겐나디 노브고로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겐나디는 1484년부터 1504년까지 노브고로드 대주교였으며, 유대교 이단을 근절하고, 부활절 계산에 기여했다. 모스크바의 보야르 가문 출신으로, 추도프 수도원의 이구멘을 거쳐 노브고로드 대주교가 되었다. 그는 노브고로드 교회를 모스크바의 교회 관행에 맞추려 했으며, 이단자 처벌을 위해 스페인 종교 재판의 방식을 따랐다. 1492년에는 부활절을 계산하여 종교 의식과 농업 활동에 기여했으며, 1503년 모스크바 공의회에 참여했으나 이듬해 성직 매매 혐의로 물러나 1505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10년 출생 - 강맹경
강맹경은 조선 초 문신으로, 문과 급제 후 세조 즉위 공로로 좌익공신에 책록되고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계유정난 가담에 대한 비판과 황희의 총애를 받았다는 긍정적 평가가 공존하는 인물이다. - 1410년 출생 - 정정옹주 (태종)
태종과 신빈 신씨의 딸인 정정옹주는 조말생의 아들 조선과 혼인하여 1남 1녀를 두었으며, 세조가 그녀의 죽음을 애도하였다. - 15세기 러시아 사람 - 바실리 3세
바실리 3세는 이반 3세의 아들로서 영토 확장 정책을 펼쳐 프스코프 공화국 등을 병합하고 스몰렌스크를 점령했으며, 차르 칭호와 이중두상 독수리를 채택하고 후계자를 얻기 위해 재혼 후 이반 4세를 낳았으며, 승천 교회를 건립하고 농양으로 사망하기 전 수도승이 되었다. - 15세기 러시아 사람 - 안드레이 루블료프
15세기 러시아의 이콘 화가이자 수도사인 안드레이 루블료프는 러시아 정교회 미술의 황금기를 대표하는 인물로, 「성삼위일체」 이콘은 성삼위일체 묘사의 표준으로 인정받았으며 금욕적인 아름다움과 비잔틴 양식의 조화로 '루블료프파'라는 독자적인 예술 사조를 형성했다. - 모스크바 대공국 - 타타르의 멍에
타타르의 멍에는 13세기 몽골 제국이 루스 지역을 지배한 약 200년간의 시기를 의미하며, 몽골군은 루스를 침략하여 킵차크 칸국을 세우고 간접 지배하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 모스크바 대공국 - 세라피욘 노브고로트 1세
겐나디 노브고로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성인 |
이름 | 겐나디 노브고로트 |
원래 이름 | Геннадий |
축일 | 12월 4일 |
공경 대상 | 동방 정교회 |
칭호 | 존자 |
시성일 | 2016년 |
시성 교회 | 러시아 정교회 |
상징물 | 겐나디 성경 |
출생지 추정 | 모스크바 |
사망지 | 추도프 수도원 |
생애 | |
출생일 | 1410년 1월 13일 |
사망일 | 1505년 12월 4일 |
거주지 | 모스크바 대공국 모스크바 주 모스크바 모스크바 대공국 노브고로트 주 노브고로트 |
정치 | |
정당 | 무소속 |
종교 | |
종교 | 동방 정교회 |
경력 | |
경력 | 정교회 사제 출신 |
주요 직책 | |
직책 | 모스크바 대공국 국무대리섭정공 |
군주 | 이반 3세 |
임기 | 1462년 3월 27일 ~ 1462년 4월 5일 |
직책 | 모스크바 대공국 노브고로트 주 노브고로트 정교회 대주교 |
임기 | 1484년 12월 12일 ~ 1504년 6월 26일 |
전임 | 세르게이 모스코프 |
후임 | 세라피욘 노브고로트 1세 |
개인 정보 | |
배우자 | 없음 (미혼 독신) |
2. 생애
겐나디는 1503년 모스크바 공의회에 참여했지만, 이듬해 성직 매매 혐의로 고발당하여 직에서 물러났다. 모스크바로 돌아온 후 1505년 12월 4일 추도프 수도원에서 사망했다. 그는 1929년 파괴될 때까지 수도원의 주 교회에 있는 대주교 알렉세이 근처에 묻혔으며, 이후 그의 유해는 크렘린에 묻힌 100명 이상의 다른 사람들의 유해와 함께 사라졌다.
2. 1. 초기 생애와 대주교 임명
겐나디는 모스크바의 곤조프 보야르 가문 출신으로, 대주교가 되기 전에는 모스크바 크렘린의 추도프 수도원 이구멘이었다. 노브고로드에서 그의 직전 계승자인 세르게이는 1년도 채 안 되는 기간 동안 재임했는데, 정신 질환으로 추정되어 소환되어 추도프 수도원에 갇혔다.[1]겐나디는 1484년 12월 12일 모스크바에서 노브고로드 대주교로 임명되어 취임했으며, 1359년 이후 제비뽑기로 선택되지 않은 첫 번째 노브고로드 성직자였다.[1] 1485년 1월에 노브고로드에 도착한 그는 (세르게이도 그랬듯이) 새로 정복된 노브고로드 교회를 모스크바의 교회 관행에 더 가깝게 만들라는 임무를 받았다. (도시는 1478년에야 모스크바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게 되었고, 마지막으로 지역에서 선출된 대주교인 테오필은 1480년에 해임되었다.) 그는 여러 모스크바 성인들을 기념함으로써 지역 성직자들의 반대에 직면했지만, 여러 지역 성인들을 기념에 포함시킴으로써 이에 대처했다.
겐나디가 대주교 재임 기간 동안 겪은 주요 어려움은 노브고로드와 모스크바에서 유대교 이단을 근절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여러 노브고로드 성직자들이 수도로 전출되면서 확산되었다. 그는 스페인 종교 재판에서 방법을 빌려 스페인 국왕이 그의 왕국에서 이단에 대처하는 방식을 존경했으며, 대공과 대주교의 지원을 받아 여러 이단자들을 화형시켰다고 한다.[2]
''노브고로드 제4 연대기''는 겐나디가 1484년과 1490년 사이에 현재의 데티네츠 또는 크렘린 성벽 재건의 3분의 1을 지불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3] 1492년에는 앞으로 천 년 동안의 부활절을 계산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2. 2. 노브고로드 대주교 재임
겐나디는 모스크바의 곤조프 귀족 가문 출신으로, 대주교가 되기 전에는 모스크바 크렘린의 추도프 수도원 수도원장이었다. 노브고로드에서 그의 직전 계승자인 세르게이는 1년도 채 안 되는 기간 동안 재임했는데, 정신 질환으로 추정되어 소환된 후 추도프 수도원에 갇혔다.[1]겐나디는 1484년 12월 12일 모스크바에서 노브고로드 대주교로 임명되어 취임했으며, 1359년 이후 제비뽑기로 선택되지 않은 첫 번째 노브고로드 성직자였다.[1] 1485년 1월에 노브고로드에 도착한 그는 (세르게이도 그랬듯이) 새로 정복된 노브고로드 교회를 모스크바의 교회 관행에 더 가깝게 만들라는 임무를 받았다. (노브고로드는 1478년에야 모스크바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게 되었고, 마지막으로 지역에서 선출된 대주교인 테오필은 1480년에 해임되었다.) 그는 여러 모스크바 성인들을 기념함으로써 지역 성직자들의 반대에 직면했지만, 여러 지역 성인들을 기념에 포함시켜 이에 대처했다.
겐나디가 대주교 재임 기간 동안 겪은 주요 어려움은 노브고로드와 모스크바에서 유대교 이단을 근절하는 것이었다. 이 이단은 여러 노브고로드 성직자들이 수도로 전출되면서 확산되었다. 그는 스페인 종교 재판에서 방법을 빌려 스페인 국왕이 그의 왕국에서 이단에 대처하는 방식을 존경했으며, 대공과 대주교의 지원을 받아 여러 이단자들을 화형시켰다고 한다.[2]
''노브고로드 제4 연대기''에 따르면, 겐나디는 1484년과 1490년 사이에 현재의 데티네츠(크렘린) 성벽 재건 비용의 3분의 1을 지불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3] 1492년에는 앞으로 천 년 동안의 부활절을 계산했다. 많은 러시아인들은 세상 창조로부터 7000년(비잔틴 달력 기준)이 되는 해, 즉 서기 1492년이 세상의 종말이 될 것이라고 믿었고, 그 이후에는 부활절을 계산하지 않았다. 이는 종교 의식 수행뿐만 아니라 작물 파종 및 수확 시기를 결정하는 데도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여 기근을 야기할 수 있었다. 따라서 겐나디의 기여는 단순히 부활절 날짜를 아는 것 이상이었다.
2. 3. 이단과의 투쟁
겐나디는 스페인 종교 재판의 방법을 참고하여, 스페인 국왕이 이단을 다루는 방식을 존경했다. 그는 대공과 대주교의 지원을 받아 여러 이단자들을 화형시켰으며,[2] 노브고로드와 모스크바에서 유대교 이단을 근절하고자 했다.2. 4. 부활절 계산과 성벽 재건
모스크바의 곤조프 보야르 가문 출신인 겐나디는 1492년에 앞으로 천 년 동안의 부활절 날짜를 계산했다.[3] 당시 많은 러시아인들은 비잔틴 달력으로 세상이 창조된 지 7000년이 되는 해(서기 1492년)가 세상의 종말이 될 것이라고 믿었고, 그 이후에는 부활절 날짜를 계산하지 않았다. 이는 종교 의식 수행뿐만 아니라 작물 파종 및 수확 시기를 결정하는 데도 영향을 주어 기근을 초래할 수 있었다. 따라서 겐나디의 기여는 단순한 부활절 날짜 계산 그 이상이었다.''노브고로드 제4 연대기''에 따르면, 겐나디는 1484년과 1490년 사이에 현재의 데티네츠 또는 크렘린 성벽 재건 비용의 3분의 1을 지불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3]
2. 5. 말년과 죽음
겐나디는 1503년 모스크바 공의회에 참여했지만, 이듬해 성직 매매 혐의로 고발당하여 직에서 물러났다. 모스크바로 돌아온 후 그는 1505년 12월 4일 추도프 수도원에서 사망했다. 그는 1929년 파괴될 때까지 수도원의 주 교회에 있는 대주교 알렉세이 근처에 묻혔으며, 이후 그의 유해는 크렘린에 묻힌 100명 이상의 다른 사람들의 유해와 함께 사라졌다.3. 평가
(요약 및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해당 섹션 작성이 불가합니다.)
참조
[1]
논문
Episcopal Election in Novgorod, Russia 1156-1478
2003-06
[2]
논문
Burn, Baby, Burn: Popular Culture and Heresy in Late Medieval Russia
1998
[3]
논문
The Military Revolution in Russia, 1550-1682
2004-01
[4]
서적
Nekropoli Moskovskogo Kremlia
Muzei Zapovednik Moskovskii Kreml'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