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연세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연세대학교는 1885년 설립된 한국 최초의 서양식 병원인 광혜원에서 시작하여, 세브란스 의과대학과 연희대학교의 통합을 거쳐 1957년 현재의 이름으로 출범한 사립 종합대학이다. 서울 신촌캠퍼스, 인천 송도 국제캠퍼스, 강원 원주 미래캠퍼스, 경기 고양 삼애캠퍼스를 운영하며, 학부, 대학원, 국제 교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6월 항쟁의 기폭제가 된 이한열 열사의 사망 사건, 한총련 시위 등 굵직한 사건들을 겪었으며, 현재는 대한민국 최상위권 대학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연고전, 무악대동제, 아카라카 등 다양한 학생 활동과 행사가 진행되며, 총학생회, 학내 언론, 동아리 활동도 활발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 연수구의 학교 - 인천대학교
    인천대학교는 1979년 사립으로 설립, 시립을 거쳐 2013년 국립대학법인으로 전환된 대한민국의 국립 대학으로, 인천전문대학과 통합 후 송도국제도시에 캠퍼스를 두고 11개의 단과대학과 8개의 대학원을 운영하며 국제 교류 및 산학 협력을 통해 교육 및 연구 활동을 지원한다.
  • 인천 연수구의 학교 - 한국뉴욕주립대학교
    한국뉴욕주립대학교는 2012년 인천글로벌캠퍼스에 개교한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의 확장 캠퍼스로, 스토니브룩 대학교와 패션기술대학교의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미국 본교와 동일한 학위를 수여한다.
  • 1885년 설립 - 배재고등학교
    배재고등학교는 1885년 아펜젤러가 설립하여 고종 황제로부터 '배재학당'이라는 이름을 받은 한국 최초의 서양식 학교 중 하나로, 민족 교육의 전통을 이어가며 독립운동가를 배출했으나 과거 논란도 있었다.
  • 1885년 설립 - 광성고등학교 (서울)
    광성고등학교 (서울)는 1894년 평양에서 기독교 선교와 교육을 위해 설립된 사숙에서 시작하여 일제강점기, 광복 이후 변화를 겪었으며, 1961년 서울 마포구 신수동으로 이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인천광역시의 대학교 - 경인교육대학교
    경인교육대학교는 1946년 개성사범학교로 설립되어 초등교원 양성을 목적으로 14개의 세분화된 전공을 운영하며, 교육전문대학원을 통해 석사 및 박사 과정을 제공하고 부설 기관 및 국제 교류를 활발히 진행한다.
  • 인천광역시의 대학교 - 청운대학교
    청운대학교는 1994년 충남산업대학교로 설립되어 1998년 교명을 변경한 사립 산업대학으로, 충청남도 홍성군과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캠퍼스를 두고 8개 단과대학, 45개 학부(과)를 운영하며,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 선정과 역량강화대학 선정 등 재정적 어려움 극복을 위한 노력을 하는 가운데 소지섭, 최다니엘 등 유명 연예인을 배출했고 특수대학원 1개원을 운영한다.
연세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연세대학교 휘장
연세대학교 휘장
모토 (라틴어)Cognoscetis Veritatem et Veritas Liberabit Vos
모토 (영어)"The truth will set you free" (John 8:32)
모토 (한국어)"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 (요한복음 8:32)
설립일1885년
유형사립
제휴AALAU
ACUCA
AEARU
APRU
총장윤동섭
위치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 캠퍼스)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 (국제 캠퍼스)
국가대한민국
교수진1,712명 (2022년)
행정 직원1,166명 (2022년)
학생 수29,832명 (2022년)
학부생18,200명 (2022년)
대학원생11,632명 (2022년)
캠퍼스도시
교색로열 블루
운동 경기 제휴U-리그
마스코트독수리
웹사이트연세대학교
주소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신촌 캠퍼스)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과학로 85 (국제 캠퍼스)
연세대학교 로고
연세대학교 로고
캠퍼스 정보
캠퍼스신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미래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일산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덕소 (경기도 남양주시)
삼애 (경기도 고양시)
국제 (인천광역시 연수구)
조직
학부24개 단과대학, 2개 학부 (2022년)
대학원20개 대학원 (2022년)
학교 운영
설립자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학교법인연세대학교
종교개신교
기타
건학 이념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 (요한복음 8:32)
교훈진리와 자유를 향한 연세의 도전
학생 구성학부: 17,412명 (2022년)
대학원: 11,528명 (2022년)
교직원 수전임교원: 1,731명 (2022년)
비전임교원 (강사 포함): 3,795명 (2022년)
직원: 1,032명 (2022년)

2. 역사

연세대학교는 1885년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 호러스 뉴턴 앨런이 설립한 한국 최초의 서양식 병원인 광혜원(제중원)에서 비롯되었다. 이후 제중원은 세브란스 병원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1915년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가 설립한 조선기독교대학이 1917년 사립 연희전문학교로 인가를 받아 발전하였다.

1946년 연희전문학교는 종합대학인 연희대학교로 승격되어 한국 최초로 남녀공학을 실시하였다. 1957년 연희대학교와 세브란스 의과대학은 통합하여 '''연세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초대 총장에는 백낙준, 부총장에는 최현배가 취임하였다.[91]

2. 1. 연세대학교의 기원 (1885년 ~ 1957년)

연세대학교는 1885년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 호러스 뉴턴 앨런이 설립한 한국 최초의 서양식 병원인 광혜원(제중원)에서 비롯되었다. 이후 제중원은 세브란스 병원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한편, 1915년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가 설립한 조선기독교대학이 1917년 사립 연희전문학교로 인가를 받아 발전하였다.

1946년, 연희전문학교는 종합대학인 연희대학교로 승격되어 한국 최초로 남녀공학을 실시하였다. 1957년, 연희대학교와 세브란스 의과대학은 통합하여 '''연세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초대 총장에는 백낙준, 부총장에는 최현배가 취임하였다.

2. 1. 1. 광혜원과 세브란스 의과대학 (1885년 ~ 1957년)

1885년 4월 10일, 호러스 뉴턴 앨런 박사는 서울 종로구 재동에 조선 최초의 서양식 병원인 광혜원을 개원하였다.[80] 광혜원은 2주 뒤인 4월 26일에 ‘대중을 널리 구한다’는 뜻의 제중원(濟衆院)으로 이름이 바뀌었다.[81] 앨런은 1886년 제중원에 의학당을 설립하여 한국 최초의 서양 의학 교육을 시작하였다.[83]

1893년 제중원에 부임한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였던 올리버 에비슨 박사는 1894년에 제중원을 미국 북장로교 선교부로 이관받았다.[82] 1899년에는 제중원 의학교가 설립되고 에비슨이 초대 교장에 취임하였다.

1904년 9월 23일, 미국인 사업가 루이스 헨리 세버런스의 후원으로 숭례문 밖 복숭아골(현재 서울역 앞 연세재단세브란스빌딩 일대)에 병원을 신축하면서 제중원은 세브란스 병원으로 명칭을 변경했으며, 제중원 의학교는 세브란스병원 의학교로 명칭을 변경했다.[84] 1908년 6월 4일에는 제1회 졸업생 7명에게 대한제국 내부 위생국으로부터 최초의 의사면허증인 의술개업인허장이 발급되었다.[85]

1917년 5월 14일, ‘세브란스 연합의학전문학교’로 발전하였으나, 1942년 6월에 일본의 강요로 교명을 ‘아사히 의학전문학교’(旭醫學專門學校)로 변경하였다. 해방 이후 1947년 7월에 문교부로부터 6년제의 '세브란스 의과대학'으로 인가를 얻었다.[86] 1955년 3월에 연희대학교와 통합을 결정하였다.[89]

2. 1. 2. 연희전문학교와 연희대학교 (1915년 ~ 1957년)

1915년 3월,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언더우드)는 서울 종로의 YMCA에서 조선기독교학교(Chosun Christian College)를 개교하였다.[88] 초대 교장에는 언더우드 선교사, 부교장에는 에비슨 박사가 취임하였다.[89] 1917년 4월 7일, 사립 '''연희전문학교'''(延禧專門學校)로 인가를 받았으며,[88] 같은 해 존 언더우드(John T. Underwood) 박사의 기부금으로 경기도 고양군 연희면 창천리(현재 연세대학교 부지)에 19만 평 규모의 교지를 마련하였다.

1919년 3월, 연희전문학교는 첫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1920년에는 찰스 스팀슨(Charles S. M. Stimson)의 기부금으로 스팀슨홀을 건립하여 학교를 이전하였고,[89] 1923년 3월, 신교육령에 따라 교명을 연희전문학교로 변경하였다.[88] 1926년에는 연희전문학교와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의 통합 논의가 있었으나, 일제의 간섭으로 무산되었다.[90] 1935년 9월 1일, 연세춘추의 전신인 월간지 《연전타임스》가 창간되었다.[89]

1944년 4월, 일제는 적산(敵産)이라는 명목으로 학교를 몰수하고 조선총독부의 관리하에 조선인 간부와 교수진을 추방하였으며, 교명을 '''경성공업경영전문학교'''(京城工業經營專門學校)로 강제 변경하였다.[88]

1945년 광복 이후, 미군정으로부터 재산과 운영권을 인수받아 교명을 '''연희전문학교'''로 회복하였다. 1946년 8월 15일, '''연희대학교'''(延禧大學校, Chosun Christian University)로 승격되어 문학원, 상학원, 이학원, 신학원의 4학원 11학과를 갖춘 종합대학교로 인가받았다. 백낙준이 연희대학교 초대 학장으로 취임하였고,[88] 같은 해 9월에는 남녀공학 대학교가 되었다.[89]

1949년, 세브란스 의과대학 예과를 연희대학교에 두었으며, 1950년에는 연희대학교 첫 졸업생을 배출하고 문과대학, 상경대학, 이공대학, 신과대학의 4대학 17학과로 증설, 대학원을 신설하였다. 한국 전쟁 발발로 3개월간 임시 휴교 후 1·4 후퇴1951년 부산으로 피난하여 개강하였다가, 1953년 8월 서울 본교로 복귀하였다.[88] 같은 해 대학원에 의학과 석사과정을 설치하였고,[91] 1954년 정법대학을 신설, 같은 해 8월 동방학연구소에서 학술지 《동방학지》를 발간하였다.[89]

2. 2. 연세대학교 출범 (1957년 ~ 현재)

1957년 1월 5일, 연희대학교와 세브란스 의과대학이 통합하면서 연세대학교(延世大學敎, Yonsei University)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초대 총장은 백낙준, 부총장은 최현배가 취임하였다.[91] 1959년에는 한국어학당을 설립하였다.

1962년 3월, 미국 헤퍼 프로젝트(Heifer Project) 지원금으로 캐나다로부터 젖소 10두를 기증받아, 1971년 3월 연세우유를 시판하며 산하 법인인 연세유업을 세웠다. 1977년에는 강원도 원주시에 제2캠퍼스인 원주캠퍼스를 설립하였다. 1981년 신촌캠퍼스의 스팀슨관, 언더우드관, 아펜젤러관이 대한민국의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1985년 5월 11일에는 창립 100주년 기념식을 거행하였다.[89]

제5공화국 말기인 1987년 6월 9일, 연세대학교 학생 1천여 명이 학교 정문 앞에서 경찰과 대치하던 중 경영학과 2학년 이한열이 전경이 쏜 최루탄에 맞아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 사건은 6월 항쟁의 기폭제가 되어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이끌어 낸 대한민국 현대사의 분수령이 되었다.[92] 1996년에는 학부제 및 계열화를 실시하였다.[89] 같은 해 8월,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이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에서 제6차 8.15 통일대축전 및 범민족대회를 강행하여 원천봉쇄하려던 경찰과 충돌, 종합관과 과학관에서 8월 13일부터 20일까지 점거 시위를 벌였다.[93]

2003년에는 부속기관인 김대중도서관을 설립하여 개관하였다. 2006년 인천광역시와 연세대학교 송도 국제화 복합단지 조성 양해각서를 체결, 2010년에 국제캠퍼스 약학대학을 신설하였고, 같은 해 3월 3일에 국제캠퍼스 봉헌식을 거행하였으며, 2011년 3월 2일에 국제캠퍼스 정규학위과정을 시작하였다. 2011년 5월 31일에는 연세대학교 기술지주회사가 설립되었다.[89]

2006년에는 영어로만 강의가 진행되는 언더우드 국제대학(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이 설립되었다. 국제대학의 학생 수를 증가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영어 강의 비율과 외국인 교수 및 학생 비율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06년 설립 이후 국내외 학생들을 유치하고 있으며, 특히 엄격한 학사 관리와 특화 교육에 대해 미국의 뉴스위크에서는 아시아를 대표하는 영어 전용 단과대학으로 소개하기도 했다.

3. 캠퍼스

1957년, 세브란스의과대학 및 병원과 연희대학교가 합병하여 연세대학교가 설립되었다.[32] 연세대학교는 여러 캠퍼스로 구성되어 있다.


  • 신촌캠퍼스: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위치하며, 학부대학 1학년, 의예과, 치의예과 학생들이 이곳에서 공부한다.
  • 국제캠퍼스: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위치하며, 2010년 3월에 개교하였다. 대부분의 신입생들은 이곳에서 1년간 레지덴셜 컬리지(RC) 프로그램을 이수한다. 약학대학, 공과대학 글로벌융합공학부, 언더우드국제대학 일부 학부(HASS, ISED) 학생들은 전 교육 과정을 국제캠퍼스에서 이수한다.
  • 미래캠퍼스: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에 위치하며, 매지캠퍼스와 일산캠퍼스로 구성되어 있다.
  • 삼애캠퍼스: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하며, 천문대, 운동장, 삼애교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3. 1. 신촌캠퍼스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신촌동)에 있는 연세대학교의 캠퍼스이다. 스팀슨관, 언더우드관, 아펜젤러관 등은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94]

캠퍼스는 백양로를 중심으로 다양한 건물들이 배치되어 있다. 백양로 오른편에는 연세의료원, 백주년기념관, 루스채플, 음악대학, 학생회관, 대강당, 경영관, 노천극장, 청송대가 있다. 왼편에는 연세공학원, 공과대학, 중앙도서관, 체육관, 체육교육관, 장기원기념관, 연세과학원, 과학관, 백양관, 광복관이 있다.[94]

백양로 끝에는 대학 본부인 언더우드관이 있으며, 왼편에 스팀슨관, 오른편에 아펜젤러관이 있다. 세 건물 중앙에는 학교 설립자인 언더우드의 동상이 있다. 스팀슨관 뒤편 언덕 위 왼편에는 한경관과 핀슨관, 그 뒤로 신학관이 있다. 언더우드관 뒤편에는 사회과학대학이 있는 연희관, 오른편에 성암관, 왼편에 유억겸기념관, 그 뒤로 대우관이 있다. 유억겸기념관 뒤편 오른쪽에는 빌링슬리관, 뒷산 중턱에는 종합교실단, 외솔관, 위당관이 있다. 성암관 뒷길을 따라 동문 방향으로 가면 우측에 새천년관, 국제학사, 언어연구교육원, 제중학사가 있고, 대우관 뒤편 고개를 넘어 북문 방향으로 가면 무악학사(학생기숙사) 5개동이 있다.[94]

  • 백양로(白楊路): 1930년경 만들어진 연세의 관문으로, 본래 백양목(白楊木)이 심어져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1960년에 은행나무로 수종을 변경했다.[94] 2013~2015년 백양로 재창조 프로젝트를 통해 차 없는 도로로 재단장되었다.

백양로 (2004년)

  • 스팀슨관(Stimson Hall): 1920년에 준공된 석조 건물로, 1981년에 사적 275호로 지정되었다.[95][98] 대학 본부로 사용되다가 현재는 대학원과 대외협력처에서 사용하고 있다.

  • 연세전파천문대:

연세전파천문대

  • 아펜젤러관(Appenzeller Hall): 1924년에 준공된 석조 건물로, 1981년 사적 277호로 지정되었다.[99][98] 헨리 아펜젤러를 기념하여 명명되었으며, 현재 사회복지대학원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 언더우드관(Underwood Hall): 1925년에 준공된 석조 건물로, 사적 276호로 지정되었다.[101] 연희전문학교 설립자인 언더우드를 기념하여 명명되었으며, 1982년부터 대학 본부 건물로 사용되고 있다.

  • 언더우드 동상: 1928년에 세워졌으나, 일제강점기와 한국 전쟁을 거치며 두 차례 파괴되었다가 1955년에 현재의 동상이 세워졌다.[102]

  • 청송대(聽松臺): 노천극장 옆 소나무 숲으로, '소나무 소리를 듣는다'는 의미이다.[103][104] 이양하의 수필 《나무》, 《신록예찬》 등의 모티브가 되었다.[103]

청송대

  • 노천극장: 1933년 5월에 준공되었으며, 1999년 5월에 동문들의 성금으로 초현대식 건물로 재건축되었다.[94]

박물관 김병철 동문기증유물들


신라삼층석탑. 김병철 동문기증


3. 2. 국제캠퍼스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과학로 85 (송도동)에 위치한 연세대학교의 캠퍼스이다.[107] 2006년 1월 인천광역시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2010년 3월에 일부 개교하였다.[107] 캠퍼스 부지 면적은 615,000m2(약 186,000평)이다.[108]

2011년부터 연세대학교는 국제캠퍼스(YIC)에서 레지덴셜 컬리지(RC) 프로그램을 도입하였다. 대부분의 연세대학교 신입생들은 국제캠퍼스 기숙사에서 1년 동안 RC 프로그램을 이수해야 한다.[61] 2013년까지는 한 학기만 RC 교육을 이수했으나, 2014년부터는 음악대학을 제외한 모든 신촌캠퍼스 신입생이 국제캠퍼스에서 두 학기를 의무적으로 이수해야 한다. (체육교육학과, 스포츠응용산업학과는 한 학기)[110]

약학대학, 공과대학 글로벌융합공학부, 언더우드국제대학 HASS, ISED 소속 학생들은 전 교육 과정을 국제캠퍼스에서 이수하며, 신촌캠퍼스 강의를 자유롭게 수강할 수 있다.

국제캠퍼스 기숙사는 12개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건물의 이름과 그 유래는 다음과 같다.

건물 이름유래
에버그린관-
원철관연세대학교 동문이자 한국 최초의 의사인 이원철
언더우드관연세대학교 설립자인 호레이스 그랜트 언더우드
윤동주관연세대학교 동문인 시인 윤동주
무악관신촌 캠퍼스 근처의 무악산
치원관1918년에 건립된 연세대학교 최고령 건물
용재관연세대학교 초대 총장인 백낙준의 호
에비슨관세브란스병원 설립자인 올리버 R. 에비슨
백양관신촌 캠퍼스의 주요 도로인 백양로
청송관신촌 캠퍼스의 숲인 청송
앨런 국제관광혜원을 설립한 호레이스 뉴턴 앨런
아펜젤러 국제관배재학당을 설립한 헨리 아펜젤러


3. 3. 미래캠퍼스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는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에 위치해 있다. 1977년에 개교하였으며, 매지캠퍼스와 일산캠퍼스로 구성되어 있다.

  • 일산캠퍼스 (삼애캠퍼스)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산로 160-30 (중산동)에 위치해 있다. 1976년 배민수 목사가 별세한 후 그의 유족들이 약 181819m2를 기증하면서 캠퍼스가 조성되었다. 현재 삼애캠퍼스는 천문대, 운동장 2개, 삼애교회로 구성되어 있다. 천문대는 천문우주학과에서 주로 이용하며 주변 학교의 견학 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운동장은 운동부들의 연습 구장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부대시설이 부족하여 사용하는 학생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111]

3. 4. 삼애캠퍼스

연세대학교의 분교인 미래캠퍼스는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연세대길 1에 위치한 ‘매지캠퍼스’와 일산로 20에 위치한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및 의과대학의 ‘일산캠퍼스’로 구성되어 있다.[112]

4. 교육 및 연구

2006년 영어로만 강의가 진행되는 언더우드국제대학(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이 설립되어, 국제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영어 강의 비율과 외국인 교수 및 학생 비율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49] 뉴스위크에서는 아시아를 대표하는 영어 전용 단과대학으로 소개되기도 했다.

4. 1. 학부

연세대학교는 다양한 학부 교육을 제공하며, 여러 단과대학 및 학과를 포함하고 있다.

  • 인문대학
  • 상경대학
  • 경영대학
  • 자연과학대학
  • 공과대학
  • 생명과학기술대학
  • 컴퓨팅대학
  • 신학대학
  • 사회과학대학
  • 음악대학
  • 인간생태대학
  • 교육과학대학
  • 대학(University College)
  • 언더우드국제대학[47]
  • 의과대학
  • 치과대학
  • 간호대학
  • 약학대학
  • 글로벌 리더십 대학

4. 1. 1. 신촌캠퍼스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는 다양한 단과대학과 학부로 구성되어 있다.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단과대학 및 학부 구성
대학학부 및 학과
인문대학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중국어중문학과, 독어독문학과, 불어불문학과, 러시아어러시아문학과, 사학과, 철학과, 심리학과, 문헌정보학과
상경대학경제학과, 응용통계학과
경영대학경영학과
이과대학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지구시스템과학과, 천문우주학과, 대기과학과
공과대학화공생명공학과, 전기전자공학과, 건축공학과, 도시공학과, 토목환경공학과, 기계공학과, 신소재공학과, 정보산업공학과, 컴퓨터과학과, 글로벌융합공학부
생명시스템대학생물학과, 생화학과, 생명공학과
신과대학신학과
사회과학대학정치외교학과, 행정학과, 언론홍보영상학부, 사회학과, 사회복지학과, 문화인류학과
음악대학교회음악과, 성악과, 기악과, 작곡과
생활과학대학의류환경학과, 식품영양학과, 주거환경학과, 아동가정학과, 생활디자인학과
교육과학대학교육학과, 체육교육학과, 사회체육학과
의과대학의학과
치과대학치의학과
간호대학간호학과
언더우드국제대학언더우드학부, 아시아학부, 테크노아트학부, 융합인문사회학부, 융합과학공학부
글로벌인재대학글로벌인재학부



2006년에는 영어로만 강의가 진행되는 언더우드국제대학(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이 설립되었다.[47] 이는 국제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영어 강의 비율과 외국인 교수 및 학생 비율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4. 1. 2. 국제캠퍼스

2006년에 영어로만 강의가 진행되는 언더우드 국제대학(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이 설립되었다.[49] 국제대학의 학생 수를 증가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영어 강의 비율과 외국인 교수 및 학생 비율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뉴스위크에서는 아시아를 대표하는 영어 전용 단과대학으로 소개되기도 했다.

국제캠퍼스에는 다음과 같은 학과들이 있다.

  • 약학대학
  • 공과대학 글로벌융합공학부
  • IT융합전공
  • 언더우드국제대학 (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
  • 언더우드학부 (Underwood Division)
  • 아시아학부 (Asia Division)
  • 테크노아트학부 (Techno-Art Division)
  • 융합인문사회학부 (Interdisciplinary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Division)
  • 융합과학공학부 (Interdisciplinary Science and Engineering Division)

4. 1. 3. 미래캠퍼스

1978년 연세대학교 의예과가 설치되었고, 1982년에 종합대학으로 발전하였다. 현재 미래캠퍼스는 글로벌 창의융합대학, 과학기술융합대학, 소프트웨어 디지털 헬스케어 융합대학, 원주간호대학, 원주의과대학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글로벌 창의융합대학

학부전공
인문콘텐츠학부 자유융합계열국어국문학 심화전공, 영어영문학 심화전공, 역사문화학·글로벌한국학 심화전공, 철학 심화전공
경영학부 자유융합계열경영학 심화전공
사회과학부 자유융합계열경제학 심화전공, 글로벌행정학 심화전공, 국제관계학 심화전공
동아시아국제학부 (EastAsia International College(EIC))동아시아 정치와 문화 (East Asian Politics and Culture), 동아시아 경제와 비즈니스 (East Asian Economy and Business)
글로벌 엘리트학부한국문화·경영전공, 글로벌산업경영전공,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전공, 구강보건학전공, 의료영상 및 방사선과학전공, 재활치료학전공
디자인예술학부 자유융합계열산업디자인 심화전공, 시각디자인 심화전공, 디지털아츠 심화전공


  • 과학기술융합대학

학부전공
환경에너지공학부 자유융합계열환경공학 심화전공, 친환경에너지공학 심화전공
자연과학부 자유융합계열물리 및 물리학·환경공학 심화전공, 화학 및 의화학 심화전공
생명과학기술학부 자유융합계열생명과학기술학 심화전공, 바이오산업학 심화전공, 패키징 및 물류학 심화전공


  • 소프트웨어 디지털 헬스케어 융합대학

학부/학과전공
임상병리학과, 물리치료학과, 작업치료학과, 방사선학과, 치위생학과
의공학부 자유융합계열의공학전공, 생물공학전공
보건행정학부 자유융합계열보건행정학 심화전공, 보건의료정보관리학전공


  • 원주간호대학
  • 간호학과

  • 원주의과대학
  • 의학과

4. 2. 대학원

연세대학교는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일반대학원'''

  • 대학원 (신촌/국제캠퍼스)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

  • 연합신학대학원
  • 국제학대학원
  • 정보대학원
  • 커뮤니케이션·예술대학원
  • 사회복지대학원
  • 경영대학원
  • 교육대학원
  • 행정대학원
  • 공과대학원
  • 언론홍보대학원
  • 인간환경과학대학원
  • 경제학대학원
  • 법과대학
  • 보건환경대학원
  • 정경대학원
  • 생활환경대학원
  • 법무대학원

4. 3. 국제 교류

신촌캠퍼스의 글로벌 라운지


국제처에서는 교환학생제도(Student Exchange Program)와 방문학생제도(Visiting Student Program)를 운영하고 있다. 교환학생제도는 학생교환 협정이 체결된 외국 대학에 파견되어 학업을 계속하며 본교에서 학점을 인정받는 프로그램이다. 파견 기간 동안 학비는 본교에 등록금을 납부한다.[178] 방문학생제도는 본교와 파견 대학 모두에 수업료를 납부하지만, 본교 등록금의 일부를 장학금으로 지급한다. 교환학생제도는 학생 교환 수가 균형을 이룰 때만 가능하지만, 방문학생제도는 이와 상관없이 다수의 학생을 파견할 수 있어 지원 기회가 폭넓다.[179] 방문학생제도의 파견 대학으로는 미국아메리칸 대학교, 세인트 클라우드 주립 대학교, 일리노이 공과대학교, 캐나다앨버타 대학교, 영국노팅엄 대학교, 킹스 칼리지 런던 등이 있다.[180] 이 외에도 외국 대학에서 자기 부담으로 수학하고 본교에서 학점을 인정받는 SAP(Study Abroad Program)를 운영하고 있다. SAP는 휴학생 신분으로 파견되므로 학기는 인정받지 못하며, 등록금은 파견 대학에 납부한다.[181] 또한 GIP(Global Internship Program)는 한 학기 동안 해외 인턴십을 수료한 후 본교에서 학기와 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182]

2021년 8월 현재 전 세계 77개국의 727개교(ISEP + 기타기관)와 학술 교류 및 학생 교환 협정을 체결하였다.[183] 2010년 5월 연세대학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와 로스쿨 복수학위제를 도입하였다.[89]

  • 연세대학교 국제 하계 프로그램


연세대학교 국제 하계 프로그램(Yonsei International Summer School, YISS)은 일반적으로 6월 말부터 8월 초까지 진행되며, 1985년에 시작되어 30개국 이상에서 온 2,000명이 넘는 학생들이 참여하는 프로그램으로 성장했다.

  • 연세대학교 해외 동계 프로그램


연세대학교 해외 동계 프로그램(Winter Abroad at Yonsei, WAY)은 2013년에 시작된 비교적 새로운 프로그램이다. 동계 프로그램은 12월 말부터 1월 초까지 3주 동안 진행되는 프로그램이다.

  • 연세대학교 해외 연수 프로그램


연세대학교 교환/방문학생 프로그램은 한국에서 1년 또는 1학기 동안 수학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기회를 제공한다.

4. 4. 국내 교류

서울대학교, 서강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울산대학교, 카이스트, 고려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전주대학교, 한남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계명대학교, 중앙대학교와 학술 교류 협정 및 학점 교류 협정을 체결하여 이들 대학에서 수학하며 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다.[184]

5. 학생 활동

연세대학교에는 다양한 학생 활동이 있다. 학생 자치 기구인 총학생회는 1960년 4·19 혁명 이후 학원 민주화 여론에 따라 이승만 정권 당시 학도호국단[128]을 해체하고, 1961년 1월에 정식으로 발족하였다.[129] 1975년 군사정권에 의해 다시 학도호국단으로 재편되었으나,[130] 1983년 학원자율화 조치와 함께 총학생회 체제가 부활하였다.[131]

학내 언론으로는 1935년 창간된 대한민국 최초의 대학신문인 연세춘추, 원주캠퍼스의 소식을 다루는 연세학보, 영자신문 The Yonsei Annals, 그리고 연세 교육 방송국(YBS)과 연세 매지 방송국(YMBS) 등이 있다.

100개가 넘는 동아리가 활동 중이며,[56] 대표적인 동아리로는 AFKN 청취자 동아리(ALC), 혼성합창단 아베난테(Avenante), 중앙 연극 동아리 연세극예술연구회, 락그룹 소나기 등이 있다.

동아리명설명
AFKN 청취자 동아리 (ALC)한국-국제 교환학생 동아리 중 하나로, 가장 크고 오래된 동아리 중 하나이다. 응답하라 1994에 등장하여 유명해졌다.[56]
아베난테(Avenante)연세대학교 유일의 혼성합창단으로, 음악 전공자와 비전공자 모두로 구성되어 있다. 1년에 두 번 정기 연주회를 열며, 다양한 장르의 노래를 부른다.[56]
연세극예술연구회1920년대 연희전문학교 시절부터 시작된 중앙 연극 동아리로, 1953년 공식 발족하였다. 대한민국 연극사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임택근, 오현경, 표재순 등 많은 유명인을 배출했다.[142]
락그룹 ‘소나기’1986년 연제전자음악회 소나기라는 동아리로 시작하여 1989년 연세대학교의 정식 단체가 된 락그룹 동아리이다. MBC 대학가요제에서 여러 차례 수상하였다.[143]



주요 연례 행사로는 5월의 무악대동제와 아카라카, 9월의 연고전이 있다. 무악대동제는 1962년 시작된 학생 축제로, 마지막 날에는 연세대학교 응원단 주최의 '아카라카를 온누리에' 응원제가 열린다.[146] '아카라카'는 연희전문학교 시절부터 사용된 연세대학교의 교호(校號)이다.[148]

연고전(延高戰)은 고려대학교와의 스포츠 경기[155]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교류 행사이다.[154] 1927년 연희전문학교 축구부와 보성전문학교 축구부의 첫 전면시합이 그 시초이며,[163] 1946년 양교의 교명 변경[164][165][166] 이후 '연고전'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1959년부터 현재와 같은 규모의 연고전 기틀이 마련되었다.[163]

5. 1. 총학생회

총학생회는 학교 당국과 독립적인 학생들의 요구를 대외적으로 관철시키기 위한 학생자치기구이다. 1960년 5월 4·19 혁명 이후 학원 민주화 여론에 따라 이승만 정권 당시 대통령령 86호로 결성된 학도호국단[128]을 해체하는 안이 국무회의에서 통과되었는데, 이는 새로운 학생 자치기관이 탄생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해 6월에 각 단과대학 대표들의 회합 결과 ‘연세대학교 학생회’라고 일컫는 학생 자치기구가 구성되었고 1961년 1월에 총학생회가 정식으로 발족하였다.[129] 1975년 6월에 군사정권에 의해서 다시 학도호국단으로 재편되지만[130] 1983년 12월에 학원자율화 조치와 1984년 학도호국단의 폐지로 총학생회 체제가 부활하였다.[131] 매년 선거를 통해 총학생회가 선출되고 있으며 2020년 기준으로 제55대 총학생회 ‘Mate’가 활동하고 있다. 학생복지처가 총학생회 활동을 지원하고 있으며,[132] 학생 복지를 관장하는 기구로 학생복지위원회라는 별도의 기구가 존재하여 생활협동조합 운영, 생협장학금, 신촌판 택리지 발간, 특강 개설 등의 다양한 일을 하고 있다.[133]

한편 1988년 3월 총학생회 산하 여학생부가 재편되어[131] 총여학생회가 31년간 매년 선출되었으나, 탄생 이래 위상이 모호하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2019년 1월 학생총투표로 폐지가 가결됨으로써 사라지게 되었다.[134]

5. 2. 학내 언론


  • 연세춘추: 1935년 《연전타임스》라는 이름으로 처음 간행된 대한민국 최초의 대학신문이다. 1946년 《연희타임스》, 1953년 《연희춘추》를 거쳐 1957년 《연세춘추》로 이름을 바꾸었다. 학기 중에는 시험 기간과 그 다음 주를 제외하고 매주 월요일에 발행되며, 2005년 9월에는 인터넷 신문인 웹진 《연두》를 창간했다.[135] 신문사는 미우관 302호에 있다.
  • 연세학보: 1987년 《연원학보》라는 이름으로 창간된 연세대학교 제2캠퍼스의 독자적인 신문이다. 1994년부터 《연세학보》로 이름을 바꾸어 발행하고 있다. 원주캠퍼스만의 소식을 다루며, 학내 행사, 학술 연구 성과, 학생 활동 등을 보도하고 문화, 학술, 사회 전반에 대한 내용도 다룬다. 현재 격주간 발행 체제로 한 학기에 6번 신문을 발행한다.[136]
  • The Yonsei Annals: 1962년 《연세춘추》의 부속지로 최초 창간되었다. 1967년 1월에 발간이 중지되었다가 5개월 후 재발간되었으며, 1968년에는 《연세춘추》의 자매지로 승격되었다. 1970년부터 본격적인 대학영자신문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된다. 연 8회(3~6월, 9~12월) 매월 초에 발행되며, 2007년부터는 연세춘추사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다.[137]
  • 연세 교육 방송국(YBS): 1959년 체신부로부터 방송국 인가를 받아 대학방송국으로 개국하였다. 박정희 정권 당시 정보통신법에 대학무선방송이 저촉된다는 이유로 호출부호와 주파수를 반납하였다. 현재 매주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아침, 낮, 저녁 세 차례(2시간 10분)에 걸쳐 캠퍼스 내 스피커와 인터넷을 통해 방송을 하고 있다. 5월 대동제 기간에 청송대에서 열리는 야외 방송제 '숲속의 향연', 9월 연고전 때 열리는 '연고연합방송제'를 개최한다.[138]
  • 연세 매지 방송국(YMBS): 1982년 대학 방송 최초로 스테레오 방송을 시도하며 개국한 원주캠퍼스의 언론기관이다. 현재 아침, 낮, 저녁 세 차례에 걸쳐 학내 스피커를 통해 정규 음성 방송을 실시하고 있다. 2003년에는 인터넷 방송을 시작하였다.[139]
  • YTV 연세대학교 인터넷 선교 방송국: 2003년에 개국한 원주캠퍼스의 선교방송국이다. 현재 채플과 연세대학교의 대학교회에서 영상촬영 및 편집을 하고 있다.

5. 3. 동아리

연세대학교에는 100개가 넘는 동아리가 활동하고 있으며, 아래 소개된 동아리들은 전체 동아리 중 일부이다.[56]

동아리명설명
AFKN 청취자 동아리 (ALC)한국-국제 교환학생 동아리 중 하나로, 가장 크고 오래된 동아리 중 하나이다. 응답하라 1994에 등장하여 유명해졌다.[56]
아베난테(Avenante)연세대학교 유일의 혼성합창단으로, 음악 전공자와 비전공자 모두로 구성되어 있다. 1년에 두 번 정기 연주회를 열며, 다양한 장르의 노래를 부른다.[56]
연세극예술연구회1920년대 연희전문학교 시절부터 시작된 중앙 연극 동아리로, 1953년 공식 발족하였다. 대한민국 연극사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임택근, 오현경, 표재순 등 많은 유명인을 배출했다.[142]
락그룹 ‘소나기’1986년 연제전자음악회 소나기라는 동아리로 시작하여 1989년 연세대학교의 정식 단체가 된 락그룹 동아리이다. MBC 대학가요제에서 여러 차례 수상하였다.[143]


5. 4. 연례 행사

봄에는 "대동제"라는 학술제가 열려 재학생도 티켓 구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인기가 많다.

9월 말경에는 고려대학교와의 교류전인 '''연고전'''(연세대생에게는 "연고전", 고려대생에게는 "고연전"이라고 불림)이 개최된다. 이는 1929년에 시작된 양교의 전신인 연희전문학교보성전문학교의 교류전인 '''연보전'''이 기원이다. 축구, 럭비, 야구, 아이스하키, 농구 5개 종목에서 양교 팀의 경기가 진행된다. 일본의 早慶戦(慶早戦)과 마찬가지로 경기 결과뿐만 아니라 양 대학의 응원전도 치열하며, 경기가 끝나는 토요일 저녁에는 양교 캠퍼스에서 차량 출입을 통제한 후 성대한 뒷풀이 파티가 열린다.

매년 5월경에는 학교 축제 기간으로, 대학 응원단이 "AKARAKA" 행사를 주최한다. (학생회 주최가 아니다.) 기업 후원 등으로 매년 유명 아이돌과 연예인들을 섭외하여 공연을 하는데, 고려대학교 응원단이 주최하는 "IPSELENTI"와 함께 고액 연예인이 출연하는 대학 공연으로 유명하다.

5. 4. 1. 무악대동제와 아카라카를 온누리에

무악대동제는 매년 5월에 3일간 열리는 학생 축제이다.[144] 1962년 '무악제전'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어, 1970년대 '무악축전'을 거쳐 1987년에 현재의 명칭으로 바뀌었다.[145] 축제는 백양로 장터 및 주점, 동아리 공연, 연세인 장기자랑 콘테스트, 개막제 및 폐막제로 구성되며, 마지막 날 저녁에는 '아카라카를 온누리에'가 개최된다.[146]

'아카라카를 온누리에'는 1986년부터 시작된 연세대학교 응원단 주최의 응원제이다.[147] '아카라카'는 연희전문학교 시절부터 사용된 연세대학교의 교호(校號)이다.[148] 로마 시대 장군이 개선하기 전 황제 앞에서 외치던 구호를 딴 의성어라는 설, 독수리 날갯짓 소리, '가락'이란 말의 앞뒤에 '아'를 붙인 말 등 여러 가지 설이 있다.[149]

'아카라카를 온누리에'는 총 3부로 구성되는데, 1부에서는 중앙동아리 공연, 2부에서는 가수와 연예인의 축하 공연, 3부에서는 응원제가 진행된다.[144] 보통 매년 5월경에 열리는 이 행사는 대학 응원단이 주최하며, 기업 후원 등으로 매년 유명 아이돌과 연예인들을 섭외하여 공연한다.

5. 4. 2. 연고전

연고전(延高戰)은 애교심을 고양하고 연세대학교와 고려대학교 양교의 친선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154] 스포츠 경기[155]를 비롯한 강연[156], 온라인 게임[157], 사회공헌활동[158][159]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고려대학교와 승부를 겨루는 행사 일체를 의미한다. 연고전과 유사한 대학교 스포츠 대항전으로 영국의 옥스퍼드 대학교와 캠브리지 대학교의 조정 경기와 일본의 와세다 대학게이오기주쿠 대학의 ‘소케이센’(早慶戰) 등이 있다. 연고전은 매년 9월에 고려대학교 5개 종목의 운동부 선수들과 맞붙는 ‘정기 연고전’[154] 과 정기 연고전 이외의 기간에 열리는 ‘비정기 연고전’[160]으로 크게 나누어볼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교내에 축구부, 럭비부, 야구부, 농구부, 아이스하키부 등 5개 종목의 스포츠단체가 활동하고 있다.[161] 흔히 일컬어지는 ‘연고전’이라는 명칭은 ‘정기 연고전’을 의미하며[162], 아래에 이어지는 설명도 ‘정기 연고전’에 관한 것이다.

  • 연고전의 역사: 연세대학교의 전신인 연희전문학교와 고려대학교의 전신인 보성전문학교는 1925년 5월 30일에 열린 조선 체육회 주최 ‘제5회 전조선(全朝鮮) 정구대회’에서 처음으로 맞붙었다. 양교의 실질적인 첫 전면시합이 열린 것은 1927년 경성운동장에서 거행된 제8회 전조선 축구대회 준결승에서의 연희전문학교 축구부와 보성전문학교 축구부의 대결이었다. 1943년에 징병제가 실시되어 시합이 중지되기 전까지 연희전문학교는 보성전문학교를 상대로 한 축구대회에서 31전 14승 17패를, 농구대회에서 62전 32승 30패를 기록하였다.[163] 정기전은 광복 이후 1945년 12월 21일부터 이틀간 열린 ‘제1회 연보 OB 축구대회’를 통해 부활하였다. 이듬해인 1946년에는 양교의 교명이 바뀌었으며[164][165][166] 이에 따라 ‘연보전’이라는 명칭 또한 ‘연고전’으로 바뀌었다. 1946년부터는 축구농구의 재학생 간 정기전이 매년 열리게 되었고, 1956년에는 야구, 럭비, 빙구의 세 종목이 추가되었다. 오늘날과 같은 규모의 연고전 기틀이 마련된 것은 1959년의 일이다. 1961년부터 1964년까지는 5·16 군사정변 등의 이유로 정기전이 열리지 않았다.[163] 1965년부터는 이틀 동안 다섯 경기가 일제히 치러지는 지금과 같은 경기방식이 완전히 자리를 잡았다.[167] 한동안 ‘민족해방제’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였다.[168]

  • 정기전의 명칭과 일정: 매년 9월에 열리는 정기전(정기친선경기대회)은 연고 양교가 매년 번갈아 주관한다. 정기전의 공식적인 명칭은 정기전을 주최하는 학교의 이름을 뒤에 붙이는 방식으로 정해지는데, 연세대학교가 주최하는 정기전 행사인 경우 ‘고연전’이 정식 명칭이 되는 식이다.[169] 그러나 정식 명칭은 실질적으로 방송 중계나 신문 보도 등의 공식 석상에만 사용될 뿐이며, 연세대학교에서는 연고전, 고려대학교에서는 고연전이라는 명칭으로 통용된다.[170] 연고전을 며칠 앞두고 신촌 오리엔테이션과 원주 오리엔테이션, 양교 합동 오리엔테이션이 각각 진행된다.[171]

  • 연고전에 대한 평가: 연고전이 연세대학교와 고려대학교의 자긍심을 고취하는 전통적인 스포츠 친선 경기이며[172] 대학 스포츠 발전에 이바지하였다는[174] 평가와 더불어 시대적 맥락을 저버린 채 즐거움만 추구하며[172] 폐쇄적인 엘리트 의식을 부추긴다는 비판이 있다.[173] 한편 선수들 간의 충돌이나 경기 파행 사태 등의 지나친 성적 지상주의도 부정적 측면으로 지적되고 있다.[174] 신촌과 안암의 상가 일대에서 벌어지는 연고전의 뒤풀이 문화와 주변을 고려하지 않은 응원 태도에 대한 비판도 있다.[175]

6. 상징

건학 이념인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요한복음 8:31~32)는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진리와 자유의 정신을 체득한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뜻한다.[73] 상징 동물은 독수리이고,[77] 상징 색은 ‘연세 블루’(Yonsei blue)이다.[78] 연세대학교의 심볼마크에는 방패가 그려져 있는데 방패 속의 ‘’ 표시는 하늘을 의미하며, ‘’는 땅, ‘人’은 사람을 뜻한다. ‘ㅇ’표시 왼쪽에 그려진 ‘책’은 진리를, 오른쪽에 그려진 ‘횃불’은 자유를 의미하며, 방패는 이러한 두 이념을 수호한다는 뜻이다.[79]

연세대학교 교표의 "ㅇ"과 "ㅅ"은 "연세"의 첫 글자에서 유래되었다. 원형 "ㅇ"은 완전하고 다재다능한 인격을, "ㅅ"은 학문적 우수성을 향한 끊임없는 추구를 상징한다. 또한, "ㅇ"은 하늘을, "-"는 땅의 지평선을, "ㅅ"은 사람(人)을 의미한다. 펼쳐진 책은 진리를, 횃불은 자유를 상징하며, 교표 전체는 이 두 가지 핵심 원리를 보호한다.[50]

연세대학교의 마스코트는 독수리[51]이며, 대표 색상은 "로열 블루"이다.[51]

7. 기타 시설

연세대학교 김대중도서관은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김대중의 생전 뜻에 따라 연세대학교에 귀속된 아시아 최초의 대통령 기념 도서관이다.[70][71]

8. 평가 및 위상

연세대학교는 대한민국 최상위권 명문 사학 중 하나로,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와 함께 "SKY" 대학으로 불린다. 대한민국에서는 SKY 대학 입학이 개인의 직업과 사회적 지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33] SKY 대학 입학은 매우 경쟁이 치열하며, 연세대학교의 수시 입학 경쟁률은 1% 미만이다. 일반적으로 연세대학교 정시 입학 지원에는 한국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성적 상위 0.5%가 필요하다.[33]

대학 본부인 신촌캠퍼스의 언더우드관


2007년 SCI 논문 발표 기준 세계 96위를 기록했다.[42] 2009년 10월 영국 더 타임스의 세계 대학 평가에서 151위를 기록했으며, 영국 QS 세계 대학 평가에서 2010년 142위, 2011년 129위를 기록하였다.[89]

2013년, 환태평양 대학 협회(APRU)에 가입하면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명문 대학으로부터 우수한 교육프로그램과 탁월한 연구력을 가진 대학으로 평가받음을 입증했다.[189] 2014년에는 동아시아 연구형 대학 협회(AEARU)에 가입함으로써 동아시아의 여러 연구중심대학들과 다차원적 국제협력의 발판을 더욱 공고히 했다.[190]

콰커렐리 시몬즈(Quacquarelli Symonds)사의 「QS 세계 대학 평가 순위 2024」 조사에서 연세대학교는 아시아 사립대학 1위, https://www.topuniversities.com/universities/yonsei-university 세계 56위를 차지했다.[72] 또한, https://www.timeshighereducation.com/ 타임즈 고등교육(The Times Higher Education)사의 「타임즈 고등교육 세계 대학 평가 순위 2023」 조사에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은 https://www.timeshighereducation.com/world-university-rankings/2023/subject-ranking/clinical-pre-clinical-health#!/page/1/length/25/sort_by/rank/sort_order/asc/cols/stats 세계 32위를 차지했다.

참조

[1] 웹사이트 Yonsei at a Glance https://www.yonsei.a[...] Yonsei University 2023-06-28
[2] 논문 The politics of the Korean student movement: Its tradition, evolution, and uniqueness https://www.proquest[...] Arizona State University 2024-12-13
[3] 학술지 Korean medical education https://europepmc.or[...] 2024-12-13
[4] 뉴스 Han Kang Is Awarded Nobel Prize in Literature https://www.nytimes.[...] 2024-11-05
[5] 뉴스 'Parasite' Director Bong Joon Ho on Making Oscar History https://www.nytimes.[...] 2024-11-05
[6] 학술지 1997 Fulkerson Prize https://www.ams.org/[...] 2024-12-18
[7] 학술지 Historical overview of the Department of Neurosurgery at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n the Republic of Korea https://thejns.org/v[...] 2024-11-05
[8] 웹사이트 'The cradle of the Insular' take care of Poor Korean http://news.kukinews[...] 2011-06-19
[9] 웹사이트 Severance Hospital, What is Severance? http://www.pressian.[...] 2009-07-24
[10] 학술지 Medical education in Je Joon Won http://medhist.or.kr[...] 2024-11-05
[11] 서적 Encountering Modernity: Christianity in East Asia and Asian America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4
[12] 논문 Valuable women: Gendered strategies for success in Korean college culture https://www.proquest[...] University of Pittsburgh 2024-11-05
[13] 학술지 Reformation of the Medical Educational Institutes and Training of General Doctors during the Early Period of Japanese Rule http://www.medhist.o[...] 2004
[14] 간행물 Severance Bulletin 1929-00-00
[15] 간행물 S.U.M.C. Catalogue 1917-1918
[16] 학술지 A History of Medical License in Korea https://www.medhist.[...] 2024-11-05
[17] 서적 Modern Education in Korea https://hdl.handle.n[...] International Press
[18] 뉴스 Donga Daily Editorial 동아일보사설 1922-02-10
[19] 서적 연세대학교 백년사 총론 Yonsei University Press
[20] 서적 연세대학교 백년사 총론 Yonsei University Press
[21] 논문 The Japanese Policy of Cultural Assimilation in Colonial Korea Under Governor-General Minami Jirō https://www.proquest[...]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2001
[22] 학술지 Language planning in Korea under the Japanese colonial administration, 1910--1945 https://doi.org/10.1[...] 2024-12-13
[23] 학술지 English Language Education In Korea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https://doi.org/10.1[...] 2024-12-13
[24] 학술지 The Trends of the Circle of Economics in Korea and Economics Education in the College of Commerce and Economics of Yonsei University during the 20 Years after the Liberation (1945~1965) 2015
[25] 서적 연세대학교 백년사 총론 Yonsei University Press
[26] 학술지 The United Nation's Civil Assistance Command in Korea's (UNCACK) Public Health Measures on Koje Island during the Korean War 2023
[27] 서적 연세대학교 백년사 총론 Yonsei University Press
[28] 서적 연세대학교 백년사 총론 Yonsei University Press
[29] 서적 연세대학교 백년사 총론 Yonsei University Press
[30] 서적 Train Wreckers and Ghost Killers: Allied Marines in the Korean War U.S. Marine Corps Historical Center 2003
[31] 서적 연세대학교 백년사 총론 Yonsei University Press
[32] 학술지 Severance Hospital: bringing modern medicine to Korea 2015
[33] 학술지 Hell to touch the SKY? Private tutor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 https://econpapers.r[...] 2024-12-18
[34]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5 https://www.topunive[...] 2024-06-08
[35] 웹사이트 Yonsei University https://www.timeshig[...] 2020-06-08
[36] 웹사이트 Yonsei University https://www.topunive[...] 2015-07-16
[37] 웹사이트 CWUR 2017 | Top Universities in the World https://cwur.org/201[...] 2019-05-20
[38] 웹사이트 http://www.arwu.org/[...] 2016-07
[39] 뉴스 The Reuters Top 75: A list of Asia's most innovative universities https://www.reuters.[...] 2024-12-18
[40] 기타
[41] 뉴스 The Reuters Top 75: A list of Asia's most innovative universities https://www.reuters.[...] 2024-12-18
[42] 웹사이트 New Unn https://web.archive.[...] 2012-02-20
[43] 웹사이트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http://www.arwu.org/ 2008-03-07
[44] 웹사이트 Yonsei University https://www.timeshig[...] Times Higher Education (THE) 2016-09-05
[45] 웹사이트 Yonsei University https://www.topunive[...] 2023-06-05
[46] 웹사이트 QS University Rankings: Asia 2018 https://www.topunive[...]
[47] 웹사이트 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 https://uic.yonsei.a[...] 2019-05-20
[48] 웹사이트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http://lawschool.yon[...] 2019-05-20
[49] 웹사이트 세브란스병원 - https://web.archive.[...] 2019-05-20
[50] 웹사이트 심볼마크 http://www.yonsei.ac[...]
[51] 웹사이트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https://www.yonsei.a[...] 2019-04-09
[52] 웹사이트 Vision and founding ideology of Yonsei University http://yonsei.ac.kr/[...]
[53] 웹사이트 Founding ideology of Yonsei University Board of Trustees http://yonsei.ac.kr/[...]
[54] 웹사이트 New Formula for Distributing MEF Dollars https://web.archive.[...] General Board of Higher Education and Ministry 2007-06-30
[55] 웹사이트 2013 Yonsei University Statistics http://uic.yonsei.ac[...] 2013-04-02
[56] 웹사이트 YES Official Page http://library.yonse[...] 2014-09-30
[57] 웹사이트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 회원대학 https://kusf.or.kr/k[...] Korea University Sports Federation 2022-02-26
[58] 뉴스 [연고전 농구] 골대를 향해 비상하라, 독수리! http://chunchu.yonse[...] Yonsei University 2022-02-26
[59] 뉴스 [게시판] 고려대·연세대, 6~7일 정기 고연전 개최 https://www.yna.co.k[...] 2022-02-26
[60] 뉴스 http://www.mydaily.c[...] My Daily 2008
[61] 웹사이트 Sinchon/International Campus https://web.archive.[...]
[62] 웹사이트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 About Yonsei | Campus Information | Yonsei Campuses | Main Campus - Sinchon https://www.yonsei.a[...] 2021-03-30
[63] 웹사이트 Jinnytty - Statistics https://twitchtracke[...] 2021-04-20
[64] 서적 2023
[65] 서적 2023
[66] 서적 2023
[67] 서적 2023
[68] 서적 2023
[69] 뉴스 韓国の延世大学、慶応大学に震災義援金300万円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1-04-29
[70] 웹사이트 『第71回 延世(ヨンセ)大学』 https://koyu.rikkyo.[...]
[7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ampus Buildings『Main Building』 https://www.yonsei.a[...]
[72] 웹사이트 Yonsei University https://www.topunive[...] 2022-06-10
[73] 웹인용 연세대학교 건학정신·이념 http://www.yonsei.ac[...]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2017-09-09
[74] 웹인용 학교 현황 http://www.yonsei.ac[...]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2020-07-23
[75] 웹인용 〈학교법인 연세대학교 정관〉, 《연세대학교 규정집》 http://www2.yonsei.a[...] 연세대학교 2011-12-03
[76] 웹인용 〈학교법인 연세대학교 정관〉, 《연세대학교 대학요람》 http://www.yonsei.ac[...] 연세대학교 2011-08-12
[77] 웹사이트 심볼 http://www.yonsei.ac[...]
[78] 웹사이트 상징 http://www.yonsei.ac[...]
[79] 웹사이트 심볼마크 http://www.yonsei.ac[...]
[80] 뉴스 한국 찾는 선교사 줄이어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11-05-19
[81] 뉴스 가난한 조선 민중 돌보던 '인술의 요람'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11-06-19
[82] 뉴스 연세의료원 역사는 '알렌=제중원, 에비슨=세브란스' http://www.medipana.[...] 메디파나 뉴스 2010-04-10
[83] 뉴스 앨런과 광혜원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06-04-21
[84] 뉴스 "세브란스병원의 '세브란스'는 도대체 누구?" https://news.naver.c[...] 프레시안 2009-07-24
[85] 뉴스 최초의 의사가 된 백정의 아들 https://news.naver.c[...] 프레시안 2009-08-12
[86] 웹사이트 연세발자취 세브란스 의과대학 http://www.yonsei.ac[...]
[87] 뉴스 제중원 적통 놓고 서울대병원-세브란스 신경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6-01-30
[88] 웹사이트 연세발자취 연희대학교 http://www.yonsei.ac[...]
[89] 웹사이트 연세대학교 연표 http://www.yonsei.ac[...]
[90] 논문 〈올리버 알 에비슨의 생애〉 http://storage.iseve[...] 2010-06
[91] 서적 연세대학교
[92] 뉴스 이한열 열사와 6·10 항쟁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11-06-05
[93] 뉴스 '연세대 한총련 사태' 배후조종 용의자 11년만에 구속 https://news.naver.c[...] 헤럴드경제 2007-04-24
[94] 웹사이트 신촌캠퍼스 소개 http://www.yonsei.ac[...]
[95] 웹인용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 연세대학교 스팀슨관 http://sca.seoul.go.[...] 서울특별시 2011-08-12
[96] 웹사이트 연세의 공간 http://www.yonsei.ac[...]
[97] 뉴스 65년 역사 연세대 도서관 ‘용재관’ 헐린다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2-10-15
[98] 서적 연세대학교
[99] 웹인용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 연세대학교 아펜젤러관 http://sca.seoul.go.[...] 서울특별시 2011-08-12
[100] 웹인용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관 http://sca.seoul.go.[...] 서울특별시 2011-08-12
[101] 서적 연세대학교
[102] 뉴스 가장 오래된 동상 ‘延大언더우드상’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7-05-07
[103] 뉴스 연세대 '청송대'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03-10-05
[104] 뉴스 도심속 사랑고백 "더 짜릿해요" https://news.naver.c[...] 헤럴드경제 2004-12-06
[105] 서적 연세대학교
[106] 웹사이트 박물관 소개 http://www.yonsei.ac[...] 2010-04-10
[107] 뉴스 연세대 송도 국제캠퍼스 개교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3-03
[108] 뉴스 연세대학교, "다빈치형 인재" TIF 과목 도입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11-06-13
[109] 뉴스 국제캠, 힘찬 새 발걸음 내딛다 https://web.archive.[...] 연세춘추 2011-03-02
[110] 뉴스 원룸·고시촌 30%가 `빈 방`…먹자골목도 `한산`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3-03-01
[111] 뉴스 삼애캠퍼스가 뭐에요 https://web.archive.[...] 연세춘추 2008-03-17
[112] 뉴스 연세대 원주캠퍼스, 기부로 세워져… '사랑의 빚' 사회기여로 갚는다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11-05-08
[113] 서적 위의 책 연세대학교
[114] 서적 위의 책 연세대학교
[115] 웹사이트 의료원 조직 http://www.yuhs.or.k[...] 2012-04-22
[116] 웹사이트 세브란스병원 http://www.yuhs.or.k[...] 2012-04-22
[117] 웹사이트 병원 소개 http://gs.iseverance[...] 2011-07-13
[118] 웹사이트 병원 소개 http://yi.iseverance[...] 2012-04-24
[119] 웹사이트 건강보험평가원 http://www.hira.or.k[...]
[120] 웹사이트 병원 소개 http://mh.iseverance[...] 2011-01-02
[121] 웹인용 병원 소개 https://web.archive.[...]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홈페이지
[122] 뉴스 延大기증 亞太재단 명칭 김대중 기념관으로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3-01-17
[123] 웹사이트 신촌캠퍼스 건물 소개 http://www.yonsei.ac[...] 2010-03-17
[124] 뉴스 국정기록 관리, 조선시대보다 못해 https://news.naver.c[...] 내일신문 2005-10-28
[125] 간행물 이승만 대통령 연구에 헌신해 온 유영익 국제학대학원 석좌교수 http://www.yonsei.kr[...] 2001-11-16
[126] 뉴스 우남 이승만에 대한 올바른 역사적 평가는? https://gsis.snu.ac.[...] CBS 2011-10-03
[127] 뉴스 연세대 언더우드家 기념관 확장 개관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6-05-12
[128] 뉴스 학도호국단규공포(學徒護國團規公布)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49-09-28
[129] 뉴스 연세 1백년을 돌아본다 https://web.archive.[...] 연세춘추 1999-11-29
[130] 뉴스 97개大 호국단(護國團)발단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75-06-30
[131] 뉴스 연세춘추로 본 '연세'의 발자취 https://web.archive.[...] 연세춘추 2004-09-20
[132] 웹사이트 학생복지처 소개 http://www.yonsei.ac[...] 2013-12-13
[133] 웹사이트 자치단체 소개 http://www.yonsei.ac[...] 2012-07-07
[134] 뉴스 서울권 유일 ‘연세대 총여학생회’도 폐지…역사 속으로 http://www.hani.co.k[...] 한겨레 2019-01-04
[135] 웹인용 연세미디어 연세춘추 https://web.archive.[...]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136] 웹인용 연세미디어 연세학보사 https://web.archive.[...]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137] 웹인용 연세미디어 The Yonsei Annals https://web.archive.[...]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138] 웹인용 연세미디어 연세 교육 방송국 https://web.archive.[...]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139] 웹인용 연세미디어 연세 매지 방송국 https://web.archive.[...]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140] 웹사이트 응원단 역사 http://www.akaraka.o[...] 2010-07-25
[141] 웹사이트 학생홍보대사 I.N.延 http://in-yon.com/ 2013-04-27
[142] 뉴스 중앙 연극 동아리 연세극예술연구회 https://web.archive.[...] 연세춘추 웹진 연두 2011-06-26
[143] 웹사이트 소나기 소개 http://www.rocksonag[...] 2014-10-15
[144] 뉴스 연세인들의 뜨거웠던 청춘, 백양로를 달구다 https://web.archive.[...] 연세춘추 2011-08-12
[145] 뉴스 무악제전→무악축제→무악대동제, 우리학교 축제의 역사! https://web.archive.[...] 연두 2011-08-26
[146] 뉴스 대동제, 11~13일 간 펼쳐져 https://web.archive.[...] 연세춘추 2011-08-12
[147] 웹사이트 응원단 활동 http://www.akaraka.o[...] 2010-07-25
[148] 웹사이트 교호 http://www.yonsei.ac[...] 2012-08-08
[149] 뉴스 연세를 상징하는 것들의 기원 https://web.archive.[...] 연세춘추 2011-08-12
[150] 뉴스 연고전의 서막 알린 연세의 밤&합동응원전 https://web.archive.[...] 연세춘추 2011-08-14
[151] 뉴스 연고 응원문화 그 역사 속으로 https://web.archive.[...] 연세춘추 2011-08-14
[152] 웹사이트 노래 http://www.yonsei.ac[...] 2017-09-09
[153] 웹사이트 구호 http://www.yonsei.ac[...] 2017-09-09
[154] 웹인용 정기 고연전 https://web.archive.[...] 고려대학교 응원단 2011-06-06
[155] 뉴스 2011 고연전 '돌아온 호랑이, 고려대의 승리로 막내려' http://bntnews.hanky[...] 한경닷컴 2011-07-28
[156] 뉴스 고려ㆍ연세대 `강의도 고연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7-28
[157] 뉴스 ‘사이버 고연전’ 연다…기업경영 시뮬레이션 게임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11-07-28
[158] 뉴스 ‘봉사활동 고연전’ 펼쳐진다 http://biz.heraldm.c[...] 헤럴드경제 2011-07-28
[159] 뉴스 '피 터지는' 고연전? '피 나누는' 고연전!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11-07-28
[160] 웹인용 비정기 고연전 https://web.archive.[...] 고려대학교응원단 2011-07-28
[161] 웹인용 스포츠단체 http://www.korea.ac.[...] 고려대학교 2011-07-28
[162] 뉴스 허정무.홍명보 등 축구 스타들의 고연전 추억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7-28
[163] 웹인용 고연전 역사 https://web.archive.[...] 고려대학교 응원단 2011-06-06
[164] 뉴스 건국동량(建國動梁)의새요람(搖籃)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2011-07-02
[165] 웹인용 연표 http://www.korea.ac.[...] 고려대학교 2011-07-31
[166] 웹인용 연희대학교 https://web.archive.[...] 연세대학교 2011-07-31
[167] 뉴스 캠퍼스 가득한 크림슨, 비슷해 보여도 다 달라요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09
[168] 뉴스 고연(高延) 민족해방제 오늘부터 6일간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2011-07-04
[169] 뉴스 100년 호랑이 vs 120년 독수리 https://web.archive.[...] 한국일보 2011-07-28
[170] 서적 세상 밖으로 나온 심리학 네모북스 2006-07-29
[171] 뉴스 연고제, 우리 모두 다 함께 가는거야! https://web.archive.[...] 연세춘추 2011-06-09
[172] 뉴스 연고전을 바라보는 시선을 뒤집는다면 https://web.archive.[...] 연세춘추 2018-05-19
[173] 뉴스 “학벌의식 부추겨” 안티고연전 운동 일부 고대생 문제 제기 https://news.naver.c[...] 문화일보 2011-08-24
[174] 웹인용 고연전에 제안한다, 제 3부 우리 밖의 고연전 http://blog.naver.co[...] SPORTS KU 2011-08-25
[175] 뉴스 연고전, 올해도 ‘그들만의 축제’ https://news.naver.c[...] 쿠키뉴스 2011-08-24
[176] 뉴스 로스쿨 예비大서울권15곳 1140명,지방10곳 860명 잠정 확정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8-01-30
[177] 뉴스 서울대 연세대 등 11곳, 의학전문대학원 폐지했다.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0-09-02
[178] 웹사이트 교환학생제도 http://www.yonsei.ac[...]
[179] 웹사이트 방문학생제도 http://www.yonsei.ac[...]
[180] 웹사이트 파견대학 소개 http://www.yonsei.ac[...]
[181] 웹사이트 SAP http://www.yonsei.ac[...]
[182] 웹사이트 GIP http://www.yonsei.ac[...]
[183] 서적 연세대학교
[184] 웹사이트 국내대학교환프로그램 http://www.yonsei.ac[...]
[185] 서적 연세대학교
[186] 웹사이트 채플 http://chaplain.yons[...]
[187] 서적 연세대학교
[188] 뉴스 ‘CEO 최고 요람’ 명패 바뀌었다…연대 경영학과 서울대 누르고 1위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2-09-06
[189] 뉴스 연세대, 환태평양 대학 협회 가입 http://www.etoday.co[...] 이투데이 2013-09-26
[190] 뉴스 연세대, 동아시아연구중심대학협의회 가입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14-11-2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