, 대구보건대학교, 대구미래대학교, 대구폴리텍대학, 대구공업대학교, 대신대학교, 계명대학교, 경북과학대학교, 경일대학교, 대경대학교, 영진전문대학교, 영남이공대학교, 영남신학대학교가 있다.

대구의 여러 대형 대학병원들이 이 도시를 한국 남동부의 의료 중심지로 만들고 있다. 1907년 일본인에 의해 '대구동인의원'으로 설립된 경북대학교병원은 대구에서 가장 잘 알려진 병원이다. 1899년 '제중원'으로 설립된 계명대학교 부속 동산병원은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서양식 의료 시설 중 하나이다. 영남대학교병원은 대구에서 병상 수가 가장 많다. 이들 3차 병원들의 연간 진료 건수는 서울 다음으로 한국에서 두 번째로 많다.[55]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도 이들에 포함된다.

  • 대구국제학교
  • 교육청
  • * 대구광역시교육청
  • ** 남부교육지원청
  • ** 달성교육지원청
  • ** 동부교육지원청
  • ** 서부교육지원청
  • ** 군위교육지원청
  • 함지고등학교
  • 강북고등학교
  • 매천고등학교
  • 성산고등학교


대구의 국제학교는 다음과 같다.

  • 대구국제학교[56]
  • 대구중국소학교 또는 한국대구화교초등학교 (한국대구화교초등학교한국어)[57]
  • 대구화교중고등학교

대구 신당초등학교는 대구광역시 달서구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로, 계명대학교 캠퍼스 근처에 있다. 교훈은 "정직하고 슬기롭고 씩씩한 어린이 육성"이며, 교화는 목련, 교목은 소나무이다. 대구 신당초등학교는 스포츠, 음악, 학업 분야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어 많은 상을 수상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또한 창의 인재 교육 연구학교 및 방과후학교 운영 우수학교로 지정되었다. 2020년에는 대구 신당초등학교 학생들이 FIRST LEGO League (FLL) 로봇 경진대회 한국 대회에서 1위를 차지했다.[58] 2023년에는 학교 학생이 제12회 대한민국 다문화 어린이상을 수상했다.[59]

'''국립'''
'''사립'''

  • 계명대학교
  • 대구가톨릭대학교(유스티노 캠퍼스, 루카 캠퍼스)
  • 대구대학교(대명동 캠퍼스)
  • 대구한의대학교(수성 캠퍼스)
  • 영남대학교(대구 캠퍼스)
  • 계명문화대학교
  • 대구공업대학교
  • 대구과학대학교
  • 대구보건대학교
  • 수성대학교
  • 영남이공대학교
  • 영진전문대학교
  • 한국폴리텍대학 (대구캠퍼스, 달성캠퍼스, 영남융합기술캠퍼스)


대구광역시 교육기관 (2021년)
학교별대학교전문대학교고등학교중학교초등학교유치원
학교수8184894125232342
학생수404,95573,25848,75663,07462,755121,30833,958
교원수28,0642,4769646,5005,4628,9702,938
자료 : 2022 시정현황



, 대구광역시에는 초등학교 232개교, 중학교 125개교, 고등학교 94개교가 있다.[53] 대구과학고등학교와 대구외국어고등학교 등 2개의 특수목적고등학교가 있으며, 경신고등학교, 대륜고등학교, 계성고등학교 등 대학 진학률이 높은 고등학교들이 있다. 잘 알려진 고등학교 대부분은 교육 수준과 열기가 전국적으로 높은 수성구에 위치해 있다.

또한, 대구광역시에는 계성고등학교(계성고등학교라고도 함), 경신고등학교, 경일여자고등학교, 대구가톨릭고등학교 등 4개의 자립형 사립고등학교가 있다.

대구광역시 교육기관 (2022년)
학교별대학교전문대학고등학교중학교초등학교유치원특수학교기타
학교수8054894125233327113
학생수383,55060,65746,07758,65361,847121,51532,8501,829122
교원수27,8432,1889506,4365,4359,0972,94270887
자료 : 2023 시정현황[114]


6. 1. 교육 수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평가한 내용에 따르면 대구 수성구는 2010년도부터 2020년까지 전국 수능 순위 1위~2위를 기록했다.[115][116][117] 2021년 기준으로 대구광역시의 교육기관과 학생 수, 교원 수는 아래 표와 같다.

대구광역시 교육기관 (2021년)
학교별대학교전문대학교고등학교중학교초등학교유치원
학교수8184894125232342
학생수404,95573,25848,75663,07462,755121,30833,958
교원수28,0642,4769646,5005,4628,9702,938
자료 : 2022 시정현황


7. 문화

2020년 4월, 한국관광공사는 야간관광 100선으로 대구의 ‘아양기찻길’, ‘앞산공원’, ‘수성못’, ‘서문시장 야시장’을 선정하였다.[118] 대구시는 대한민국 관광산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도시 환경을 아름답게 꾸미기 위해, 선정된 5개 장소를 비롯하여 숨겨진 야간 관광 자원들을 적극 발굴해 육성하기로 했다.[119]

경북대학교 테크노파크에서 바라본 대구 스카이라인


일반적으로 대구는 보수적인 도시로 알려져 있다. 서울 다음으로 국내 최대 규모의 내륙 도시일 뿐만 아니라, 주요 대도시 중 하나로 성장했다. 전통적으로 불교가 강세였으며, 오늘날에도 많은 사찰이 있다. 유교 또한 대구에서 인기가 많으며, 대규모 서원이 도시에 자리 잡고 있다. 도시 곳곳에서는 십자가 꼭대기에 네온사인이 빛나는 기독교 교회들도 볼 수 있다.

7. 1. 상징

대구광역시를 상징하는 꽃은 목련(1972년 7월 18일 지정), 나무는 전나무(1972년 7월 18일 지정), 새는 독수리(1983년 7월 1일 지정)이다.

대구광역시의 새대구광역시의 나무대구광역시의 꽃
독수리 (ワシ)전나무 (モミ)목련 (モクレン)



팔공산과 낙동강을 이미지화한 것으로, 미래지향적인 진취성과 세계지향적인 개방성을 추구하는 활기찬 도시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대구광역시의 캐릭터는 한국의 전통적인 비천상 문양의 미적 감각을 21세기 세계적인 섬유 패션 도시로 발전시킨다는 대구시의 이미지와 조화되도록 형상화된 것으로, 섬유 패션 도시를 상징하는 「Fashiony」이다. 다채로운 색상은 다양하고 화려함을 의미하며, 젊고, 밝고, 훌륭하고, 화려하며, 활기찬 도시 이미지를 제공하여 발전하는 다양한 모습의 대구를 표현하고 있다.

7. 2. 축제

대구광역시의 대표적인 축제로는 컬러풀대구페스티벌, 국제오페라축제, 대구 치맥 페스티벌, 국제뮤지컬페스티벌이 있다.[48] 컬러풀대구페스티벌은 매년 5월에 열리는 대구광역시의 대표적인 시민축제로 다양한 문화 예술 체험행사와 화려한 퍼레이드를 자랑한다.[48] 유네스코(UNESCO) 음악 창조 도시로 선정된[48] 대구는 국제뮤지컬페스티벌(DIMF)을 2006년부터 매해 개최하여 대구시민은 물론 세계인과 함께 뮤지컬을 향유하고 있다.[48] 대구 치맥 페스티벌은 치킨맥주(maekju)를 모토로 탄생한 페스티벌[48]로, 매년 100만 명의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으며,[49] 치킨과 맥주 그리고 체험 공간까지 있어, 관광객의 오감을 만족시킨다.[48] 「대구국제오페라축제」는 대구오페라하우스의 개관을 계기로 하여 매년 9~10월경에 열리며,[48] 지역의 풍부한 음악적 역량을 활용하고 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하여 타 도시와 차별화된 축제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대구광역시가 개최하고 있다.[48]

대구치맥페스티벌


근대화 과정에서 많은 전통 의례와 농경 사회의 축제들이 사라졌다. 대구향교에서는 봄과 가을에 석전대제라는 유교식 의례가 거행된다. 양녕시 한방약초축제와 옻골마을축제는 전통 문화를 주제로 한 현대적인 축제이다.

2003년부터 10월에 개최되는 대구국제오페라축제(DIOF), 대구국제뮤지컬축제(DIMF), 대구국제바디페인팅축제(DIBF)는 역사는 비교적 짧지만 한국에서 각 분야를 대표하는 가장 유명한 축제 중 세 가지이다.

다채로운 대구축제, 동성로 축제, 팔공산 단풍축제, 비슬산 철쭉제, 코리아 인 모션 대구 등 다양한 주제의 여러 축제들이 시, 구·군 또는 특정 단체에 의해 연중 개최된다.

2008년 8월 25일부터 8월 31일까지 대구에서는 오스트리아 제보덴(Seeboden)에서 열리는 세계 바디페인팅 페스티벌(World Bodypainting Festival)의 자매 행사인 최초의 아시아 바디페인팅 페스티벌이 개최되었다.

매년 대구국제재즈페스티벌(Daegu International Jazz Festival)이 개최된다.

7. 3. 문화재

대구광역시에는 국가지정문화재 87점(국보 3점, 보물 66점, 사적 9점, 천연기념물 2점, 국가민속문화재 5점, 국가무형문화재 2점)과 시지정문화재 114점(유형문화재 76점, 무형문화재 17점, 기념물 17점, 민속문화재 4점), 등록문화재 11점, 문화재자료 53점 등 총 265점의 문화재가 있다.

동화사 풍경


대구의 대표적인 관광지로는 팔공산 관봉 정상에 있는 갓바위가 있다. 갓바위는 독특한 갓을 쓰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소원을 빌기 위해 찾는다.[44] 갓바위는 행정구역상 경상북도 경산시에 있다. 시 외곽에는 동화사, 파계사, 부인사 등 많은 전통 사찰이 있다. 동화사는 493년 극달화상이 창건한 사찰로 주변에 많은 유물이 남아 있다. 도동서원과 녹동서원 같은 서원들도 교외에 있다.

오촌마을, 인흥마을 같은 옛 마을들도 잘 보존되어 있다. 도시 지역에는 경상감영과 대구향교를 비롯한 조선시대 행정 및 교육 시설들이 남아 있다. 당시 대구의 주요 관문이었던 영남제일문은 망우당공원에 복원되었다. 계산성당과 제일교회 구 건물과 같은 서양식 근대 건축물들도 도시 곳곳에 남아 있다. 계산성당은 한국에서 세 번째로 오래된 고딕 양식의 건축물[45]이며, 한국천주교회 대구대교구의 대성당으로, 대한민국의 가톨릭 3대 대교구 중 하나이다. 현재 계성고등학교와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중·고등학교 건물들 또한 유명하다.

남성로에 위치한 약령시는 350년 역사를 가진 한국 최고(最古)의 한약재 시장이다. 봉산동은 1990년대부터 미술관과 작업실들이 들어서면서 대구의 예술 중심지로 발전하고 있다.

인근 관광지로는 해인사가 있다. 해인사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불교 경전 목판본인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한국불교 사찰이다. 해인사는 경상남도 합천군의 가야산국립공원에 있다. 고대 신라 왕국의 수도였던 경주는 대구의 동쪽에 있다.

7. 4. 시티투어

대구시의 관광자원을 널리 홍보하기 위하여 2000년 12월 2일 시작된 시티투어는 각종 문화유적, 관광지, 시정현장 등을 순회하며 대구의 문화와 역사, 관광지 등을 둘러볼 수 있는 관광 체험 프로그램이다.[44] 대구의 가장 유명한 관광지는 팔공산 관봉 정상에 있는 갓바위(석불)이다. 이 석불은 독특한 갓(한국 전통 모자)을 쓰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며, 전국에서 많은 사람들이 소원 성취를 기원하며 찾는 곳이다. 행정구역상으로는 인근 경상북도 경산시에 위치해 있다.

시 외곽의 산들에는 동화사, 파계사, 부인사 등 많은 전통 사찰이 있다. 동화사는 493년 극달화상이 창건한 불교 사찰로, 사찰 주변에는 당시 유물이 많이 남아 있다. 국제관광선센터는 한국 유일의 선(禪) 불교를 주제로 한 센터이다. 도동서원(도동서원/道東書院한국어)과 녹동서원(녹동서원/鹿洞書院한국어)과 같은 서원들도 교외에 위치해 있다.

오촌마을(경주 최씨 본관 지역)과 인흥마을(남평 문씨)과 같은 옛 마을들도 잘 보존되어 있다. 도시 지역에는 경상감영(경상감영/慶尙監營한국어)과 대구향교(대구향교/大邱鄕校한국어)를 비롯한 조선시대의 행정 및 교육 시설들이 남아 있다. 당시 대구의 주요 관문이었던 영남제일문(영남제일문/嶺南第一門한국어, 영남의 첫 번째 관문이라는 뜻)은 망우당공원에 복원되었다. 계산성당과 제일교회 구 건물과 같은 서양식 근대 건축물들도 도시 곳곳에 남아 있다. 계산성당은 한국에서 세 번째로 오래된 고딕 양식의 건축물[45]이며, 한국천주교회의 대구대교구의 대성당으로, 대한민국의 가톨릭의 3대 대교구 중 하나이다. 현재 계성고등학교와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중·고등학교 건물들 또한 유명하다.

남성로에 위치한 약령시(약령시/藥令市한국어) (흔히 약전골목이라고 불림)는 35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 최고(最古)의 한약재 시장이다. 봉산동은 1990년대부터 미술관과 작업실들이 들어서면서 대구의 예술 중심지로 발전하고 있다.

인근 관광지로는 해인사가 있다. 해인사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불교 경전 목판본인 팔만대장경(대장경의 목판본)을 보관하고 있는 한국불교 사찰이다. 해인사는 경상남도 합천군의 가야산국립공원에 위치해 있다. 고대 신라 왕국의 수도였던 경주(경상북도)는 대구의 동쪽에 위치해 있다.

대구시의 관광자원을 널리 알리기 위해 2000년 12월 2일에 시작된 시티투어는 다양한 문화유적, 관광지, 시정 현장 등을 돌아보며 대구의 문화와 역사, 관광지를 둘러볼 수 있는 관광 체험 프로그램이다.

  • 도시 순환 코스[화~일(월 제외)]: 동대구역(출발/환승) → 대구국제공항(환승) → 대구삼성창조캠퍼스/대구오페라하우스 → 김광석거리 → 동성로 → 근대골목투어 → 팔공산 케이블카/서문시장(환승) → 이월드·두류공원 → 안지랑곱창골목 → 앞산전망대 → 수성못 → 국립대구박물관 → 동대구역(도착)
  • 팔공산 코스[화~일(월요일 제외)]: 청라언덕역/서문시장동대구역(환승) → 대구국제공항(환승) → 불로동고분군/섬유박물관 → 동화사 → 시민안전테마파크 → 방짜유기박물관 → 동대구역 → 청라언덕역/서문시장
  • 비슬산 코스[화, 금]: 청라언덕역/서문시장동대구역(환승) → 대구국제공항(환승) → 국립대구과학관 → 도동서원 → 송해공원(하계)/비슬산자연휴양림(동계) → 동대구역 → 청라언덕역/서문시장
  • 수성가창 코스[수, 토]: 청라언덕역/서문시장동대구역 → 김광석거리 → 수성못 → 녹동서원/한일우호관 → 대구미술관 → 모명재 → 동대구역 → 청라언덕역/서문시장
  • 낙동강 코스[목, 일]: 청라언덕역/서문시장동대구역(환승) → 대구국제공항(환승) → 사문진나루터 → 마비정 벽화마을 → 인흥마을 → The ARC → 동대구역 → 청라언덕역/서문시장
  • 야경 코스(4~10월)[금, 토]: 청라언덕역/서문시장 → 김광석거리 → 앞산전망대 → 수성못 → 청라언덕역/서문시장
  • 야경 코스(11~3월)[금, 토]: 청라언덕역/서문시장 → 김광석거리 → 청라언덕 → 83타워 → 청라언덕역/서문시장
  • 체험 테마 코스[일]: 엿 만들기 → 사과 따기 → 미술관 투어 → 목공예 체험 등 ※참가비 별도

7. 5. 공원

대구광역시에는 시민들의 휴식과 여가를 위한 다양한 공원들이 조성되어 있다. 달성공원은 1500년 된 토성 안에 위치한 역사적인 장소로, 동물원과 여러 기념물, 성벽이 있다.[46] 두류공원은 도시 한가운데 있는 넓은 숲으로, 대구문화예술회관, 이월드, 두류수영장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46] 특히 이월드 내에 있는 대구타워는 도시의 상징으로, 주변 경관을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가 있다.

두류공원


도심 속 공원으로는 경상감영공원,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2·28기념 중앙공원 등이 있다. 경상감영공원은 조선 시대 경상감영이 있던 곳이며,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에는 달구벌대종이 있어 매주, 매년 울린다.[46]

국채보상공원의 달구벌대종


팔공산자연공원과 비슬산자연공원은 대구를 대표하는 산림형 공원이다. 팔공산에는 동화사, 파계사, 부인사, 갓바위 등 여러 사찰과 시민안전테마파크 등이 있으며, 케이블카가 운행된다.[46] 비슬산에는 용연사, 유가사 등의 사찰과 참꽃군락지, 천연기념물 제435호 비슬산 암괴류가 있다.

대구수목원 다리


도시 남쪽에 위치한 앞산공원에는 많은 등산로와 불교 사찰, 낙동강 승전기념관이 있으며, 케이블카가 정상까지 운행한다.[46] 이 외에도 와룡산, 함지산, 용지봉이 시내에 위치해 시민들의 근린공원 역할을 한다.

공원명위치주요시설
달성공원중구 달성동ㆍ달구벌 토성, 향토역사관, 동물원, 관풍루, 최재우동상
경상감영공원중구 포정동ㆍ조선조 경상감영이 있었던 곳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중구 동인동ㆍ달구벌대종, 도서관, 영상시설, 화합의 광장, 명언의 오솔길
2·28기념 중앙공원중구 동인동ㆍ중앙분수, 실개천, 청소년광장
앞산공원남구 대명동ㆍ낙동강 승전기념관, 충혼탑, 안일사, 은적사
두류공원달서구 성당동ㆍ야외공연장, 대구문화예술회관, 관광정보센터, 두류도서관, 이월드
팔공산자연공원동구 도학동ㆍ동화사, 파계사, 부인사, 갓바위, 북지장사, 야영장(3개소)
비슬산자연공원달성군 유가읍ㆍ용연사, 유가사, 대견사, 대견봉



7. 6. 대구 12경

대구광역시가 선정한 대구 12경은 팔공산, 비슬산, 강정고령보(디아크), 신천, 수성못, 달성토성, 경상감영공원, 국채보상기념공원, 동성로, 서문시장, 대구스타디움이다.

7. 7. 요리

한우육회, 납작만두, 야끼우동, 중화비빔밥, 석쇠불고기(북성로), 뭉티기, 막창구이, 곱창구이(안지랑) 등이 대구광역시에서 유명한 음식이다.

대구광역시영남 지역의 음식과 유사하며, 다음과 같은 독특한 음식으로 유명하다.

  • '''따로국밥''': 대구광역시는 한국에서 국밥의 밥과 국을 따로 먹는 유일한 지역이다.
  • '''뭉티기''': 참깨 기름, 마늘, 고춧가루를 섞어 양념한 생고기 조각이다.
  • '''막창''': 소의 벌집으로 만든 음식이다.
  • '''찜갈비''': 진한 매콤하고 달콤하며 마늘 향이 나는 양념에 알루미늄 냄비에 삶은 소갈비이다.
  • '''논메기매운탕''': 다시마와 무 국물로 만든 매운 메기탕이다.
  • '''복어불고기''': 뼈를 발라낸 복어를 콩나물과 함께 매운 양념에 구운 요리이다.
  • '''무침회''': 생선회, 오징어, 야채를 매콤하고 달콤한 소스에 버무린 샐러드이다.
  • '''야끼우동''': 야채가 들어간 매운 해산물 면 요리로, 마른 짬뽕과 비슷하다.
  • '''납작만두''': 당면과 야채를 조금 넣어 만든 얇은 만두이다.


복어불고기


야끼우동


7. 7. 1. 대구 10미



2미 막창구이


대구광역시 10미에는 육개장, 막창 구이, 뭉티기(소 생고기), 동인동 찜갈비, 논메기매운탕, 복어불고기, 누른국수, 무침회, 야끼우동, 납작만두가 있다.

대구 요리는 영남 지역에서 먹는 음식과 유사하다. 대구는 다음과 같은 독특한 음식으로 유명하다.

  • '''따로국밥''': 대구는 한국에서 국밥의 밥과 국을 따로 먹는 유일한 지역이다.
  • '''뭉티기''': 참깨 기름, 마늘, 고춧가루를 섞어 양념한 생고기 조각이다.
  • '''막창''': 소의 벌집으로 만든 음식이다.
  • '''찜갈비''': 진한 매콤하고 달콤하며 마늘 향이 나는 양념에 알루미늄 냄비에 삶은 소갈비이다.
  • '''논메기매운탕''': 다시마와 무 국물로 만든 매운 메기탕이다.
  • '''복어불고기''': 뼈를 발라낸 복어를 콩나물과 함께 매운 양념에 구운 요리이다.
  • '''무침회''': 생선회, 오징어, 야채를 매콤하고 달콤한 소스에 버무린 샐러드이다.
  • '''야끼우동''': 야채가 들어간 매운 해산물 면 요리로, 마른 짬뽕과 비슷하다.
  • '''납작만두''': 당면과 야채를 조금 넣어 만든 얇은 만두이다.

8. 교통

경부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 새만금포항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중앙고속도로, 영천상주고속도로,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등 7개 고속도로 노선 및 5개 국도 노선이 시가지를 방사형으로 연결하고 있다.[62] 신천대로, 앞산순환로, 신천동로,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도시고속화도로로 확충되어 있다.[62] 2023년 7월 군위군이 대구광역시에 편입되면서 영천상주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62]

금호 분기점, 도동 분기점, 동대구 분기점, 옥포 분기점, 현풍 분기점과 같은 분기점과 군위 나들목, 동군위 나들목, 서군위 나들목, 남대구 나들목, 동대구 나들목, 북대구 나들목, 서대구 나들목, 성서 나들목, 수성 나들목, 칠곡 나들목, 유천 나들목, 화원옥포 나들목, 달성 나들목, 북현풍 나들목, 현풍 나들목, 팔공산 나들목과 같은 나들목이 있다.

아시아 고속도로 1호선이 대구를 관통하고 있으며, 주요 간선도로는 상당히 많은 교통량을 무리 없이 처리하지만, 때때로 교통 체증이 심하다.



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는 수입금 배분은 대구광역시가 담당하고, 버스 운행은 개별 회사가 담당하는 준공영제로 운영된다. 도시 규모에 비해 도시철도망이 부족한 대구의 대중교통에서 시내버스의 역할은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62] 버스 등급은 급행·순환·간선·지선·출근 등급으로 나뉜다. 버스 노선 번호는 세 자리 숫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숫자는 버스가 운행하는 지역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407번 버스는 4구역에서 0구역을 거쳐 7구역까지 운행한다. 다른 노선들은 대부분 순환 노선이며, 운행 지역의 이름을 따서 1~3번으로 번호가 매겨져 있다.[62]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일반/좌석버스의 운임은 현금은 어른 1,400원, 청소년 1.000원, 어린이 500원이고, 교통카드는 어른 1,250원, 청소년 850원, 어린이 400원이다. 급행버스의 운임은 현금은 어른 1,800원, 청소년 1,300원, 어린이 800원이고, 교통카드는 어른 1,650원, 청소년 1,100원, 어린이 650원이다.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버스와 도시철도 모두 최초 교통 수단의 하차부터 30분 이내에 다음 교통 수단으로 갈아탈 경우 무료/할인 환승 혜택을 받을 수 있다. ([http://businfo.daegu.go.kr 대구광역시 버스노선 안내 시스템])[62] 때때로 교통 체증이 심하지만, 주요 간선도로는 상당히 많은 교통량을 무리 없이 처리한다.[62]

이용요금(단위:원)
구분일반청소년어린이
일반버스카드1,250850400
현금1,4001,000500
급행버스카드1,6501,100650
현금1,8001,300800



시외버스는 두 개의 고속버스 터미널과 다섯 개의 시외버스 터미널에서 전국 각지로 가는 버스가 운행된다.


  • 고속버스
  • * 동대구복합환승센터(동대구고속버스터미널이라고도 함): 동대구역 앞에 위치한다.
  • *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코드 805): 대구버스터미널에서 서쪽으로 6k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까지는 2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소요 시간은 3시간 50분이다. 그 외 대전·전주·광주행 등이 있다.
  • 시외버스: 고속버스터미널과는 떨어진 곳에, 방면에 따라 여러 개의 터미널이 있다.
  • * 서부시외버스터미널(성당못역 앞, 해인사행 노선이 있다. 통영·마산시외행 등)
  • * 북부시외버스터미널(대구고속버스터미널에서 서쪽으로 6km,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에서 남쪽으로 1.5km. 경상북도 북부 방면 행이 주이며, 포항·부산종합버스터미널행도 있다)
  • * 남부시외버스터미널(만촌역 앞 경산·울산행 등)
  • * 현풍시외버스터미널: 시가지에서 남서쪽으로 26km 떨어진 교외, 달성군 현풍면에 위치한다. 동서울종합터미널·서울남부버스터미널·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행 등


대구교통공사가 관리하고 운행하는 대구 도시철도는 1호선, 2호선, 3호선이 운행되고 있다.[61] 1호선은 대구광역시를 북동~남서 방향으로, 2호선은 동서 방향으로, 3호선은 남동~북서 방향으로 운행한다. 요금은 교통카드 기준으로 일반 1,250원, 청소년 850원, 어린이 400원이다. 1회용 승차권은 일반과 청소년은 1,400원, 어린이는 500원이다. 교통카드를 사용하면 최초 사용 후 1시간 이내에 지하철과 버스 간 환승이 무료이다.

대구 도시철도 노선도. 빨간색 선은 1호선, 초록색 선은 2호선이다.


대구 도시철도 노선도(2018년)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신매역과 임당역에는 "칠색멜로디 건강기부 계단"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계단을 이용하면 LED 조명이 키보드 소리와 함께 켜지고, 한 번 이용 시 10원이 기부되어 소외된 이웃에게 전달된다.[61]

대구광역시의 중형택시는 기본요금 2km까지 4,000원이며, 이후 거리요금은 144m당 100원, 시간요금은 34초당 100원으로 책정되어 있다. 소형택시는 기본요금 2km까지 2,800원, 이후 거리요금은 144m당 50원, 시간요금은 34초당 50원이다. 경형택시는 기본요금 2km까지 2,200원, 이후 거리요금은 144m당 20원, 시간요금은 34초당 20원이다.

대구광역시에서는 대중교통 이용이 어려운 중증장애인, 만 65세 이상 노인 등을 위해 나드리콜을 운영하고 있다. 나드리콜의 기본요금은 1,000원이며, 거리당 요금이 추가된다. 시내 요금은 최대 3,300원, 시외 요금은 최대 6,600원을 넘지 않는다.

2013년 1월 1일 기준 택시 요금 (단위: 원)
구분소형택시중형택시모범택시
기본요금거리요금시간요금기본요금거리요금시간요금기본요금거리요금시간요금
2013.01.012km까지 2,200170m당 10041초당 1002km까지 2,800144m당 10034초당 1003km까지 4,000150m당 20036초당 200



대구역동대구역에서 경부선, 경북선, 대구선, 동해선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60] KTX와 SRT는 동대구역서대구역에서 이용할 수 있다. 2023년 7월 1일부터 군위군이 대구광역시에 편입되면서 2024년 12월 20일부터 중앙선 복선 전철화 구간이 완공되어 군위역으로 이전 통합되었다.

동대구역


대구는 한국 내륙 철도 교통의 중심지이다. 국내 주요 철도인 경부선이 이 도시를 통과한다. 대구에서 가장 큰 철도역인 동대구역은 서울역 다음으로 승객 수송량이 두 번째로 많으며, 정차 열차 수는 전국 1위, 열차 운행량은 최대 규모이다.[60] 동대구역을 통과하는 모든 열차는 의무적으로 정차한다. 2004년 대대적인 개보수 공사 후 재개장한 이 역은 KTX 고속열차, 새마을호, 무궁화호를 운행한다. KTX를 제외한 모든 종류의 열차는 시내 중심부에 위치한 영화관, 레스토랑, 백화점이 있는 최신 건물인 대구역에서 출발한다. 대구역은 한국에서 열 번째로 승객 수송량이 많은 역이다.[60]

대구시청과 가까운 역은 대구역이지만, 환승역은 동대구역이다. 동대구역에는 모든 열차가 정차한다. 서울역까지 약 1시간 55분, 부산역까지 45분 소요된다. 경부고속선 2단계 구간 개통 이후, 대구선동대구역 출발 열차가 대부분이며, 중앙선·동해선으로 직결되는 열차는 동대구역을 시·종착역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대구역에는 모든 경유 ITX-새마을·무궁화호가 정차한다. 서대구역에는 경유하는 KTX·SRT 중 일부 열차가 정차한다. 대경선 열차도 정차한다.

대구역


2018년 4월 구미 ~ 경산 구간 공사에 들어가고 2024년 12월 14일에 개통한 대경선은 2, 3단계로 나누어져 있고 밀양과 김천까지 공사를 할 계획이고 서대구역을 복합환승센터로 건설해 KTX와 SRT가 개통된다.

대구국제공항


대구국제공항은 동구 지저동에 있으며, 민간 항공과 한국 공군 및 주한미군이 함께 사용하는 군민합동공항이다. 동대구역에서 3.5km 떨어진 곳에 위치하여 철도를 통해 한국 전역으로 이동하기 용이하다. 특히 경산, 영천 등 주변 도시까지는 자동차로 30분, 서울특별시까지는 고속철도(KTX)로 1시간 40분, 부산광역시까지는 40분 만에 이동할 수 있다.

대구국제공항의 항공편은 매년 동계항공기간이 끝나면 대폭 늘어난다. 2023년 현재 국내선은 제주행이 매일 33편 운항되고 있으며, 국제선은 일본, 대만, 필리핀, 태국, 베트남 각 도시로 매일 운항되고 있다. 2022년 7월 기준으로 국제선 노선은 중국, 태국, 필리핀, 몽골을 포함한다.

대구공항에서는 국내선 제주․김포 2개 노선이 매주 215편 운항하고 있으며, 국제선은 매주 중국(상하이, 베이징, 싼야) 24편, 일본(도쿄, 오사카, 후쿠오카, 삿포로, 오키나와, 구마모토, 사가) 177편, 동남아(홍콩, 세부, 방콕, 타이베이, 다낭, 마카오, 하노이) 148편, 대양주(괌) 14편, 러시아(블라디보스토크) 14편이 운항되고 있다.

항공노선
구분노선명운항편수취항 항공사비고
국내선(3)대구-인천4편/일대한항공
대구-제주32편/일대한, 아시아나항공, 티웨이항공, 제주항공, 에어부산
대구-김포2편/일에어부산
국제선(23)중국대구-상하이7편/주중국동방항공
대구-베이징3편/주제주항공
대구-선양2편/주대한항공
대구-싼야4편/주에어부산
일본대구-구마모토3편/주티웨이항공
대구-가고시마3편/주제주항공
대구-도쿄35편/주티웨이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대구-오사카36편/주티웨이항공, 에어부산
대구-후쿠오카28편/주티웨이항공, 에어부산
대구-삿포로14편/주에어부산
대구-오키나와8편/주티웨이항공
동남아대구-홍콩6편/주티웨이항공
대구-타이베이23편/주티웨이항공, 에어부산, 타이거에어, 제주항공
대구-세부12편/주티웨이항공
대구-다낭42편/주티웨이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비엣젯항공
대구-나트랑2편/주제주항공
대구-클라크3편/주티웨이항공
대구-하노이7편/주티웨이항공
대구-마카오5편/주제주항공
대구-방콕14편/주티웨이항공
대양주대구-괌7편/주티웨이항공
유럽대구-블라디보스톡3편/주티웨이항공


8. 1. 도로

경부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 새만금포항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중앙고속도로, 영천상주고속도로,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등 7개 고속도로 노선 및 5개 국도 노선이 시가지를 방사형으로 연결하고 있다.[62] 신천대로, 앞산순환로, 신천동로,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도시고속화도로로 확충되어 있다.[62] 2023년 7월 군위군이 대구광역시에 편입되면서 영천상주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62]

금호 분기점, 도동 분기점, 동대구 분기점, 옥포 분기점, 현풍 분기점과 같은 분기점과 군위 나들목, 동군위 나들목, 서군위 나들목, 남대구 나들목, 동대구 나들목, 북대구 나들목, 서대구 나들목, 성서 나들목, 수성 나들목, 칠곡 나들목, 유천 나들목, 화원옥포 나들목, 달성 나들목, 북현풍 나들목, 현풍 나들목, 팔공산 나들목과 같은 나들목이 있다.

아시아 고속도로 1호선이 대구를 관통하고 있으며, 주요 간선도로는 상당히 많은 교통량을 무리 없이 처리하지만, 때때로 교통 체증이 심하다.

8. 2. 버스

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는 수입금 배분은 대구광역시가 담당하고, 버스 운행은 개별 회사가 담당하는 준공영제로 운영된다. 도시 규모에 비해 도시철도망이 부족한 대구의 대중교통에서 시내버스의 역할은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62] 버스 등급은 급행·순환·간선·지선·출근 등급으로 나뉜다. 버스 노선 번호는 세 자리 숫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숫자는 버스가 운행하는 지역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407번 버스는 4구역에서 0구역을 거쳐 7구역까지 운행한다. 다른 노선들은 대부분 순환 노선이며, 운행 지역의 이름을 따서 1~3번으로 번호가 매겨져 있다.[62]

일반/좌석버스의 운임은 현금은 어른 1,400원, 청소년 1.000원, 어린이 500원이고, 교통카드는 어른 1,250원, 청소년 850원, 어린이 400원이다. 급행버스의 운임은 현금은 어른 1,800원, 청소년 1,300원, 어린이 800원이고, 교통카드는 어른 1,650원, 청소년 1,100원, 어린이 650원이다.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버스와 도시철도 모두 최초 교통 수단의 하차부터 30분 이내에 다음 교통 수단으로 갈아탈 경우 무료/할인 환승 혜택을 받을 수 있다. ([http://businfo.daegu.go.kr 대구광역시 버스노선 안내 시스템])[62] 때때로 교통 체증이 심하지만, 주요 간선도로는 상당히 많은 교통량을 무리 없이 처리한다.[62]

이용요금(단위:원)
구분일반청소년어린이
일반버스카드1,250850400
현금1,4001,000500
급행버스카드1,6501,100650
현금1,8001,300800



시외버스는 두 개의 고속버스 터미널과 다섯 개의 시외버스 터미널에서 전국 각지로 가는 버스가 운행된다.


  • 고속버스
  • * 동대구복합환승센터(동대구고속버스터미널이라고도 함): 동대구역 앞에 위치한다.
  • *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코드 805): 대구버스터미널에서 서쪽으로 6k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까지는 2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소요 시간은 3시간 50분이다. 그 외 대전·전주·광주행 등이 있다.
  • 시외버스: 고속버스터미널과는 떨어진 곳에, 방면에 따라 여러 개의 터미널이 있다.
  • * 서부시외버스터미널(성당못역 앞, 해인사행 노선이 있다. 통영·마산시외행 등)
  • * 북부시외버스터미널(대구고속버스터미널에서 서쪽으로 6km,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에서 남쪽으로 1.5km. 경상북도 북부 방면 행이 주이며, 포항·부산종합버스터미널행도 있다)
  • * 남부시외버스터미널(만촌역 앞 경산·울산행 등)
  • * 현풍시외버스터미널: 시가지에서 남서쪽으로 26km 떨어진 교외, 달성군 현풍면에 위치한다. 동서울종합터미널·서울남부버스터미널·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행 등

8. 3. 도시철도

대구교통공사가 관리하고 운행하는 대구 도시철도는 1호선, 2호선, 3호선이 운행되고 있다.[61] 1호선은 대구광역시를 북동~남서 방향으로, 2호선은 동서 방향으로, 3호선은 남동~북서 방향으로 운행한다. 요금은 교통카드 기준으로 일반 1,250원, 청소년 850원, 어린이 400원이다. 1회용 승차권은 일반과 청소년은 1,400원, 어린이는 500원이다. 교통카드를 사용하면 최초 사용 후 1시간 이내에 지하철과 버스 간 환승이 무료이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신매역과 임당역에는 "칠색멜로디 건강기부 계단"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계단을 이용하면 LED 조명이 키보드 소리와 함께 켜지고, 한 번 이용 시 10원이 기부되어 소외된 이웃에게 전달된다.[61]

8. 4. 택시

대구광역시의 중형택시는 기본요금 2km까지 4,000원이며, 이후 거리요금은 144m당 100원, 시간요금은 34초당 100원으로 책정되어 있다. 소형택시는 기본요금 2km까지 2,800원, 이후 거리요금은 144m당 50원, 시간요금은 34초당 50원이다. 경형택시는 기본요금 2km까지 2,200원, 이후 거리요금은 144m당 20원, 시간요금은 34초당 20원이다.

대구광역시에서는 대중교통 이용이 어려운 중증장애인, 만 65세 이상 노인 등을 위해 나드리콜을 운영하고 있다. 나드리콜의 기본요금은 1,000원이며, 거리당 요금이 추가된다. 시내 요금은 최대 3,300원, 시외 요금은 최대 6,600원을 넘지 않는다.

2013년 1월 1일 기준 택시 요금 (단위: 원)
구분소형택시중형택시모범택시
기본요금거리요금시간요금기본요금거리요금시간요금기본요금거리요금시간요금
2013.01.012km까지 2,200170m당 10041초당 1002km까지 2,800144m당 10034초당 1003km까지 4,000150m당 20036초당 200


8. 5. 철도

대구역동대구역에서 경부선, 경북선, 대구선, 동해선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60] KTX와 SRT는 동대구역서대구역에서 이용할 수 있다. 2023년 7월 1일부터 군위군이 대구광역시에 편입되면서 2024년 12월 20일부터 중앙선 복선 전철화 구간이 완공되어 군위역으로 이전 통합되었다.

대구는 한국 내륙 철도 교통의 중심지이다. 국내 주요 철도인 경부선이 이 도시를 통과한다. 대구에서 가장 큰 철도역인 동대구역은 서울역 다음으로 승객 수송량이 두 번째로 많으며, 정차 열차 수는 전국 1위, 열차 운행량은 최대 규모이다.[60] 동대구역을 통과하는 모든 열차는 의무적으로 정차한다. 2004년 대대적인 개보수 공사 후 재개장한 이 역은 KTX 고속열차, 새마을호, 무궁화호를 운행한다. KTX를 제외한 모든 종류의 열차는 시내 중심부에 위치한 영화관, 레스토랑, 백화점이 있는 최신 건물인 대구역에서 출발한다. 대구역은 한국에서 열 번째로 승객 수송량이 많은 역이다.[60]

대구시청과 가까운 역은 대구역이지만, 환승역은 동대구역이다. 동대구역에는 모든 열차가 정차한다. 서울역까지 약 1시간 55분, 부산역까지 45분 소요된다. 경부고속선 2단계 구간 개통 이후, 대구선동대구역 출발 열차가 대부분이며, 중앙선·동해선으로 직결되는 열차는 동대구역을 시·종착역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대구역에는 모든 경유 ITX-새마을·무궁화호가 정차한다. 서대구역에는 경유하는 KTX·SRT 중 일부 열차가 정차한다. 대경선 열차도 정차한다.

2018년 4월 구미 ~ 경산 구간 공사에 들어가고 2024년 12월 14일에 개통한 대경선은 2, 3단계로 나누어져 있고 밀양과 김천까지 공사를 할 계획이고 서대구역을 복합환승센터로 건설해 KTX와 SRT가 개통된다.

8. 6. 공항



대구국제공항은 동구 지저동에 있으며, 민간 항공과 한국 공군 및 주한미군이 함께 사용하는 군민합동공항이다. 동대구역에서 3.5km 떨어진 곳에 위치하여 철도를 통해 한국 전역으로 이동하기 용이하다. 특히 경산, 영천 등 주변 도시까지는 자동차로 30분, 서울특별시까지는 고속철도(KTX)로 1시간 40분, 부산광역시까지는 40분 만에 이동할 수 있다.

대구국제공항의 항공편은 매년 동계항공기간이 끝나면 대폭 늘어난다. 2023년 현재 국내선은 제주행이 매일 33편 운항되고 있으며, 국제선은 일본, 대만, 필리핀, 태국, 베트남 각 도시로 매일 운항되고 있다. 2022년 7월 기준으로 국제선 노선은 중국, 태국, 필리핀, 몽골을 포함한다.

대구공항에서는 국내선 제주․김포 2개 노선이 매주 215편 운항하고 있으며, 국제선은 매주 중국(상하이, 베이징, 싼야) 24편, 일본(도쿄, 오사카, 후쿠오카, 삿포로, 오키나와, 구마모토, 사가) 177편, 동남아(홍콩, 세부, 방콕, 타이베이, 다낭, 마카오, 하노이) 148편, 대양주(괌) 14편, 러시아(블라디보스토크) 14편이 운항되고 있다.

항공노선
구분노선명운항편수취항 항공사비고
국내선(3)대구-인천4편/일대한항공
대구-제주32편/일대한, 아시아나항공, 티웨이항공, 제주항공, 에어부산
대구-김포2편/일에어부산
국제선(23)중국대구-상하이7편/주중국동방항공
대구-베이징3편/주제주항공
대구-선양2편/주대한항공
대구-싼야4편/주에어부산
일본대구-구마모토3편/주티웨이항공
대구-가고시마3편/주제주항공
대구-도쿄35편/주티웨이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대구-오사카36편/주티웨이항공, 에어부산
대구-후쿠오카28편/주티웨이항공, 에어부산
대구-삿포로14편/주에어부산
대구-오키나와8편/주티웨이항공
동남아대구-홍콩6편/주티웨이항공
대구-타이베이23편/주티웨이항공, 에어부산, 타이거에어, 제주항공
대구-세부12편/주티웨이항공
대구-다낭42편/주티웨이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비엣젯항공
대구-나트랑2편/주제주항공
대구-클라크3편/주티웨이항공
대구-하노이7편/주티웨이항공
대구-마카오5편/주제주항공
대구-방콕14편/주티웨이항공
대양주대구-괌7편/주티웨이항공
유럽대구-블라디보스톡3편/주티웨이항공


9. 경제

2012년 대구의 지역내 총생산(GRDP)은 38조 7,000억 원이며, 실질성장률은 2.4%였다.[120] 2013년 대구광역시의 1인당 개인소득은 1,538만 원으로 전국 16개 시도 중 6번째로 상위권이었다.[120][121] 시ㆍ도 전체 명목 개인소득은 796조 원으로 1년 전보다 30조 원(3.9%) 늘었고, 실질 지역 내 총생산 성장률(경제성장률)도 3.8%로 전국 5위를 기록했다. 대구의 지역 총소득은 52조 6,000억 원으로 전국의 3.7%를 차지했으며, 지역 내 총생산 대비 지역 총소득 비율은 117.3 수준이었다.[120]

2018년 대구의 지역내총생산(GRDP) 규모는 50조 8,000억 원으로 전국의 2.9%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1인당 개인소득은 2,060만 원으로 증가했다.[122] 2019년 말 기준 대구에는 1만 6천 명의 부호가 살고 있는데, 이는 서울, 경기, 부산에 이어 네 번째로 많은 수치이다.[123]

대구도시철도 3호선


한국뇌연구원 첨단장비센터


2017 그린에너지엑스포


대구는 섬유, 금속, 기계 산업을 중심으로 하는 제조업 도시이다.[41] 2021년 대구의 지역내총생산(GRDP)은 441억 4400만 달러였다. 대구은행, 코리아델파이, 화성산업, 태구텍과 같은 많은 기업들이 대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삼성전자와 콜론이 이곳에서 설립되었다.[41] 성서산업단지, 서대구산업단지, 대구염색산업단지를 포함하여 도시 서쪽과 북쪽에 위치한 산업단지에는 수많은 공장이 있다.[41]

대구는 한국의 주요 산업 지역 중 하나인 대구경북 지역의 경제 및 산업 중심지이며, 2006년 한국의 무역 흑자의 94%를 차지했다.[42] 구미의 전자 산업과 포항시의 철강 산업이 그 흑자에 크게 기여했으며, 애니콜(삼성전자 휴대전화)과 포스코의 주요 공장과 같은 세계적인 제조 시설이 도시 근처에 위치해 있다. 대구와 인근 도시들은 2008년 중앙 정부에 의해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었고, Winitech 소프트웨어 회사와 같은 전문 기업들은 지식 기반 서비스 및 제조업에 특화되어 있다.

역사적으로 대구는 서울을 중심으로, 평양(현재 북한)을 북쪽에 두고 한국 남부 지역의 상업 중심지였다는 유리한 지리적 위치를 가지고 있었으며, 서문시장과 같은 대규모 전통 시장들 중 일부는 여전히 도시에서 번창하고 있다.

대구는 서울과 부산에 이어 한국에서 세 번째로 큰 경제 도시로 여겨졌으나, 섬유 산업의 쇠퇴로 인해 도시의 전반적인 경제 성장도 둔화되었다.

대구는 아열대성 습윤 기후로 인해 한국에서 가장 따뜻한 지역이며, 이러한 기후 조건은 이 지역에 고품질의 사과와 참외를 제공하여 과일 산업이 지역 경제를 위한 중요한 지원 역할을 한다. 경제 침체로 인해 대구의 인구는 2003년 이후 감소하기 시작했으나, 최근 대구시는 경제 부흥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도시의 패션 산업 개선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2021년 대구광역시의 지역내총생산(GRDP) 규모는 57.9조 원이며, 1인당 지역내총생산은 2,395만 8천 원이다. 지역 은행으로는 한국 최초의 지방은행인 DGB대구은행이 있다.

10. 산업

1990년대 후반부터 대구는 '패션 도시 대구'라는 슬로건 아래, 기존의 섬유 및 의류 제조업을 기반으로 패션 산업 육성에 적극적으로 노력해 왔다.[43] 대구에서는 매년 또는 반년마다 http://www.daegufashionfair.com/front/ 대구패션페어http://www.previewin.com/ 프리뷰 인 대구를 포함한 패션 및 섬유 산업 관련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국내 기관들을 초청하고 있다.[43] 현재 대구 북동부 봉무동에는 섬유·패션 산업 특화 신도시인 이시아폴리스가 건설 중이며, 동아시아 패션 허브를 목표로 한다.[43] 이 지역에는 섬유 단지, 섬유·패션 관련 교육기관, 국제학교, 패션몰뿐만 아니라 주거 지역도 개발될 계획이다.[43]

10. 1. 농업

1995년 달성군과의 도농 통합으로 대구의 농업 비중이 높아졌다. 2015년 기준 농가호수는 16,571호, 농가인구는 44,542명, 농경지면적은 8.291ha이다. 낙동강금호강을 끼고 있는 달성군 지역에서 쌀이 많이 생산되었으나, 현재는 근교농업과 낙농업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10. 2. 상업

대구는 옛날부터 교통의 요충지에 있어 영남지방 상권의 중심지로 발달하였고, 조선시대에 이미 전국 3대 시장의 하나인 서문시장과 약령시가 이름을 떨쳤다. 2017년 기준 대구에는 9개의 백화점과 21개의 대형마트, 7개의 쇼핑센터, 151개소의 등록시장, 1개의 종합유통단지가 있다.

대구광역시 유통시설
계(단위: 개소)백화점쇼핑센터대형마트전문점등록시장그밖의
대규모점포
2079721415115



주요 전통시장
시장명소재지점포수(단위: 개)
서문시장중구 국채보상로 380일원3,817
칠성시장북구 칠성시장로 28일원996
팔달시장북구 팔달로 37길 11일원900
서남(신)시장달서구 달구벌대로 329길 17일원196
봉덕(신)시장남구 봉덕로 27길 16일원323



종합유통단지
구분전시컨벤션센터도매단지기업관물류단지지원시설공공시설용지
면적(㎡)837,721.179,966.0165,102.656,449.2160,588.350,470.8325,144.2
업체수2,977322,53821710882-



서문시장의 간판


동성로(중구 중심부에 걸쳐 있으며 대구역에서 반월당역 인근의 중앙파출소까지)는 대구의 중심 상업지구이다.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은 중앙로역이다.[47]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동쪽 성곽길을 뜻하며, 과거 대구읍성의 동쪽 성곽이 이 길을 따라 있었다.[47] 그러나 이 성곽은 20세기 초에 철거되었다.[47] 대구는 전국에서 세 번째 또는 네 번째로 큰 도시이지만, 동성로 지역은 수도 서울을 제외하고 전국에서 가장 크고 넓은 도심 지역을 형성한다.[47]

도시 내에는 각자의 상업적 특징과 분위기를 가진 여러 부도심들이 있다. 달서구의 성서산업단지역 주변은 많은 오락 시설이 밀집해 있으며, 북구의 경북대학교 주변에는 젊은이들을 쉽게 볼 수 있다. 수성구의 ''들안길''(들판 안쪽 길이라는 뜻)은 많은 음식점으로 유명하다.

대구에는 여러 백화점이 있다. 이 중 많은 백화점은 전국 또는 다국적 체인에 속하지만, 지역 백화점인 대구백화점은 두 개의 지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또 다른 지역 체인인 동아백화점은 시내에 네 개의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이 중 6개의 백화점이 도심에 모여 있다. 서문시장칠성시장과 같은 전통시장에서는 모든 종류의 상품을 판매한다.

10. 3. 공업

대구는 한국의 대표적인 내륙공업지역으로 주종산업인 섬유·금속·기계 공업 부문을 통해 지속 성장해 왔다. 과거 섬유업체 수가 전체 사업체 중 절반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섬유산업에 편중된 구조였으나, 2017년 대구시 전체 산업단지 내 업체 수는 기계·금속 공장이 3,882곳, 섬유 공장이 1,736곳으로 그 비율이 변화했다.[43] 대구는 일본의 나고야시와 같은 위치의 도시로서 섬유, 금속, 기계 공업 분야를 주력 산업으로 성장해왔다.

1990년대 후반부터 대구는 '패션 도시 대구'라는 슬로건 아래, 기존의 섬유 및 의류 제조업을 기반으로 패션 산업 육성에 적극적으로 노력해 왔다.[43] 대구에서는 매년 또는 반년마다 [http://www.daegufashionfair.com/front/ 대구패션페어]와 [http://www.previewin.com/ 프리뷰 인 대구]를 포함한 패션 및 섬유 산업 관련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국내 기관들을 초청하고 있다.[43] 현재 대구 북동부 봉무동에는 섬유·패션 산업 특화 신도시인 이시아폴리스가 건설 중이며, 동아시아 패션 허브를 목표로 한다.[43] 이 지역에는 섬유 단지, 섬유·패션 관련 교육기관, 국제학교, 패션몰뿐만 아니라 주거 지역도 개발될 계획이다.[43]

산업단지
산업단지명위치면적(천㎡)업체수등급비고
성서산업단지달서구, 달성군 다사읍10,8352,566지방1, 2, 3, 4, 5차
달성산업단지달성군 논공읍, 구지면6,820316지방1, 2차
대구염색산업단지서구 비산7동855124지방비산염색공단
검단산업단지북구 검단동796323지방
옥포농공단지달성군 옥포읍16038농공
구지농공단지달성군 구지면19323농공
제3공단북구 노원동1,094991일반
서대구공단서구 상중이동2,417533일반
현풍공단달성군 현풍읍2658일반
대구 사이언스 파크달성군 구지면2658국가
대구 첨단의료복합단지동구 신서동1,0300국가2009~2038년


10. 3. 1. 산업 단지

wikitable

산업단지 명위치(구·군)면적(천m2)업체수등급비고
성서산업단지달서구, 달성군 다사읍10,8352,566지방1, 2, 3, 4, 5차
달성산업단지달성군 논공읍, 구지면6,820316지방1, 2차
대구염색산업단지서구 비산7동855124지방비산염색공단
검단산업단지북구 검단동796323지방
옥포농공단지달성군 옥포읍16038농공
구지농공단지달성군 구지면19323농공
제3공단북구 노원동1,094991일반
서대구공단서구 상중이동2,417533일반
현풍공단달성군 현풍읍2658일반
대구 사이언스 파크달성군 구지면2658국가
대구 첨단의료복합단지동구 신서동1,0300국가2009~2038년


10. 4. 미래 신성장 산업

대구광역시는 미래첨단의료 선도도시, 미래형 자동차 선도도시, ICT․IoT 기반의 스마트시티 조성, 청정에너지 글로벌 허브도시 조성을 통한 미래 신성장 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다.

의료산업 분야는 2018년까지 국책연구기관 15개, 의료기업 130개, 양질의 일자리 창출 4,300개, 의료관광객 유치 25,000명을 목표로 「메디시티 대구」 조성에 매진하고 있으며, 첨단의료복합단지의 글로벌 수준 발전과 의료관광의 확대 등을 통해 대구광역시를 세계적인 메디시티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의료기관 현황(2017년)
상급종합종합병원병원요양병원정신병원의원치과병원치과의원한방병원한의원조산원부설의원
3,667481126111,714188682871-8



의료기관 현황(2021년)
상급종합병원종합병원병원요양병원의원부속의원치과병원치과의원한방병원한의원
3,89851289731,88201590410884



미래형 자동차산업 분야에서는 전기상용차 생산공장 건립 투자협약, 대동공업-르노삼성 컨소시엄을 통한 1톤급 전기상용차 개발 및 생산 확정,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단지 지정(국토교통부), 전기자동차 보급 및 충전인프라 구축 등 미래형자동차 선도도시로서의 기반을 조성하고 있다.

2017년 대구국제미래자동차엑스포


대구광역시는 스마트시티 분야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지역 혁신 플랫폼인 '대구형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해 ICT·IoT(사물인터넷) 융합 기술 경쟁력 확보, SW 융합 산업 육성, ICT 융복합 스포츠 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다.

대구광역시는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한 인프라 건설과 운영 체계 구축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고, 그 결과 2020년 1월 22일 영국 왕립 표준협회(BSI)로부터 스마트시티 국제표준 인증서 ISO 37106 인증을 받았다.

스마트시티 국제표준은 2018년 '국제표준화기구 (ISO)'가 마련한 기준으로, BSI가 비전, 시민 중심, 디지털, 개방 및 협력 등 4개 기준에 맞는 도시에 인증서를 발급하고 있다. 한국 내 광역지자체 중에서는 대구광역시가 처음으로 ISO 인증을 받았다.

대구광역시는 청정에너지 글로벌 허브도시 조성을 위해 2030년까지 신재생 에너지 보급률 20% 이상, 에너지 소비 15% 절감 목표로 에너지 신사업 Test-bed 구축. 분산전원 및 에너지 효율 극대화, 지역에너지 관련 산업 육성 등을 지속해서 추진하고 있다.

10. 4. 1. 첨단 의료

의료산업 분야는 2018년까지 국책연구기관 15개, 의료기업 130개, 양질의 일자리 창출 4,300개, 의료관광객 유치 25,000명을 목표로 「메디시티 대구」 조성에 매진하고 있으며, 첨단의료복합단지의 글로벌 수준 발전과 의료관광의 확대 등을 통해 대구광역시를 세계적인 메디시티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의료기관 현황(2017년)
상급종합종합병원병원요양병원정신병원의원치과병원치과의원한방병원한의원조산원부설의원
3,667481126111,714188682871-8



의료기관 현황(2021년)
상급종합병원종합병원병원요양병원의원부속의원치과병원치과의원한방병원한의원
3,89851289731,88201590410884


10. 4. 2. 미래형 자동차

미래형 자동차산업 분야에서는 전기상용차 생산공장 건립 투자협약, 대동공업-르노삼성 컨소시엄을 통한 1톤급 전기상용차 개발 및 생산 확정,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단지 지정(국토교통부), 전기자동차 보급 및 충전인프라 구축 등 미래형자동차 선도도시로서의 기반을 조성하고 있다.

미래형 자동차 산업 분야에서는 전기 상용차 생산 공장 건설 투자 협약, 대동공업-르노삼성컨소시엄을 통한 1톤급 전기 상용차 개발 및 생산 확정, 자율주행자동차 시험 운행 단지 지정(국토교통부), 전기차 보급 및 충전 인프라 구축 등 미래형 자동차 선도 도시로서의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10. 4. 3. 스마트시티

대구광역시는 스마트시티 분야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지역 혁신 플랫폼인 '대구형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해 ICT·IoT(사물인터넷) 융합 기술 경쟁력 확보, SW 융합 산업 육성, ICT 융복합 스포츠 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다.

대구광역시는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한 인프라 건설과 운영 체계 구축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고, 그 결과 2020년 1월 22일 영국 왕립 표준협회(BSI)로부터 스마트시티 국제표준 인증서 ISO 37106 인증을 받았다.

스마트시티 국제표준은 2018년 '국제표준화기구 (ISO)'가 마련한 기준으로, BSI가 비전, 시민 중심, 디지털, 개방 및 협력 등 4개 기준에 맞는 도시에 인증서를 발급하고 있다. 한국 내 광역지자체 중에서는 대구광역시가 처음으로 ISO 인증을 받았다.

10. 4. 4. 신재생 에너지

대구광역시는 청정에너지 글로벌 허브도시 조성을 위해 2030년까지 신재생 에너지 보급률 20% 이상, 에너지 소비 15% 절감 목표로 에너지 신사업 Test-bed 구축. 분산전원 및 에너지 효율 극대화, 지역에너지 관련 산업 육성 등을 지속해서 추진하고 있다.

깨끗한 에너지 글로벌 허브 도시 지원을 위해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20% 이상 보급, 에너지 소비량 15% 감축을 목표로 에너지 신산업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분산전원 및 에너지 효율 극대화, 지역 에너지 관련 산업 육성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11. 생활

11. 1. 안전 도시

2020년 대구는 코로나19 범유행 시국에서 큰 피해를 입었지만,[124] 철저한 방역과 치료를 통해 코로나19를 성공적으로 극복했다는 평가를 듣고 있다.[125][126] 세계 부부의 날 위원회는 ‘2020 세계 부부의 날 국가 기념 행사’에서 대구시민 일동과 대구시 의료진(대구시의사회, 대구시간호사회)에게 ‘2020 올해의 특별 가족상’을 수상하였으며, “대구시민과 의료진 등 모든 구성원들이 선진 시민 의식을 발휘해 한마음 한 뜻으로 뭉쳐 코로나19를 극복해 전세계로부터 찬사를 받는 등 어려운 상황에서도 기적을 창출했기에 특별 가족상의 취지와 부합한다”라고 선정 배경을 밝혔다.[127]

11. 2. 청결 도시

2020년 6월 11일 대구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는 시민들이 믿고 마실 수 있는 깨끗한 수돗물을 가정집 수도꼭지까지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해 대구 시내 수도관 전체를 세척할 계획을 발표했다.[128]

12. 기업

12. 1. 건설

HS화성, 서한, 태왕E&C, SM우방 등의 건설사가 대구광역시에 본사를 두고 있다.

12. 2. 금융

iM뱅크는 대구광역시에 본사를 둔 은행이다.

12. 3. 방송

KBS대구방송총국, 대구문화방송, TBC는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를 방송 권역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국이다. 이들은 각각 KBS, MBC, SBS의 지역 계열사이다. 각 텔레비전 방송국은 자체 라디오 방송국도 운영하고 있다.

대구교통방송, 대구극동방송, 기독교대구방송, 대구가톨릭평화방송, 대구불교방송, 대구원음방송, 대구국악방송 등의 라디오 방송국이 있다.

CMB 대구방송, HCN 금호방송, LG헬로비전 대구방송, SK브로드밴드 대구방송, 한국케이블TV푸른방송 등의 케이블 방송사도 있다.

대구문화방송일본 RCC 중국방송(TBS계열, 히로시마 FM방송)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으며, 대구방송은 HOME 히로시마 홈TV(TV아사히 계열)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12. 4. 언론

대구에는 매일신문, 영남일보, 대구신문, 대구일보 등의 지역 신문이 있다.

대구에는 지상파 방송국으로 KBS 대구방송총국, 대구 MBC, TBC가 있다. 이들은 대한민국의 다른 지역 방송국들과 마찬가지로 서울에 있는 중앙 방송국의 계열사이며, TBC(대구방송)는 SBS에 의존하고 있다. 이들은 대구광역시를 넘어 경상북도까지 방송하며, 각 텔레비전 방송국은 자체 라디오 방송국도 운영하고 있다.

KBS 대구방송총국, 대구MBC, TBC은 TV·라디오 겸영 방송국이다. 대구MBC는 MBC 계열로, RCC중국방송(TBS계열, 히로시마시) 및 히로시마 FM방송과 자매국 제휴를 맺고 있다. TBC는 SBS 계열 민영방송으로, HOME히로시마홈텔레비전(TV아사히 계열)과 자매국 제휴를 맺고 있다.

대구에는 대구기독교방송(CBS), 대구극동방송(FEBC), 대구평화방송(PBC), 한국교통방송 대구본부(TBN) 등의 라디오 방송국이 있다.

12. 5. 유통

대구광역시에는 대구백화점동아백화점등이 존재한다.

13. 정치

대구광역시청


대구광역시에는 중구에 위치한 대구광역시청과 북구에 위치한 경상북도청 등 두 개의 지방 정부가 있었다. 경상북도청은 안동으로 이전될 예정이었으며, 2023년 1월 안동으로 이전하였다. 시장과 8개 구청장은 시민에 의해 4년마다 직접 선출된다. 시의회는 26개 선거구에서 선출된 26명과 비례대표 3명으로 구성된 29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이들 또한 4년마다 직접 선출된다. 대부분의 의원은 대한민국 주요 보수 정당인 국민의힘 소속이다. 대구는 국민의힘의 핵심 지역이며, 지금까지 대한민국 대통령 4명(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박근혜)을 배출했다. 박정희와 전두환은 다른 도시에서 태어났지만 대구로 이주하여 어린 시절을 대구에서 보냈다. 한국 보수 정치의 중심지로서 대구는 선거에서 강력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
군사 기지한강 이남에서는 대전, 계룡, 논산, 세종과 함께 주요 국방 도시이다. 제2작전사령부, 제50보병사단, 제5군수지원사령부 등의 육군 부대와 공군 1방공유도탄여단, K2 공군비행장에 공군공중전투사령부, 중앙방공통제소, 공군군수사령부, 제11전투비행단 등과 주한 미군 부대 캠프 워커, 캠프 헨리가 대구에 주둔하고 있다. 6.25 전쟁 당시 낙동강 방어선의 전진기지 중 하나였으며 지금도 군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129][130]

수성구의 고산지구 개발을 위해 제50보병사단, 제2작전사령부, 제5군수지원사령부를 칠곡군으로 이전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김범일 제31-32대 대구광역시장 시정 당시에 이러한 군사보안 부분이 강화되어 대구시민들의 안전을 더욱 보완하게 되었다.[131]
역대 시장대구광역시장을 참조하십시오.

13. 1. 군사 기지

한강 이남에서는 대전, 계룡, 논산, 세종과 함께 주요 국방 도시이다. 제2작전사령부, 제50보병사단, 제5군수지원사령부 등의 육군 부대와 공군 1방공유도탄여단, K2 공군비행장에 공군공중전투사령부, 중앙방공통제소, 공군군수사령부, 제11전투비행단 등과 주한 미군 부대 캠프 워커, 캠프 헨리가 대구에 주둔하고 있다. 6.25 전쟁 당시 낙동강 방어선의 전진기지 중 하나였으며 지금도 군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129][130]

수성구의 고산지구 개발을 위해 제50보병사단, 제2작전사령부, 제5군수지원사령부를 칠곡군으로 이전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김범일 제31-32대 대구광역시장 시정 당시에 이러한 군사보안 부분이 강화되어 대구시민들의 안전을 더욱 보완하게 되었다.[131]

13. 2. 역대 시장

대구광역시장을 참조하십시오.

14. 스포츠

대구광역시에는 KBO 리그삼성 라이온즈, K리그1대구 FC, KBL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가 있다.[7] 삼성 라이온즈1982년 창단되었으며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대구 FC2002년에 창단되었고 DGB대구은행파크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며,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1994년에 창단되어 대구실내체육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2007년 3월 27일, 대구는 201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개최지로 선정되었다.[7] 대구는 러시아 모스크바, 호주 브리즈번 등과 경쟁하여 IAAF 이사회의 투표를 얻었다. 이 대회는 아시아 본토에서 처음으로 개최된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였다.[7] 1988년 하계 올림픽과 2002년 FIFA 월드컵(대구는 4경기를 개최)에 이어 한국에서 세 번째로 개최된 세계적인 스포츠 행사였다.[7] 200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도 개최한 바 있다.[7]

대구스타디움은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큰 스포츠 단지이며, 대구시민운동장은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 일부 축구 경기를 개최했다. 매년 4월에는 대구국제마라톤이 개최되며, 대구스타디움에서 시작과 끝을 맺는다.

15. 출신 인물

노태우는 육군 장군이자 제13대 대한민국 대통령을 역임했다. 박근혜는 2013년부터 2017년까지 대한민국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전 대통령 박정희의 딸이다. 김우중(Kim Woo-jung)은 대우그룹의 창업자 겸 전 회장이다.

이건희(Lee Kun-hee)는 1987년부터 2008년까지, 그리고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삼성그룹 회장을 역임한 사업가로, 삼성을 세계 최대 스마트폰, 텔레비전, 메모리 칩 제조업체로 변모시킨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 김수환은 한국 최초의 추기경이다. 이상화(Yi Sang-hwa)는 일제 강점기 항일 운동에 참여한 한국의 민족시인이다.

봉준호는 영화 감독 및 각본가이며, 이창동도 영화 감독이다. 신성일은 배우, 감독, 제작자였다. 배우로는 엄지원, 손예진, 문채원, 송혜교, 민효린, 서지훈, 유아인, 김희선 등이 있다.

이만수, 양준혁, 이승엽은 야구 선수이고, 박주영은 축구 선수이다. 진선유는 쇼트트랙 선수로, 2006 동계 올림픽 3관왕을 차지했다. 배상문은 골프 선수로, 2011 시즌 일본 골프 투어 상금왕을 차지했다. 최두호는 종합격투기 선수이다. 배지환피츠버그 파이리츠 야구 선수이다.

장윤정(Chang Yun-jong)은 1988년 미스 유니버스 1위, 1987년 미스코리아 우승자이다. 손태영은 2000년 미스 인터내셔널 1위, 2000년 미스코리아 2위, 배우이다. 유예빈은 2013년 미스코리아 우승자, 2014년 미스 유니버스 참가자이다.

배주현(무대명 아이린)은 레드벨벳 리더 겸 멤버이고, 최승철(무대명 에스쿱스)은 세븐틴 리더 겸 멤버이다. 장다혜(무대 언프리티 랩스타 2 참가자 겸 솔로 가수 헤이즈)도 대구 출신이다. 김태형(무대명 뷔)은 방탄소년단 멤버 겸 솔로 가수, 배우이고, 민윤기(무대명 슈가, Agust D)는 방탄소년단 멤버 겸 솔로 가수, 작사가, 음반 프로듀서이다.

신숭겸(Sin Sung-gyŏm)은 10세기 초 후삼국 시대 장군이다. 전태일(Jeon Tae-il)은 노동 운동가였다.

16. 교류

대구광역시는 다음 도시와 자매결연 또는 우호협력 관계를 맺었다.[63]

국가도시자매결연시기
25px
미국
애틀랜타1981년 11월 10일[68]
25px
카자흐스탄
알마티1990년 11월 26일
중국칭다오시1993년 12월 4일
25px
브라질
미나스제라이스주1994년 6월 21일
25px
25px
일본
히로시마시1997년 5월 2일
25px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1997년 11월 3일
25px
불가리아
플로브디프2002년 10월 24일
25px
대만
타이베이시2010년 11월 4일
중국닝보시2013년 6월 8일
25px
이탈리아
밀라노2015년 7월 2일
중국청두시2015년 11월 10일
25px
미국
밀워키2017년 9월 20일
중국창사시2018년 7월 31일
베트남다낭2018년 8월 3일
대만가오슝2018년 9월 13일
베트남박닌2019년 2월 22일
프랑스2019년 11월 8일



국가도시자매우호시기
중국양저우시2003년 3월 21일
중국옌청시2003년 12월 7일
중국선양시2003년 12월 9일
중국사오싱시2015년 10월 26일
25px
25px
일본
고베시2010년 7월 23일
베트남호찌민시[132]2015년 5월 29일
베트남박닌성2019년 2월 22일
중국우한시2016년 3월 24일
25px
태국
방콕2017년 8월 17일
중국창사시2018년 7월 31일
대만가오슝시2018년 9월 13일
프랑스2019년
중국연변 조선족 자치주2021년
우즈베키스탄부하라2022년
말레이시아조호르바루2023년


16. 1. 자매결연도시

대구광역시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63]

국가도시자매결연시기
미국애틀랜타1981년 11월 10일[68]
카자흐스탄알마티1990년 11월 26일
중국칭다오시1993년 12월 4일
브라질미나스제라이스주1994년 6월 21일
일본히로시마시1997년 5월 2일
러시아상트페테르부르크1997년 11월 3일
불가리아플로브디프2002년 10월 24일
대만타이베이시2010년 11월 4일
중국닝보시2013년 6월 8일
이탈리아밀라노2015년 7월 2일
중국청두시2015년 11월 10일
미국밀워키2017년 9월 20일
중국창사시2018년 7월 31일
베트남다낭2018년 8월 3일
대만가오슝2018년 9월 13일
베트남박닌2019년 2월 22일
프랑스2019년 11월 8일


16. 2. 자매우호도시

국가도시자매우호시기
장쑤성(江苏省) 양저우시(扬州市)2003.3.21
장쑤성(江苏省) 옌청시(盐城市)2003.12.7
랴오닝성(辽宁省) 선양시(沈阳市)2003.12.9
저장성(浙江省) 사오싱시(绍兴市)2015.10.26
효고현 고베시2010.7.23
호찌민시[132]2015.5.29
박닌성(北寧省)2019.2.22
후베이성(湖北省) 우한시(武汉市)2016.3.24
방콕2017.8.17
후난성(湖南省) 창사시(长沙市)2018.7.31
25px
가오슝시
2018.9.13
2019
연변 조선족 자치주2021
부하라2022
조호르바루2023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2022년 지역소득(잠정) https://kostat.go.kr[...]
[3] 이미지 Photographic image of map http://www.drben.net[...] 2022-06-26
[4] 웹사이트 Daegu Metropolitan Area Population Info http://daegu.go.kr/ 2024-06-04
[5] 웹사이트 Teaching jobs in South Korea http://www.eslstarte[...] 2012-07-21
[6] 웹사이트 Daegu - The City of Textile Industry http://www.abcarticl[...] 2012-07-21
[7] 웹사이트 22nd SUMMER UNIVERSIADE http://www.fisu.net/[...] 2011-10-12
[8] 간행물 Siji-eui Munhwayujeok VIII: Chwirakji Bonmun Yeungnam University Museum
[9] 간행물 Daegu Dongcheon-dong Chwirak Yujeok YICP
[10] 논문
[11] 논문
[12] 간행물 Daegu Chilgok Sam Taekji Munhwayejeok Balguljosa Bogoseo FPCP
[13] 논문
[14] 논문
[15] 논문
[16] 논문
[17] 논문
[18] 논문
[19] 웹사이트 Green Left – Features: HISTORICAL FEATURE: The Korean War – a war of counter-revolution http://www.greenleft[...] 2022-06-26
[20] 논문
[21] 논문
[22] 논문
[23] 뉴스 Fear grips Daegu, South Korea, amid coronavirus https://abcnews.go.c[...] 2020-02-24
[24] 웹사이트 Mosque project tests South Korea's tolerance for increasing diversity https://www.npr.org/[...] NPR 2023-05-17
[25] 뉴스 Mosque construction triggers standoff in Daegu https://m.koreatimes[...] Korea Times 2022-05-03
[26] 웹사이트 Muslims in South Korea want to build a mosque. Neighbors protest and send pig heads https://www.npr.org/[...] NPR 2023-05-24
[27] 웹사이트 Mosque construction triggers standoff in Daegu https://m.koreatimes[...] 2022-05-03
[28] 웹사이트 기후자료극값 1월 일최저기온, 대구(143)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05-27
[29] 웹사이트 일별자료극값 > 기후자료극값(최대값) > 국내기후자료 > 기후자료 > 날씨 > 기상청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05-27
[30] 뉴스 오늘 낮 기온 '대프리카' 대구 35도!... "푹푹 찐다! 헉헉~" https://n.news.naver[...] Maeil Shinmun 2014-05-30
[31] 뉴스 인��
[36] 뉴스 Heat wave in S. Korea https://en.yna.co.kr[...] Yonhap News Agency 2023-08-03
[37]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38] 웹사이트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39]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00-00
[40] 웹사이트 Daegu, South Korea - Detailed climate information and monthly weather forecast https://www.weather-[...] Yu Media Group 2019-07-09
[41] 웹사이트 Daegu company list https://informative.[...] 2024-11-28
[42] 웹사이트 http://www.yeongnam.[...] 2007-03-17
[43] 웹사이트 http://news.chosun.c[...] The Chosun Ilbo 2009-11-25
[44] 서적 Insight Guides South Korea https://books.google[...] Apa Publications (UK) Limited 2016-10-00
[45] 웹사이트 http://tour.daegu.go[...] Daegu Metropolitan City
[46] 웹사이트 Palgongsan Cable Car (팔공산 케이블카) http://english.visit[...] VisitKorea.or.kr 2017-05-24
[47] 웹사이트 https://www.seoul.co[...] 2009-02-10
[48] 웹사이트 http://english.visit[...]
[49] 웹사이트 http://english.visit[...]
[50] 웹사이트 2015 Census – Religion Results https://kosis.kr/sta[...]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51] 웹사이트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https://population.u[...]
[52] 웹사이트 Population Census https://kosis.kr/sta[...] Statistics Korea
[53] 웹사이트 http://www.daegu.go.[...] Daegu Metropolitan City 2009-04-01
[54] 웹사이트 Top 25 rising young universities https://www.naturein[...] Nature Index 2019-00-00
[55] 웹사이트 http://www.nhic.or.k[...]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09-10-21
[56] 웹사이트 Home page https://web.archive.[...] 2016-03-30
[57] 웹사이트 Korea Daeguhwagyo Elementary School https://web.archive.[...] 2016-03-30
[58] 뉴스 https://www.kbmaeil.[...] 2020-00-00
[59] 뉴스 12 students honored in Multicultural Youth Awards https://www.koreatim[...] 2023-00-00
[60] 웹사이트 http://info.korail.c[...] Korea Railroad
[61] 웹사이트 https://www.newsis.c[...] Newsis 2019-03-12
[62] 웹사이트 Daegu Bus Information_Fare Guide http://businfo.daegu[...]
[63] 웹사이트 Sister Cities http://www.daegu.go.[...] Government of Daegu Metropolitan City
[64] 웹사이트 https://www.daegu.go[...] 대구광역시
[65] 웹사이트 Friendship Cities http://www.daegu.go.[...] Government of Daegu Metropolitan City
[66]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67] 웹사이트 대구광역시 주민등록 인구 http://www.mois.go.k[...]
[68] 웹사이트 姉妹都市 http://www.daegu.go.[...] 大邱広域市
[69]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1910-10-01
[70] 웹사이트 군위군, 7월부터 대구시 편입… TK 정치지형도 바뀐다 http://www.kbmaeil.c[...] 2023-01-01
[71]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대구(143) https://data.kma.go.[...] 韓国気象庁 2021-03-25
[72]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대구(143) https://data.kma.go.[...] 韓国気象庁 2021-10-02
[73] 웹인용 2019년 12월 31일 행정구역현황 http://www.daegu.go.[...]
[74] 일반
[75] 저널 분류:대구광역시의 구 https://ko.m.wikiped[...] 2023-07-19
[76] 저널 분류:대구광역시의 군 https://ko.m.wikiped[...] 2023-06-06
[77] 일반
[78] 웹인용 김종욱의 달구벌 이야기 (7)대구읍성(상) http://www.imaeil.co[...] 2010-09-29
[79] 법령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s:고종실록 32년 5월#음력 5월 [...]
[80] 법령 칙령 제36호 1896-08-04
[81] 법령 칙령 제49호 1906-09-24
[82] 웹인용 김종욱의 달구벌 이야기 (8) 대구읍성(하) http://www.imaeil.co[...] 2010-09-29
[83] 웹사이트 대구 자랑.3 경상감영(慶尙監營) http://www.yeongnam.[...]
[84] 웹인용 스토리가 있는 대구 도심 (14) 동산 스토리 ③여성, 주인공으로 서다 http://www.imaeil.co[...] 2010-09-29
[85]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7호 s:조선총독부령 제7호 1910-10-01
[86] 서적 한국사이야기22. 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바람 한길사 2004
[87]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도의위치·관할구역변경및부·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13-12-29
[88]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9호 1917-02-15
[89]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96호 1938-09-27
[90] 법령 대구부 조례 제22호 1938-11-02
[91] 법령 법률 제32호 1949-07-04
[92] 법령 대구시 조례 제10호 1951-06-09
[93] 법령 동의명칭변경에관한규정
[94] 법령 대구시 조례 제26호 1953-04-01
[95] 법령 시·군행정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57-11-06
[96] 법령 법률 제452호 시·군행정구역변경에관한법률
[97] 법령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98] 법령 법률 제1174호 대구시구설치에관한법률
[99] 법령 대구시 조례 제387호 1965-01-27
[100] 법령 대구직할시 및 인천직할시 설치에 관한 법률 http://www.law.go.kr[...] 1981-04-13
[101] 법령 서울특별시송파구등13개구설치와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7-12-31
[102] 법령 지방자치법 1994-12-22
[103] 웹사이트 http://www.yonhapnew[...]
[104] 일반
[105]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대구(143)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106]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대구(143)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107] 저널 2023시정현황 http://ebook.daegu.g[...]
[108] 저널 2023시정현황 http://ebook.daegu.g[...]
[109] 뉴스 "부자동네가 살기도 좋아" 대구 내 1위 도시는 'OO구' https://news.mt.co.k[...] 머니투데이 2024-07-16
[110] 웹사이트 대구광역시 실시간 대기정보 시스템 https://air.daegu.go[...]
[111] 웹사이트 도시를 식히는 법, ‘대프리카’서 찾는다 https://www.futurech[...]
[112] 웹사이트 통계청
[113] 웹사이트 http://stat.daegu.go[...] 대구광역시
[114] 저널 2023시정현황 http://ebook.daegu.g[...]
[115] 웹사이트 대구 수성구 소재 고교 6곳, 의대 합격 전국 30위권 ... 유명 학군지 명색 이어가 https://www.dkilbo.c[...]
[116] 웹사이트 대구 수능성적 전국 상위권…수성구 모든 영역 '두각' https://www.yna.co.k[...]
[117] 웹사이트 전국 수능 만점자 4명 배출한 대구 경신고 https://news.kbs.co.[...]
[118] 뉴스 대구 김광석길 등 5곳 한국관광공사 '야간관광 100선' 선정 http://news.imaeil.c[...] 매일경제 2020-04-19
[119] 뉴스 "대구의 밤은 낮보다 아름답다" 대구시, 야간관광지 개발 나서 https://news.chosun.[...] 조선일보 2020-06-04
[120] 뉴스 대구 작년 개인소득 전국 6위·경제성장률 5위 http://www.idaegu.co[...] 대구일보 2014-12-25
[121] 뉴스 수직상승한 대구의 1인당 개인소득 http://www.idaegu.co[...] 대구신문 2014-12-25
[122] 웹사이트 대구통계 http://stat.daegu.go[...]
[123] 웹사이트 영남일보 https://m.yeongnam.c[...]
[124] 뉴스 코로나19 확진자 가장 많은 대구, 경제적 타격도 가장 컸다 https://www.news1.kr[...] 뉴스1 2020-05-21
[125] 뉴스 대구 코로나 완치율 95%, 방심은 금물이다 http://news.imaeil.c[...] 매일신문 2020-05-22
[126] 뉴스 "방역 성공비결 궁금해"…외신, 권영진 시장 인터뷰 요청 쇄도 https://www.kyongbuk[...] 경북일보 2020-04-29
[127] 뉴스 ‘코로나 극복’ 대구시민·의료진, 특별 가족상 수상 https://www.idaegu.c[...] 대구신문 2020-05-19
[128] 뉴스 "안심하고 마셔도..." 대구 수도관 3년 주기로 전체 세척 https://news.chosun.[...] 조선일보 2020-06-11
[129] 뉴스 대구 수성구 제5군수지원사령부 이전 요구 '분출'...추진위 "대구시에 건의 예정" https://www.yeongnam[...] 영남일보 2023-05-03
[130] 뉴스 대구 고산권 '50년 터줏대감' 5군지사…옮기자는 이유는? https://news.imaeil.[...] 메일신문 2023-05-03
[131] 뉴스 [기획-업적평가]김범일 대구시장…공약이행도 67% https://www.fnnews.c[...] 파이낸셜뉴스 2024-07-16
[132]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