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조 기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건조 기후는 연평균 강수량이 500mm 이하이고 최난월 평균 기온이 10℃ 이상인 기후를 의미한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는 연평균 기온과 강수의 계절적 분포를 고려하여 건조 한계를 정의하며, 이를 기준으로 사막 기후와 스텝 기후로 세분한다. 대기의 순환과 기후 변화는 건조 기후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며, 기온 상승과 토지 이용 변화는 건조화를 심화시킬 수 있다. 2024년 UNCCD 보고서에 따르면 지구 육지의 상당 부분이 건조해졌으며, 건조 기후는 이전 상태로 돌아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후 패턴 - 무역풍
무역풍은 지구의 위도권을 따라 동쪽에서 서쪽으로 부는 바람으로, 해들리 순환의 일부이며, 코리올리 효과로 북반구에서는 북동풍, 남반구에서는 남동풍으로 불며, 기상 및 생태계에 영향을 미친다. - 기후 패턴 - 계절
계절은 기온, 강수량, 일조시간 등의 연간 변화에 따라 1년을 여러 시기로 나누는 것으로, 온대, 열대, 한대 지방에 따라 4계절, 우기와 건기, 백야와 극야 등으로 구분되며 문화권에 따라 다양한 기준이 적용된다. - 토양학 - 토양도
토양도는 토양의 종류, 비옥도, 배수 상태 등 다양한 특성을 지도에 표시하여 농업, 환경 보전, 건설 계획 수립 등 여러 분야에서 필수적인 토양 정보를 제공한다. - 토양학 - 영구동토
영구동토는 북반구 고위도와 고산지대에 주로 분포하며 2년 이상 0℃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는 토양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해빙될 경우 온실가스 배출 증가 및 지반 불안정 등의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건조 기후 | |
---|---|
지도 정보 | |
정의 | |
특징 | 심각한 수분 부족으로 특징지어지는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 |
유형 | 아열대 기후 온대 기후 극지 기후 |
특징 | |
강수량 | 강수량이 매우 적음 |
증발량 | 잠재적 증발량이 강수량보다 큼 |
식생 | 특수한 식생만 생존 가능 |
토양 | 염분이 많거나 영양분이 적은 토양 |
지역별 분류 | |
코펜의 기후 구분에 따른 분류 | 사막 기후 (BW) 스텝 기후 (BS) |
고도 | 높은 산악 지대 넓은 분지 |
건조 지수의 예시 | |
드 마르톤의 건조 지수 | 강수량(mm) / (온도(°C) + 10) |
랑의 강수 인자 | 강수량(mm) / 온도(°C) |
토르스웨이트의 건조 지수 | 연간 강수량과 증발산량의 비교 |
사막화 | |
원인 | 기후 변화 인간 활동 |
결과 | 토지 황폐화 및 식량 안보 위협 |
추가 정보 | |
관련 연구 분야 | 기후학 지질학 생태학 |
관련 용어 | 반건조 사막 가뭄 |
2. 정의
최난월 평균기온이 10°C 이상이고(냉대가 아닌 것), 연강수량이 건조 한계 (mm) 미만인 것을 의미한다. 건조 한계 은 연평균기온을 (℃)로 하여, 로 정의된다.
는 다음 강수 패턴의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구분 | 조건 | |
---|---|---|
w (겨울 건조/여름 강우) | 최다우월이 여름에 있으며, 10 × 최소우월 강수량 ≤ 최다우월 강수량 | |
s (여름 건조/겨울 강우) | 최다우월이 겨울에 있으며, 3 × 최소우월 강수량 ≤ 최다우월 강수량 그리고 최소우월 강수량이 30mm 미만 | |
f (연중 습윤/연평균 강우) | w도 s도 아님 |
2. 1. 일반적 정의
건조 기후는 연평균 강수량이 500mm 이하이며, 최난월(가장 더운 달) 평균 기온이 10℃ 이상인 기후를 의미한다. 냉대 기후는 아니다. 연 강수량이 건조 한계 (mm) 미만일 때 건조 기후로 판정한다. 건조 한계 은 연평균 기온을 (℃)라고 할 때, 로 정의된다.는 강수 패턴에 따라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구분 | 조건 | |
---|---|---|
w (겨울 건조/여름 강우) | 최다우월(가장 비가 많이 오는 달)이 여름에 있으며, 10 × 최소우월 강수량 ≤ 최다우월 강수량 | |
s (여름 건조/겨울 강우) | 최다우월이 겨울에 있으며, 3 × 최소우월 강수량 ≤ 최다우월 강수량, 그리고 최소우월 강수량이 30mm 미만 | |
f (연중 습윤/연평균 강우) | w, s 어느 쪽에도 해당하지 않음 |
위에서 구한 건조 한계 r을 기준으로 건조 기후는 다시 두 가지로 나뉜다.
연평균 기온이 18℃ 이상이면 BWh, BSh가 되고, 18℃ 미만이면 BWk, BSk가 된다.
W와 S는 각각 사막(Wüste|뷔스테de), 스텝(Steppe|슈테페de)을 뜻하며, h와 k는 덥다(heiß|하이스de), 춥다(kalt|칼트de)를 뜻하는 독일어의 머리글자이다.
2. 2. 쾨펜의 정의
연평균 강수량이 연평균 기온과 강수의 계절적 분포의 상관관계로 성립된 건조 한계에 이르지 못했을 때를 건조 기후라고 정의하였다.쾨펜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해야 건조 기후라고 정의하였다.
건조 한계 은 연평균 기온을 (℃)로 하여 로 정의된다.
는 아래의 강수 패턴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조건 | 설명 | |
---|---|---|
w (겨울철 건조/여름비) | 가장 많은 비가 내린 달이 여름에 있으므로, 10 × (가장 적게 비가 내린 달의 강수량) < (가장 많이 비가 내린 달의 강수량) | |
s (여름철 건조/겨울비) | 가장 많은 비가 내린 달이 겨울에 있으므로, 3 × (가장 적게 비가 내린 달의 강수량) < (가장 많이 비가 내린 달의 강수량)이고, 가장 적게 비가 내린 달의 강수량이 30mm 미만 | |
f (연중 습윤/평균적인 비) | w도 s도 아님 |
위에서 구한 건조 한계 r에 따라 다음 두 가지로 나뉜다.
연평균 기온이 18°C 이상이면 BWh, BSh가 되고, 18°C 미만이면 BWk, BSk가 된다.
W와 S는 각각 사막(Wüste|뷔스테de), 스텝(Steppe|슈테페de)을, h와 k는 각각 덥다(heiß|하이스de), 춥다(kalt|칼트de)의 독일어 머리글자이다.
3. 쾨펜의 기후 구분
건조 한계 의 1/2인 사막 한계를 기준으로 구분한다.
연평균 기온이 18℃ 이상이면 BWh, BSh가 되고, 18℃ 미만이면 BWk, BSk가 된다.
W와 S는 사막(Wüste)과 스텝(Steppe), h와 k는 덥다(heiß)와 춥다(kalt)의 독일어de 약자이다. 최난월 평균기온이 10℃ 이상인 것(냉대가 아닌 것). 연강수량이 건조 한계 (mm)미만인 것. 건조 한계 은 연평균기온을 (℃)로 하여, 로 정의된다.
는 다음 강수 패턴의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구분 | 조건 | |
---|---|---|
w (겨울 건조/여름 강우) | 최다우월이 여름에 있으며, 10 × 최소우월 강수량 ≦ 최다우월 강수량 | |
s (여름 건조/겨울 강우) | 최다우월이 겨울에 있으며, 3 × 최소우월 강수량 ≦ 최다우월 강수량 그리고 최소우월 강수량이 30mm 미만 | |
f (연중 습윤/연평균 강우) | w도 s도 아님 |
위의 건조대의 정의에서 구한 건조 한계 r에 따라 다음 두 가지로 나뉜다.
연평균 기온이 18℃ 이상이면 BWh, BSh가 되고, 18℃ 미만이면 BWk, BSk가 된다.
W와 S는 사막(Wüstede), 스텝(Steppede)을, h와 k는 덥다(heißde), 춥다(kaltde)의 독일어de 머리글자이다.
4.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
어떤 시점의 건조 지역 분포는 주로 대기의 일반적인 순환의 결과이며, 이는 기후변화를 통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당히 변화한다.[1][2]
4. 1. 기후 변화의 영향
어떤 시점의 건조 지역 분포는 주로 대기의 일반적인 순환의 결과이다. 이는 기후변화를 통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당히 변화한다. 예를 들어, 향후 30~40년 동안 나일 분지의 기온이 1.5°C~2.1°C 상승하면 이 지역이 반건조에서 건조로 바뀌어 농업에 사용 가능한 토지가 상당히 줄어들 수 있다. 또한 토지 이용의 변화는 토양 수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켜 건조화를 심화시킬 수 있다.[1]2024년 12월 UNCCD 보고서는 지구 육지의 4분의 3 이상이 "최근 수십 년 동안 영구적으로 건조해졌다"는 결론을 내리고, "전 세계 광대한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건조한 기후는 이전 상태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며, 세계 인구의 4분의 1이 확장되는 건조지대에 살고 있다고 밝혔다.[2]
4. 2. 토지 이용 변화의 영향
어떤 시점의 건조 지역 분포는 주로 대기의 일반적인 순환의 결과이다. 이는 기후변화를 통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당히 변화한다. 예를 들어, 향후 30~40년 동안 나일 분지의 기온이 1.5°C에서 2.1°C 상승하면 이 지역이 반건조에서 건조로 바뀌어 농업에 사용 가능한 토지가 상당히 줄어들 수 있다.[1] 또한 토지 이용의 변화는 토양 수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켜 건조화를 심화시킬 수 있다.[1]2024년 12월 UNCCD 보고서는 지구 육지의 4분의 3 이상이 "최근 수십 년 동안 영구적으로 건조해졌다"는 결론을 내리고, "전 세계 광대한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건조한 기후는 이전 상태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며, 세계 인구의 4분의 1이 확장되는 건조지대에 살고 있다고 밝혔다.[2]
4. 3. 건조화의 심각성
어떤 시점의 건조 지역 분포는 주로 대기의 일반적인 순환의 결과이다. 이는 기후변화를 통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당히 변화한다. 예를 들어, 향후 30~40년 동안 나일 분지의 기온이 1.5°C~2.1°C 상승하면 이 지역이 반건조에서 건조로 바뀌어 농업에 사용 가능한 토지가 상당히 줄어들 수 있다.[1] 또한 토지 이용 변화는 토양 수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켜 건조화를 심화시킬 수 있다.[1]2024년 12월 UNCCD 보고서는 지구 육지의 4분의 3 이상이 "최근 수십 년 동안 영구적으로 건조해졌다"는 결론을 내리고, "전 세계 광대한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건조한 기후는 이전 상태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며, 세계 인구의 4분의 1이 확장되는 건조지대에 살고 있다고 밝혔다.[2]
5. 한국에 미치는 영향
(참조할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Increasing Aridity and Land-use Overlap Have Potential to Cause Social and Economic Conflict in Dryland Areas
https://www.usgs.gov[...]
2017-05-24
[2]
웹사이트
The Global Threat of Drying Lands: Regional and global aridity trends and future projections
https://www.unccd.in[...]
United Nations Convention to Combat Desertification (UNCCD)
2024-1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