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룡산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계룡산통은 라진-선봉지구, 청진지구, 가라지봉지구 등에서 발견되는 지질학적 층서 단위이다. 라진-선봉지구에서는 두만강암군 관입암체에 의해 뚫려 불규칙한 두께를 가지며, 견운모녹니석편암, 석회암, 분사암 등으로 구성된다. 청진지구에서는 안산암, 영안암, 응회암 등이 나타나며, 석회암에서 해백합 화석이 발견된다. 가라지봉지구에서는 좁고 긴 띠 모양으로 분포하며, 석탄기 말에서 페름기 말까지의 시기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계룡산통의 석회암에서는 다양한 동물 화석이 발견되어 페름기 상부 지층임을 알 수 있다.
라진-선봉지구는 두만강 침강대 남동부 해안선을 따라 위치한 융기대 구역이다. 이 지역에서 계룡산통은 부거천 유역의 라진 락산동의 로세동 부근에 21km2 정도의 면적으로 드러나 있으며, 암기통 위에 정합으로 놓여있다. 웃한계는 두만강암군 관입암체에 의해 뚫려 잘 알 수 없고 계룡산통의 두께는 369m ~ 645m이다.
2. 라진-선봉지구에서의 계룡산통
이 지구의 계룡산통 암석에는 견운모녹니석편암, 견운모규질편암, 녹니석규질편암, 흑운모규질편암, 천매암질편암, 분사암, 석회암의 낌층과 그 사이에 끼여있는 함력양기석, 녹염석, 녹니석, 규질편암, 녹니석녹염석양기석편암이 들어있다. 계룡산통의 아래부분에 있는 흑색천매암과 편암 안에 끼이는 회색 석회암(두께 1cm~10cm)에는 산호류와 해백합 조각이 들어있다.
2. 1. 부거리 인근 계룡산통
부거리 북서쪽 1.5km 지점에서 계룡산통의 자름면을 관찰할 수 있다. 아래에서 위로 가면서 다음과 같은 암석들이 나타난다.
| 순서 | 암석 종류 | 두께 (m) | 특징 |
|---|---|---|---|
| 1 | 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질규질편암 | 1 | |
| 2 | 암회색견운모규질편암 | 23 | |
| 3 | 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질규질편암 | 1 | |
| 4 | 녹회색녹니석규질편암 | 12 | |
| 5 | 회록색 견운모녹니석편암 | 11 | 두께 5cm인 흑운모규질편암이 자주 낌 |
| 6 | 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규질편암 | 20 | 두께 5cm~10cm인 견운모녹니석편암이 자주 낌 |
| 7 | 암회색흑운모규질편암 | 10 | |
| 8 | 암회색견운모규질편암 | 2 | |
| 9 | 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규질편암 | 4 | |
| 10 | 담회색견운모규질편암과 녹회색규질편암이 엇바뀌는 층 | 12 | 녹회색규질편암은 위로 올라가면서 많아짐 |
| 11 | 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규질편암 | 6 | |
| 12 | 녹회색녹니석규질편암 | 22 | |
| 13 | 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규질편암 | 4 | |
| 14 | 회녹색견운모녹니석편암 | 4 | |
| 15 | 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규질편암 | 2 | |
| 16 | 회녹색견운모녹니석편암 | 26 | |
| 17 | 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규질편암 | 3 | |
| 18 | 회록색견운모녹니석편암 | 22 | |
| 19 | 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규질편암 | 4 | |
| 20 | 회녹색견운모녹니석편암 | 37 | |
| 21 | 암회색천매암질편암 | 35 | 두께 1cm~10cm인 회색석회암이 자주 낌 |
| 22 | 회흑색견운모녹니석편암 | 8 | |
| 23 | 암회색천매암질편암 | 16 | 아래부분에 두께 1cm~10cm인 흑운모규질편암, 석회암이 낌. 석회암 안에 산호가 들어있음 |
| 24 | 녹회색분사암 | 50 | |
| 25 | 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규질편암 | 2 | |
| 26 | 회녹색견운모녹니석편암 | 13 | |
| 27 | 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규질편암 | 2 | |
| 28 | 회록색견운모녹니석편암 | 42 | |
| 29 | 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규질편암 | 1 | |
| 30 | 회녹색견운모녹니석편암 | 19 | |
| 31 | 녹회색견운모녹니석편암 | 231 | 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규질편암이 자주 낌 |
층의 전체 두께는 645m이다.
흑색천매암과 편암 내에 얇은 회색 석회암층(두께 1cm~10cm)이 존재하며, 이 석회암층에서 산호류와 해백합 조각이 발견된다.
2. 2. 락산지구 로세동 부근 계룡산통
라진-선봉지구 락산동의 로세동 부근에는 계룡산통이 약 21km2 면적으로 드러나 있다. 이 지역의 계룡산통은 암기통 위에 정합으로 놓여 있으며, 두만강암군 관입암체에 의해 뚫려 상한계는 잘 알 수 없다. 계룡산통의 두께는 369m~645m이다.이 지구의 계룡산통 암석에는 견운모녹니석편암, 견운모규질편암, 녹니석규질편암, 흑운모규질편암, 천매암질편암, 분사암, 석회암의 낌층과 그 사이에 끼여있는 함력양기석, 녹염석, 녹니석, 규질편암, 녹니석녹염석양기석편암이 들어있다.
계룡산통의 아래부분에 있는 흑색천매암과 편암 안에 끼이는 회색 석회암(두께 1cm~10cm)에는 산호류와 해백합 조각이 들어있다.
락산지구 로세동 부근의 계룡산통 자름면은 아래에서부터 위로 가면서 다음과 같은 암석층이 나타난다.
- 암기통의 분사암 위에 -
# 녹니석녹염석양기석편암 (윗부분은 각암화되었으며 두께가 0.5m~1m인 견운모규질편암이 끼인다)...25m
# 녹회색분사암과 회녹색견운모녹니석이 엇바뀌는 층 (이 층 밑에서부터 1m~2m 위로 올라가면서 점차 얇아진다)...22m
# 규질편암...2m
# 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질규질편암...18m
# 회녹색견운모녹니석편암...102m
# 회녹색견운모녹니석편암 (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규질편암이 끼인다)...200m
층의 전체 두께는 369m이다.
계룡산통의 아래부분은 규질편암류, 견운모녹니석편암, 천매암질편암, 분사암으로 되어 있으며, 윗부분은 비교적 균질한 견운모녹니석편암으로 되어 있다. 아래부분의 천매암질편암에는 회색 석회암이 1cm~10cm 두께로 자주 끼인다. 락산지구의 로세동 부근의 아래부분에서는 층이 얇아지며(67m) 그 안에 있는 천매암질편암에는 두께가 0.5m~0.8m인 석회암층이 3개가 있다. 또한 분출퇴적기원의 변성암력이 들어있는 양기석녹염석녹니석규질편암, 녹염석양기석규질편암, 녹니석녹염석양기석질편암의 낌층이 자주 끼인다. 낌층의 두께는 보통 1m~5m, 드물게 25m이다. 이 암석들에 들어있는 역의 양과 조성은 잇달림상에서 다르다. 역은 석회암, 점판암, 규질편암, 규암, 드물게 변질된 화강암과 분출암으로 되어 있다. 구성암석은 편리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렌즈 모양을 이룬다. 역질편암은 주로 부거지구 암기동 부근에서 잘 잇달린다. 그 크기는 1cm~5cm, 또는 20cm 안팎인 것도 있다. 이 지구에서 계룡산통은 두망간암군 화강암에 의하여 뚫렸기 때문에 두께가 상이하다.
3. 청진지구에서의 계룡산통
청진지구는 수성천단열대의 동쪽인 청진단열지괴의 남쪽 부분에 해당하며, 서수라지구에서 금바위를 거쳐 청진시 청암구역 교원리 증산지구까지 뻗어 있다. 이 지구의 계룡산통은 서하동향사, 황만동향사, 계룡산향사, 산로산향사에 놓인다. 계룡산통의 아래부분은 암기통 위에 정합으로 놓이며, 윗부분은 화강암에 의해 끊기거나 단층에 의해 잘려 경계를 명확히 알 수 없다.
이 지역의 암석은 주로 안산암, 영안암, 안산분암과 그 응회암 및 녹색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층들은 북서 방향으로 이어지면서 북동쪽으로 40 ~ 80˚ 기울어져 있으며, 계룡산통의 두께는 약 1200m 정도이다.
교동 서쪽 산비탈면에서의 자름면은 아래로부터 위로 가면서 다음과 같다.
| 순서 | 암석 종류 | 두께 (1m) |
|---|---|---|
| 1 | 잡사암 | 22m |
| 2 | 녹니석편암 | 11.7m |
| 3 | 영안암질응회암 | 9.3m |
| 4 | 소력질응회암 | 4.9m |
| 5 | 점판암 | 1m |
| 6 | 역질응회암 | 4.9m |
| 7 | 응회질녹색암 | 80m |
| 8 | 안산암질응회암 | 72m |
| 9 | 역질응회암 | 51m |
| 10 | 녹니석편암 | 15m |
| 11 | 안산분암 | 34.3m |
| 12 | 흑색점판암 | 6.4m |
| 13 | 영안암질응회암 | 19m |
| 14 | 응회암과 녹색암이 서로 엇바뀌는 층 | 14.7m |
| 15 | 규질점판암 | 4.5m |
| 16 | 안산분암 | 20m |
| 17 | 역질응회암과 잡사암 | 9.5m |
| 18 | 점토분과 응회질이 서로 얇게 엇바뀌는 층 | 2.6m |
| 19 | 역질응회암 | 10.1m |
| 20 | 흑색점판암 | 1.8m |
| 21 | 잡사압 (점판암의 얇은 층이 끼인다) | 14.2m |
| 22 | 잡사압 | 5m |
| 23 | 흑색점판암 | 26m |
| 24 | 안산분암 | 27m |
| 25 | 응회질잡사암 | 23m |
| 26 | 안산분암 | 9.8m |
| 27 | 녹니석편암 | 27m |
| 28 | 잡사암 | 2.9m |
| 29 | 안산분암 | 61m |
| 30 | 안산암 | 28m |
| 31 | 역질응회암 | 0.6m |
| 32 | 안산분암 | 3.7m |
| 33 | 녹색암 | 117m |
| 34 | 안산분암 | 87m |
| 35 | 녹색암과 안산분암이 서로 엇바뀌는 층 | 41m |
| 36 | 안산분암 | 15.4m |
| 37 | 녹색암 | 72.4m |
| 38 | 역질응회암 | 7.1m |
층의 전체 두께는 932.8m이다.
이 지구 계룡산통은 증산지구에서 서남쪽 장생지구로 가면서 층이 심하게 밀려 편리가 잘 나타난다. 통의 아래부분에는 석회암과 점판암이 1m ~ 5m 두께로 2 ~ 3개 정도 들어있는 역질응회암이 끼이며, 안산암, 영안암, 안산분암, 녹색암이 많아진다. 주향 방향에서 구성 암석들은 서로 엇바뀌고 자주 끊어지며, 암상 변화가 심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이 층 안에 낌층으로 들어있는 점판암이나 석회암도 연속성이 좋지 않다. 이 낌층들은 암기통의 분출암과 계룡산통의 분출암을 구분하는 기준층 역할을 한다. 이 통의 석회암 안에는 해백합 화석이 들어있다.
3. 1. 계룡산 북쪽 산비탈면 계룡산통
계룡산 북쪽 산비탈면에서 계룡산통의 자름면을 아래에서 위로 가면서 관찰하면 다음과 같은 암석들이 나타난다.| 순서 | 암석 종류 | 두께(1m) |
|---|---|---|
| 1 | 녹니석편암 | 9.8m |
| 2 | 응회질녹색암(영안암질) | 3.8m |
| 3 | 녹니석편암 | 12.5m |
| 4 | 응회질녹색암 | 2.9m |
| 5 | 흑색점판암 | 0.1m |
| 6 | 석회암 (해백합 화석 있음) | 3m |
| 7 | 녹니석편암 | 1.9m |
| 8 | 회녹색점토질녹니석편암 | 10.1m |
| 9 | 응회질녹니석편암(영안암질) | 0.87m |
| 10 | 회록색점판암 | 79m |
| 11 | 녹색암 (규질물이 1cm ~ 2cm 두께로 여러 개 끼임) | 3.3m |
| 12 | 분사질흑색점판암 | 4.4m |
| 13 | 응회질녹색암 | 20m |
| 14 | 세립사질과 점토질물이 세층으로 엇바뀌는 층 | 2.7m |
| 15 | 분사질녹니석편암 | 5.7m |
| 16 | 흑색점판암 | 5.7m |
| 17 | 녹색점판암 | 1.9m |
| 18 | 잡사암과 점판암이 엇바뀌는 층 | 1.7m |
| 19 | 회록색점판암 | 4m |
| 20 | 응회암 | 50m |
| 21 | 녹색암 | 81m |
| 22 | 석영각반암이 얇게 끼인 녹니석편암 | 1.7m |
| 23 | 응회질녹색암 | 71m |
| 24 | 응회암 | 11.4m |
| 25 | 녹색암 | 12.4m |
| 26 | 녹니석편암 | 83m |
| 27 | 응회암 | 69m |
| 28 | 녹색점판암 | 31m |
| 29 | 응회암 | 71m |
| 30 | 응회질녹색암 | 338m |
4. 가라지봉지구의 계룡산통
가라지봉지구의 계룡산통은 무산군 강선로동자구에서 가라지봉을 지나 회령군 룡천리 소구내골까지 20km 길이로 분포한다. 부윤단열지괴의 무산융기구와 남대천요함구계선을 따라 주로 요함구에 치우쳐 나타나며, 면적은 약 15km2이다. 이전에는 무산층군의 일부로 생각되었으나 1:5만 축척 조사에서 계룡산통으로 확인되었다.
5. 계룡산통의 시대와 성인 고찰
계룡산통은 상부 고생대 초 석탄기 말에서 페름기 말 사이에 형성된 지층으로 추정된다. 해저에서 만들어진 쇄설퇴적암, 염기성-중산성 분출암 및 응회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페름기에는 침강 구역으로 변화하면서 분출 및 관입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계룡산통의 석회암에서는 완족류, 해백합, 태선류, 방추충, 유공충, 방산충 등 다양한 동물 화석이 발견되는데, 이를 통해 페름기 상부 지층임을 알 수 있다. 당시 인도양, 태평양의 해서동물군과 고지중해에서 볼 수 있는 방추충, 완족류 및 관성 해조류들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이 시기에는 분지가 비교적 온화한 해양과 연결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일부 학자들은 계룡산통을 청진암군과 함께 오피오라이트 상층부의 저탁암 및 분출암으로 보기도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