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경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경철은 대한민국의 로봇공학자이다. LG산전 연구소에서 스카라 로봇 등을 개발했으며, 선문대학교, KAIST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고영테크놀러지 사외이사를 역임하고 현재는 전무로 재직 중이며, 로봇 관련 정부 과제를 수행하고, 다수의 논문 및 저서를 발표했다. 또한, 로봇 산업 관련 기고와 방송 출연 등 대외 활동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지중학교 (서울) 동문 - 김미경 (1965년)
    김미경은 더불어민주당 소속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은평구의회 의원, 서울특별시의회 의원을 거쳐 민선 7·8기 서울특별시 은평구청장을 역임하고 있다.
  • 명지중학교 (서울) 동문 - 정삼흠
    정삼흠은 MBC 청룡과 LG 트윈스에서 투수로 활동했으며, 신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다.
  •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동문 - 지상욱
    지상욱은 연세대학교와 스탠퍼드 대학교, 도쿄 대학에서 토목공학 및 건축공학 학위를 취득하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세대학교 연구교수를 거쳐 자유선진당 대변인으로 정계에 입문, 제20대 국회의원, 바른미래당 정책위원회 의장, 새로운보수당 공동대표, 여의도연구원 원장을 역임하고 현재 국민의힘 서울특별시당 수석부위원장을 맡고 있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동문 - 김종익 (1918년)
    김종익(1918년)은 충청남도 부여 출신의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민주공화당 소속으로 제7대, 8대, 9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민주공화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과 민족중흥동지회 활동을 했다.
  • 대한민국의 로봇공학자 - 진대제
    진대제는 세계 최초 16메가 D램 개발을 주도한 공학자이자 기업인, 정치인으로, 정보통신부 장관을 역임하고 미국 공학한림원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현재 솔루스첨단소재 대표이사이다.
  • 대한민국의 로봇공학자 - 데니스 홍
    데니스 홍은 한국계 미국인 로봇 공학자이자 UCLA 교수 겸 로봇 연구소 소장으로, 시각장애인 운전 자동차, 휴머노이드 로봇, 재난 구조 로봇 개발 등 로봇 공학 분야에서 혁신적인 업적을 이루었으며 사회적 문제 해결에도 기여하고 있다.
고경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고경철
고경철
이름고경철
출생일1960년 12월 8일
출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거주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국적대한민국
학력공학박사
부모아버지 고동빈, 어머니 정순남
친척1남 2녀 중 장자
웹사이트고경철 블로그

2. 경력

고경철은 LG산전 연구소, 대학교, KAIST, 그리고 현재 재직 중인 고영테크놀러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관에서 로봇 연구 개발 경력을 쌓았다.

선문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교수(1998.3~2016.8)와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연구교수(2016.9~2021.9)를 역임하였다.

주요 연구업적으로는 역모델기반 피드포워드제어, 누적오차가 없는 양자화 알고리즘, 위상공간을 기반으로 한 최소시간 모션제어기 설계 등이 있으며, 이동로봇을 위한 자율이동 제어시스템을 주제로 한국과학기술원에서 박사학위(1994)를 받았다.[2]

로봇 및 제어 관련 국내외 논문 23편(SCI 8편)과 특허 7건을 보유하고 있다.[2]

대외활동으로는 '로봇' 산업 비전 및 발전 계획(2004), '지능형로봇' 로드맵(2005) 등에 참여하였고, 제어로봇시스템학회 이사(2021~), 대한의료로봇학회 홍보이사(2021~) 등으로 활동 중이다.[4]

연도내용
1982.2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 학사 졸업
1984.2KAIST 기계공학과 석사
1994.2KAIST 정밀공학과 박사
1998.3~2016.8선문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교수
2004~2006지능형로봇사업단 기술위원장
2007~2008차세대전략기술지원단 R&D효율화위원장
2016.9~2021.9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연구교수
2021.10~현재고영테크놀러지 전무(기술기획)
2003~(사)로봇스포츠협회 부회장
2008~로봇산업협회 전문위원
2017~세종과학포럼 회장
2022~제어로봇시스템학회 부회장
2022~한국로봇산업협회 부회장


2. 1. LG산전 연구소 (1984-1998)

LG산전(현 LS일렉트릭) 연구소 재직 시, 로봇연구실장으로서 산업용 로봇 개발을 총괄하며, 국내 최초로 스카라 로봇(1987), 와이어컷 방전가공기(1993), 소형 6축 수직다관절 로봇(1995), 지능형 용접 시스템(1997) 등을 개발하였다.[1]

2. 2. 고영테크놀러지 (2008-현재)

고영테크놀러지 사외이사(2008~2020)를 역임하였고, 산학 공동으로 고영테크놀러지사와 납도포 검사 장비(2002)를 국내 최초로 개발하였다.[1] 기계 학습 기반 SMT 제조 공정 최적화 시스템(2019) 상품화를 주도하였다.

3. 연구 업적

고경철은 LG산전 연구소 로봇연구실장으로 재직하며 대한민국 최초로 스카라 로봇(1987)을 개발하고,[1] 와이어컷 방전 가공기(1993), 소형 6축 수직 다관절 로봇(1995), 지능형 용접 시스템(1997) 등을 개발하며 산업용 로봇 개발을 총괄했다. 고영테크놀러지와 산학협력을 통해 납 도포 검사 장비(2002)를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1] 로봇 및 제어 관련 국내외 논문 23편(SCI 8편), 특허 7건을 보유하고 있으며,[2] "4차 산업혁명 로봇 산업의 미래" 등 다수의 저서를 출간했다.

3. 1. 제어 기술

역모델 기반 피드포워드 제어, 누적 오차가 없는 양자화 알고리즘, 위상 공간 기반 최소 시간 모션 제어기 설계 등 로봇 제어 기술을 개발했다.[1] 이동 로봇을 위한 자율 이동 제어 시스템을 주제로 한국과학기술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1994).[1]

3. 2. 인공지능 및 로봇 지능

고경철은 기계 학습 기반 SMT 제조 공정 최적화 시스템[10], 촉각 기반 로봇 손 조작 지능[9], 자율 지능 동반자를 위한 적응형 기계 학습 기술[11] 등을 연구했다.

LG산전연구소 재직 시 로봇연구실장으로서 산업용 로봇 개발을 총괄하며 스카라로봇(1987), 와이어컷방전가공기(1993), 소형 6축 수직다관절로봇(1995), 지능형 용접시스템(1997) 등을 개발했다. 산학공동으로 고영테크놀러지와 납도포검사장비(2002)를 국내 최초로 개발하였고[1], 영상유도기반 신경외과용 수술로봇시스템(2014), 기계학습 기반 SMT 제조공정 최적화 시스템 상품화(2019)를 주도하였다.

역모델기반 피드포워드제어, 누적오차가없는 양자화알고리즘, 위상공간을 기반으로한 최소시간 모션제어기 설계 등이 주요 연구업적이며, 이동로봇을 위한 자율이동 제어시스템을 주제로 한국과학기술원에서 박사학위(1994)를 받았다.[16]

3. 3. 수술 로봇

LG산전 연구소 재직 당시, 영상 유도 기반 신경외과용 수술 로봇 시스템(2014)을 개발하였다.[1] 최소 침습 수술 도구 기술, 실시간 의료 영상 및 유도 기술을 이용한 복강경, 이비인후과 및 신경외과용 수술 로봇 시스템 기술 개발에 참여했다.

3. 4. 과제

고경철은 다양한 정부 지원 로봇 연구 개발 과제를 수행했다. 주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연도주관 기관과제명총 연구비 (백만원)비고
2006(주)한울로보틱스학습보조 및 교사지원용 로봇시스템 개발7.33억산업자원부[5]
2007(주)케이엠씨로보틱스엔터테인먼트를 위한 지능형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2.21억산업자원부[6]
2011(주)아진엑스텍제조 및 서비스로봇을 위한 8축 이상, 모션주기 1msec 이내 멀티프로세서가 내장된 네트워크 기반 모션제어용 SoC 및 모듈 개발23.7667억지식경제부[7]
2014한국로봇연구조합최소침습 수술 도구 기술과 실시간 의료 영상 및 유도 기술을 이용한 복강경, 이비인후과 및 신경외과용 수술로봇 시스템 기술 개발5000만지식경제부[8]
2019한국과학기술원촉각이 가능한 로봇 손으로 다양한 물체를 다루는 방법과 절차를 학습하는 로봇 손 조작 지능 개발16.084억과학기술정보통신부[9]
2019(주)고영테크놀러지기계학습 기반 SMT제조공정 최적화 시스템 기술 개발12.8억산업통상자원부[10]
2020한국과학기술원자율지능 동반자를 위한 적응형 기계학습 기술 연구개발38.691억과학기술정보통신부[11]
2020한국과학기술원사람과 감성 상호작용과 협업이 가능한 기계학습 기반 통합 지능 로봇 시스템1.47억과학기술정보통신부[12]
2021한국과학기술원현실 세계에서 변화하는 상황에 따라 지속적으로 자가 개선하는 인공지능 기술 개발10억과학기술정보통신부[13]
2021한국전자통신연구원실 환경 서비스 상황에서 사용자 반응에 지속적으로 지역(Local) 적응하는 로봇 지능 기술 개발20.21억과학기술정보통신부


3. 5. 논문

고경철은 로봇 및 제어와 관련하여 국내외 학술지에 23편(SCI 8편)의 논문을 발표했다.[2] 주요 논문은 다음과 같다.

  • Kyoung Chul Koh, Byoung Wook Choi, Moon Ho Kang and Bok Shin Ahn, “Closed-loop form Quantisation Algorithm with Bounded Accumulative Error”, Advanced Robotics, vol 18, no. 9, pp.927-942, 2004.12
  • K.C. Koh, K.W. Ko, J.H. Kim, H.J. Choi and J. S. Kim, "An Automatic Inspection of SMT Rectangular Chips based on PCA Algorithm", 대한 정밀공학회지, KSPE, Vol.20, No.11, 2003.11
  • Kim, J.S, Koh, K.C, and Cho, H.S, "An active contour model with shape regulation scheme," ADVANCED ROBOTICS, vol. 14, pp. 495-514, 2000.
  • K.C.Koh et al.,"A Smooth Path Tracking Algorithm for Wheeled Mobile Robots with Dynamic Constraint", Journal of Intelligent and Robotic Systems,Volume 24,Issue 4, 1999[15]
  • 고경철 외 3인, "실시간시스템인 승강기 제어기 프로그램 개발",제어자동화시스템 공학회논문집,1999
  • 고경철 외 2인, "저크제한을 고려한 최소시간 운동계획 알고리즘",대한기계학회 논문집,1999
  • K. C. Koh and H. S. Cho, "A path tracking control system for autonomous mobile robot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Mechatronics 4, No. 8, 799-820 (1994).
  • 고경철,"A study on the path tracking control algorithm for free-ranging mobile robots", KAIST 정밀공학과 박사학위논문,1994
  • K.C.Koh et al.,"A position estimation system for mobile robots using a monocular image of a 3-D landmark", Robotica,vol. 12 (5), pp. 431-441,1994
  • 고경철,조형석,"이동로봇의 실시간 주행제어를 위한 제어시스템 설계 및 경로 추종제어 방법",대한기계학회논문집,17권6호,1993
  • 고경철,조형석,"유연하고 감지성있는 조립전용 로봇 손목 의 개발 에 대한 연구",대한기계학회논문집,8권5호,1984[16]
  • 고경철 외 3인,"국내외 기술로드맵을 통해 본 지능형로봇 기술개발의 동향 (R&D Trends of Intelligent Robotics on the Roadmap",로봇공학회 논문지 제2권 1호 (통권3호) 2007.03,[14]


이 외에도 국내외 발표 논문이 100여 편이 있다.

3. 6. 저서


  • 4th Industrial Revolution Robot Industry Future영어 (크라운출판사, 2019)[1]
  • Digital Control Technology and Practice영어 (홍릉과학출판사, 2016)[1]
  • Intelligent Robot Engineering영어 (사이텍미디어, 2009)[2]
  • Example-Oriented C Programming영어 (지코사이언스, 2008)[2]
  • Digital Control System영어 (홍릉과학서적, 2006)[2]
  • Complete Understanding of C Language영어 (홍릉과학서적, 2004)[3]
  • Embedded Linux Practice and Application영어 (홍릉과학서적, 2003)[3]
  • Robotics Engineering영어 (사이텍미디어, 2000)[3]
  • 임베디드 리눅스, 홍릉과학출판사, 2002
  • C언어중심의 디지털제어 이론 및 실습, 지필출판사, 2010

3. 7. 특허

고경철은 로봇 구동, 다관절 로봇 핸드, 3차원 위상 공간 운동 계획, 이동 로봇 제어, 모아레 형상 측정 장치 등 로봇 관련 특허 7건을 보유하고 있다.[1]

4. 대외 활동

고경철은 로봇 산업 발전을 위해 학계, 산업계, 정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특히 (주)고영테크놀러지 사외이사(2008~2020)를 역임했다.[4]

하위 섹션에서 이미 상세히 다루고 있는 정부 및 기관 활동, 학회 활동, 기타 활동, 기고 및 언론 활동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간략하게 작성하거나 생략했다.

4. 1. 정부 및 기관 활동

로봇 산업 비전 및 발전계획(2004), 지능형 로봇 로드맵(2005), 차세대전략기술사업계획(2006) 등 정부 주도의 로봇 산업 정책 수립에 참여했다.[4] 평가워크샵준비위원장(2007), 통합워크샵준비위원장(2008), 신성장동력기획위원(2008), 5개년계획집필위원(2008), 차세대로봇전략기술지원단 R&D효율화위원장(2008), 최소침습 수술로봇 기획위원(2009) 등을 역임했다.[4]

현재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부회장(2022~), 한국로봇산업협회 부회장 등으로 활동 중이다.[4] 이외에도 제어로봇시스템학회 이사(2021~), 대한의료로봇학회 홍보이사(2021~), 로봇신문 명예기자, (사)로봇스포츠협회 부회장(2003~), 로봇산업협회 전문위원(2008~), 세종과학포럼 회장(2017~)을 맡고 있다.[4]

4. 2. 학회 활동

제어로봇시스템학회 이사(2021~), 대한의료로봇학회 홍보이사(2021~), 로봇신문 명예기자, (사)로봇스포츠협회 부회장(2003~), 로봇산업협회 전문위원(2008~)을 맡고 있다.[4] 세종과학포럼 회장(2017~),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부회장(2022~), 한국로봇산업협회 부회장 등으로도 활동 중이다.[4]

4. 3. 기타 활동

로봇신문 명예기자, (사)로봇스포츠협회 부회장(2003~), 한국로봇산업협회 전문위원(2008~), 세종과학포럼 회장(2017~) 등으로 활동 중이다.[4]

4. 4. 기고 및 언론 활동

고경철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로봇 산업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히고, 대중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왔다.

구분내용
기고
인터뷰 및 좌담회
방송 출연
강연
언론 보도



고경철은 로봇 기술의 중요성을 알리고, 한국 로봇 산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그의 언론 기고를 통해 로봇 산업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한다.

참조

[1] 웹사이트 고영테크놀러지 SPI공동 개발 http://www.dt.co.kr/[...]
[2] 서적 디지털제어 시스템 http://book.nate.com[...] 홍릉과학서적 2006
[3] 서적 C언어 완벽이해 http://book.nate.com[...] 홍릉과학서적 2004
[4] 웹사이트 고영테크놀러지 약력 http://www.outside-d[...]
[5] 웹사이트 학습보조 및 교사지원용 로봇시스템 개발 https://www.ntis.go.[...]
[6] 웹사이트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지능형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https://www.ntis.go.[...]
[7] 웹사이트 제조 및 서비스로봇을 위한 8축 이상, 모션주기 1msec 이내 멀티프로세서가 내장된 네트워크 기반 모션제어용 SoC 및 모듈 개발 https://www.ntis.go.[...]
[8] 웹사이트 최소침습 수술 도구 기술과 실시간 의료 영상 및 유도 기술을 이용한 복강경, 이비인후과 및 신경외과용 수술로봇 시스템 기술 개발 https://www.ntis.go.[...]
[9] 웹사이트 촉각이 가능한 로봇 손으로 다양한 물체를 다루는 방법과 절차를 학습하는 로봇 손 조작 지능 개발 https://www.ntis.go.[...]
[10] 웹사이트 기계학습 기반 SMT제조공정 최적화 시스템 기술 개발 https://www.ntis.go.[...]
[11] 웹사이트 자율지능 동반자를 위한 적응형 기계학습 기술 연구개발 https://www.ntis.go.[...]
[12] 웹사이트 사람과 감성 상호작용과 협업이 가능한 기계학습 기반 통합 지능 로봇 시스템 https://www.ntis.go.[...]
[13] 웹사이트 현실 세계에서 변화하는 상황에 따라 지속적으로 자가 개선하는 인공지능 기술 개발 https://www.ntis.go.[...]
[14] 웹사이트 (사)한국로봇학회 - KROS : Korea Robotics Society http://www.kros.org/[...]
[15] 웹사이트 SpringerLink - Journal Article http://www.springerl[...]
[16] 웹사이트 http://ocean.kisti.r[...]
[17] 웹사이트 네이트 책 - 좋은 책의 발견 http://book.nate.com[...]
[18] 웹사이트 네이트 책 - 좋은 책의 발견 http://book.nate.com[...]
[1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autocontr[...] 2018-11-12
[20] 웹사이트 대한민국 IT포털의 중심! etnews.co.kr http://www.etnews.co[...]
[21] 뉴스 [DT 광장] 반성과 혁신 필요한 로봇 R&D체계 - 디지털산업 경제신문 디지털타임스 http://www.dt.co.kr/[...]
[22] 웹인용 NO.1 경제포털 :: 매일경제 http://news.mk.co.kr[...] 2009-05-02
[23] 웹인용 지능형로봇, 그들이 온다 http://blog.joins.co[...] 2009-05-02
[24] 웹인용 NO.1 경제포털 :: 매일경제 http://news.mk.co.kr[...] 2009-05-01
[25] 웹사이트 스마트 쇼핑저널 버즈 http://www.ebuzz.co.[...]
[26] 뉴스 [디지털포럼] 로봇산업 청사진과 반성의 목소리 - 디지털산업 경제신문 디지털타임스 http://www.dt.co.kr/[...]
[27] 뉴스 First-Class경제신문 파이낸셜뉴스 http://www.fnnews.co[...]
[28] 웹사이트 대한민국 IT포털의 중심! 이티뉴스 http://www.etnews.co[...]
[29] 뉴스 [DT 광장] 제대로 키워야 할 차세대 산업 [디지털시대 경제신문 디지털타임스] http://www.dt.co.kr/[...]
[30] 웹사이트 대한민국 IT포털의 중심! 이티뉴스 http://www.etnews.co[...]
[31] 뉴스 [DT 광장] `1등의 자만`이 위기 부른다 [디지털시대 경제신문 디지털타임스] http://www.dt.co.kr/[...]
[32] 웹사이트 http://www.etnews.co[...]
[33] 웹사이트 http://news.mk.co.kr[...]
[34] 웹사이트 http://www.dailymedi[...]
[35] 웹사이트 http://www.dt.co.kr/[...]
[36] 뉴스 http://www.fnnews.co[...]
[37] 뉴스 http://www.dt.co.kr/[...]
[38] 뉴스 http://www.dt.co.kr/[...]
[39] 뉴스 http://www.doctorsne[...]
[40] 뉴스 http://www.kyeongin.[...]
[41] 뉴스 http://news.mk.co.kr[...]
[42] 뉴스 http://www.fnnews.co[...]
[43] 뉴스 http://www.fnnews.co[...]
[44] 뉴스 http://www.dt.co.kr/[...]
[45] 뉴스 http://www.dt.co.kr/[...]
[46] 뉴스 http://www.irobotnew[...]
[47] 뉴스 https://www.irobotne[...]
[48] 뉴스 https://www.irobotne[...]
[49] 뉴스 https://www.irobotne[...]
[50] 뉴스 https://www.irobotne[...]
[51] 뉴스 https://www.irobotne[...]
[52] 뉴스 https://www.irobotne[...]
[53] 뉴스 https://www.ekn.kr/w[...]
[54] 뉴스 https://www.ekn.kr/w[...]
[55] 뉴스 https://www.ekn.kr/w[...]
[56] 뉴스 https://www.irobotne[...]
[57] 뉴스 https://www.ekn.kr/w[...]
[58] 뉴스 https://www.ekn.kr/w[...]
[59] 뉴스 https://www.ekn.kr/w[...]
[60] 뉴스 https://www.ekn.kr/w[...]
[61] 뉴스 https://www.ekn.kr/w[...]
[62] 뉴스 https://www.ekn.kr/w[...]
[63] 뉴스 https://www.ekn.kr/w[...]
[64] 뉴스 https://www.irobotne[...]
[65] 뉴스 https://www.ekn.kr/w[...]
[66] 뉴스 https://www.irobotne[...]
[67] 뉴스 https://www.irobotne[...]
[68] 뉴스 https://www.ekn.kr/w[...]
[69] 뉴스 https://www.ekn.kr/w[...]
[70] 뉴스 https://www.irobotne[...]
[7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ww.https/ 2024-01-14
[7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https/ 2024-01-14
[73] 웹사이트 https://www.irobotne[...]
[74] 웹사이트 한국산업기술대학교 http://community.kpu[...]
[75] 웹인용 IIT ::: 인천정보산업진흥원 ::: 진흥원소식 https://web.archive.[...] 2009-05-02
[76] 뉴스 고진화의원실 미래 산업의 블루오션, 지능형 로봇산업 :: 네이버 뉴스 http://news.naver.co[...]
[77] 웹사이트 로봇혁명은 시작됐다 로봇산업정책포럼 (ir_robot) http://robot.mokwon.[...]
[78] 웹인용 지능형로봇, 그들이 온다 https://web.archive.[...] 2009-05-02
[79] 웹인용 지능형로봇, 그들이 온다 https://web.archive.[...] 2009-05-02
[80] 웹사이트 http://www.chi.or.kr[...]
[81] Youtube https://www.youtube.[...]
[82] 블로그 https://blog.naver.c[...]
[83] 뉴스 COVER STORY 대약진! 로봇코리아‥한국의 로봇박사들 :: 네이버 뉴스 http://news.naver.co[...]
[84] 웹사이트 사이언스21 입니다 http://www.s21.c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